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684B1 -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684B1
KR102083684B1 KR1020130146407A KR20130146407A KR102083684B1 KR 102083684 B1 KR102083684 B1 KR 102083684B1 KR 1020130146407 A KR1020130146407 A KR 1020130146407A KR 20130146407 A KR20130146407 A KR 20130146407A KR 102083684 B1 KR102083684 B1 KR 10208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vehicle
signal strength
strength valu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974A (ko
Inventor
박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84B1/ko
Priority to CN201410602293.0A priority patent/CN104684105B/zh
Publication of KR2015006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무선 기기 연결 시 인증 절차를 단순화한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태깅 영역의 기능이 작동되는 단계, 태깅 영역에 태그된 무선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신호의 제1신호세기값을 통해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의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시 태그된 무선기기를 목표물로 설정하는 단계, 무선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무선기기로부터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응답 수신 시 무선기기와 차량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a vehicle and wireless machines}
본 발명은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과 무선 기기 연결 시 인증 절차를 단순화한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제품 등의 멀티미디어 무선기기가 많아지면서 이 제품들을 차량에도 적용시키기 위한 무선 연결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Wi-Fi Direct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기술의 연결시스템은 연결을 원하는 멀티미디어 무선기기와 차량 양쪽 모두에서 정해진 연결 절차에 따라 SW/HW 스위치나 버튼을 눌러서 인증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즉, 양쪽 모두의 조작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Wi-Fi Direct 기술은 연결을 위해 주로 WPS(Wifi Positioning System) push 방식의 인증 절차를 이용하는데, 이 방식은 연결을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무선기기나 연결을 요청받는 차량 모두 스위치나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블루투스 기술의 경우에도 최초 연결 시 연결을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무선기기나 요청받는 차량 한쪽에서 연결을 위해 차량의 SW버튼을 누르는 절차가 필요했다.
이러한 방식은 운전자가 운전 중이거나 바쁜 상황에 있을 경우 새로운 기기의 연결을 원할 시 정해진 절차에 따라서 직접 연결 동작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이가 많거나 전자 제품에 관심이 없는 사용자들은 무선 연결 절차를 어려워하고 꺼려해 시스템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37017호(출원일 : 2011.10.05)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과 무선기기의 연결 시, 무선기기의 신호세기를 통해 무선 연결 인증 절차를 단순화한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태깅 영역의 기능이 작동되는 단계, 태깅 영역에 태그된 무선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신호의 제1신호세기값을 통해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의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시 태그된 무선기기를 목표물로 설정하는 단계, 무선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무선기기로부터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응답 수신 시 무선기기와 차량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태깅 영역 기능의 작동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의 하드웨어 신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제1신호세기값 및 제2신호세기값은 무선신호를 수치화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통해 산출된다. 제1신호세기값은 -20dBm 이상, 제2신호세기값은 0dBm, 일정 시간은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응답 수신 여부 판단 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연결 요청 프레임 송신 단계에서 연결 요청 프레임 송신을 3회까지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따르면, 무선기기의 신호세기를 통해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인증 절차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차량과 무선기기의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의 흐름도; 및
도 2는 차량의 태깅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은 차량의 태깅 영역의 기능이 작동되는 단계(S110); 태깅 영역에 태그된 무선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 수신한 신호의 제1신호세기값을 통해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S130);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의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시 태그된 무선기기를 목표물로 설정하는 단계(S150); 무선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S160); 무선기기로부터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0); 응답 수신 시 무선기기와 차량을 연결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태깅 영역(110)의 기능 작동 단계(S110)에서는 태깅 영역(110)의 기능 작동 여부를 GPIO 등과 같은 하드웨어 신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태깅 영역(11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출력 핀을 말하는데, 차량의 태깅 영역(110)에 무선 기기를 태그하는 경우 무선 기기의 신호를 GPIO로 보내고 이를 통해 태깅 영역(110)의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면 다음 무선 기기 태그 시 자동으로 태깅 영역(110)의 기능이 작동된다.
이러한 하드웨어 신호를 통해 태깅 영역(110)의 기능을 ON 상태로 만들 수 있다.
태깅 영역(110)에 태그된 무선기기의 신호 수신 단계(S120)에서는 차량 내부에 있는 사용자가 태깅 영역(110)에 무선기기를 태그함으로써 태깅 영역(110)과 무선기기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태깅 영역(110)이 무선기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신호의 제1신호세기값을 통해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S130)에서는 신호세기가 강해야 무선기기가 어떤 무선 기술을 통한 연결을 하기 원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1신호세기값이 -20dBm 이상이어야 한다.
신호세기값은 무선신호를 수치화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의미하는 것으로,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모두 신호의 세기를 RSSI로 수치화할 수 있다.
RSSI는 일반적으로 0부터 -100dBm까지 또는 0부터 -127dBm까지의 범위로 나타나며 0부터 -60dBm까지는 수신상태 양호, -61dBm 내지 -70dBm은 보통, -70dBm 이하는 수신상태 좋지 않음으로 분류된다.
만약 이 단계에서 두 종류의 무선 기능이 모두 켜져 있다면 어떤 기능을 이용할지는 사용자가 선택해야만 한다.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의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는 제2신호세기값이 0dBm으로,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이 0인 상태에서 1초 이상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
제2신호세기값(RSSI)가 0이라는 것은 무선신호가 가장 큰 수치임을 의미하며, 제2신호세기값이 0인 상태에서 1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무선기기가 연결 의사를 가지고 태깅 영역(110)에 태그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제2신호세기값이 0인 상태에서 1초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면 연결을 원치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 절차를 종료한다.
무선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S160)에서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차량에서 무선 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다.
무선기기로부터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0)에서는 응답 수신의 경우 무선기기로부터 연결 요청 응답 프레임을 자동적으로 수신받음으로써 판단이 가능하고 무선기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연결 요청 프레임 송신 단계를 3회까지 재시도한다.
응답 수신 시 차량과 무선기기를 연결하는 단계(S180)에서는 최종적으로 상기 단계들에서 판단된 무선 연결할 기능과 차량의 기능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따르면, 무선기기의 신호세기를 통해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인증 절차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차량과 무선기기의 연결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10 : 태깅 영역

Claims (7)

  1. 차량의 태깅 영역의 기능이 작동되는 단계;
    상기 태깅 영역에 태그된 무선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의 제1신호세기값을 통해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연결할 기능의 제2신호세기값의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지속 시 태그된 무선기기를 목표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기에 연결 요청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응답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응답 수신 시 무선기기와 차량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신호세기값 및 제2신호세기값은,
    무선신호를 수치화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통해 산출되며,
    상기 제1신호세기값은,
    -20 dBm 이상이며,
    무선 연결할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에서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의 무선 기능이 모두 켜져 있다면, 어떤 무선 기능을 연결할지 사용자가 선정하도록 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깅 영역 기능의 작동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의 하드웨어 신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세기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수신 여부 판단 시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연결 요청 프레임 송신 단계에서 연결 요청 프레임 송신을 3회까지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KR1020130146407A 2013-11-28 2013-11-28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KR10208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407A KR102083684B1 (ko) 2013-11-28 2013-11-28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CN201410602293.0A CN104684105B (zh) 2013-11-28 2014-10-31 车辆与无线设备间连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407A KR102083684B1 (ko) 2013-11-28 2013-11-28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74A KR20150061974A (ko) 2015-06-05
KR102083684B1 true KR102083684B1 (ko) 2020-03-02

Family

ID=5331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407A KR102083684B1 (ko) 2013-11-28 2013-11-28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3684B1 (ko)
CN (1) CN1046841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7002B4 (de) * 2015-09-04 2017-06-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fbau einer drahtlosen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einem Mobilgerät und einem Fahrzeug
DE102016204996B3 (de) * 2016-03-24 2017-05-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Gruppenbildung von Geräten durch Ortung
KR20210092614A (ko) 2020-01-16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9567A (zh) * 2007-09-26 2009-04-01 艾威梯软件技术(北京)有限公司 自动发起蓝牙连接认证的方法和认证发起设备
CN103141125A (zh) * 2010-09-28 2013-06-05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9722A (zh) * 2007-09-25 2009-04-01 海尔集团公司 无线网络设备接入方法及系统
EP2355563A1 (en) * 2010-02-10 2011-08-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JP5214751B2 (ja) * 2011-02-15 2013-06-1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
KR20130037017A (ko) 2011-10-05 2013-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1982A (ko) * 2011-12-02 201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9567A (zh) * 2007-09-26 2009-04-01 艾威梯软件技术(北京)有限公司 自动发起蓝牙连接认证的方法和认证发起设备
CN103141125A (zh) * 2010-09-28 2013-06-05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974A (ko) 2015-06-05
CN104684105A (zh) 2015-06-03
CN104684105B (zh)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5026B2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2140753B1 (ko) 무선 기기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2017024347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binding a remote control
US11337254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20051744A1 (zh) 辅服务小区波束失败的上报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5100190A (zh) 对账户与设备的控制关系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EP2884814B1 (en) Radio communications
EP4231674A1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resource sel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5058506A1 (zh) 一种多屏互动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40133584A1 (en) Bluetooth device and related communications establishing method
KR102083684B1 (ko) 차량과 무선기기 간 연결 방법
US20220201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nd vehicle
JP2015516717A5 (ko)
CN114630305A (zh) 用于在设备之间建立双向链路的设备、系统和方法
KR101907075B1 (ko) 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92325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ai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JP2016096575A5 (ko)
CN107147692B (zh) 一种车辆体检方法及服务器
JP2009267851A5 (ko)
CN110169101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1024493A1 (ja) 端末
KR101754766B1 (ko) 원격제어 불능 상태에서 신속한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615222B (zh) 通信装置以及介质
CN104168045A (zh) 数据传输方法和数据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