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526B1 -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526B1
KR101908526B1 KR1020170054684A KR20170054684A KR101908526B1 KR 101908526 B1 KR101908526 B1 KR 101908526B1 KR 1020170054684 A KR1020170054684 A KR 1020170054684A KR 20170054684 A KR20170054684 A KR 20170054684A KR 101908526 B1 KR101908526 B1 KR 101908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ochlorous acid
acid generator
mobile terminal
electrolyte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양희식
나성순
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스페이스링크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페이스링크,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주)스페이스링크
Priority to KR102017005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9/1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고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원수와 혼합된 상기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해유닛;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이 인가된 이후 그 경과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구간 마다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설정 공급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전해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 전압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유닛;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 포트;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한 유선 케이블; 및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선 케이블에 연결된 차아염소산 생성기를 감지하면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을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Apparatus for producting hypochlorous acid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생성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기, 식품 가공기구, 조리기구, 식품공장 제조기기, 집단 급식 시설 등은 위생 상태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살균수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소독 방법으로는 염소 소독방법이 있는데, 염소 소독방법을 이용하여 살균소독하면 암 유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인체에 매우 해롭고, 염소 특유의 냄새 등에 의하여 작업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염소 소독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오존, 자외선, 이산화염소, 차아염소산 등을 이용한 소독방법이 있다.
이 중에 특히, 차아염소산은 살균력이 매우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소독방법은 여러 기구의 소독뿐만 아니라 과일 및 채소를 세척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은 전해조에 희석된 염산인 전해질과 원수가 공급되면 전해질이 전기분해되면서 생성될수 있다. 이때, 차아염소산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이다. 이에 전해조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의 pH는 5.0 내지 6.5, 유효염소농도는 10 내지 80ppm 을 함유해야 한다.
차아염소산의 생성을 위해서는 초기값 설정이 중요한데,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는 것은 번거로우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35336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의 초기 설정값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차아염소산 생성장치의 운영 상태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며 차아염소산 생성장치의 상태값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고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원수와 혼합된 상기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해유닛;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이 인가된 이후 그 경과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구간 마다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설정 공급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전해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 전압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유닛;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 포트;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한 유선 케이블; 및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선 케이블에 연결된 차아염소산 생성기를 감지하면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을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전해조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선 케이블은,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핀 단자;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RS232 포트에 연결되는 시리얼 단자; USB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리얼 단자는, RS232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시리얼 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핀 단자의 신호를 RS232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팅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는,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지는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복수개로 수직 격납되어 단일의 격납 케이스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 설정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차아염소산 생성장치의 운영 상태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며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상태값을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아염소산 생성기와 모바일 단말기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 생성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
도 3은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전해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의 구성도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태 정보 화면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격납될 격납 케이스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아염소산 생성기와 모바일 단말기가 유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 생성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전해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의 구성도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태 정보 화면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아염소산 생성기(100), 유선 케이블(300), 및 모바일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해유닛(110), 측정유닛(120), 제어유닛(130), 및 커넥터 포트(14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해유닛(110)은 전해질 공급부(S1)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고, 원수 공급부(S2)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으며, 전원이 인가되면 원수와 혼합된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전해유닛(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별도의 하우징(110a)이 마련되며, 하우징(110a)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전해조(111), 튜빙펌프(112), 제1밸브(113) 및 제2밸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a)은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알루미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에 아연 도금을 하고, 아연 도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연 도금 후 분체 도장 처리하여 형성될수 있다. 이와 같은 아연 도금 및 분체 도장 처리는 하우징(110a) 뿐만 아니라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를 수용하는 함체 전체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a)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냉각팬(FAN)을 이용하여 하우징(110a)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해조(111)는 전해질과 원수가 공급되면 전해질을 전기 분해한다. 즉, 양극과 음극으로 구획된 전해조(1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해질을 전기 분해한다. 여기서, 전해조(111)에 공급되는 전해질은 희석된 염산을 사용할 수 있고, 원수는 수돗물이 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고 원수와 전해질이 반응하면 전해조(111)는 온도가 상승될 수 있는데, 전해조(11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전해조(1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해조(111)는 상하 2개의 프레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내부에 2개의 챔버가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튜빙펌프(112)는 전해질 공급부(S1)와 전해조(111)를 연결하고 전해질이 유동되는 제1유동라인(L1) 상에 설치되며, 전해조(111)에 공급되는 전해질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즉, 전해질은 튜빙펌프(112)에 의해 전해조(111)로 정량이 토출되며, 튜빙펌프(112)에 의해 전해질의 공급량이 전해조(111)에 정밀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1밸브(113)는 제2유동라인(L2) 상에 설치되며, 제2유동라인(L2)을 통해 유동되는 원수의 유동량을 조절한다. 제2밸브(114)는 전해조(111)와 외부의 염소 배출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제3유동라인(L3) 상에 설치되며, 전해질의 역류를 방지한다.
한편,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는 과정에서 염소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발생하는 염소가스가 전해조(111) 내부에 존재하면 압력이 증가하면서 전해조(111)가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염소가스를 외부의 가스 포집기(미도시)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전해조(111)가 폭발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유닛(110)은 전해조(111)에 전해질 공급부(S1)로부터 전해질이 공급되고 원수 공급부(S2)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면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며, 생성된 차아염소산은 제4라인(L4)을 통해 차아염소산 수집부(S3)로 배출된다.
전원부(미도시)는 전해유닛에 전압을 인가한다.
측정유닛(120)은 차아염소산의 pH, 차아염소산의 염소 농도, 원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한편, 전해조(111) 내부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으로 생성되어야 한다. 이에 측정유닛(120)은 전해조(111) 내부에서 생성되어 수집부(S3)에 의해 수집된 차아염소산의 pH가 미산성인5.0 내지 6.5,염소 농도가 유효 염소 농도인10 내지 80ppm 의 범위를 함유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정유닛(120)은 전해조(111) 내에서 생성되어 수집부(S3)에 의해 수집된 차아염소산의 pH를 측정하며, 전해조(111) 내에서 생성되어 수집부(S3)에 의해 수집된 차아염소산의 염소 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수가 유동되는 제2유동라인(L2)에 설치되어 전해조(111) 내로 공급되는 유량을 측정한다. 제어유닛(130)은 전해조(111)에서 유효 염소 농도를 갖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전해유닛(110)을 제어한다.
한편, 전해유닛(110)에 일정한 공급량으로 전해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전해조(111)에 과전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전류로 인해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즉, 한번 차아염소산이 생성된 전해조(111)의 내부에는 잔여 전해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잔여 전해질로 인해 전해유닛(110)에 인가된 전압 대비 더 많은 전해질이 전해조(111) 내부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과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제어유닛(130)은 전원부를 통해 전해유닛(110)에 전압이 인가된 이후 그 경과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구간 마다 전해질의 공급량을 설정 공급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여기서, 설정 공급량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며, 차아염소산의 pH가 미산성인 동시에 차아염소산의 염소농도가 유효 염소 농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를 통해, 전해조(111)의 내부에 잔여 전해질이 존재하더라도, 전해 유닛(110)에 전압이 인가된 후 일정 시간 동안은 비교적 적은 공급양의 전해질이 전해조(111)로 공급됨으로써, 잔여 전해질을 전기 분해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조(111)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30)은 제1 유효 염소 농도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을 생성한 이후 제2 유효 염소 농도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경우 복수 개의 구간 중 첫 번째 구간에서 전해질의 공급량을 0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구간에서 전해조(111)의 내부로 전해질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제1 유효 염소 농도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전해조(111)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전해질을 모두 전기 분해하고, 이후 두 번째 구간부터 전해질의 공급량을 설정 공급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2 유효 염소 농도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130)은 복수 개의 구간 중 마지막 구간에서 차아염소산의 염소 농도가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되도록 전해질의 설정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유효 염소 농도는 유효 염소 농도인 10 내지 80ppm 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즉, 설정 유효 염소 농도에 부합하는 전해질의 설정 공급량은 원수의 물성 및 전해유닛(110) 내부의 온도 등의 변수에 의해 변동될 수 있는데, 이때 제어유닛(130)은, 복수 개의 구간 중 마지막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의 차아염소산의 유효 염소 농도가 설정 유효 염소 농도보다 작으면 마지막 구간에서 전해질의 설정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복수 개의 구간 중 마지막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염소산의 유효 염소 농도가 설정 유효 염소 농도보다 크면 마지막 구간에서 전해질의 설정 공급량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유효 염소 농도를 갖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구간 수는 차아염소산의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즉, 차아염소산의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전해질의 설정 공급량은 커지고, 각 구간마다 단계적으로 전해질의 공급량을 증가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해유닛(110)에 전압이 인가된 이후 그 경과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 수도 증가한다.
커넥터 포트(140)는, 유선 케이블(300)이 연결되는 포트이다. 유선 케이블(300)이 커넥터 포트(140)에 삽입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포트(140)는, USB 포트(141)와 RS232포트(142)로서 마련될 수 있다.
유선 케이블(300)은,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이러한 유선 케이블(300)은, 모바일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핀 단자(303)와,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RS232 포트(142)에 연결되는 시리얼 단자(301)와, USB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302)를 포함한다. 시리얼 단자(301)는, RS232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시리얼 단자(301)는 마이크로핀 단자(303)의 신호를 RS232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컨버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리얼 단자(301)는,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마이크로핀 단자(303)로부터 수신하여 RS232 신호로 변환하여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안드로이드 OS, 애플 OS 등에 의해 구현되는 단말기로서, 앱(APP) 연산 동작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200)는,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는데,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유선 케이블(300)에 연결된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를 감지하면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초기값을 유선 케이블(300)을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를 설치하는 설치자는 별도의 초기값의 작업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200)를 연결하여 손쉽게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유닛(110)이 전해질과 원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전해유닛(110)에 일정한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하게 되면, 전해조(111)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전해유닛(110)의 소비 전력은 설정 소비 전력을 초과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소비 전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며, 차아염소산의 pH가 미산성인 동시에 차아염소산의 염소 농도가 유효 염소 농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설정 소비 전력은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된다.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의 설정 유효 염소 농도가 각각 20ppm, 30ppm, 40ppm인 경우 설정 소비 전력은 각각 60W, 100W, 115W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유효 염소 농도에 따른 설정 소비 전력의 초기값이 모바일 단말기(200) 연결에 의하여 손쉽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단말기(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300)을 통하여 전해조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하여 차아염소산 생성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격납될 격납 케이스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지며 소형화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도 6에 도시한 단일의 격납 케이스(10)에 복수개로 수직 격납될 수 있다. 즉,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지는 차아염소산 생성기(100)가 복수개로 수직 격납되어 단일의 격납 케이스(10)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일의 격납 케이스(10)안에 복수개의 차아염소산 생성기(100)가 격납 케이스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동시에 여러 용도로서 차아염소산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차아염소산 생성기
200:모바일 단말기
300:유선 케이블

Claims (7)

  1.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고 원수 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원수와 혼합된 상기 전해질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전해유닛;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전해유닛에 전압이 인가된 이후 그 경과 시간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구간 마다 상기 전해질의 공급량을 설정 공급량까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전해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 전압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제어유닛;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 포트를 포함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연결한 유선 케이블; 및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선 케이블에 연결된 차아염소산 생성기를 감지하면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을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여 별도의 초기값 작업 없이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전해조 온도, 전압, 전류를 포함한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모델별로 각각 다르게 할당된 초기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유선 케이블은,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는 마이크로핀 단자; 및
    차아염소산 생성기의 RS232 포트에 연결되는 시리얼 단자;
    USB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는,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핀 단자의 신호를 RS232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팅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럭 형태의 하우징 외관을 가지는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복수개로 수직 격납되어 단일의 격납 케이스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KR1020170054684A 2017-04-27 2017-04-27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KR101908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84A KR101908526B1 (ko) 2017-04-27 2017-04-27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84A KR101908526B1 (ko) 2017-04-27 2017-04-27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526B1 true KR101908526B1 (ko) 2018-10-16

Family

ID=6413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84A KR101908526B1 (ko) 2017-04-27 2017-04-27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23B1 (ko) * 2021-09-24 2022-03-23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586A (ko) * 2014-12-11 2016-06-22 주식회사 라이트브릿지 모듈형 전기분해 시스템
KR20170004051A (ko) * 2015-07-01 2017-01-11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5336A (ko) 2015-09-22 2017-03-30 (주)스페이스링크 차아 염소산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586A (ko) * 2014-12-11 2016-06-22 주식회사 라이트브릿지 모듈형 전기분해 시스템
KR20170004051A (ko) * 2015-07-01 2017-01-11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35336A (ko) 2015-09-22 2017-03-30 (주)스페이스링크 차아 염소산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23B1 (ko) * 2021-09-24 2022-03-23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27698U (zh) 多功能水路以及混水阀
KR101896201B1 (ko) 살균세척수 생성 시스템이 장착된 싱크대
CN111593366B (zh) 一种消毒液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200425129Y1 (ko) 이동식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1726670B1 (ko) 치과용 살균소독수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971423B1 (ko) 전기분해기를 이용한 의료용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1908526B1 (ko)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KR101770667B1 (ko) 차아 염소산 생성장치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CN112439082B (zh) 一种浓度检测电路、消毒液制造机及其控制方法
JP5210455B1 (ja) 洗浄水生成装置
CN104597929B (zh) 一种泳池水中氯产量的控制方法
CN213203225U (zh) 一种家庭用消毒液电解发生器
KR20160127619A (ko) 부분 전원 제어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KR100794732B1 (ko) 살균제 농도조절부가 구비된 전해살균 시스템
KR100756030B1 (ko) 휴대용 전해소독수 생성장치
KR101476097B1 (ko) 실시간 농도 측정이 가능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220005727A (ko) 살균수 생성 모듈 및 살균수 생성 모듈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5125B1 (ko) 차아염소산 발생을 통해 살균수를 제조하는 장치
CN112263196B (zh) 一种电解控制方法、装置、电解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211041387U (zh) 热水设备
CN203251901U (zh) 臭氧浓度可调的果蔬解毒机
KR20170014064A (ko)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모듈화된 전기분해 장치
WO2014064571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an oxidative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