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34B1 - 압축공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34B1
KR102084334B1 KR1020180163699A KR20180163699A KR102084334B1 KR 102084334 B1 KR102084334 B1 KR 102084334B1 KR 1020180163699 A KR1020180163699 A KR 1020180163699A KR 20180163699 A KR20180163699 A KR 20180163699A KR 102084334 B1 KR102084334 B1 KR 102084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earing cap
sealing
press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연
문홍근
Original Assignee
(주)넥스트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트업 filed Critical (주)넥스트업
Priority to KR1020180163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압축공기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컴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되고, 분사수단과 연통된 연통관이 내부에 위치되는 축압관; 컴프레셔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관의 밀폐단부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갖는 베어링 캡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베어링 캡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환부와, 상기 끼움환부의 주위로 연장 형성된 탄성재질의 밀폐날개가 구비된 탄성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밀폐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밀폐단부를 개방하고, 상기 밀폐날개는,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축압관 측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본체 측의 유로를 폐쇄하여, 탄성밀폐부의 밀폐날개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미세 틈새를 막을 수 있고, 아울러 공기 유로의 역류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축압관에 압축공기를 빠른 시간 내에 일정압력까지 채울 수 있고, 모터의 작동시간을 단축시켜 발열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공기 공급장치{A APPARATUS FOR PROVID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분한 공압력을 인가하고, 이러한 공압력으로 배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 세면대, 싱크대, 욕조 등 생활배수용 배관이 막혔을 때 화학제품(액체, 분말가루) 또는 탄산가스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일반 가정에 있어서 간단한 수동식 기구로 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학제품은 독성에 의한 환경성의 문제가 있고, 탄산가스제품은 소모품 구입의 문제가 있으며, 수동제품은 불편에 의한 효율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형 압축기를 이용하여 배관에 공압을 인가하는 방식이 선호된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의 일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09055호에 의하면 밀착부재가 하수구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피스톤 또는 에어주입구를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에 높은 압력으로 공기가 충진 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름밸브 개방동작에 의해 유동밸브가 상승하여 배출관을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한순간에 하수구에 막힌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축압관의 일측에 미세한 틈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 충진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심지어는 일정 압력을 결국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고, 또한 일정 압력을 채우기 위해서 모터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과부하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종국적으로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압력을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막혀있는 배관을 제대로 뚫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의 이물질이 사방으로 튀어 오히려 위생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되고, 분사수단과 연통된 연통관이 내부에 위치되는 축압관; 컴프레셔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관의 밀폐단부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갖는 베어링 캡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베어링 캡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환부와, 상기 끼움환부의 주위로 연장 형성된 탄성재질의 밀폐날개가 구비된 탄성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밀폐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밀폐단부를 개방하고, 상기 밀폐날개는,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축압관 측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본체 측의 유로를 폐쇄하여, 탄성밀폐부의 밀폐날개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미세 틈새를 막을 수 있고, 아울러 공기 유로의 역류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축압관에 압축공기를 빠른 시간 내에 일정압력까지 채울 수 있고, 모터의 작동시간을 단축시켜 발열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되고, 분사수단과 연통된 연통관이 내부에 위치되는 축압관; 컴프레셔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관의 밀폐단부를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갖는 베어링 캡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베어링 캡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환부와, 상기 끼움환부의 주위로 연장 형성된 탄성재질의 밀폐날개가 구비된 탄성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밀폐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밀폐단부를 개방하고, 상기 밀폐날개는, 상기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축압관 측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분사수단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본체 측의 유로를 폐쇄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컴프레셔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축압관에 충진될 때에는 압력차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에 접하게 되고, 사용자가 격발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축압관의 축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발버튼부는, 상기 본체 측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발버튼부는, 상기 컴프레셔에 연결된 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축압관과 결합되고, 내측에는 중공 환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컴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격벽이 형성된 어댑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가이드격벽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캡을 내포하도록 상기 어댑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캡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밀폐단부와 접하여 밀폐하는 밀폐면; 복수개로 돌출된 돌기 및 상기 돌기 사이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날개는 상기 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캡은, 상기 컴프레셔에 기의 압력에 의한 압력차 또는 상기 밀폐날개의 원복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격벽의 본체 측으로의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의하면, 탄성밀폐부의 밀폐날개에 의해 종래의 문제점이었던 미세 틈새를 막을 수 있고, 아울러 공기 유로의 역류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축압관에 압축공기를 빠른 시간 내에 일정압력까지 채울 수 있고, 모터의 작동시간을 단축시켜 발열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축압관과 분사수단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탄성밀폐부과 베어링 캡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축압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는 축압관의 압축공기가 연통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압축공기 공급장치(100)는 컴프레셔(210)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되고, 분사수단(400)과 연통된 연통관(310)이 위치되는 축압관(300); 내부에 컴프레셔(210)가 내장되고, 외측에 압력게이지(280), 전원버튼부(290), 격발버튼부(220)가 구비되며, 연통관(310)을 밀폐하는 베어링 캡(250)이 구비된 본체(200); 대상체의 막힌 배관의 입구에 접하여 상기 축압관(300)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수단(4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본체(200)의 베어링 캡(250)이 연통관(310)의 밀폐단부(311)과 접하여 연통관(310)을 밀폐하게 되면 상기 컴프레셔(210)에 생성된 압축공기가 축압관(300)의 내부에 충진되고(도 7 참조), 이 후, 사용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눌러 베어링 캡(250)이 밀폐단부(311)와 떨어지게 되면, 축압관(300)의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가 연통관(310)을 타고 분사수단(400)으로 향하는 구성이다(도 8 참조).
한편, 상기 분사수단(400)은 변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의 기술에 대해서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17-0073372호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축압관(300)과 분사수단(400)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축압관(300)은 단부에 나사산의 결합부(320)가 형성되며, 내부에 분사수단(400)과 연통되는 연통관(310)이 위치된다. 또한 축압관(300)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는 연통관(310)의 밀폐단부(311)를 통해 분사수단(400)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컴프레셔(210), 모터(270)가 내장되고, 외측에 격발버튼부(220)가 구비되며, 축압관(300)과 연결되는 어댑터부(230)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어댑터부(230)는 별도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230)와 가이드격벽(232)은 본체(2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부(230)는 축압관(300)의 결합부(320)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의 결합부(23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중공 환형의 가이드격벽(2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격벽(232)의 일측에는 통공(233)과 배출공(234)이 관통 형성된다(도 5 참조). 통공(233)에는 컴프레셔(21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유입되고, 배출공(234)에는 유입된 압축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어댑터부(230)의 가이드격벽(232)에는 베어링 캡(250)이 삽입되고, 이탈방지부재(260)는 베어링 캡(2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베어링 캡(250)을 내포하도록 어댑터부(2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 캡(250)은 컴프레셔(210)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축압관(300)에 충진될 때에는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311)에 접하게 되고, 사용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면 축압관(300)의 축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311)와 이격된다. 이 경우 상기 격발버튼부(220)는 본체(200) 측의 압력을 떨어뜨리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자세하게는 상기 격발버튼부(220)는 컴프레셔(210)에 연결된 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재(29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면 배출부재(291, 도 2 참조)의 작동으로 공기가 배출되어 가이드격벽(232)에서 본체(200) 측으로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압축공기 공급장치(100)의 일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탄성밀폐부(240)와 베어링 캡(25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어댑터부(230)에는 컴프레셔(210)와 연통된 통공(233)과, 배출부재(291)와 연통된 배출공(234)이 관통형성되고, 통공(233) 및 배출공(234)의 주위로 베어링 캡(250)이 위치되는 가이드격벽(232)이 형성된다. 탄성밀폐부(240)는 실리콘, 고무 등의 밀폐가 가능한 탄성 재질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베어링 캡(250)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환부(241)와, 끼움환부(241)의 주위로 밀폐날개(24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캡(250)은 중앙에 끼움환부(241)가 끼워지며, 밀폐단부(311)와 접하여 밀폐하는 밀폐면(253)과, 복수개로 돌출된 돌기(251) 및 돌기(251) 사이에 형성된 홈부(25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밀폐날개(242)는 돌기(25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탄성밀폐부(240)와, 베어링 캡(250)이 삽입된 가이드격벽(232)에는 이탈방지부재(260)가 결합되어, 베어링 캡(25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이탈방지부재(260)는 베어링 캡(250)의 이탈만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중량을 줄이기 위해 다수개의 살빼기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축압관(300)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는 축압관(300)의 압축공기가 연통관(310)을 통해 빠져나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7과 같이, 우선 작업자가 전원버튼부(290)를 누르게 되면, 모터(270) 및 컴프레셔(210)가 작동하여 통공(233)을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 때, 압력차에 의하여 베어링 캡(250)은 좌측으로 이동되고, 밀폐면(253)이 연통관(310)의 밀폐단부(311)에 닿아 연통관(310)을 밀폐하게 된다. 또한 압축공기는 밀폐날개(242)를 밀어 축압관(300)의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축압관(300)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것이다. 이 경우 압축공기는 베어링 캡(250)의 홈부(252)를 경유하여 축압관(300)에 충진된다. 이러한 압축공기는 최대 7기압까지 충진될 수 있고, 싱크대 등의 막힌 배관에 순간적으로 모아놨던 압축공기로 발사를 시켜서 막힌 배관을 뚫어줄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본체(200)의 외측에 구비된 압력게이지(280)를 보고 축압관(300)에 충진된 압력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후, 작업자는 충분한 압력이 충진되었다고 판단하면 전원버튼부(290)를 다시 눌러 모터(270) 및 컴프레셔(210)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전원버튼부(290)를 눌러 모터(270) 및 컴프레셔(210)의 작동을 멈추게 되면 탄성밀폐부(240)의 밀폐날개(242)에 걸리는 전후 압력은 동일하므로 밀폐날개(242)가 원복되어 본체(200) 측으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도 8과 같이, 축압관(300)의 내부에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작업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면, 격발버튼부(220)와 연결된 배출부재(291)의 작동으로 배출부재(291)로 공기가 일부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부(230)의 가이드격벽(232)를 기준으로 본체(200) 측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축압관(300)과의 압력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베어링 캡(250)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밀폐날개(242)는 압력차에 의하여 돌기(251)에 더욱 밀착되어 지지되며, 홈부(252)를 막아 본체(200) 측으로의 유로인 가이드격벽(232)을 폐쇄하게 된다.
즉, 밀폐날개(242)는 압축공기의 충진 시 본체(200) 측과 축압관(300) 측이 연통되는 베어링 캡(250)의 홈부(252)를 개방하고, 압축공기의 발산 시 베어링 캡(250)의 홈부(252)를 폐쇄하여 독립적인 공간을 만들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종래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밀폐부(240)가 구비되지 않고, 또한 베어링 캡(250)에 홈부(252)가 구비되지 않아 충진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심지어는 일정 압력을 결국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일정 압력을 채우기 위해서 모터(270)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과부하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종국적으로 압축공기 공급장치(10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일정 압력을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어도 막혀있는 배관을 제대로 뚫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의하면, 축압관(300)에 압축공기를 충진 시에는 압력차에 의하여 베어링 캡(250)이 이동되어 밀폐면(253)에 밀폐단부(311)를 폐쇄하는 동시에 밀폐날개(242)가 압력차에 의하여 절곡되고, 이에 돌기(251) 사이의 홈부(252)에 압축공기가 경유되는 넓은 유로를 형성하여 빠른 충진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축압관(300)에 충진된 압축공기의 발사 시에는 압력차에 의하여 베어링 캡(250)이 이동되어 밀폐단부(311)를 개방하는 동시에 밀폐날개(242)가 원복되어 돌기(251)에 접하여 홈부(252)를 폐쇄하게 되므로, 공기 유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론적으로 축압관(300)에 압축공기를 빠른 시간 내에 일정압력까지 채울 수 있는 동시에 모터(270)의 작동시간을 단축시켜 발열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200)에는 어댑터부(230)의 결합부(231)에 축압관(300)이 아닌 다른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압축공기 공급장치는 압축공기를 통하여 배관을 뚫는 기능 이외에 컴프레셔(210)의 일반적인 작동에 의하여 압축되거나 압축되지 않은 공기를 자전거나, 공, 튜브 등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들(400, 500, 600, 700)과 호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치들은 상술한 분사수단(400)이외에 멀티 압축 탱크(500), 공기압 주입기(600) 및 멀티 배관 캡(7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수단(400)의 기술에 대해서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17-0073372호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분사수단(400)은 변기의 막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멀티 압축 탱크(500)는 세면대, 욕조, 배수관 막힌 곳을 청소하기 위한 압축 공기 저장관으로, 세면대, 욕조, 배수관 막힌 곳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공기압 주입기(600)는 공, 튜브, 자전거 타이어 등 공기 주입을 필요한 제품에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멀티 배관 캡(700)은 욕조, 싱크대, 배수관 등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상황에 맞게 상기 멀티 압축 탱크(500)에 좁은 방향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넓은 방향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멀티 배관 캡(700)을 배수 홀에 밀착시킨 후, 수직으로 세워 힘을 주어 누른 상태에서 격발버튼부(220)를 눌러 압축공기를 발사시킬 수 있으며, 멀티 배관 캡(700)은 물 빠짐 잠금장치가 빠지지 않을 시 멀티 배관 캡을 넓은 방향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압축공기 공급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압축공기 공급장치 10 : 대상체
15 : 배관입구 100 : 압축공기 공급장치
200 : 본체 210 : 컴프레셔
220 : 격발버튼부 230 : 어댑터부
231 : 결합부 232 : 가이드격벽
233 : 통공 234 : 배출공
240 : 탄성밀폐부 241 : 끼움환부
242 : 밀폐날개 250 : 베어링 캡
251 : 돌기 252 : 홈부
253 : 밀폐면 260 : 이탈방지부재
261 : 살빼기부 270 : 모터
290 : 전원버튼부 291 : 배출부재
280 : 압력게이지 300 : 축압관
310 : 연통관 311 : 밀폐단부
320 : 결합부 400 : 분사수단
500 : 멀티 압축 탱크 600 : 공기압 주입기
700 : 멀티 배관 캡

Claims (8)

  1. 본체(200)와, 분사수단(400)을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충진 시 상기 분사수단(400) 측으로의 유로를 밀폐하고, 압축공기를 분사 시 분사수단(400) 측으로의 유로를 개방하는 베어링 캡(250);
    상기 베어링 캡(250)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환부(241)와, 상기 끼움환부(241)의 주위로 연장 형성된 탄성재질의 밀폐날개(242)가 구비된 탄성밀폐부(240);
    컴프레셔(210)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내부에 충진되고, 분사수단(400)과 연통된 연통관(310)이 내부에 위치되는 축압관(300); 및
    컴프레셔(210)가 내장되고, 상기 연통관(310)의 밀폐단부(311)을 밀폐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갖는 베어링 캡(250)이 구비된 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0)는 상기 축압관(300)과 결합되고, 내측에는 중공 환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컴프레셔(21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통공(233)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격벽(232)이 형성된 어댑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캡(250)은 상기 가이드격벽(232)에 끼워지며,
    상기 베어링 캡(250)은, 상기 밀폐단부(311)와 접하여 밀폐하는 밀폐면(253); 복수개로 돌출된 돌기(251) 및 상기 돌기(251) 사이에 형성된 홈부(252)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날개(242)는 상기 돌기(2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캡(250)은, 상기 축압관(300)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밀폐단부(311)를 밀폐하고, 상기 분사수단(400)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밀폐단부(311)를 개방하고,
    상기 밀폐날개(242)는, 상기 축압관(300)에 압축공기가 충진 시 상기 본체(200) 측과 상기 축압관(300) 측이 연통되는 상기 베어링 캡(250)의 상기 홈부(252)를 개방하여 상기 축압관(300) 측의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분사수단(400)으로 압축공기가 분사 시 상기 베어링 캡(250)의 상기 홈부(252)를 폐쇄하여 상기 본체(200) 측의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250)은,
    상기 컴프레셔(210)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축압관(300)에 충진될 때에는 압력차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311)에 접하게 되고, 사용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축압관(300)의 축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력차에 의하여 이동되어 상기 밀폐단부(311)와 이격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발버튼부(220)는,
    상기 본체(200) 측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기능을 갖도록, 상기 컴프레셔(210)에 연결된 배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재(291)에 연결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250)을 내포하도록 상기 어댑터부(230)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캡(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이탈방지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250)은,
    상기 컴프레셔(210)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축압관(300)에 충진될 때에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밀폐날개(242)가 접혀 유로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격발버튼부(22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축압관(300)의 축압 공기의 압력에 의한 압력차 또는 상기 밀폐날개(242)의 원복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격벽(232)의 본체(200) 측으로의 유로를 폐쇄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KR1020180163699A 2018-12-18 2018-12-18 압축공기 공급장치 KR102084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99A KR102084334B1 (ko) 2018-12-18 2018-12-18 압축공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699A KR102084334B1 (ko) 2018-12-18 2018-12-18 압축공기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34B1 true KR102084334B1 (ko) 2020-04-20

Family

ID=7046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699A KR102084334B1 (ko) 2018-12-18 2018-12-18 압축공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895A (en) * 1990-03-23 2000-12-26 Davenport; Clyde F. Plunger apparatus
KR200333403Y1 (ko) * 2003-07-22 2003-11-14 금병린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KR200395043Y1 (ko) * 2005-06-07 2005-09-07 (주)코리아홈쇼핑 배수관용 관통장치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US20100180366A1 (en) * 2004-03-23 2010-07-22 Justin Lee Lanier Plung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3895A (en) * 1990-03-23 2000-12-26 Davenport; Clyde F. Plunger apparatus
KR200333403Y1 (ko) * 2003-07-22 2003-11-14 금병린 오수관 청소용 압축기
US20100180366A1 (en) * 2004-03-23 2010-07-22 Justin Lee Lanier Plunger system and method
KR200395043Y1 (ko) * 2005-06-07 2005-09-07 (주)코리아홈쇼핑 배수관용 관통장치
KR20070009055A (ko) * 2005-07-15 2007-01-18 강재열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121B2 (en) Combined shower
TW201325526A (zh) 用於泡沫施配器的剖分本體泵及再填充單元
KR101701190B1 (ko) 샤워기 헤드의 잔류수 제거장치
KR101787517B1 (ko) 준비 작동식 밸브
KR102084334B1 (ko) 압축공기 공급장치
JP2015131681A (ja) エアゾール容器の定量噴射機構
KR20080022965A (ko) 물통 연결장치
CN210646887U (zh) 一种即关即停出水装置及花洒
KR101399816B1 (ko) 휴대용 비데
CN111493717A (zh) 一种泡沫挤出装置
KR101336752B1 (ko) 형상 파우치용 충전 노즐
CN215367614U (zh) 一种泄压控制阀、压力水箱和便器
CN211398582U (zh) 一种水龙头结构及洗衣机
KR101158842B1 (ko) 가압식 배수관 뚫는 장치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70062823A (ko) 변기 막힘 해소장치
KR200480641Y1 (ko) 개폐밸브
CN211816718U (zh) 一种一体式蒸汽泡沫装置及其智能坐便器
JP6714861B2 (ja) 石鹸液供給装置
WO2015017910A1 (en) Fluid dispensing device with removable nozzle
CN209220081U (zh) 一种皂液器
CN218379739U (zh) 一种加湿设备
CN219410282U (zh) 供液仓及熨烫装置
EP4201529A1 (en) Water outlet device
CN219911871U (zh) 一种洗涤剂投放装置用的止逆阀及洗涤剂投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