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25B1 -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25B1
KR102083525B1 KR1020190157154A KR20190157154A KR102083525B1 KR 102083525 B1 KR102083525 B1 KR 102083525B1 KR 1020190157154 A KR1020190157154 A KR 1020190157154A KR 20190157154 A KR20190157154 A KR 20190157154A KR 102083525 B1 KR102083525 B1 KR 10208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hole
screw
bearing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건설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57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33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amage, crack or w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열폭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홈(21)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안내홈(21)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0);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31);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플랫바(32);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스케일 지지블록(33);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형성되는 스케일 삽입홈(35); 스케일 지지블록(33)과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양단이 지지되는 디지털 스케일(40);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결합되는 고정편(36); 디스플레이부(42)를 갖는 위치검출기(41);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연장되는 확대경 지지부(23); 확대경 지지부(23)에 형성되는 개방홈(24); 확대경 지지부(23)에 형성되는 슬리브 삽입구멍(25); 투광슬리브(51)을 갖는 확대경(50); 디지털 스케일(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원점조절스크류(60); 위치검출기(41)에 설치되는 커플러(43); 위치검출기(41)의 위치를 조절하는 측정스크류(65); 측정스크류(65)에 설치되는 측정노브(66); 스케일 지지블록(33)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연장부(37); 커플러(43)로부터 연장되는 제 2연장부(44); 균열부(12)의 일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조(70); 균열부(12)의 타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측정조(7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Concrete Crack Width Measur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Check}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 폭을 정밀하게 측정하는데 이용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열폭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단계와 사용단계를 거쳐 사용수명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붕괴나 인위적인 철거 또는 부실시공이나 파손 등에 의한 조기붕괴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생멸주기를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물의 붕괴원인은 사용수명의 경과로 인한 자연적인 원인도 일부분을 차지하겠지만 거의 대부분은 시공단계나 사용단계에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의 변형 중에서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현상은 균열의 폭이 미세하여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균열의 진행속도 또한 매우 느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공자나 사용자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기 쉬운 면이 있으나, 어떠한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며, 이와 같은 균열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이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균열자, 균열 변형 게이지, 스케일 루페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균열자에 의한 측정방법은, 눈금이 형성된 균열자를 이용하여서 균열폭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균열자는 균열폭을 개략적으로 측정하는데는 유용하지만 미세하고 정밀한 측정에는 부적합하였다.
균열 변형 게이지(strain gage)는, 기계적인 미세한 변화(strain)를 전기 신호로 검출하는 센서이며, 기계나 구조물의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치수의 변화, 즉 저항치가 변화하는 물리현상을 이용해서 스트레인을 측정하며, 그 크기로부터 강도나 안정성을 확인 하는데 중요한 응력(Stress)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균열 변형 게이지는 가격이 고가이고 휴대가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스케일 루페는, 스케일눈금이 인쇄된 투명스케일이 스케일 루페의 하단에 설치된 것으로, 투명스케일을 균열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초점 조절이 가능한 내부의 확대경을 이용해서 균열폭을 스케일 눈금과 비교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케일 루페는 비교적 정밀하게 균열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스케일눈금을 균열부 가장자리 모서리에 일치시키는 작업을 손으로 하기 때문에 손떨림에 의해 정밀하고 미세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 스케일 루페는 눈금의 분해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 눈금 이하의 치수는 육안에 의해 대략적인 측정만 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8446호(공고일 2013.03.2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88230호(공고일 2007.12.26.)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특1998-044227호(공개일 1998.09.0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979호(공고일 2004.06.0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55734호(공고일 2016.09.0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39282호(공고일 2014.09.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신속하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는, 상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안내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안내홈과 평행을 이루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랫바; 안내홈의 단부에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 위치결정홈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스케일 지지블록; 위치결정홈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안내홈과 평행을 이루는 스케일 삽입홈; 스케일 지지블록과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에 양단이 지지되는 디지털 스케일; 스케일 삽입홈으로 삽입된 디지털 스케일을 사이에 두고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에 결합되는 고정편; 디지털 스케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위치검출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확대경 지지부; 확대경 지지부의 저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홈; 확대경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개방홈을 향해 상하관통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삽입구멍; 슬리브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투광슬리브을 갖고, 콘크리트에 발생한 균열부를 관찰하는 확대경; 스케일 지지블록에 형성되는 제 1나사구멍;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제 1나사구멍에 결합되어 스케일 지지블록을 통해 디지털 스케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원점조절스크류; 원점조절스크류의 단부에 설치되는 원점조절노브; 위치검출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위치검출기와 함께 이동하는 커플러; 커플러에 형성되는 제 2나사구멍;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제 2나사구멍에 결합되어 커플러를 통해 위치검출기의 위치를 조절하는 측정스크류; 측정스크류의 단부에 설치되는 측정노브; 스케일 지지블록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연장부; 커플러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연장부; 제 1연장부에 설치되고, 개방홈을 통해 균열부의 일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조; 제 2연장부에 설치되고, 개방홈을 통해 균열부의 타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측정조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와 스케일 지지블록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스프링 걸림핀; 제 1스프링 걸림핀에 양단이 걸려서 원점조절스크류와 스케일 지지블록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1예압스프링;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와 커플러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스프링 걸림핀; 제 2스프링 걸림핀에 양단이 걸려서 측정스크류와 커플러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2예압스프링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투광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밀착면을 갖는 램프하우징; 램프하우징에 형성되는 수납실; 수납실로부터 반원밀착면을 향해 형성되는 노출구멍; 수납실에서 노출구멍으로 삽입되어 투광슬리브의 내부를 조명하는 발광소자; 램프하우징에 설치되어 발광소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개폐하는 점등스위치; 램프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상부반사판; 램프하우징의 저면을 덮는 하부반사판; 투광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램프하우징과 대향하고, 양단에 날개부가 형성되는 반원새들; 날개부에 설치되는 너트부; 너트부와 중심이 일치되도록 램프하우징에 형성되는 체결공; 체결공을 통해 너트부에 결합되는 클램프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기준조와 측정조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 1연장부와 제 2연장부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볼트결합부; 제 1연장부와 제 2연장부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탭구멍; 탭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볼트결합부에 각각 형성되고, 기준조와 측정조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수직장공; 수직장공을 통해 탭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볼트; 기준조와 측정조에 각각 형성되는 마킹구멍; 볼트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홀; 나사홀을 통해 확대경 지지부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기준조와 측정조가 서로 만나는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볼트; 위치결정볼트에 각각 결합되어 위치결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확대경 지지부의 저면에 중앙에 형성되고, 균열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원점조절스크류(60)와 원점조절노브(61)에 의해 기준조(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이동시켜서 기준조(70)에 형성된 에지부(70e)를 한쪽 균열모서리(L1)에 일치시켜서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정밀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측정노브(66)와 측정스크류(65)에 의해 측정조(75)가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되는 위치검출기(41)에 의해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읽어서 균열폭(W)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예압스프링(82)에 의해 스케일 지지블록(33)과 기준조(70)의 이동방향 흔들림이 제거되기 때문에 측정정밀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 2예압스프링(85)에 의해 커플러(43)와 측정조(75)의 이동방향 흔들림이 제거되기 때문에 측정정밀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수직장공(71h)(76h)이 형성된 볼트결합부(71)(76)가 기준조(70)와 측정조(75)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 조절볼트(72)(77)를 풀면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26)에 의해 균열모서리(L1)(L2)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광소자(92)가 내장된 램프하우징(90)을 반원새들(96)과 클램프볼트(98)에 의해 투광슬리브(51)의 외주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슬리브(51)의 내부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1)에 의해 스케일 지지블록(33)과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의 조립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기준조(70)와 측정조(75)에 형성된 마킹구멍(70h)(75h)에 의해 콘크리트(10)의 표면에 균열폭(W)을 측정한 위치를 편리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램프하우징(90)의 상하면에 설치된 상부반사판(94)과 하부반사판(95)에 의해 투광슬리브(51)의 내부를 보다 더 밝게 조명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된 이격홈(30g)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30)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를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저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조와 측정조의 에지부를 좌우측 균열모서리에 일치시켜서 균열폭을 측정하는 것을 보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21)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안내홈(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0); 안내홈(21)과 평행을 이루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31);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랫바(3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플랫바(32)는, 예를 들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플랫바(32)에 형성하고, 체결볼트(32m)를 플랫바(32)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설치될 수 있다.
플랫바(32)의 일측 가장자리가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고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0)를 직선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안내홈(21)과 간격을 형성하는 이격홈(30g)을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저면에 형성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20) 간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내홈(21)의 단부에 삽입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 위치결정홈(31)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스케일 지지블록(33); 위치결정홈(31)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와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는, 예를 들면 베어링 지지구멍(22h)(34h)을 각각 형성하고, 베어링(67a)(67b)(68a)(68b)의 외륜을 베어링 지지구멍(22h)(34h)으로 삽입한 다음 하기의 원점조절스크류(60)와 측정스크류(65)를 베어링(67a)(67b)(68a)(68b)의 내륜에 의해 지지해서 원점조절스크류(60)와 측정스크류(6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의 저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22m)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의 저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34m)를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를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 지지블록(33)의 저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33m)를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스케일 지지블록(33)을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의 상면에 형성되고, 안내홈(21)과 평행을 이루는 스케일 삽입홈(35); 스케일 지지블록(33)과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양단이 지지되는 디지털 스케일(40); 스케일 삽입홈(35)으로 삽입된 디지털 스케일(40)을 사이에 두고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결합되는 고정편(36); 디지털 스케일(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2)를 갖는 위치검출기(41)를 포함한다.
위치검출기(41)는, 예를 들면 도 1,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을 개폐하기 위한 전원스위치(SW1)가 구비되며, 하기의 기준조(70)에 형성된 에지부(70e)를 한쪽 균열모서리(L1)에 일치시킨 다음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에지부(70e)(75e)를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원점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원점세팅스위치(SW2)를 구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2)를 통해 출력되는 균열폭(W)의 측정단위를 밀리미터 또는 인치로 번갈아 전환할 수 있는 단위변환스위치(SW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의 상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고정편(36)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36m)를 고정편(36)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디지털 스케일(40)의 타측 단부를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설치할 수 있다.
디지털 스케일(40)의 나머지 일측 단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일 지지블록(33)의 상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디지털 스케일(40)의 일측 단부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40m)를 디지털 스케일(40)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디지털 스케일(40)의 일측 단부를 스케일 지지블록(33)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확대경 지지부(23);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홈(24); 확대경 지지부(23)의 상면으로부터 개방홈(24)을 향해 상하관통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삽입구멍(25); 슬리브 삽입구멍(25)에 삽입되는 투광슬리브(51)을 갖고, 콘크리트(10)에 발생한 균열부(12)를 관찰하는 확대경(50)을 포함한다.
확대경 지지부(23)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대경 지지부(23)를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개방홈(24)은, 하기의 기준조(70)와 측정조(75)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투광슬리브(51)는, 예를 들면 투명한 재질로 성형해서 외부의 자연광 또는 인공조명에 의해 투광슬리브(51)의 내부와 균열부(12)가 발생된 콘크리트(10)의 표면을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투광슬리브(51)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삽입구멍(25)에 접착될 수 있으며, 확대경(50)은 예컨대 확대 배율 조절이 자유롭고 초점 조절이 가능한 줌루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형성되는 제 1나사구멍(33t);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제 1나사구멍(33t)에 결합되어 스케일 지지블록(33)을 통해 디지털 스케일(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원점조절스크류(60); 원점조절스크류(60)의 단부에 설치되는 원점조절노브(61)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7a)(67b)의 내륜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원점조절스크류(60)의 일측 외주면에 걸림턱(60t)을 형성하고, 원점조절스크류(60)의 타측 외주면에 스냅링(67c) 설치를 위한 멈춤홈(60g)을 형성해서 베어링(67a)(67b)의 내륜에 각각 걸리는 걸림턱(60t)과 스냅링(67c)에 의해 원점조절스크류(60)가 회전되는 동안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치검출기(41)의 저면에 설치되어 위치검출기(41)와 함께 이동하는 커플러(43); 커플러(43)에 형성되는 제 2나사구멍(43t);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제 2나사구멍(43t)에 결합되어 커플러(43)를 통해 위치검출기(41)의 위치를 조절하는 측정스크류(65); 측정스크류(65)의 단부에 설치되는 측정노브(66)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8a)(68b)의 내륜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측정스크류(65)의 타측 외주면에 걸림턱(65t)을 형성하고, 측정스크류(65)의 일측 외주면에 스냅링(68c) 설치를 위한 멈춤홈(65g)을 형성해서 베어링(68a)(68b)의 내륜에 각각 걸리는 걸림턱(65t)과 스냅링(68c)에 의해 측정스크류(65)가 회전되는 동안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검출기(41)의 저면에 탭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하고, 커플러(43)에는 탭구멍(부호생략)과 중심이 일치되는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 다음 체결볼트(43m)를 커플러(43)에 형성된 볼트구멍(부호생략)을 통해 위치검출기(41)에 형성된 탭구멍(부호생략)에 결합해서 커플러(43)를 위치검출기(41)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케일 지지블록(3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연장부(37); 커플러(43)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연장부(44); 제 1연장부(37)에 설치되고, 개방홈(24)을 통해 균열부(12)의 일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조(70); 제 2연장부(44)에 설치되고, 개방홈(24)을 통해 균열부(12)의 타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측정조(75)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장부(37)와 제 2연장부(44)는 ㄱ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연장부(37)는 스케일 지지블록(33)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제 2연장부(44)는 커플러(43)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기준조(70)와 측정조(75)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L자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기준조(70)와 측정조(75)가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만나거나 멀어진다.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단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된 에지부(70e)(75e)를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지부(70e)(75e)를 균열부(12)의 좌우측 균열모서리(L1)(L2)에 각각 일치시켜서 균열폭(W)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와 스케일 지지블록(33)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스프링 걸림핀(80)(81); 제 1스프링 걸림핀(80)(81)에 양단이 걸려서 원점조절스크류(60)와 스케일 지지블록(33)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1예압스프링(82);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와 커플러(43)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스프링 걸림핀(83)(84); 제 2스프링 걸림핀(83)(84)에 양단이 걸려서 측정스크류(65)와 커플러(43)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2예압스프링(85)을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스프링 걸림핀(80)(81)을 설치하기 위해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와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핀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스프링 걸림핀(83)(84)을 설치하기 위해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와 커플러(43)에 핀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예압스프링(82)과 제 2예압스프링(8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스프링 걸림핀(80)(81)과 제 2스프링 걸림핀(83)(84)의 외주면에 환형홈(부호생략)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제 1예압스프링(82)과 제 2예압스프링(85)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양단에 고리를 형성한 인장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예압스프링(82)은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형성된 제 1나사구멍(33t)과 원점조절스크류(60)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해 원점조절스크류(60)가 축방향으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제 2예압스프링(85)도 마찬가지로 커플러(43)에 형성된 제 2나사구멍(43t)과 측정스크류(65)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해 측정스크류(65)가 축방향으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투광슬리브(5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밀착면(90a)을 갖는 램프하우징(90); 램프하우징(90)에 형성되는 수납실(91); 수납실(91)로부터 반원밀착면(90a)을 향해 형성되는 노출구멍(90b); 수납실(91)에서 노출구멍(90b)으로 삽입되어 투광슬리브(51)의 내부를 조명하는 발광소자(92); 램프하우징(90)에 설치되어 발광소자(92)로 공급되는 전류를 개폐하는 점등스위치(93); 램프하우징(90)의 상면을 덮는 상부반사판(94); 램프하우징(90)의 저면을 덮는 하부반사판(95)을 포함한다.
램프하우징(90)은,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92)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부반사판(94)과 하부반사판(95)은 램프하우징(90)의 상하면에 각각 접착될 수 있다.
램프하우징(90)이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경우 램프하우징(90)의 좌우측면과 후면에 은박테이프(도시생략)를 부착할 수 있다.
발광소자(92)로 공급되는 전원은 예컨대 배터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92)와 전원 사이에 전류제한저항(도시생략)을 접속하면 발광소자(92)의 밝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광슬리브(5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램프하우징(90)과 대향하고, 양단에 날개부(96a)가 형성되는 반원새들(96); 날개부(96a)에 설치되는 너트부(97); 너트부(97)와 중심이 일치되도록 램프하우징(90)에 형성되는 체결공(90h); 체결공(90h)을 통해 너트부(97)에 결합되는 클램프볼트(98)를 포함한다.
반원새들(96)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제 1연장부(37)와 제 2연장부(44)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볼트결합부(71)(76); 제 1연장부(37)와 제 2연장부(44)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탭구멍(37t)(44t); 탭구멍(37t)(44t)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볼트결합부(71)(76)에 각각 형성되고,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수직장공(71h)(76h); 수직장공(71h)(76h)을 통해 탭구멍(37t)(44t)에 각각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볼트(72)(77)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볼트(72)(77)를 풀면 수직장공(71h)(76h)을 따라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높낮이를 설정한 후 풀어져 있던 높낮이 조절볼트(72)(77)를 다시 타이트 하게 조이면 기준조(70)와 측정조(75)가 조절된 높낮이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준조(70)와 측정조(75)에 각각 형성되는 마킹구멍(70h)(75h); 볼트결합부(71)(76)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홀(71t)(76t); 나사홀(71t)(76t)을 통해 확대경 지지부(23)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기준조(70)와 측정조(75)가 서로 만나는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볼트(73)(78); 위치결정볼트(73)(78)에 각각 결합되어 위치결정볼트(73)(78)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74)(79)를 포함한다.
마킹구멍(70h)(75h)은, 마킹펜(도시생략) 또는 분필(도시생략)과 같은 필기도구를 이용해서 콘크리트(10)의 표면에 측정위치를 표시할 때 사용된다.
위치결정볼트(73)(78)는, 기준조(70)와 측정조(75)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준조(70)와 측정조(75)의 에지부(70e)(75e)가 서로 접촉되었을 때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 중앙에 형성되고, 균열부(1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26)을 포함한다.
간섭방지홈(26)은 깨지기 쉬운 균열모서리(L1)(L2)를 보호해서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0)에 발생한 균열부(12)의 균열폭(W)을 측정하기 위해 램프하우징(90)에 설치된 점등스위치(93)의 접점이 닫히는 위치로 점등스위치(93)를 전환하면 발광소자(92)가 점등되면서 투광슬리브(51) 내부가 밝게 조명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확대경 지지부(23)를 콘크리트(10)의 표면에 밀착시키면서 확대경(50)의 중앙에 균열부(12)가 위치되도록 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0)와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26)에 균열부(12)가 위치된다.
그 다음 왼손을 이용해서 원점조절노브(6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케일 지지블록(33)이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0), 디지털 스케일(40), 위치검출기(41),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 커플러(43), 기준조(70) 및 측정조(75)가 모두 함께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안내홈(21)과 플랫바(32)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선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기준조(70)와 측정조(75)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조(70)를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기준조(70)에 형성된 에지부(70e)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균열모서리(L1)(L2) 중 좌측에 위치된 균열모서리(L1)에 일치시킨 후 원점조절노브(61)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기준조(70)의 에지부(70e)가 좌측에 위치된 균열모서리(L1)에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측정노브(66)를 돌리면, 커플러(43)와 위치검출기(41) 및 측정조(75)가 디지털 스케일(40)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조(75)의 에지부(75e)를 기준조(70)의 에지부(70e)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위치검출기(41)의 전원스위치(SW1)를 "ON"상태로 전환한 다음 원점세팅스위치(SW2)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42)에 측정거리가 "0 mm"로 표시되어 원점 세팅이 완료된다.
그 다음 오른손으로 측정노브(66)를 돌려서 측정조(75)에 형성된 에지부(75e)를 기준조(70)에 형성된 에지부(70e)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조(75)의 에지부(75e)가 양쪽 균열모서리(L1)(L2) 중 우측에 위치된 균열모서리(L2)에 일치되었을 때 회전을 멈춘다.
이때 위치검출기(41)의 디스플레이부(42)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이동거리가 균열폭(W)과 일치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측정조(75)가 위치검출기(41)가 디지털 스케일(40)을 따라 움직일 때 위치검출기(41)의 디스플레이부(42)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동길이가 표시되어 나타나게 된다.
10 : 콘크리트 12 : 균열부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 안내홈
22 :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 22m,32m,33m,34m,36m,40m,43m : 체결볼트
22h,34h : 베어링 지지구멍 23 : 확대경 지지부
24 : 개방홈 25 : 슬리브 삽입구멍
26 : 간섭방지홈 30 : 슬라이드 플레이트
30g : 이격홈 31 : 위치결정홈
32 : 플랫바 33 : 스케일 지지블록
33t : 제 1나사구멍 34 :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
37t,44t : 탭구멍 35 : 스케일 삽입홈
36 : 고정편 37 : 제 1연장부
40 : 디지털 스케일 41 : 위치검출기
42 : 디스플레이부 43 : 커플러
43t : 제 2나사구멍 44 : 제 2연장부
50 : 확대경 51 : 투광슬리브
60 : 원점조절스크류 60g,65g : 멈춤홈
60t,65t : 걸림턱 61 : 원점조절노브
65 : 측정스크류 66 : 측정노브
67a,67b,68a,68b : 베어링 67c,68c : 스냅링
70 : 기준조 70e,75e : 에지부
75 : 측정조 70h,75h : 마킹구멍
71,76 : 볼트결합부 71h,76h : 수직장공
71t,76t : 나사홀 72,77 : 높낮이 조절볼트
73,78 : 위치결정볼트 74,79 : 풀림방지너트
80,81 : 제 1스프링 걸림핀 82 : 제 1예압스프링
83,84 : 제 2스프링 걸림핀 85 : 제 2예압스프링
90 : 램프하우징 90a : 반원밀착면
90b : 노출구멍 90h : 체결공
91 : 수납실 92 : 발광소자
93 : 점등스위치 94 : 상부반사판
95 : 하부반사판 96 : 반원새들
96a : 날개부 97 : 너트부
98 : 클램프볼트 SW1 : 전원스위치
SW2 : 원점세팅스위치 SW3 : 단위변환스위치
L1,L2 : 균열모서리 W : 균열폭

Claims (5)

  1. 상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21)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안내홈(2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0);
    상기 안내홈(21)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3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랫바(32);
    상기 안내홈(21)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
    상기 위치결정홈(31)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스케일 지지블록(33);
    상기 위치결정홈(31)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30)에 설치되는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
    상기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21)과 평행을 이루는 스케일 삽입홈(35);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과 상기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양단이 지지되는 디지털 스케일(40);
    상기 스케일 삽입홈(35)으로 삽입된 상기 디지털 스케일(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결합되는 고정편(36);
    상기 디지털 스케일(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2)를 갖는 위치검출기(4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확대경 지지부(23);
    상기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홈(24);
    상기 확대경 지지부(2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개방홈(24)을 향해 상하관통형으로 형성되는 슬리브 삽입구멍(25);
    상기 슬리브 삽입구멍(25)에 삽입되는 투광슬리브(51)을 갖고, 콘크리트(10)에 발생한 균열부(12)를 관찰하는 확대경(50);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에 형성되는 제 1나사구멍(33t);
    상기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 1나사구멍(33t)에 결합되어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을 통해 상기 디지털 스케일(40)의 위치를 조절하는 원점조절스크류(60);
    상기 원점조절스크류(60)의 단부에 설치되는 원점조절노브(61);
    상기 위치검출기(41)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위치검출기(41)와 함께 이동하는 커플러(43);
    상기 커플러(43)에 형성되는 제 2나사구멍(43t);
    상기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 2나사구멍(43t)에 결합되어 상기 커플러(43)를 통해 상기 위치검출기(41)의 위치를 조절하는 측정스크류(65);
    상기 측정스크류(65)의 단부에 설치되는 측정노브(66);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1연장부(37);
    상기 커플러(43)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 2연장부(44);
    상기 제 1연장부(37)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홈(24)을 통해 상기 균열부(12)의 일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기준조(70);
    상기 제 2연장부(44)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홈(24)을 통해 상기 균열부(12)의 타측 모서리에 일치시키기 위한 측정조(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베어링 지지체(22)와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스프링 걸림핀(80)(81);
    상기 제 1스프링 걸림핀(80)(81)에 양단이 걸려서 상기 원점조절스크류(60)와 상기 스케일 지지블록(33)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1예압스프링(82);
    상기 가동측 베어링 지지체(34)와 상기 커플러(43)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스프링 걸림핀(83)(84);
    상기 제 2스프링 걸림핀(83)(84)에 양단이 걸려서 상기 측정스크류(65)와 상기 커플러(43) 간에 예압을 부여하는 제 2예압스프링(8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슬리브(5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밀착면(90a)을 갖는 램프하우징(90);
    상기 램프하우징(90)에 형성되는 수납실(91);
    상기 수납실(91)로부터 상기 반원밀착면(90a)을 향해 형성되는 노출구멍(90b);
    상기 수납실(91)에서 상기 노출구멍(90b)으로 삽입되어 상기 투광슬리브(51)의 내부를 조명하는 발광소자(92);
    상기 램프하우징(90)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92)로 공급되는 전류를 개폐하는 점등스위치(93);
    상기 램프하우징(90)의 상면을 덮는 상부반사판(94);
    상기 램프하우징(90)의 저면을 덮는 하부반사판(95);
    상기 투광슬리브(5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램프하우징(90)과 대향하고, 양단에 날개부(96a)가 형성되는 반원새들(96);
    상기 날개부(96a)에 설치되는 너트부(97);
    상기 너트부(97)와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램프하우징(90)에 형성되는 체결공(90h);
    상기 체결공(90h)을 통해 상기 너트부(97)에 결합되는 클램프볼트(9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조(70)와 상기 측정조(75)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연장부(37)와 상기 제 2연장부(44)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볼트결합부(71)(76);
    상기 제 1연장부(37)와 상기 제 2연장부(44)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탭구멍(37t)(44t);
    상기 탭구멍(37t)(44t)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볼트결합부(71)(76)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준조(70)와 상기 측정조(75)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수직장공(71h)(76h);
    상기 수직장공(71h)(76h)을 통해 상기 탭구멍(37t)(44t)에 각각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볼트(72)(77);
    상기 기준조(70)와 상기 측정조(75)에 각각 형성되는 마킹구멍(70h)(75h);
    상기 볼트결합부(71)(76)에 각각 형성되는 나사홀(71t)(76t);
    상기 나사홀(71t)(76t)을 통해 상기 확대경 지지부(23)의 좌우 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상기 기준조(70)와 상기 측정조(75)가 서로 만나는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볼트(73)(78);
    상기 위치결정볼트(73)(78)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위치결정볼트(73)(78)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74)(7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확대경 지지부(23)의 저면에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균열부(1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KR1020190157154A 2019-11-29 2019-11-29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KR10208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54A KR102083525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54A KR102083525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25B1 true KR10208352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154A KR102083525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702A (zh) * 2021-07-26 2021-09-21 重庆大学 一种变桨轴承高强度钢裂纹模拟监测试验装置
CN113847855A (zh) * 2021-09-01 2021-12-28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玻璃基板缺陷位置的条纹支架
KR102537679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KR102537671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KR102538618B1 (ko) * 2022-05-10 2023-05-31 대양이엔티(주) 쿼츠 이동지그
CN116295168A (zh) * 2023-04-18 2023-06-23 宁波环驰太平洋轴承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的轴承外圈制动槽检测装置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CN116295168B (zh) * 2023-04-18 2024-06-04 宁波环驰太平洋轴承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的轴承外圈止动槽检测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27A (ko) 1996-12-06 1998-09-05 홍관의 구조물의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크랙 게이지
KR200351979Y1 (ko) 2004-01-09 2004-06-02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KR20040103884A (ko) * 2004-11-19 2004-12-09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업무용 콘크리트 균열 측정기
KR100788230B1 (ko) 2007-04-25 2007-12-26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KR101248446B1 (ko) 2011-08-22 2013-03-28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구조물 점검용 균열측정기
KR101439282B1 (ko) 2014-06-23 2014-09-12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KR101655734B1 (ko)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227A (ko) 1996-12-06 1998-09-05 홍관의 구조물의 균열을 측정하기 위한 크랙 게이지
KR200351979Y1 (ko) 2004-01-09 2004-06-02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구조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KR20040103884A (ko) * 2004-11-19 2004-12-09 주식회사 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업무용 콘크리트 균열 측정기
KR100788230B1 (ko) 2007-04-25 2007-12-26 에스큐엔지니어링(주) 구조물 점검용 휴대용균열측정기
KR101248446B1 (ko) 2011-08-22 2013-03-28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구조물 점검용 균열측정기
KR101439282B1 (ko) 2014-06-23 2014-09-12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정착대를 이용한 스마트폰 결합형 구조물 균열 측정장치
KR101655734B1 (ko)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702A (zh) * 2021-07-26 2021-09-21 重庆大学 一种变桨轴承高强度钢裂纹模拟监测试验装置
CN113847855A (zh) * 2021-09-01 2021-12-28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玻璃基板缺陷位置的条纹支架
CN113847855B (zh) * 2021-09-01 2023-10-20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测量玻璃基板缺陷位置的条纹支架
KR102538618B1 (ko) * 2022-05-10 2023-05-31 대양이엔티(주) 쿼츠 이동지그
KR102584301B1 (ko) * 2022-06-23 2023-10-06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용 균열 폭 측정기
KR102537679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을 위한 신축조인트의 유간 측정장치
KR102537671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구조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N116295168A (zh) * 2023-04-18 2023-06-23 宁波环驰太平洋轴承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的轴承外圈制动槽检测装置
CN116295168B (zh) * 2023-04-18 2024-06-04 宁波环驰太平洋轴承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的轴承外圈止动槽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525B1 (ko)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CN101600933B (zh) 卷尺
KR102069126B1 (ko)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US5150608A (en) Centering device for use with brinell hardness-measuring probe
US6098297A (en) Laser alignment tool
US5056238A (en) Pair of vernier calipers having a protractor
SA109300190B1 (ar) جهاز ونظام وطريقة لقياس سمات لأسنان اللولب على طرف ماسورة أو أنبوب
KR10236032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US10823543B2 (en) Sample gauge length and length after fracture measuring device
KR20030055082A (ko) 직각도 검사 시스템
JPH0843007A (ja) ねじ測定具
CN204329790U (zh) 一种千分尺检定装置
JP2010185814A (ja) 携帯型硬度測定装置
CN110360916B (zh) V形定位式内径、外径比较测量仪
GB2505193A (en) Surface Profile Measurement Probe
US1808816A (en) Screw thread testing device
KR20030057014A (ko) 러더의 스톡 및 핀틀 정렬 측정기
CN208238681U (zh) 一种测量杆类零件长度的检具
RU100261U1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к твердомеру бринелля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нагрузки и глубины вдавливания
CN219200297U (zh) 一种测量治具
CN219777512U (zh) 一种墙体质量检测装置
CN214372279U (zh) 腐蚀金属构件的厚度测量装置
KR102537674B1 (ko)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358123B1 (ko)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US2016546A (en) Refl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