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262B1 -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262B1
KR102084262B1 KR1020180148260A KR20180148260A KR102084262B1 KR 102084262 B1 KR102084262 B1 KR 102084262B1 KR 1020180148260 A KR1020180148260 A KR 1020180148260A KR 20180148260 A KR20180148260 A KR 20180148260A KR 102084262 B1 KR102084262 B1 KR 10208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ravel
reservation
data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호
Original Assignee
문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호 filed Critical 문종호
Priority to KR102018014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로 여행일정에 대응하도록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RIP ITERNARY AND TRAVEL ROUTE BASED ONE-CLICK BOOKING SERVICE FOR SELF-GUIDED TOUR}
본 발명은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행일정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거점별 이동에 필요한 항공, 교통 및 거점의 숙박까지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 조합형 옵션 및 원클릭 예약 플랫폼을 제공한다.
글로벌 환경에서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표명함에 따라 가경쟁력의 핵심을 정보화 사회의 구현에 두고 있는데, 최근 항공관광 업계와 학계의 최대 이슈는 연합(Consolidation)과 제휴(Alliance)이다. 일부 관광 선진국에서는 이미 공유 IT 플랫폼과 연합 사이트를 구축하여 e-투어리즘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국내 관광여행 산업의 경우 아직 단순 관광정보의 제공과 초보적인 상품구매 기능을 갖추고 있는 정도로 정보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때, 테마, 컨셉 및 키워드를 기반으로 여행정보를 제공하고, 원클릭 형태로 항공, 교통 및 숙박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65059호(2015년11월02일 공개)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테마, 콘셉, 키워드를 기반으로 서버에 저장된 여행 정보를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서버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 및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교통, 숙박 등을 원클릭 형태로 자동 예약하고, 분류 및 동선에 따라 나열된 여행 정보를 선택만으로 쉽고 간단하게 여행 일정을 계획하고 여행 이동 경로에 따른 다양한 여행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진정한 의미의 자유여행이 아닌 여행사에서 미리 항공, 숙박 및 교통편의 인프라를 이용하여 여행상품을 옵션, 키워드, 테마별로 정리한 것에 불과할 뿐이고, 진정한 의미의 개별관광, 자유여행, 및 신관광(New Tourism)을 위한 여행동선 내의 거점별 숙박, 항공 및 교통편을 예약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여행경로상의 서비스 제공 주체 및 정부의 산하기구가 범국가적으로 최대한 참여하여, 여행객이 실시간으로 예약 및 결제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공유 IT 플랫폼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별 시스템에서 분산제공된 관광여행정보를 통합하여 운영하고, 여행일정 및 여행동선에 포함된 거점별 항공 및 교통편과, 거점에서 묵어야 할 숙박까지 예약, 결제 및 거래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IT 플랫폼을 제공하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종합적인 여행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적여행설계를 수요자가 직접 상품을 설계하여 간단히 예약, 결제 및 구매할 수 있는,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로 여행일정에 대응하도록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관광의 새로운 흐름인 신관광(New Tourism)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니즈충족은 최대화하면서도, 플랫폼 상에서 거점별로 이동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옵션 형태로 제공하여 한 번에 예약하도록 함으로써 예약절차의 번거로움은 최소화할 수 있고, 중소 여행사 및 숙박업체 등 영세한 관광 업체들에게 수직수평적으로 균형된 B2C, B2B 사업모델과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공유 플랫폼을 통해 상품에 대한 홍보 및 판매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유여행 일정에 따라 거점 간 교통편을 예약하고, 항공을 예약하며, 거점에서 머무를 숙박을 예약하고자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각 거점별 호텔, 거점 간 이동방법을 옵션형태로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을 전송하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결제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며 결제를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 예약이 완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티켓과 바우처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시간별 대중교통 예약상황 데이터와 숙박예약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약가능 좌석수, 예약가능 잔여룸 수를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페이지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등록하여 예매를 요청할 때, 예약이 가능한 교통편 및 호텔을 기준으로 조합을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에 따른 항공, 숙박 및 교통편을 조합한 옵션을 선택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옵션에 포함된 항공, 숙박 및 교통편으로 예약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 시간 및 날짜에 동기화된 예약 데이터를 전송하고, 컨펌이 발생하여 바우처나 티켓이 수신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예약처리를 완료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항공 지연, 변경, 예약 변경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변경사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대중교통 및 숙박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예약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예약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컨펌 여부를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컨펌이 된 경우에는 바우처 또는 티켓을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가 완료된 금액을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산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정산을 할 때 중개수수료를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지불하거나, 중개수수료가 차감된 금액으로 정산을 받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추출부(310), 생성부(320), 전송부(330), 정보수집부(340), 예약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는,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추출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뉴욕에 거주하고 있고, 뉴욕에서 올랜도의 디즈니랜드 및 유니버셜 스튜디오를 거쳐 칸쿤으로 가는 일정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가 개별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뉴욕발 올랜도행 비행기, 올랜도발 칸쿤행 비행기, 칸쿤발 뉴욕행 비행기를 각각 예약해야 하고, 뉴욕 내에서도 뉴욕에서 라구아디아 공항으로 가는 버스나 셔틀의 번호를 알아야 하고, 올랜도에서 머무를 호텔을 정해야 하며, 올랜도 공항에서 호텔까지 이동할 교통편을 알아보고, 호텔에서 디즈니랜드나 유니버셜 스튜디오까지 버스번호를 알아야 하고, 호텔에서 다시 올랜도 공항으로 차편, 칸쿤에서 머무를 호텔을 결정하고, 칸쿤 공항에서 호텔까지의 교통편을 파악하고 예약해야 하며, 호텔에서 체첸이사, 이슬라 섬, 스칼렛, 셀하 등 까지의 교통수단이나 투어 프로그램을 알아보아야 하며, 칸쿤 호텔에서 다시 칸쿤 공항으로 갈 때에도 교통수단을 예약하고 알아보아야 한다. 이렇게, 두 가지 거점만 거친다고 할지라도 항공, 교통수단, 호텔, 투어 프로그램 등 예매를 할 사항도 많은데, 거점이 적어도 10개를 초과하는 유럽 여행을 예약하고자 하거나, 영어와 스페인어로 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보게 되면, 대부분의 사용자는 예매와 예약을 포기하고 다시 하나의 상품만 예약만 하면 되는 패키지 여행으로 회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추출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만 수신하면, 해당 일정 내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호텔 및 각 거점 간의 이동수단을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 옵션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한 번만 선택하면 될 수 있도록, 뉴욕-올랜도-칸쿤-뉴욕으로 돌아오는 일정에 포함되어야 할 예약가능한 교통수단, 항공 및 숙박을 후보 데이터로 추출하고, 후술될 생성부(320)를 통하여 후보 데이터를 조합한 모든 경우의 수를 옵션으로 제공함으로써, 패키지 여행과 같이 한 번의 선택으로 상술한 모든 예매과정과 예매로 인한 스트레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추출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할 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트랙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부(310)는,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하여 예매가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예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항공, 숙박, 교통편을 예약할 때, 관광지의 예매까지 모두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추출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할 때, 대중교통 데이터 및 숙박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날짜 및 시간별 예약가능인원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부(310)에서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에 포함되어야 할 예약가능한 교통수단, 항공 및 숙박의 후보 데이터를 추출했으면, 생성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로 여행일정에 대응하도록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의 대중교통은, 항공, 철도, 지하철, 기차, 버스, 택시, 렌터카, 및 항만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의 숙박은, 호텔, 모텔, 민박, 및 공유 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대중교통 및 숙박의 종류가 추가, 변경, 삭제 등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스페인-포르투갈 14박 15일을 여행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스페인은 그 면적이 한국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각 도시 간 이동수단이 버스에 한정되지 않고 고속 열차, 야간 열차, 또는 비행기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때, 마드리드에서 포르투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마드리드에서 포르투로 기차는 3시간, 버스는 야간버스로 6시간, 비행기는 1시간이다. 이에 따라, 숙박이라는 변수가 고정되었다고 가정해도, 숙박-기차, 숙박-버스, 숙박-비행기의 3 가지 경우의 수가 나오게 된다. 이때, 숙박까지 변경되고 거점이 더 증가하는 경우에는 경우의 수에 따른 조합(Combination)이 nCr=nPr/r!(Factorial)의 곱으로 나오기 때문에 옵션의 수가 너무 많아 사용자의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순열이 아닌 이유는, 이미 일정이 정해져 있어서 순서가 설정이 된 상태이기 때문인데, 순서도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은 경우, 즉 거점만 있고 경로와 일정을 짜지 않은 경우에는 그 경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에는, 사용자의 나이, 선호도, 예산 등으로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나이가 많고 버스에서 잠을 잘 못자며 장시간 기차, 전철, 또는 버스를 탈 수 없는 경우에는, 마드리드에서 포르투로 이동하는 경우의 수에서 버스 또는 열차는 제외해야 한다. 또는, 돈이 없고 호텔비도 없어서 잠을 자면서 이동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마드리드에서 포르투로 이동할 때 시간을 저녁 시간으로 배정하고, 버스도 주간버스나 주간열차를 를 제외한 야간열차나 야간버스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교통수단이나 시간은 이동하는 경우의 수에서 제외해야 한다. 이렇게 경우의 수가 기 설정된 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도나 신체상황,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우의 수를 줄여나갈 수 있다. 다만, 경우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조합을 모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경우의 수가 많더라도 모든 경우의 수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전송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B-C-A로 이동하는 거점이고, X-Y-Z-X의 이동수단을 선택했다면, X-Y-Z-X의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예약 서버로 사용자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자유여행 통합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결제 플랫폼에서 X-Y-Z-X의 이동수단의 총 가격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한 금액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한 번에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각 이동수단을 예약하기 위해 각각의 사이트를 찾거나 결제를 여러 번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을 해당 사이트로 연동시키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정보 수집부(340)는, 추출부(31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하기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옵션을 제공했다고 할지라도 해당 옵션을 예약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다시 어떠한 이동수단을 선택할 것인지, 어떠한 호텔을 선택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최초 단계로 돌아가게 되어 이미 선택한 것들을 다시 선택해야 하는 시련을 겪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부(340)는 사용자에게 옵션을 제공할 때 예약가능한 좌석수, 룸 수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주기적으로 체크하거나 사용자가 옵션을 선택한 후 예약가능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약부(350)는, 전송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조합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예약부(350)는,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한 결제승인이 완료되면,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도록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숙박 예약 서버(5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약부(350)는,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예약요청에 대한 예약완료 데이터가 응답으로 수신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예약완료에 포함된 바우처 또는 티켓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바우처 또는 티켓을 출력해간다고 할지라도 현지에서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GPS 위치에 따라 제시되어야 할 바우처나 티켓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예약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바우처나 티켓을 모두 전송하고, 사용자의 GPS 위치에 따라 바우처나 티켓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해외에 위치하여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거나 국내에 있더라도 요금체계로 인하여 네트워크 자원량이 기 설정된 자원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약부(350)는, 미리 모든 티켓과 바우처를 전송하고 일정시간에 따라 팝업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여행을 간 경우에는 손에 카메라, 지도를 보는 스마트 폰은 기본으로, 물이나 보조배터리 등을 잔뜩 넣어다니며, 초행길이기 때문에 신경쓰거나 봐야 할 것도 많기 때문에 바우처까지 여러장 출력해서 다니거나, 스마트 폰에 저장한 경우에는, 출력된 복수의 바우처 내에 해당 바우처를 찾아야 하고, 스마트 폰에 저장한 경우일지라도 사진을 너무 많이 찍어서 해당 파일이 한 참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예약부(350)는, 네트워크 자원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GPS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티켓 도는 바우처를 제시해야 하는 경우라면 해당 티켓 또는 바우처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도록 전송하는 방법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를 통하여 예매를 수행한 고객 정보를 빅데이터로 수집하여 전처리 및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분석을 수행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여행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여행일정을 수신하고 각 여행일정의 거점별로 이동해야 할 수단과 거점에서 묵어야 할 숙소의 조합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거점별로 어떠한 이동수단을 선호하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이동수단의 종류, 가격, 시간 등도 산출할 수 있으며, 해당 조합을 (b)와 같이 옵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원하는 호텔이나 이동수단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옵션의 재산출 및 재선택도 가능하며, (c) 사용자 단말(100)에서 옵션이 선택된 경우,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선택된 옵션에 대응하는 예약을 실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대신하여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d)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예약 결과(컨펌인지의 여부), 컨펌이 되었다면 바우처나 E-티켓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대중교통 예약 서버(400)는 항공 예약, 철도 예약, 버스 예약, 항만공사 예약, 렌터카 예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숙박 예매 서버(500)는, 적어도 하나의 부킹 사이트일 수 있다. (b) 이를 통하여,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출발지 및 경유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현위치 또는 출발지로부터 교통편을 확인한 다음, 항공, 철도, 항만, 버스, 호텔의 예약발권과 연동하여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여권번호, 카드번호 등을 제공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예약을 실시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예약을 확인하고 일정을 확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한다(S5100).
그리고,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로 여행일정에 대응하도록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하고(S5200),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예약 서버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예약 서버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날짜 및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는 항공, 철도, 지하철, 기차, 버스, 택시, 렌터카 및 항만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는 호텔, 모텔, 민박 및 공유 하우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함-;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상기 여행일정에서 숙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중교통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숙박 데이터로 상기 여행일정에 대응하도록 상기 여행경로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우의 수가 기설정된 수를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선호도, 신체상황 및 비용을 기초로 경우의 수를 줄이는 것을 포함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따라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및 숙박을 예약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 조합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한 결제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조합 내에 포함된 날짜 및 시간에 대응하도록 대중교통 예약 서버 및 숙박 예약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중교통 예약 서버 및 숙박 예약 서버로부터 상기 예약요청에 대한 예약완료 데이터가 응답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예약완료에 포함된 바우처 또는 티켓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트랙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일정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어트랙션에 입장하기 위하여 예매가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예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우처 또는 티켓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자원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바우처 또는 티켓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사전에 상기 바우처 또는 티켓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특정 시간에 팝업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개별 시스템에서 분산제공된 관광여행정보를 통합하여 운영하고, 여행일정 및 여행동선에 포함된 거점별 항공 및 교통편과, 거점에서 묵어야 할 숙박까지 예약, 결제 및 거래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IT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거점별로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원스톱으로 예약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동적으로 직접 여행상품을 설계하여 여행상품의 예약, 결제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48260A 2018-11-27 2018-11-27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0A KR102084262B1 (ko) 2018-11-27 2018-11-27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0A KR102084262B1 (ko) 2018-11-27 2018-11-27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262B1 true KR102084262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60A KR102084262B1 (ko) 2018-11-27 2018-11-27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2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20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시계열 분석 및 가격 예측을 이용한 가격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6546B1 (ko) * 2020-07-14 2021-04-06 김재영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29952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코리아 실시간 예약 관리를 위한 여행 상품 중계 시스템
KR102405413B1 (ko) * 2021-03-22 2022-06-08 이석기 머신 러닝 기반의 통합 교통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9508B1 (ko) * 2021-11-10 2022-09-30 주식회사 더플라이투어 항공일정과 연계된 여행스케줄 제공방법
KR102451539B1 (ko) * 2021-12-21 2022-10-12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40147B1 (ko) * 2022-09-22 2023-06-07 에이지엘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792A (ko) * 2012-10-11 2014-04-21 황규원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일정 작성 방법
KR101565059B1 (ko) * 2014-08-01 2015-11-02 오상용 원클릭 여행안내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24165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플렉싱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상품 제공 시스템
KR20180100876A (ko) * 2017-03-02 2018-09-12 배기탁 고객 맞춤형 여행안내 예약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792A (ko) * 2012-10-11 2014-04-21 황규원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일정 작성 방법
KR101565059B1 (ko) * 2014-08-01 2015-11-02 오상용 원클릭 여행안내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58252B1 (ko) * 2016-02-02 2017-07-17 권경우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24165A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플렉싱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상품 제공 시스템
KR20180100876A (ko) * 2017-03-02 2018-09-12 배기탁 고객 맞춤형 여행안내 예약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20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네이처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시계열 분석 및 가격 예측을 이용한 가격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6546B1 (ko) * 2020-07-14 2021-04-06 김재영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관광목적에 따른 선택이 가능한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16718B1 (ko) * 2020-09-02 2023-03-31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코리아 실시간 예약 관리를 위한 여행 상품 중계 시스템
KR20220029952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에이에이치엔코리아 실시간 예약 관리를 위한 여행 상품 중계 시스템
KR102405413B1 (ko) * 2021-03-22 2022-06-08 이석기 머신 러닝 기반의 통합 교통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49508B1 (ko) * 2021-11-10 2022-09-30 주식회사 더플라이투어 항공일정과 연계된 여행스케줄 제공방법
WO2023085804A1 (ko) * 2021-11-10 2023-05-19 주식회사 더플라이투어 항공일정과 연계된 여행스케줄 제공방법
KR102451539B1 (ko) * 2021-12-21 2022-10-12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94952A (ko) *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그레온 역경매를 통한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94953A (ko) *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41710B1 (ko) * 2021-12-21 2024-02-27 주식회사 그레온 역경매를 통한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41732B1 (ko) * 2021-12-21 2024-02-27 주식회사 그레온 여행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40147B1 (ko) * 2022-09-22 2023-06-07 에이지엘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WO2024063304A1 (ko) * 2022-09-22 2024-03-28 에이지엘 주식회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262B1 (ko) 여행일정 및 여행경로 기반 자유여행 통합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Shaheen et al. Shared ride services in North America: definitions, impacts, and the future of pooling
Chen et al. Management of a shared autonomous electric vehicle fleet: Implications of pricing schemes
US11972372B2 (en) Unified travel interface
EP3046058A1 (en) Method and electronic travel route building system, based on an intermodal electronic platform
Zheng Urban computing
US20180276572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for transportation by multiple vehicles
EP3002714A1 (en) Ticketing system with integrated personalized data
Pang et al. Modeling park-and-ride location choice of heterogeneous commuters
US20180276578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to modify travel itineraries
Vowles Geographic perspectives of air transportation
Shen et al. Vehicle routing and scheduling of demand-responsive connector with on-demand stations
US20180276573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customized for users
KR10254014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Ramos-Santiago et al.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tation-level streetcar versus light rail transit ridership in the United States
KR20180042968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8172906A1 (ja) 行動管理方法、行動管理装置、並びに決済補助コンピュータ
US20180276571A1 (en) Providing travel related content by predicting travel intent
JP2019121200A (ja) 旅行支援装置並びに旅行者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Chvanova et al. The essence and structure of smart technology in mobile education
Yashiro et al. Intermodal connection of high-speed rail with interregional bus services in Japan
B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in the Indian tourism industry
El Nile et al. Towards Activating an Integrated Digital Platform for Egyptian Tourism Sector: A new E-model of Tourism Management
KR20010087962A (ko) 여행안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