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89B1 -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 Google Patents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89B1
KR102084089B1 KR1020190044496A KR20190044496A KR102084089B1 KR 102084089 B1 KR102084089 B1 KR 102084089B1 KR 1020190044496 A KR1020190044496 A KR 1020190044496A KR 20190044496 A KR20190044496 A KR 20190044496A KR 102084089 B1 KR102084089 B1 KR 10208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ure
waistband
underwear
wais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익
남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컨셉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4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62Trousers leaving undergarment visi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속옷과 허리속살의 노출이 용이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착용감과 옷맵시가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하의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분할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본체와, 상기 허리밴드본체의 분할연결부에 개재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노출방지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WAIST BAND FOR PREVENTING EXPOSURE OF UNDERWAER}
개시된 내용은 예를 들어 바지와 같은 하의의 상단 허리 둘레에 구비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의는 속옷을 제외하고 하체에 착용되는 예를 들어 바지나 치마 등과 같은 의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재에 따라 면바지, 청바지, 가죽치마 등과 같이 그 종류가 다양하고, 길이에 따라 긴바지, 반바지, 미니스커트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하의는 남여의 성별구분 및 노소의 연령구분 없이 필수적으로 착용되는 의복 중의 하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속옷을 입은 상태에서 하의를 착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쪼그려 앉거나 하는 다양한 활동 과장에서 하의의 허리밴드 사이로 속옷이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동절기에는 상의를 여러겹으로 착용함에 따라 속옷이나 허이부분의 속살이 노출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나, 하절기에는 티셔츠 등과 같은 비교적 얇은 재질의 상의 하나만을 착용하게 됨에 따라 속옷이나 허리부분의 속살이 하의의 허리밴드 사이로 노출됨으로 인해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활동에 많은 제약이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6016호(2002.08.22. 공고)에는 바지허리춤의 외주연 내측으로 안감이 재봉된 바지에 있어서, 상기 안감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되,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옷 노출방지용 바지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29035호(2010.12.08. 공개)에는 신축이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신축밴드가 허리 부를 감싸는 상의 뒤판과 하의 뒤판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암 결합구와 수 결합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신축밴드에 대응 고정되는 상태로 상의 뒤판과 하의 뒤판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암 결합구와 수 결합구의 결합과 신축밴드의 신축에 의해 상의 뒤판과 하의 뒤판의 연결이 유지되어 속옷과 허리속살의 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방지용 의복이 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의 경우에는 속옷의 허리부분을 하의의 허리밴드 내에 구비된 안감을 감싸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의의 하부가 하의의 상측을 덮도록 서로 체결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인위적으로 속옷을 덮어가리는 부가구성으로 인해 오히려 착용이 불편하거나 옷맵시가 저하되는 등과 같과 같이 착용 및 스타일링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6016호(2002.08.22.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29035호(2010.12.08. 공개)
속옷과 허리속살의 노출이 용이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착용감과 옷맵시가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하의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분할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본체와, 상기 허리밴드본체의 분할연결부에 개재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노출방지유도부재를 포함하는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출방지유도부재는 상기 하의의 최상단 중 후방 정중앙에 위치되거나 상기 하의의 최상단 중 후방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에 의하면, 허리밴드본체의 분할연결부에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방지유도부재가 개재되어 허리밴드본체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하의 착용자의 속옷 또는 허리속살의 노출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에 의하면, 허리밴드본체의 분할연결부에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방지유도부재가 개재되어 허리밴드본체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하의 착용시에 허리라인이 인체의 굴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옷맵시가 향상되고 하의의 착용에 큰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하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하의의 착용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를 포함하는 하의의 또 다른 착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의(3)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분할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본체(10)와,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에 개재되어 허리밴드본체(10)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허리밴드본체(10)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노출방지유도부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허리밴드본체(10)는 바지, 치마 등과 같은 하의(3)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둘러싸는 것으로, 홑겹 또는 다겹의 직물재로 형성 가능하다.
허리밴드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연결부에 의해 분할 형성되는 점만 제외하고는 통상의 하의용 허리밴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력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는 허리밴드본체(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는 수직절단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에는 노출방지유도부재(20)가 개재된다. 노출방지유도부재(20)는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에 개재되어 분할연결부에 의해 분할된 허리밴드본체(10)를 일체로 연결하고 허리밴드본체(10)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착용자의 동작이나 움직임에 관계없이 속옷이나 허리속살의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옷맵시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노출방지유도부재(20)는 특히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출방지유도부재(2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의(3)의 최상단 중 후방 정중앙에 1개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의(3)의 최상단 중 후방 양측에 각각 1개씩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의(3)의 최상단 중 양측에 각각 1개씩 위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의(3)의 최상단 중 전방 양측에 각각 1개씩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노출방지유도부재(20)는 하의(3)의 최상단 중 후방 정중앙에 1개가 위치됨과 동시에 하의(3)의 최상단 중 후방 양측에 각각 1개가 위치되거나, 또는 하의(3)의 최상단 중 후방 정중앙에 1개가 위치됨과 동시에 하의(3)의 최상단 중 양측에 각각 1개가 위치되어, 허리밴드본체(10) 상에 총 3개가 개재될 수도 있다.
허리밴드본체(10)에 개재되는 노출방지유도부재(20)의 수는 허리밴드본체(10)에 형성된 분할연결부의 수에 대응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의 경우에는,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에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방지유도부재(20)가 개재되어 허리밴드본체(10)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하의 착용자의 속옷 또는 허리속살의 노출이 노출방지유도부재(20)의 개재를 통한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의 경우에는, 허리밴드본체(10)의 분할연결부에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노출방지유도부재(20)가 개재되어 허리밴드본체(10)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하의(3)의 착용시에 허리라인이 인체, 특히 허리의 굴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옷맵시가 더욱 미려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하의
10 : 허리밴드본체
20 : 노출방지유도부재

Claims (4)

  1. 하의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둘레를 둘러싸며 적어도 하나의 분할연결부를 포함하는 허리밴드본체; 및
    상기 허리밴드본체의 분할연결부에 개재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단 길이보다 하단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허리밴드본체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며 하의 착용자의 동작에 관계없이 하의 착용자의 속옷 또는 허리속살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노출방지유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방지유도부재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의의 최상단 중 후방 정중앙에 1개만 위치되는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44496A 2019-04-16 2019-04-16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KR10208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96A KR102084089B1 (ko) 2019-04-16 2019-04-16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96A KR102084089B1 (ko) 2019-04-16 2019-04-16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89B1 true KR102084089B1 (ko) 2020-03-04

Family

ID=6978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496A KR102084089B1 (ko) 2019-04-16 2019-04-16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16Y1 (ko) 2002-05-10 2002-08-22 옥윤선 속옷 노출방지용 바지
KR20100129035A (ko) 2009-05-29 2010-12-08 주식회사 피오엠디자인 노출 방지용 의복
US20140242876A1 (en) * 2011-09-30 2014-08-28 Wacoal Corp. Clothing end part structure, bottom clothing, clothing with cups, and structure of clothing with corrective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16Y1 (ko) 2002-05-10 2002-08-22 옥윤선 속옷 노출방지용 바지
KR20100129035A (ko) 2009-05-29 2010-12-08 주식회사 피오엠디자인 노출 방지용 의복
US20140242876A1 (en) * 2011-09-30 2014-08-28 Wacoal Corp. Clothing end part structure, bottom clothing, clothing with cups, and structure of clothing with corrective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023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tension in garments and method of use
US20140310854A1 (en) Body Sculpting Garment
US6173449B1 (en) One-piece women's sunbathing beach and swim suit
KR100607606B1 (ko) 남성용 팬티 겸용 거들
US9282774B2 (en) Undergarment
KR101728958B1 (ko) 기능성 레깅스
US20160165959A1 (en) Female underwear having a crotch panel having a spacer material woven into opposite layers of fabric
US3945051A (en) Short pants with panel overlap
US3913146A (en) Undergarment
KR102084089B1 (ko) 속옷 노출이 방지되는 하의용 허리밴드
KR102133839B1 (ko) 바지용 허리밴드
KR200473901Y1 (ko) 보정속옷
US20100251463A1 (en) Butterfly Panty
US2711542A (en) Maternity undergarment
KR101030932B1 (ko) 노출 방지용 의복
KR20140056596A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가지는 의류
US1667364A (en) Undergarment
KR101898275B1 (ko) 유니폼
US2440021A (en) Chafe pantie
KR20090085881A (ko) 팬티
US2674997A (en) Woman's brief undergarment
KR200471739Y1 (ko) 기능성 올인원
EP3620072B1 (en) Sports undergarment
KR200491052Y1 (ko) 여성용 팬티
JP6604614B1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