KR101144178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78B1
KR101144178B1 KR1020090008322A KR20090008322A KR101144178B1 KR 101144178 B1 KR101144178 B1 KR 101144178B1 KR 1020090008322 A KR1020090008322 A KR 1020090008322A KR 20090008322 A KR20090008322 A KR 20090008322A KR 101144178 B1 KR101144178 B1 KR 10114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ealing
support
air condition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9191A (en
Inventor
김종수
이해준
안용남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78B1/en
Publication of KR2010008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둘레에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 및 제1실링부와 단차지며 대쉬패널에 위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블록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지지부의 사이에는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지지부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플랜지의 유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품수를 실링블록 하나로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도 간편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stepped with a first sealing part and a first sealing part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a flange support part around a flange coupled to an inlet and an outlet pipe of an evaporator.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through the flange support portion and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nge by providing a sealing block consisting of a second sealing portion which is pressed in order to form a flow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support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cost and assembles easily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with one sealing block.

이에 본 발명은, 냉매의 유입/배출을 위해 단부측에 플랜지(101b)가 결합된 입,출구파이프(101a)를 구비한 증발기(101)와, 상기 증발기(101)를 내장함과 아울러 전방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101b)를 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130)가 관통되게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121)와, 상기 제1실링부(121)와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차량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패널(dash panel)(105)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122)로 이루어진 실링블록(120)이 감싸도록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and outlet pipe 101a is coupled to the flange 101b on the end side for the inlet /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and the evaporator 101 is built in the front side An air conditioning case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formed to penetrate the flange support part 130 to support the flange 101b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heater core 102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n the apparatu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101b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and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The sealing block 120 made of a second sealing portion 122 compressed by a dash panel 105 partitioning the engine room is installed to surround and prevents leakage of condensate.

공조장치, 공조케이스, 플랜지 지지부, 플랜지, 실링블록, 유동방지수단 Ai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Case, Flange Support, Flange, Sealing Block, Flow Preventing Means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둘레에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 및 제1실링부와 단차지며 대쉬패널에 위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블록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지지부의 사이에는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지지부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플랜지의 유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품수를 실링블록 하나로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도 간편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stepped with a first sealing part and a first sealing part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a flange support part around a flange coupled to an inlet and an outlet pipe of an evaporator.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through the flange support portion and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nge by providing a sealing block consisting of a second sealing portion which is pressed in order to form a flow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support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reduces cost and assembles easily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with one sealing block.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by introducing air outside the vehicle into a vehicle interior or by heating or cooling in a process of circulating air in the vehicle interior, and an evaporator for cooling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heater core for heating and selectively blows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to the respective parts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blowing mode switching door.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 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s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blower unit. Is divided into a semi-center type provided as a separate unit, and the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ree units are buil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도 1 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as shown, the internal air inlet 21 and the external air inlet 22 is formed on one side,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 21, 22 is optional An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23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air flow, and a blower device 10 including a blower fan 35 for forcibly blow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ir to the air inlet 43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 air inlet 43 through which air blown from the blower device 10 is introduced and an air outlet 44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re provided, and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r core 42 are sequentially spaced in the interior. Consist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is installed.

또한,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도어(45)가 설치되어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와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 하는 냉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a temperature control door 45 is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41 and the heater core 42 to open the hot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2 and the cold air passage bypassing the heater core 42. Control the temperature.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에는 각각 모드도어(46)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공기토출구(44)를 개폐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ports 44 is provided with a mode door 46 to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air discharge port 44 according to various air conditioning modes.

도 2 는 상기한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Semi center type) 공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부측에 형성된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22)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송풍하는 송풍장치(10)로 구성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mi center type air conditioner 1 among the air conditioners, in which the air inlet 43 is formed at the inlet side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t the outlet side. Through the air conditioner case 40, the air inlet and the air inlet 22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air inlet (44) is selectively introduced into the blower device 10 for forced air to the air inlet (43) side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미도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미도시)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도어(미도시)들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evaporator 41 and a heater core (not shown)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nd a temperature control door (not shown) for temperature control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Mode doors (not shown) for performing various air conditioning modes are installed.

상기 증발기(41)는 냉매를 유입/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입,출구파이프(41a)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의 끝단부측에는 팽창밸브(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41b)가 결합되어 있다.The evaporator 41 is formed so that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protrudes on one side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 and out, and is coupled to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t the end of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The flange 41b is coupled for this purpose.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전방측에는 상기 팽창밸브와 결합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41b)를 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47)가 관통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lange support portion 47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to support the flange (41b) exposed to the outside for coupling with the expansion valve.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40)는 통상적으로 상부케이스(40a,40b)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일체형 하부케이스(40c)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a,40b)와 하부케이스(40c)의 사이에 증발기(41)를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케이스(40a,40b)(40c)의 결합면에 상기 플랜지 지지부(47)가 형성되므로 플랜지 지지부(47)도 상,하로 각각 분할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case (40a, 40b) and the separate integrated lower case (40c) is coupled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as shown in FIG. The evaporator 41 is assembled between the cases 40a and 40b and the lower case 40c. Here, since the flange support part 47 is formed on the mating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40a, 40b and 40c, the flange support part 47 is also divided up and down,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공조장치(1)에 의하면 상기 송풍장치(1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공기는 온도조절 도어에 의해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연결된 각 덕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 the air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41,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In the process of selectively passing through the cooling or heating, the cooled or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each duct (not show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outlets 44 to perform cooling or heating.

한편,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시, 상기 증발기(41)는 그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1) 주위에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증발기(41)의 입,출구파이프(41a)에도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system, since the coolant is circulated inside the evaporator 41,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around the evaporator 41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with the outside air. Of course, condensed water is also generated in the inlet and outlet pipes 41a of the evaporator 41.

이때, 상기 증발기(4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공조케이스(40)의 하부로 낙하한 후 공조케이스(4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만,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곧바로 공조케이스(40) 내부로 낙하할 수도 있지만 일부는 상기 입,출구파이프(41a)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플랜지 지지부(47)로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41 is dropp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conditioning case 40 by the wind flowing down or blow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condensate outlet (not shown) formed in the lower air-conditioning case 40 Although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may immediately fall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but some flows down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to support the flange support ( 47).

따라서, 상기 플랜지 지지부(47)로 유입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40)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플랜지(41b)의 후방측 입,출구파이프(41a)에 단열부재(48a)를 감고, 그 위에 좌,우로 분할된 고정 브라켓(48b)을 스크류(48c)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한다.Accordingly, the heat insulating member 48a is wound around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of the rear side of the flange 41b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lange supporter 47 does not leak ou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Fixing bracket 48b divided into left and right is fastened and fixed using a screw 48c.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48b)은 상기 단열부재(48a)가 감겨있는 입,출구파이프(41a)를 감싸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브라켓(48b)의 둘레에는 결합홈(48e)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지지부(47)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부(47a)에 끼 움 결합됨으로써 입,출구파이프(41a)의 고정하면서 플랜지(41b)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48b is coupled to surround the inlet and outlet pipe 41a on which the heat insulating member 48a is wound, and a coupling groove 48e is formed around the fixing bracket 48b to form the flange. By fitting to the protrusion 47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47, the flow of the flange 41b is prevented while the inlet and outlet pipes 41a are fixed.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8b)의 앞쪽에는 NBR재질의 실링부재(48d)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n NBR sealing member 48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ixing bracket 48b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출구파이프(41a)에 각각 감겨지는 단열부재(48a), 좌,우로 분할된 고정 브라켓(48b), 스크류(48c), NBR재질의 실링부재(48d)와 같이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므로 원가가 증가함은 물론 조립도 복잡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heat insulating member 48a wound arou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41a, the left and right fixing brackets 48b, screws 48c, and NBR, respectively,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Since many parts, such as the sealing member 48d of the material, are required,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assembly is complicated.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8b)이 좌,우로 분할된 구조이므로 분할된 면을 통해 응축수가 누설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고정 브라켓(48b)의 결합홈(48e)과 플랜지 지지부(47)의 돌출부(47a)간에 조립성을 위한 갭(GAP)이 있으므로 이 부분을 통해서도 응축수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ixing bracket 48b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tructures, condensate may leak through the divided surfaces, and the protrusions of the coupling grooves 48e and the flange supporters 47 of the fixing bracket 48b may be leaked. Since there is a gap (GAP) for assembly between 47a), there was a problem that condensate leaks through this portion.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둘레에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 및 제1실링부와 단차지며 대쉬패널에 위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블록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지지부의 사이에는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지지부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플랜지의 유동을 방지하고,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부품수를 실링블록 하나로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도 간편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stepped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first sea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lange support portion around the flange coupl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By installing a sealing block made of a second sealing portion to be crimped and forming a flow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support portion,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through the flange support portion and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nge, condensate It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prevent leakage of a single sealing block to reduce the cost and easy assemb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의 유입/배출을 위해 단부측에 플랜지가 결합된 입,출구파이프를 구비한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내장함과 아울러 전방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가 관통되게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제1실링부와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차량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패널(dash panel)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블록이 감싸도록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vaporator having an inlet and outlet pipe coupled to the flange on the end side for the inlet /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the evaporator and the flange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front sid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case formed to penetrate a flange support portion and a heater core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wherein the first sea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lange support portion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And a sealing block formed of a second sealing part which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ling part and is compressed by a dash panel that partitions the vehicle compartment and the engine room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증발기의 입,출구파이프에 결합된 플랜지의 둘레에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 및 제1실링부와 단차지며 대쉬패널에 위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실링블록을 통해 3중으로 실링을 하게되므로 상기 입,출구파이프를 따라 플랜지 지지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함은 동시에 부품수 감소로 인해 원가가 절감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ing block comprising a first sealing part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a flange support part and a second sealing part which is stepped with a first sealing part around the flange coupl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 of the evaporator and pressed against the dash panel. By installing, the sealing is tripled through the one sealing block,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condensate flowing into the flange support part along the inlet and outlet pipes, and at the same time, the cost is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parts.

또한,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지지부의 사이에는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플랜지의 전,후 및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방지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flow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support portion, the front, rear and up, down, left and right flow of the flange is prevented.

그리고, 상기 플랜지 지지부의 하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플랜지 지지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흘러 배수된다.Then, by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flange support portion inclined, the condensed water flowing into the flange support portion smoothly flows into the air-conditioning case and is drained.

또한, 상기 실링블록에 완충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공조장치를 차량에 조립시 상기 실링블록이 대쉬패널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압축에 의한 반발력을 줄여 조립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실링성도 향상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buffer space in the sealing block, when assembling the air conditioner to the vehicle, the sealing block is reduced in the repulsive force by compression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sealing panel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and also improve the sealing properties.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peat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플랜지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입,출구파이프의 플랜지에 실링블록을 설치하여 플랜지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선 단 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실링블록에 완충공간부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nge support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block is installed on a flange of an inlet and an outle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upled to a flange support unit, FIG. 9 is an AA cut line of FIG. 8, and FIG.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 buffer space is formed in the sealing block,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0,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13), 페이스 벤트(114), 플로어 벤트(115)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2)와 각 벤트(113)(114)(115)들을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111)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1)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통로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112 is formed on the inlet side and the air outlet on the outlet side of the defrost vent 113, face vent 114, floor vent 115 ) Is formed, the air inlet 112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air passage 111 is formed to communicate each vent 113, 114, 115,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of the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sequentially installed on the air passage 111 and between the evaporator 101 and the heater core 102 and bypass the heater core 10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passage and the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2).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차량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패널(dash panel)(105)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ear side of the dash panel 105 that divides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engine compartment.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벤트(113)(114)(115)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13a)(114a)(115a)가 설치된다.In add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each vent 113, 114 to selectively distribute the coarse air to each duct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position in the vehicle interior. A plurality of mode doors 113a, 114a and 115a are provided at 115.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2)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let 11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with a blower (not shown) for blowing the inside or outside air.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는 복수개의 튜브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튜브들의 사이에는 방열핀이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냉매를 유입하고 배출할 수 있 도록 입,출구파이프(101a)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101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tubes,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installed between the respective tubes,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to allow the refrigerant to flow in and out. 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끝단부에는 팽창밸브(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해 플랜지(101b)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01b)는 입,출구파이프(101a)를 일정간격 이격시킨상태로 결합된다.In addition, a flange 101b is coupled to an end of the inlet and outlet pipe 101a for coupling with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e flange 101b is coupl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전방측에는 상기 엔진룸측에 위치하는 팽창밸브와 결합을 위해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101b)를 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130)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는 공조케이스(110)의 전방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support the flange 101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for coupling with the expansion valve located on the engine room side. do. At this time, the flange support 13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또한,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는 상기 플랜지(101b)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플랜지(101b) 보다 크게 형성되어 플랜지(101b)의 둘레를 감싸게 된다.In addition, the flange supporter 1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flange 101b but is formed larger than the flange 101b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01b.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상부케이스(110a,110b)와 하부케이스(110c)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증발기(101)의 입,출구파이프(101a)에 결합되는 플랜지(101b)(101b)를 기준으로 상부케이스(110a,110b)와 하부케이스(110c)로 분할되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cases 110a and 110b and the lower case 110c, that is, the flange 101b coupled to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of the evaporator 101. The upper case 110a and 110b and the lower case 110c are divided based on 101b.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10a,110b)는 상기 증발기(101)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좌측 케이스(110a)와 우측 케이스(110b)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110c)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부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증발기(101)의 장착성을 위해 상부케이스(110a,110b)와 탈착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되며 아울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ase (110a, 110b)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0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ft case (110a) and the right case (110b) is coupled, the lower case (110c) is the evaporator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101 as well as the removable detachable type and the upper case (110a, 110b) for mounting of the evaporator 101 is made of a single body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c)에는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에 응축수 배출구(110d)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case 110c has a condensate outlet 110d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evaporator 101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한편,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플랜지(101b)를 기준으로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가 분할되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도 상,하로 분할되어 플랜지 지지부(130)의 반쪽은 상부케이스(110a)에 형성되고 나머지 반쪽은 하부케이스(110c)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의 결합시 하나의 플랜지 지지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Meanwhile, since the upper and lower cases 110a, 110b and 110c are divided based on the flange 101b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the flange support part 130 is also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o support the flange support part 130. Half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10a) and the other half is formed in the lower case (110c). Therefore, one flange support portion 130 is formed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s 110a and 110b and 110c ar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 둘레에는 실링블록(120)이 감싸도록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실링블록(120)의 전,후방 방향 폭은 상기 플랜지(101b)의 전,후 방향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101b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block 120 to wrap.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sealing block 1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flange (101b).

상기 실링블록(120)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실링을 위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aling block 120 is preferably made of polyurethane foam, in addition to this may be used for a variety of materials for sealing.

상기 실링블록(120)은,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121)와, 상기 제1실링부(121)와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122)로 이루어져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The sealing block 120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ling part 121 and the first sealing part 121 inserted into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nd by the dash panel 105. Compression is made of a second sealing portion 122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여기서, 상기 실링블록(120)의 외측면이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측방향(플랜지 지지부 방향)에 제1실링부(121)가 형성되고 외측방향에 제2실링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실링부(122)가 제1실링부(121) 보다 크게 형성된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block 120 is formed to be stepped in two stages so that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flange support direction)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is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 At this time,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is formed larger than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한편,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면도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실링블록(120)의 내측면도 플랜지(101b)의 외측면과 대응하여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01b)의 외측방향이 내측방향 보다 크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is also formed stepped in two stages,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block 1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is formed to be stepp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do. At this time, the outer direction of the flange 101b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rection.

그리고, 상기 플랜지(101b)와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사이에는 플랜지(101b)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1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low preventing means 133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01b and the flange supporter 1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nge 101b.

상기 유동방지수단(133)은, 상기 플랜지(101b)의 전,후 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면에 돌출부(101c)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01c)가 걸리도록 돌출부(101c)의 전방측에 제1지지부(131) 및 후방측에 제2지지부(132)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flow preventing means 13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01c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to prevent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flange 101b,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support 130 The first support part 131 is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protrusion 101c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2 is formed at the rear side so that the protrusion 101c is caught.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01c)는 상기 플랜지(101b)의 좌,우 측면에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protrusion 101c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is formed to protrude at right angle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ange 101b.

또한,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지지부(131)와 제2지지부(132)는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101c)가 삽입 결합되도록 홈을 만들어주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1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101c) is to make a groove for insertion coupling.

따라서, 상기 플랜지(101b)의 돌출부(101c)가 상기 제1,2지지부(131)(132)의 사이에 삽입되게 되면 플랜지(101b)의 전,후 방향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101c of the flange 101b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31 and 132, the front and rear flows of the flange 101b are prevented.

한편,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 둘레에 상기 실링블록(120)이 설치될 때 상기 플랜지(101b)의 돌출부(101c)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실링부(121)의 좌,우측에는 상기 돌출부(101c)가 삽입되는 홈(121a)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ling block 12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01b)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trusion (101c) of the flange 101b,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the protrusion ( The groove 121a into which the 101c is insert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131)의 내측 단부는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1실링부(121) 외측면을 압착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31)의 내측 단부 일측면(외측방향면)은 경사면(131a)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실링부(121)외 외측면을 원활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is extended to com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part 121 of the sealing block 120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At this time, one side surfac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3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1a to smoothly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한편,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1실링부(121)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제2지지부(132) 전방면까지 삽입되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sealing part 121 of the sealing block 120 is inser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2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또한, 상기 제2지지부(132)의 내측 단부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측면을 밀착지지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01b)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지지부(132)의 내측 중앙은 관통되고 이때 관통된 내측 단부가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측면을 밀착지지함으로써 입,출구파이프(101a)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하므로 결국 입,출구파이프(101a)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플랜지(101b)의 유동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2 is extended to closely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to prevent the up, down, left, and right flow of the flange 101b. . That is,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2 penetrates through the inner end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by close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Since the flow in the right direction is prevented, the flow of the flange 101b coupled to the ends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is also prevented.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132)의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폭의 절개홈(132a)이 형성되며, 즉, 상기 제1지지부(131)와 제2지지부(132)의 사이로 응축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절개홈(132a)을 통해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32 is formed in the vertical cutting groove 132a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condensate flows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13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32. Through the incision groove 132a is to flow smoothly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또한,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하단부(130a)는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낙하 할 경우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경사진 하 단부(130a)를 통해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130a of the flange supporter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lange supporter 130 flows smoothly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refore, when the condensate generated from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falls into the flange supporter 130 and falls,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inclined through the inclined lower end 130a of the flange supporter 130. It will be smoothly drained to the inside of the.

그리고,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는 실링블록(120)의 제2실링부(122) 후방측을 밀착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130)와 단차지게 보조 지지부(135)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uter end of the flange supporter 130 is stepped with the flange supporter 130 to closely suppor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122 of the sealing block 120 that is pressed by the dash panel 105. The support 135 is formed.

즉, 상기 보조 지지부(135)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외측 단부에서 확관되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보조 지지부(135)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실링부(122)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돌기부(136)가 돌출 형성된다.That is, the auxiliary support part 135 is formed to be expanded at the outer end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nd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135 is pres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part 122 to condensate Protrusions 136 are formed to protrude so as to prevent leakage.

이와 같이, 상기 하나의 실링블록(120)을 통해 3중으로 실링을 하게되므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따라 플랜지 지지부(130) 내측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누설을 더욱 방지함은 물론 부품수 감소로 인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제1지지부(131)가 실링블록(120)의 제1실링부(121) 외측을 압착하므로서 1차 실링을 하게 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135)의 돌기부(136)가 실링블록(120)의 제2실링부(122) 외측을 압착하므로서 2차 실링을 하게 되며, 공조장치(100)의 설치시 상기 실링블록(120)이 대쉬패널(105)측에 일정압력으로 밀착되게 조립되면서 대쉬패널(105)과 보조 지지부(135)의 사이에서 압착되므로 3차 실링을 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ling is carried out in triple through the one sealing block 120, the leakage of condensate flowing into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long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is further prevent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is can reduce the cost. That is, the first support part 131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compresses the out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121 of the sealing block 120 to perform the primary sealing, and the protrusion part 136 of the auxiliary support part 135. ) Compresses the out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122 of the sealing block 120 to perform the second sealing, and when the air conditioner 100 is installed, the sealing block 120 has a constant pressure on the dash panel 105 side. While being assemb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ash panel 105 and the auxiliary support 135 will be the third sealing.

한편, 상기 대쉬패널(105)에는 상기 플랜지(101b)의 일단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인해 상기 대쉬패널(105)을 기준으로 엔진룸측에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끝단부가 위치하게 되어 엔진룸측에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연결되게 된다.Meanwhile, a through hole 106 is formed in the dash panel 105 so that one end of the flange 101b penetrates. As a result, the end of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is positioned at the engine room side with respect to the dash panel 105, and is connected to an expansion valve installed at the engine room side.

그리고,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실링블록(120)은 공조장치(100)를 차량에 조립시 상기 대쉬패널(105)측에 일정압력을 압착되게 조립되는데, 이때 상기 실링블록(120)의 밀도가 낮을수록 반발력이 줄어들어 조립성은 좋은 반면 물을 흡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실링블록(120)의 밀도가 높을수록 물의 흡수력은 감소하지만 반발력 증가로인해 조립성이 안좋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ling block 120 made of the polyurethane foam is assembled to squeeze a predetermined pressure on the side of the dash panel 105 when assembl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to the vehicle, wherein the density of the sealing block 120 The lower the repulsive force is reduced and the assembly performance is good but water absorption occurs.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density of the sealing block 120, the lower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but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pulsive force, the poor assembly performance occurs. .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수밀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대쉬패널(105)측에 밀착 조립시 반발력으로 인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블록(120)에 완충공간부(123)가 형성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buffer space portion 123 is provided in the sealing block 120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assemblability due to the repulsive force when assembling closely to the dash panel 105 side. Is formed.

상기 완충공간부(123)는 상기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는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2실링부(122)에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완충공간부(123)는 상기 보조 지지부(135)와 밀착되는 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보조 지지부(135)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The buffer space portion 123 is formed in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of the sealing block 120 pressed by the dash panel 105, wherein the buffer space portion 123 is the auxiliary support 135 )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is opened toward the auxiliary support part 135.

이러한, 상기 완충공간부(123)는 상기 제2실링부(12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분할되어 형성된다.Such a buffer space portion 123 is formed by dividing a pluralit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이와 같이, 상기 실링블록(120)은 밀도를 높여 물의 흡수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122)에 복수개의 완충공간부(123)를 형성함으로써, 공조장치(100)를 차량에 조립시 상기 실링블록(120)이 대쉬패널(105)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압축에 의한 반발력을 줄여 조립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실링성도 향상하게 된다.As such, the sealing block 120 increases the density to reduce the water absorbing power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plurality of buffer space portions 123 in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pressed by the dash panel 105, Whe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s assembled to a vehicle, the sealing block 120 is compressed to the dash panel 105 to reduce the repulsive force due to compression, thereby improving assembling and improving sealing performan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 둘레에 상기 실링블록(120)을 끼움 결합한다. 이후, 상기 하부케이스(110c)에 증발기(101)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101b)를 상기 하부케이스(110c)의 플랜지 지지부(1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랜지(101b)의 좌,우 돌출부(101c)를 플랜지 지지부(130)의 제1,2지지부(131)(132)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Hereinafter, describing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sealing block 12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101b). Thereafter, the evaporator 101 is seated on the lower case 110c. In this case, the flange 101b is positioned on the flange support 130 of the lower case 110c. The protrusion 101c is inserted into and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31 and 132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이후, 상기 증발기(101)가 내장된 하부케이스(101c) 위에 상부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게 되면, 하부케이스(101c)의 플랜지 지지부(130)와 상부케이스(110a)의 플랜지 지지부(130)가 조립되면서 하나의 플랜지 지지부(130)를 이루어 상기 플랜지(101b)의 둘레를 감싸면서 플랜지(101b)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pper cases 110a and 110b are assembled on the lower case 101c having the evaporator 101 built therein, the flange support 130 of the lower case 101c and the flange support of the upper case 110a ( 130 is assembled to form a flange support 130 to wrap around the flange 101b to fix the position of the flange 101b.

즉, 상기 플랜지(101b)의 좌,우 돌출부(101c)가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제1,2지지부(131)(132) 사이에 삽입되므로 플랜지(101b)의 전,후 방향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제2지지부(132)의 내측 단부가 상기 증발기(101)의 입,출구파이프(101a)를 지지하므로 플랜지(101b)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이 방지된다.That is, since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101c of the flange 101b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31 and 132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the front and rear flows of the flange 101b are prevented. Since the inn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2 supports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of the evaporator 101, the up, down, left, and right flow of the flange 101b is prevented.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가 조립되면,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제1지지부(131)가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1실링부(121) 외측면을 압착하고 상기 보조 지지부(135)의 돌기부(136)는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2실링부(122) 외측면을 압착하여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를 통한 응축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cases 110a, 110b and 110c are assembled, the first support part 131 of the flange support part 130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part 121 of the sealing block 120. The protrusion 136 of the auxiliary support 135 may com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part 122 of the sealing block 120 to prevent condensate leakage through the flange support 130.

물론, 상기 상,하부케이스(110a,110b)(110c)의 조립과정에서 히터코어(102), 온도조절도어(116), 모드도어(113a,114a,115a) 등과 같은 다른 기타 부품들도 조립이 이루어진다.Of cours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heater core 102,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the mode doors 113a, 114a, and 115a may also be assembled during the assembly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110a, 110b and 110c. Is done.

상기와 같이 공조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차량의 대쉬패널(105) 후방측에 공조케이스(110)를 장착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101b)가 대쉬패널(105)의 관통공(106)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조립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2실링부(122)가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면서 상기 보조 지지부(135)측에 더욱 밀착되게 되어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를 통한 응축수 누설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When the assembling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dash panel 105 of the vehicle, wherein the flange 101b is a through hole of the dash panel 105. 106 is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in this process,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of the sealing block 120 is pressed by the dash panel 105 to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auxiliary support 135. The condensate leakage through the flange support 130 is further prevented.

또한, 상기 공조장치(100)의 조립시 상기 실링블록(120)을 대쉬패널(105)에 일정압력을 압착하면서 조립할 때, 상기 실링블록(120)에 형성된 완충공간부(123)에 의해 실링블록(120)의 반발력이 감소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sealing block 120 while pressing the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dash panel 105 when assembling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the sealing block by the buffer space portion 123 formed in the sealing block 120 Since the repulsive force of the 120 is reduced, the assemblability is improved.

이후, 상기 공조장치(100)의 가동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통해 증발기(101)의 내부로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되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증발기(101)의 열교환으로 인해 증발기(101)와 입,출구파이프(101a)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입,출구파이프(101a)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측으로 유입된다.Subsequently, when the air conditioner 100 operates, when cool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101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the air and the evaporato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Due to the heat exchange of 101,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s of the evaporator 101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and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flows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It is lowered and flows into the flange support part 130 side.

계속해서,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를 타고 플랜지 지지부(130)측으로 흐르는 응축수는 상기 플랜지(101b)의 후방면에 맺혀 중력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이 응 축수는 플랜지 지지부(130) 경사진 하단부(130a)를 따라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Subsequently, the condens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toward the flange supporter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101b and flows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the condensate is inclin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supporter 130. It flow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long 130a).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110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ensate outlet 110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를 통한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01b)의 둘레에 하나의 실링블록(120)을 설치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 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제어 공조장치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water through the flange support part 130, a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sealing block 120 installed around the flange 101b. Although only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effect can be applied to all air conditioners such as a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a three piece type air conditioner, and an independent left and right independent air conditioner,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도 3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서 상,하부케이스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cases are disassembled in the conventional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도 4는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서 플랜지의 고정 브라켓이 하부케이스의 플랜지 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bracket of a flange is coupled to a flange support part of a lower case in a conventional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플랜지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nge support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입,출구파이프의 플랜지에 실링블록을 설치하여 플랜지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ling block is installed on a flange of an inlet and an outlet pipe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upled to a flange support part;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실링블록에 완충공간부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buffer space part is formed in a sealing block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1a: 입,출구파이프 101b: 플랜지101a: inlet and outlet pipe 101b: flange

101c: 돌출부 101c: protrusion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0a,110b: 상부케이스 110c: 하부케이스110a, 110b: upper case 110c: lower case

110d: 응축수 배출구110d: condensate outlet

111: 공기통로 112: 공기유입구111: air passage 112: air inlet

113: 디프로스트 벤트 113a,114a,115a: 모드도어113: defrost vent 113a, 114a, 115a: mode door

114: 페이스 벤트 115: 플로어 벤트114: face vent 115: floor vent

116: 온도조절도어 120: 실링블록116: temperature control door 120: sealing block

121: 제1실링부 121a: 홈121: first sealing portion 121a: groove

122: 제2실링부 123: 완충공간부122: second sealing portion 123: buffer space portion

130: 플랜지 지지부130: flange support

131: 제1지지부 131a: 경사면131: first support portion 131a: inclined surface

132: 제2지지부 133: 유동방지수단132: second support 133: flow preventing means

135: 보조 지지부 136: 돌기부135: auxiliary support 136: protrusion

Claims (10)

냉매의 유입/배출을 위해 단부측에 플랜지(101b)가 결합된 입,출구파이프(101a)를 구비한 증발기(101)와, 상기 증발기(101)를 내장함과 아울러 전방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플랜지(101b)를 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130)가 관통되게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The evaporator 101 having the inlet and outlet pipes 101a having the flange 101b coupled to the end side for the inlet / outlet of the refrigerant, and the evaporator 101 built-in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front sid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formed to penetrate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to support the flange 101b, and a heater core 102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실링부(121)와, 상기 제1실링부(121)와 단차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차량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패널(dash panel)(105)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122)로 이루어진 실링블록(120)이 감싸도록 설치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며,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101b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and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and partitions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engine room.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ealing block 120 made of a second sealing portion 122 is pressed by a dash panel (dash panel) 105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상기 플랜지(101b)와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사이에는 플랜지(101b)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수단(133)이 형성되고,A flow preventing means 133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01b and the flange supporter 130 to prevent the flow of the flange 101b. 상기 유동방지수단(133)은, 상기 플랜지(101b)의 전,후 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플랜지(101b)의 외측면에 돌출부(101c)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01c)가 걸리도록 돌출부(101c)의 전방측에 제1지지부(131) 및 후방측에 제2지지부(132)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flow preventing means 13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01c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101b to prevent the front and rear flow of the flange 101b,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support 130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part 131 is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protrusion 101c,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2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protrusion 101c.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지지부(131)의 내측 단부는 상기 실링블록(120)의 제1실링부(121) 외측면을 압착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inner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31 is formed to extend to com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121 of the sealing block 120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지지부(132)의 내측 단부는 상기 입,출구파이프(101a)의 외측면을 밀착지지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01b)의 상,하,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inn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32 is formed to exten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utlet pipe (101a) in close contact to prevent the up, down, left, right flow of the flange (101b).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외측 단부에는 상기 대쉬패널(105)에 의해 압착되는 제2실링부(122)의 후방측을 밀착지지하도록 플랜지 지지부(130)와 단차지게 보조 지지부(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At the outer end of the flange supporter 130, the auxiliary supporter 135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flange supporter 130 so as to closely suppor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122 that is pressed by the dash panel 105.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지지부(135)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실링부(122)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돌기부(1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unit 135,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136 is formed to com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122 to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랜지 지지부(130)의 하단부(130a)는 플랜지 지지부(1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lower end portion 130a of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flange support portion 130 flows smoothly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링블록(120)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sealing block 120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olyurethane foa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링블록(120)에는 상기 대쉬패널(105)측에 밀착 조립시 반발력으로 인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완충공간부(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sealing block 120 is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space portion 123 is formed to improve the assemblage due to the repulsive force when the assembly close to the dash panel 105.
KR1020090008322A 2009-02-03 2009-02-03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144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22A KR101144178B1 (en) 2009-02-03 2009-02-03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322A KR101144178B1 (en) 2009-02-03 2009-02-03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91A KR20100089191A (en) 2010-08-12
KR101144178B1 true KR101144178B1 (en) 2012-05-09

Family

ID=4275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322A KR101144178B1 (en) 2009-02-03 2009-02-03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17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633A (en) * 2014-05-15 2015-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60063786A (en) 2014-11-27 2016-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109237A (en) 2020-02-27 2021-09-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605B1 (en) * 2010-08-25 2016-10-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987013B1 (en) * 2012-09-07 2019-06-11 주식회사 두원공조 Pipe connection member of air conditionor for vehicle
KR101692225B1 (en) * 2013-03-13 2017-01-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9844997B2 (en) 2014-05-15 2017-12-19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0239307B (en) * 2018-03-07 2023-09-22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12395B1 (en) * 2018-03-07 2023-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1351207B (en) * 2018-12-24 2023-05-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Indoor unit of vertical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044A (en) * 1994-09-22 1996-04-09 Calsonic Corp Sealing structure for piping of automobile
JPH1086651A (en) * 1996-09-13 1998-04-07 Calsonic Corp Seal structure of piping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1044A (en) * 1994-09-22 1996-04-09 Calsonic Corp Sealing structure for piping of automobile
JPH1086651A (en) * 1996-09-13 1998-04-07 Calsonic Corp Seal structure of piping for automob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633A (en) * 2014-05-15 2015-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11737B1 (en) * 2014-05-15 2019-08-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60063786A (en) 2014-11-27 2016-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109237A (en) 2020-02-27 2021-09-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191A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17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98449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1173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7055553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36450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69222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9466275A (en) The cool-down method and vehicle of Vehicular top-mounted air conditioner, its automatically controlled chamber
CN209552864U (en) Vehicular top-mounted air conditioner and vehicle
KR101216128B1 (en)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10328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886077B1 (en) Hvac module for vehicle
CN11106553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051316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0366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N217048189U (en) Air conditioner shell and parking air conditioner
KR2009001682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02409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14249919U (en) Cool warmer
CN217048187U (en) Vehicle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igh safety performance
JP2005247114A (en) Vehicular air-conditioner
KR20090024053A (en) Evaporator and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KR200364965Y1 (en) Air climate case for air climate apparatus
KR100958249B1 (en) The Fastening Structure of an Evaporator to the Ca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KR10212134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4006238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