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149B1 -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149B1
KR102084149B1 KR1020180092595A KR20180092595A KR102084149B1 KR 102084149 B1 KR102084149 B1 KR 102084149B1 KR 1020180092595 A KR1020180092595 A KR 1020180092595A KR 20180092595 A KR20180092595 A KR 20180092595A KR 102084149 B1 KR102084149 B1 KR 10208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tread
groov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244A (ko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1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88Continuous ribs provided at the equatorial pla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트레드 블록을 외주면에 포함하는 트레드층; 및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트레드 블록들을 연결하는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강성 강화부는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첨단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돌기는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TIRE COMPRISING TIER BLOCK STIFFNESS ENHANCING PORTION}
본 발명은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안정성, 설면에서의 견인력 향상 등을 위하여 타이어의 트레드층에는 횡방향으로 적용된 그루브, 사이프를 포함하는 트레드 패턴이 적용된다. 트레드 패턴은 트레드층에서 소정 깊이 인입된 그루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젖은 노면에서 배수 성능을 발휘하거나 설면에서 접지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트레드 패턴은 트레드층에서 인입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트레드층의 전체 강성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마른 노면에서의 타이어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트레드층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레드 패턴 사이에 별도의 강성 강화부를 형성하였다. 강성 강화부는 이웃한 트레드 블록을 묶어줌으로써 트레드층의 강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트레드층이 마모됨에 따라 강성 강화부는 트레드 패턴 사이의 공간을 막게 되어 트레드 패턴의 기능저하를 유발하고, 젖은 노면이나 설면에서 안전주행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트레드층의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트레드층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트레드 패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트레드층의 강성이 강화되고, 트레드층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타이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트레드 블록을 외주면에 포함하는 트레드층; 및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트레드 블록들을 연결하는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강성 강화부는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첨단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돌기는 복수 개가 그루브방향으로 배열되며,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블록 돌기는,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가 제1 비율로 감소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가 상기 제1 비율 보다 큰 제2 비율로 감소하여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첨단을 형성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제1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제2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의 1.618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제1 돌기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면은 상기 그루브의 저면과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블록 돌기는 그루브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블록 돌기의 그루브방향 거리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블록 돌기의 상기 트레드 블록과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기 트레드 블록과 접촉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부터 상기 블록 돌기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마모 한계 깊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블록 돌기는 그루브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상인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층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층의 마모가 진행된 후에 도 타이어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트레드층 외면이 소정깊이 마모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블록 강성 강화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트레드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층(100)은 타이어(1)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주행 시 노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트레드층(100)은 고무를 포함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트레드층(100) 내측에는 벨트, 카카스 등 다양한 부재가 트레드층(100)의 강성강화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트레드층(100)의 외주면에는 트레드 블록(120)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120)은 차량 주행 시 타이어(1)의 구동력, 제동력 및 선회력 등을 조절하기 위해 트레드층(100)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트레드 블록(120)은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111),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112) 및 사이프 (113)(이하, '그루브(110)"로 통칭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그루브(110)는 트레드층(100)의 외주면에서 소정 깊이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드층(10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 폭방향,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원주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트레드층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경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타이어의 중심에서 트레드층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 할 수 있다.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대각선 방향이란 원주방향 및 폭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방향이란 타이어의 트레드층에서 그루브가 연장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트레드 블록(120)은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1)의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설면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레드 블록(120)에 의해 타이어(1)의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안정성, 설면에서의 견인력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트레드 블록(120)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트레드 블록(120)을 연결하는 블록 강성 강화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강성 강화부(200)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트레드 블록(12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그루브(110)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트레드층(100)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른 노면에서의 타이어의 조향 능력 및 제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구비되는 블록 강성 강화부(20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블록 강성 강화부(200)는 트레드 블록(120)을 구획하는 그루브(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강성 강화부(200)는 복수개의 블록 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돌기(210)는 그루브(110)의 저면에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가 첨단(21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돌기(210)의 첨단(210a)은 트레드 블록(120)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록 돌기(210)의 트레드 블록(120)과 대향하는 양측면(210b)은 트레드 블록(120)과 접촉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 돌기(210)는 트레드 블록(120) 성형을 위한 트레드층(100)의 가류공정에서 트레드 블록(120)과 동시에 성형되어 트레드 블록(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 돌기(210)의 양측면이 이웃한 트레드 블록(120)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블록 돌기(210)는 이웃한 트레드 블록(120)을 연결할 수 있으며 트레드층(100)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록 돌기(210)는 복수개가 그루브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블록 돌기(210)는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블록 돌기(210) 사이의 그루브 방향 거리 거리(L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돌기(2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역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블록 돌기(210)는 동일한 형상으로 반복적으로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록 돌기(210)의 형상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상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도 7 참조). 블록 돌기(210)의 형상 변형예에 대해선 후술한다.
블록 돌기(210)는 그루브방향을 따라 삼각형 구조의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돌기(210)는 그루브(110)의 저면에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돌기부(211) 및 제1 돌기부(211)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2 돌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11)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L1)가 제1 비율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2 돌기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L2)가 제2 비율로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비율은 제1 비율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돌기부(212)의 반경방향으로의 그루브방향 길이 감소율이 제1 돌기부(211)의 반경방향으로의 그루브방향 길이 감소율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기부(212)의 외면과 그루브(110) 저면의 법선이 이루는 예각(α)의 크기는 제1 돌기부(211)의 외면과 그루브(110) 저면의 법선이 이루는 예각(β)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여기서 그루브방향은 그루브가 트레드층(100) 상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돌기부(211)의 반경방향 길이(L3)는 제2 돌기부(212)의 반경방향 길이(L4)의 1.618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기부(211)의 반경방향 길이와 제2 돌기부(212)의 반경방향 길이의 비는 이른바 '황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트레드 블록(120)의 외면에서부터 블록 돌기(21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L5)는 마모 한계 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마모 한계 깊이란 트레드 블록(120)의 마모가 진행되어 안전 및 기능상의 이유로 타이어를 교체 해야 하는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록 돌기(210)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여 타이어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록 돌기(210)가 모두 마모되는 경우, 이는 트레드 블록(120)이 마모 한계 깊이까지 모두 마모된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블록 돌기(210)의 마모 상태를 통해 타이어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블록 돌기(21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L5)를 마모 한계 깊이보다 짧게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블록 돌기(21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L5)를 마모 한계 깊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타이어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블록 강성 강화부(200)를 포함함으로써 그루브(110)에 의해 감소된 트레드층(1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블록 강성 강화부(200)를 복수개의 블록 돌기(210)를 연결하여 구비함으로써, 트레드층(100)이 마모되어도 젖은 노면에서 배수 성능 및 설면에서 접지 성능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에서 트레드층(100)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타이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트레드층 외면이 소정깊이 마모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1) 사용 중에 트레드층(100)이 마모되는 경우 블록 강성 강화부(200)는 트레드층(100)의 외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어 노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블록 돌기(210)는 이웃한 블록 돌기와 그루브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 강성 강화부(200)가 노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블록 돌기(210) 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공간(S)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젖은 노면에서의 배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돌기(210)는 그루브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요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강성 강화부(200)의 전체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설면에서의 주행 시 접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는 그루브(110) 내에 그루브방향으로 복수개의 블록 돌기(210)를 구비함으로써, 트레드층(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트레드층(110)이 마모되는 경우에도 타이어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에 구비되는 블록 돌기(210)의 다양한 변경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211)의 일면(211a)과 제2 돌기부(212)의 일면(212a)은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기부(211a)의 일면(211a)과 제2 돌기부(212)의 일면(212a)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211)의 일면(211a)과 제2 돌기부(212)의 일면(212a)은 동일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돌기부(211)의 일면(211a)과 제2 돌기부(212)의 일면(212a)이 이루는 평면은 그루브(110)의 저면과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c 및 7d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211)의 반경방향 상측 단부에는 편평한 형상의 단턱(2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턱(211b)은 제2 돌기부(212)의 반경방향 하측 단부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도 7c 참조), 제2 돌기부(212)의 반경방향 하측 단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도 7d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에 형성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블록 돌기(210)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블록 돌기(210)의 형상은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웃하게 형성되는 블록 돌기(210) 사이에 그루브방향으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트레드층(100)이 마모되어도 블록 돌기(210) 사이에 배수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에 해당하는한 블록 돌기(2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타이어 100: 트레드층
200: 블록 강성 강화부 210: 블록 돌기
211: 제1 돌기부 212: 제2 돌기부
L1: 제1 돌기부의 그루브 방향 길이
L2: 제2 돌기부의 그루브 방향 길이
L3: 제1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
L4: 제2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
L5: 트레드층의 외면에서부터 그루브의 저면까지 반경방향 길이
L6: 이웃하게 배치되는 블록 돌기의 그루브 방향 거리

Claims (9)

  1. 그루브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트레드 블록을 외주면에 포함하는 트레드층; 및
    상기 복수의 트레드 블록들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트레드 블록들을 연결하는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강성 강화부는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부터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첨단은 상기 트레드 블록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록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돌기는 복수 개가 그루브방향으로 배열되며, 하측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블록 돌기는,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가 제1 비율로 감소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의 연장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그루브방향 길이가 상기 제1 비율 보다 큰 제2 비율로 감소하여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첨단을 형성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제2 돌기부의 반경방향 길이의 1.618 배로 구비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돌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면은 상기 그루브의 저면과 수직으로 구비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돌기는 그루브방향으로 복수개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타이어.
  6.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블록 돌기의 그루브방향 거리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돌기의 상기 트레드 블록과 대향하는 양 측면은 상기 트레드 블록과 접촉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부터 상기 블록 돌기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마모 한계 깊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돌기는 그루브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상인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타이어.
KR1020180092595A 2018-08-08 2018-08-08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8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5A KR102084149B1 (ko) 2018-08-08 2018-08-08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5A KR102084149B1 (ko) 2018-08-08 2018-08-08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44A KR20200017244A (ko) 2020-02-18
KR102084149B1 true KR102084149B1 (ko) 2020-03-04

Family

ID=6963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95A KR102084149B1 (ko) 2018-08-08 2018-08-08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154A (ja) * 2008-03-24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74503A (ja) * 2008-05-13 2009-11-2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154A (ja) * 2008-03-24 2009-10-0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74503A (ja) * 2008-05-13 2009-11-2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44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7476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EP0773116B1 (en) Motor-vehicle pneumatic tyre having tread pattern particularly appropriate for running on snow-covered road surfaces
US6116309A (en) Tread for a tire including five rib parts
KR20120085793A (ko) 개선된 강도를 갖는 타이어 트레드
JP600171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469159B2 (en) Pneumatic tire
CN103228466B (zh) 车辆充气轮胎
RU264029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протектор
CN110337374B (zh) 重型拖车的轮胎胎面
US10266011B2 (en) Pneumatic tire
KR100839139B1 (ko) 특히 화물차 및 화물차와 유사한 차량용 원동 차량 타이어
JP2018504307A (ja) 重トラック用冬タイヤのトレッド
JP6714985B2 (ja) タイヤ
KR100869025B1 (ko) 가변형 사이프를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CN107709046B (zh) 充气轮胎
JP59797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0247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357513B1 (ko) 타이어
KR102084149B1 (ko) 블록 강성 강화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US20230135475A1 (en) Pneumatic tire
EP2265450B1 (en) Heavy- load vehicle tire
KR100749399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이디얼 타이어
CN114683776B (zh) 充气轮胎
US20220402306A1 (en)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JP44214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