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906B1 -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906B1
KR102083906B1 KR1020180113585A KR20180113585A KR102083906B1 KR 102083906 B1 KR102083906 B1 KR 102083906B1 KR 1020180113585 A KR1020180113585 A KR 1020180113585A KR 20180113585 A KR20180113585 A KR 20180113585A KR 102083906 B1 KR102083906 B1 KR 102083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pronil
metabolite
generator
remov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양희식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링크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to KR102018011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미세 농도 조절이 가능하고, 생성장치의 작동 중에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한 제조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으며, 생성장치와 스마트폰을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생성장치의 케이스를 일체로 제조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PRONIL METABOLITE REMOVAL NATERIAL}
본 발명은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미세 농도 조절이 가능하고, 생성장치의 작동 중에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안전한 제조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으며, 생성장치와 스마트폰을 연동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생성장치의 케이스를 일체로 제조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닐피라졸(phenylpyrazole) 유도체인 피프로닐(fipronil)은 메리알(Merial)의 전신인 롱프랭(Rhone-Poulenc) 농화학회사(영국) 옹가 리서치 센터(Ongar Research Center)의 에드가 파넬(Edgar Parnell) 등에 의하여 1987년에 합성, 개발되어 1993년에 시판되기 시작한 살충제이다.
초기에는 곡물, 과일 등 농작물 그리고 골프장 등의 해충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1994년에 동물에 기생하는 절지동물을 치료, 관리하는데 유효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Hunter et al., 1994).
그리고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위생 곤충, 진드기 등을 치료, 예방하는 새로운 약제로서 프론트라인(Frontline)이란 이름으로 1996년 미국, 2000년 한국에 소개되었으며, 현재 전세계 100여국에서 사용하고 있다. 수년전 영국에서는 공중보건향상을 위한 살충제로서 5년 동안에 걸쳐 잠정적 사용을 승인한 바 있다.
한편 피프로닐은 미세한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분말로서 메탄올에 잘 용해되며, 클로로포름에는 중간 수준, 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며 융점은 203∼205℃ 이다. 정상 온도에서는 1년정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금속 이온존재시 불안정해진다. 태양 광선에 의하여 여러 가지 대사 산물을 만드는데 피프로닐 디설피닐(fipronil-desulfinyl)은 매우 안정하여 피프로닐 자체보다 독성이 강하다.
이 약제의 경우 곤충등에 있어서 1차적 살충 기작은 주로 가바(gamma-amino butyric acid;GABA)조절 염소 이온 통로의 폐쇄에 의한다.
상기 가바(GABA)는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곤충체내에서 가바(GABA)는 중추신경의 근신경 접합부에서 주요 억제인자로서 작용한다. 가바(GABA) 수용체는 피프로닐의 표적부위이므로 피프로닐이 가바(GABA) 수용체와 결합하여 염소이온 통로를 차단하여 신경을 흥분시켜 곤충을 사멸시킨다. 그래서 피프로닐이 동물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진드기등과 곡물등의 토양 및 발엽식물 곤충의 관리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피프로닐을 제 2급 중등도 위험성 살충제로 분류하였으며, 실험동물에 대한 독성은 중등도로서 쥐에 있어서 경구나 흡입 경로에 의한 급성 독성은 중등도이며, 24시간 후의 피부흡수율은 1%이하이므로 독성은 낮다고 사료된다.
한편 지난해 대한민국 정부는 국내산 계란 살충제 검출(2017. 8. 14.)과 관련하여 국내 산란계 농장에 대한 전수검사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국내에서 유통되는 계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안전관리 강화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적합 49개 농장에서 검출된 살충제 성분은 피프로닐(8농장), 비펜트린(37), 플루페녹수론(2), 에톡사졸(1), 피리다벤(1) 등 5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산란계 농장 전수 검사결과와 관련하여, 일부 농장 시료 수거과정에서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검사에 문제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 121개 농장을 재조사하여 2개 농장에서 살충제가 추가 검출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부적합 49개 농가에서 출하된 계란은 판매업체로 하여금 회수토록 하였으며, 마트 등 판매점, 음식점, 집단급식소, 제조가공업체에 부적합 농가 출하 계란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부적합 판정계란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피프로닐은 일반적으로 토양내에서 산화(oxidation)과정을 거쳐 위 대사산물 중 피프로닐 설폰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피프로닐 설폰등 잔류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는 세제를 이용한 물 세척 및 온수에 과산화수소와 소다를 희석해 세척하고 이런 일련의 절차를 불검출시 까지 반복해 시행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의 산란계 농장의 피프로닐(설폰) 제거 권고(안)에 따르면 계사의 세척·제거 방법은 계사의 유기물, 먼지 및 계분벨트 분변제거 후 시설물 표면 온도를 최소 20℃ 이상(최적온도 35~40℃) 가온한다. 이후 시설물 표면에 5%로 희석한 소다액을 살포하고 소다액이 젖은 상태에서 15%로 희석한 과산화수소를 살포한 후 1시간 이상 둔다. 이후 계면활성제, 수세의 순으로 세척한다. 같은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는 피프로닐 설폰의 제거와 관련된 시장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한민국 정부에는 피프로닐 설폰 제거를 위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지만, 아직 산업화 준비는 되어 있지 않고 가이드라인을 배포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피프로닐 설폰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제거 물질 생성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3-0124473호(2013. 11. 1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프로닐 살포후 계사 및 기구 등에 잔류되어 있는 피프로닐 설폰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프로닐 설폰을 쉽게 제거하여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농가 피해 예방할 수 있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과 환경독성이 낮은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제거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에 도어(811)가 형성된 제 1함체(810);
다수의 칸으로 분할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부(8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821)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제 1함체(8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함체(820);
상기 제 2함체(820)의 공간부(821)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
상기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유/무선으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를 감지하면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을 유/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생성기 본체(1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전면에 생성기의 조작 및 동작, 표시부가 구비된 조작판넬(200);
상기 생성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와 혼합된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기(3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4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관(5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출수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상기 유/무선을 통하여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설폰)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판넬(200)의 중앙에는 동작설정 버튼(210)과, 용량설정 버튼(220), 농도설정 버튼(230)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전원표시 램프(240)와 농도표시 램프(250), 용량표시 램프(260)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에는 구비된 알람표시 램프(270)와 동작상태표시 램프(2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기(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는 중공되고, 상단부는 밀폐되며, 하단부는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관(311)이 구비되며, 상부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이 배출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배출관(312)이 구비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3)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부의 압력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리브(314)가 구비된 분해기 본체(310);
원통형의 전극기 몸체(321)가 구비되고,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중앙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분해기 본체(31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돌기(322)가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상부에는 분해기 본체(310) 내부로 삽입되는 전극(323)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하부에는 상기 전극(3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핀(324)이 구비되고, 전극기 몸체(321) 하부 일측에 분해기 본체(321) 내부에 전해질이 공급되도록 전해질 유입관(325)이 구비된 전극기(320);
원통형으로 중앙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부 내주면에는 분해기 본체(310)의 나사산(313)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전극기(320)의 밀착돌기(322) 하단부에 밀착되어 전극기(320)를 분해기 본체(310)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캡(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로 제조된 제거물질을 통해 피프로닐 살포후 계사 및 기구 등에 잔류되어 있는 피프로닐 설폰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프로닐 설폰을 쉽게 제거하여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농가 피해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과 환경독성이 낮은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제거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는 전해수의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분해 기작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산화수에 존재하는 Cl-이온, 높은 산화환원전위, 용존산소 등에 의존함으로써 전해수의 사용에 있어서는 보관 온도 및 개폐 유무가 전해수의 염소함량, 산화환원전위, pH 등이 주요한 공정 파라미터로 분류할 수 있이며, 최적의 피프로닐 설폰 분해 조건을 확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초기값 설정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장치의 운영 상태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며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상태값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와 모바일 단말기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제 1함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제 2함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전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전기분해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전기분해기 본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의 전기분해기 전극기를 나타낸 예시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에 도어(811)가 형성된 제 1함체(810)가 구비되고, 다수의 칸으로 분할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부(8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821)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된 제 2함체(820)가 상기 제 1함체(8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2함체(820)의 공간부(821)에는 각각 복수개의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유/무선으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를 감지하면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을 유/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70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에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생성기 본체(100)의 전면에 생성기의 조작 및 동작, 표시부가 구비된 조작판넬(200)이 구비되고, 상기 생성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와 혼합된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기(300)와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4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관(5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출수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60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작판넬(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동작설정 버튼(210)과, 용량설정 버튼(220), 농도설정 버튼(230)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전원표시 램프(240)와 농도표시 램프(250), 용량표시 램프(260)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에는 구비된 알람표시 램프(270)와 동작상태표시 램프(280)가 구비된다.
이때 알람표시 램프(270)는 전해질 부족 알람, 유량 이상 알람 (급수 유량 비정상 시 발생), 과전압 알람, 과전류 알람, 온도 초과 알람 등으로 알람별 LED Lamp 점등되도록 표시된다.
한편 상기 전기분해기(3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는 중공되고, 상단부는 밀폐되며, 하단부는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관(311)이 구비되며, 상부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이 배출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배출관(312)이 구비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3)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부의 압력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리브(314)가 구비된 분해기 본체(3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분해기 본체(310)는 외주면에 다수의 보강리브(314)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별도의 뚜껑이 결합되지 않고 분해기 본체(310)와 일체로 제조되어 내부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시 발생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분해기 본체(310)가 파손되거나 내부 팽창에 의해 폭발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전극기 몸체(321)가 구비되고,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중앙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분해기 본체(31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돌기(322)가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상부에는 분해기 본체(310) 내부로 삽입되는 전극(323)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하부에는 상기 전극(3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핀(324)이 구비되고, 전극기 몸체(321) 하부 일측에 분해기 본체(321) 내부에 전해질이 공급되도록 전해질 유입관(325)이 구비된 전극기(320)이 구비된다.
또한 원통형으로 중앙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부 내주면에는 분해기 본체(310)의 나사산(313)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전극기(320)의 밀착돌기(322) 하단부에 밀착되어 전극기(320)를 분해기 본체(310)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캡(330)이 구비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700)는 상기 유/무선을 통하여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설폰)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700)에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무선으로 연결된 생성기 본체(100)를 감지하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기의 초기값을 유/무선을 통해 전송하고, 전기분해기(300)의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생성기 본체(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생성기 본체(100)의 상태 정보를 조작판넬(200)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원수 공급관(400)과 전기분해기(300) 분해기 본체(310)에 구비된 원수 유입관(311)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유량계,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원수가 전기분해기(300)에 공급 또는 중단되도록 개폐하게 되고, 유량계는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 즉 생성되는 전해수의 물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출력되는 전해수의 양을 측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체크밸브는 전기분해기(300)에서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원수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해질 공급관(500)과 전극기(320)의 전해질 유입관(325) 사이에는 튜빙펌프가 설치되어 전해질을 전해질 유입관(325)을 통해 분해기 본체(31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생성기 본체(100) 일측에는 냉각팬(도면에 부호 미도시)이 설치되어 생성기 본체(1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냉각팬을 이용하여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는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생성기 본체(100)의 전방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를 온(ON)시켜 전원을 공급하고, 생성기 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판넬(200)의 용량설정 버튼(220), 농도설정 버튼(230)을 조작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농도 및 생성량의 생성조건을 설정한다.
작업자는 농도표시 램프(25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1단계 또는 2단계 중 하나를 선택하고 용량표시 램프(260)를 통해 10L, 50L, 100L, 150L, 200L 중 선택한다.
그리고 조작판넬(200)의 동작설정 버튼(210)을 이용하여 생성기 본체(100)를 동작시키면 생성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전기분해기(30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원수와 전해질이 공급되어 일정한 농도와 일정한 양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된다.
이때 농도설정 버튼(230)의 선택에 따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pH가 미산성인 5.0 내지 6.5, 염소 농도가 유효 염소 농도인 10ppm 내지 80ppm 의 범위에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기분해기(300)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분해기 본체(310)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배출관(312)과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600)으로 출수되고, 상기와 같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600)으로 출수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설정된 생성량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전기분해기(300)의 동작이 정지되면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이 중단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7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안드로이드 OS, 애플 OS 등에 의해 구현되는 단말기로서, 앱(APP) 연산 동작이 가능한 단말기로 생성기 본체(1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는데, 생성기 본체(100)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생성기 본체(100)가 감지되면 생성기 본체(100)의 초기값을 유선 케이블(710)을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생성기 본체(100)를 설치하는 작업자는 별도로 초기값의 입력작업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700)를 연결하여 손쉽게 생성기 본체(100)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소비 전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pH가 미산성인 동시에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염소 농도가 유효 염소 농도가 되도록 설정되고, 설정 소비 전력은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된다. 예를 들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각각 20ppm, 30ppm, 40ppm인 경우 설정 소비 전력은 각각 60W, 100W, 115W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유효 염소 농도에 따른 설정 소비 전력의 초기값이 모바일 단말기(700) 연결에 의하여 손쉽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7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710)을 통하여 전기분해기(300)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생성기 본체(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생성기 본체(100)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할 수 이써 작업자는 모바일 단말기(700)를 통하여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인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생성기 본체(100)는 블럭 형태로 소형화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단일의 제 2함체(820)에 복수 개로 격납될 수 있다.
즉, 생성기 본체(100)는 블록 형태의 하우징으로 구현된 블록 하우징으로 구현되어, 생성기 본체(100)가 복수 개로 수직 격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단일의 제 2함체(820) 내부에 복수 개의 생성기 본체(100)가 소형의 블록 하우징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동시에 여러 용도로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분해를 이용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로 제조된 제거물질을 통해 피프로닐 살포후 계사 및 기구 등에 잔류되어 있는 피프로닐 설폰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농가 피해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과 환경독성이 낮은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제거 물질을 생성할 수 있고, 전기분해를 이용한 피프로닐 대사산물(설폰)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는 전해수의 피프로닐 설폰 분해 기작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산화수에 존재하는 Cl-이온, 높은 산화환원전위, 용존산소 등에 의존함으로써 전해수의 사용에 있어서는 보관 온도 및 개폐 유무가 전해수의 염소함량, 산화환원전위, pH 등이 주요한 공정 파라미터로 분류할 수 있이며, 최적의 피프로닐 설폰 분해 조건을 확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는 여러 형태의 실시 가능한 실시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810 : 제 1함체 811 : 도어
820 : 제 2함체 821 : 공간부
900 : 대사산물(설폰) 제거물질 생성기
100 : 생성기 본체
200 : 조작판넬
210 : 동작설정 버튼 220 : 용량설정 버튼
230 : 농도설정 버튼 240 : 전원표시 램프
250 : 농도표시 램프 260 : 용량표시 램프
270 : 알람표시 램프 280 : 동작상태표시 램프
300 : 전기분해기
310 : 분해기 본체 311 : 원수 유입관
312 :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배출관 313 : 나사산
314 : 보강리브 320 : 전극기
321 : 전극기 몸체 322 : 밀착돌기
323 : 전극 324 : 전원연결핀
325 : 전해질 유입관 330 : 고정캡
400 : 원수 공급관
500 : 전해질 공급관
600 :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
700 : 모바일 단말기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에 도어(811)가 형성된 제 1함체(810);
    다수의 칸으로 분할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부(82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821)의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제 1함체(8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함체(820);
    상기 제 2함체(820)의 공간부(821)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
    상기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유/무선으로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를 감지하면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초기값을 유/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생성기 본체(1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전면에 생성기의 조작 및 동작, 표시부가 구비된 조작판넬(200);
    상기 생성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와 혼합된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기(3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공급관(4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관(500);
    상기 생성기 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기분해기(300)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출수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출수관(600)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분해기(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는 중공되고, 상단부는 밀폐되며, 하단부는 개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관(311)이 구비되며, 상부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이 배출되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배출관(312)이 구비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3)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내부의 압력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리브(314)가 구비된 분해기 본체(310);
    원통형의 전극기 몸체(321)가 구비되고,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중앙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분해기 본체(310)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돌기(322)가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상부에는 분해기 본체(310) 내부로 삽입되는 전극(323)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기 몸체(321)의 하부에는 상기 전극(32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핀(324)이 구비되고, 전극기 몸체(321) 하부 일측에 분해기 본체(321) 내부에 전해질이 공급되도록 전해질 유입관(325)이 구비된 전극기(320);
    원통형으로 중앙이 상하로 관통되고, 상부 내주면에는 분해기 본체(310)의 나사산(313)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전극기(320)의 밀착돌기(322) 하단부에 밀착되어 전극기(320)를 분해기 본체(310)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캡(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상기 유/무선을 통하여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설폰)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넬(200)의 중앙에는 동작설정 버튼(210)과, 용량설정 버튼(220), 농도설정 버튼(230)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전원표시 램프(240)와 농도표시 램프(250), 용량표시 램프(260)가 각각 구비되며, 타측에는 구비된 알람표시 램프(270)와 동작상태표시 램프(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700)는,
    피프로닐 대사산물 제거물질 생성기(900)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KR1020180113585A 2018-09-21 2018-09-21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KR102083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85A KR102083906B1 (ko) 2018-09-21 2018-09-21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85A KR102083906B1 (ko) 2018-09-21 2018-09-21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906B1 true KR102083906B1 (ko) 2020-03-03

Family

ID=6993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85A KR102083906B1 (ko) 2018-09-21 2018-09-21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9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473A (ko) 2010-07-12 2013-11-14 얼비타 플랜트 프로텍션, 어 브랜치 오브 셀시우스 프로퍼티 비.브이. 피프로닐 제조 방법
KR20170004051A (ko) * 2015-07-01 2017-01-11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770667B1 (ko) * 2015-09-22 2017-08-23 (주)스페이스링크 차아 염소산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473A (ko) 2010-07-12 2013-11-14 얼비타 플랜트 프로텍션, 어 브랜치 오브 셀시우스 프로퍼티 비.브이. 피프로닐 제조 방법
KR20170004051A (ko) * 2015-07-01 2017-01-11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770667B1 (ko) * 2015-09-22 2017-08-23 (주)스페이스링크 차아 염소산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4059A (en) Automated chlorine generator
US20080067263A1 (en) Automated pest misting system with pump
CN107923169A (zh) 坐便器用水消毒装置及其方法
US91695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ant production
CN106659811B (zh) 空间杀菌装置及空间除臭装置
EP2152324B1 (de) Pflanzenschutz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rolle und elimination von pflanzenschädlingen mittels elektrolytisch hergestellten oxidativen radikalen, uvc-licht, und luft unterstützter elektrostatischer sprühtechnologie
KR101314281B1 (ko) 친환경 살균수를 이용한 축사용 안개분무 소독장치
CN103601269A (zh) 一种产生高浓度电位水的系统装置及控制方法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2083906B1 (ko) 피프로닐 대사산물의 효과적인 제거 물질 생성장치
WO2018008859A1 (ko) 살균 소독액 포트
KR101971423B1 (ko) 전기분해기를 이용한 의료용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WO2021132708A1 (ja) 電解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JP2008229475A (ja) 滅菌水の製造装置
DE112014002531T5 (de) System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und Steuern der Wasserklarheit
Renwick et al. A perspective on land sparing versus land sharing
CN106645621A (zh) 一种基于生物特性的水质监测设备
KR101237050B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0433451Y1 (ko) 해충밀도자동측정기
CN105821434A (zh) 一种二氧化碳发生器、蚊虫捕杀装置及方法
CN215961350U (zh) 一种基于有机固废处理车间电解法除臭设备
DE202019106334U1 (de) Kreislaufkultursystem, Verwenden eines Kreislaufkultursystems
KR102292971B1 (ko) 이온수기를 이용한 축사의 알칼리수 및 산성수 공급시스템
CN215775036U (zh) 一种多诱导因子蚊虫诱集装置
CN214339545U (zh) 一种智能虫情测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