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094B1 -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094B1
KR102083094B1 KR1020180126839A KR20180126839A KR102083094B1 KR 102083094 B1 KR102083094 B1 KR 102083094B1 KR 1020180126839 A KR1020180126839 A KR 1020180126839A KR 20180126839 A KR20180126839 A KR 20180126839A KR 102083094 B1 KR102083094 B1 KR 10208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fixing frame
box
inner portio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102018012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고정 틀은, 받침대에 지지된 케이크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기 케이크를 수용하는 상자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가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을 노출하는 개구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크의 측면 및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Fixing frame and cake packag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크의 운반이나 배달을 위해 상기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크는 받침대에 놓여진 후, 상자에 수납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케이크를 운반할 때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케이크가 상기 받침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고정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크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 부재가 구비되더라도 흔들림이나 충격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상기 케이크가 이동하여 손상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크의 운반이나 배달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 틀을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틀은, 받침대에 지지된 케이크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기 케이크를 수용하는 상자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가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을 노출하는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 및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연결 부위들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에 상기 장식이 없는 경우, 상기 고정 틀을 상하 반전시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틀의 삽입과 배출을 위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틀을 보관할 때 다수의 상기 고정 틀들을 밀착하여 적층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는 상방 내측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틀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다수개로 등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케이크를 냉각하기 위한 아이스 팩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포장 구조물은, 케이크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크를 수용하는 상자 및 상기 케이크의 측면 및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케이크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가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을 노출하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연결 부위들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에 상기 장식이 없는 경우, 상기 고정 틀을 상하 반전시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틀은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의 운반이나 배달시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케이크를 지지하는 측면의 하단을 따라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장식이 있는 경우 상기 개구가 상기 장식을 노출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이 상기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장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틀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중공 형상의 내부에 아이스 팩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를 운반하거나 배달하는 도중에 상기 케이크가 상하거나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다수 개로 등분할 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이 등분할 되므로, 상기 고정 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이 동일한 모양을 가지므로, 상기 고정 틀이 분할되더라도 분할된 상기 고정 틀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은 상기 파지 홈을 구비하므로 상기 파지 홈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상기 고정 틀을 상기 케이크와 상기 상자 사이로 삽입하거나 상기 케이크와 상기 상자 사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포장 구조물은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는 띠지가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 틀이 상기 케이크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 표면의 생크림 등이 상기 고정 틀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 틀이 구비된 케이크 포장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포장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크 포장 구조물(100)은 받침대(110), 고정 부재(120), 상자(130), 고정 틀(140) 및 띠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10)는 케이크(1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받침대(110)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 원판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110)의 크기는 상기 케이크(1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크(10)는 원기둥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며, 사각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10)가 상기 케이크(10) 이외에 원기둥 형상이나 사각기둥 형상 등을 갖는 빵이나 떡 등을 지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 포장 구조물(100)은 상기 빵이나 떡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면의 중앙 부위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120)는 상기 받침대(1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케이크(10)의 하부면을 통해 상기 케이크(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크(10)가 상기 받침대(11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크(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자(130)는 상기 받침대(110)에 지지된 상기 케이크(10)를 수용한다. 상기 상자(130)의 수평 단면 형상은 상기 받침대(1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상자(130)는 대략 중공의 육면체 형상, 원기둥 형상 등을 갖는다.
상기 상자(130)는 상기 케이크(10)를 수용하기 위해 측면이 개방되거나 상부면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자(130)는 종이 재질, 플라스틱 재질, 스티로폼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110)의 크기는 상기 상자(130)의 내부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10)의 측면이 상기 상자(130)의 내측면과 밀착하므로, 상기 상자(130) 내에서 상기 받침대(11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140)은 상기 케이크(10)의 측면 및 상기 상자(130)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틀(140)은 상기 상자(130)의 내측 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케이크(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140)은 상기 상자(130) 내에서 상기 케이크(10)의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140)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하부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14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틀(140)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14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틀(140)은 내측부(140a), 외측부(140b) 및 연결부(140c)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부(140a), 상기 외측부(140b) 및 상기 연결부(140c)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140a)는 상기 케이크(10)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10)의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상기 케이크(10)가 상기 원기둥 형상인 경우, 상기 내측부(140a)의 수평 단면은 원 모양이며, 상기 케이크(10)가 상기 사각기둥 형상인 경우, 상기 내측부(140a)의 수평 단면은 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외측부(140b)는 상기 상자(130))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130))의 내측 측면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상기 상자(130)가 상기 육면체 형상인 경우, 상기 외측부(140b)의 수평 단면은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상자(130)가 상기 원기둥 형상인 경우, 상기 외측부(140b)의 수평 단면은 원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c)는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140c)는 상기 내측부(140a)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140b)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140a)는 상기 내측부(140a)의 하단 둘레를 따라 개구(14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부(140a)의 수직 방향 길이가 상기 외측부(140c)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짧다.
상기 케이크(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장식(12)이 있는 경우, 상기 개구(146)가 상기 내측부(140a)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개구(146)가 상기 장식(12)을 노출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140)이 상기 장식(1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146)를 통해 상기 고정 틀(140)에서 상기 중공의 내부 공간, 즉, 상기 내측부(140a), 상기 외측부(140b) 및 상기 연결부(140c)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상기 장식(12)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12)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크(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장식(12)이 없는 경우, 상기 고정 틀(140)을 반전하여 상기 케이크(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140)에서 상기 중공의 내부 공간에 아이스 팩(20)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팩(20)은 드라이 아이스, 얼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크(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12)이 있는 경우, 상기 장식(1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이스 팩(20)이 상기 고정 틀(14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케이크(10)가 상기 아이스 팩(20)에 의해 냉각되어 낮은 온도로 유지되므로, 상기 케이크(10)를 운반하거나 배달하는 도중에 상기 케이크(10)가 상하거나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팩(20)을 상기 고정 틀(140)의 내부 공간에 수납하므로, 상기 아이스 팩(2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고정 틀(140)이 상기 케이크(10)의 측면 및 상기 상자(130))의 내측 측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고정 틀(140)과 상기 케이크(10) 및 상기 상자(130))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고정 틀(140)을 삽입하거나 배출하기 어렵다.
상기 고정 틀(140)은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지 홈(142)을 구비한다. 상기 파지 홈(142)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상기 고정 틀(140)을 상기 케이크(10) 및 상기 상자(130)) 사이로 삽입하거나 상기 케이크(10) 및 상기 상자(130)) 사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틀(140)에서 측면을 이루는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140c)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가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외측부(140b)는 상방 내측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상기 고정 틀(140)들을 밀착하여 적층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상기 고정 틀(140)들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틀(140)은 비닐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일 수 있다. 즉, 상기 내측부(140a), 상기 외측부(140b) 및 상기 연결부(140c)가 상기 에어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틀(140)에 상기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고정 틀(140)은 별도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가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틀(140)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다수 개로 등분할 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고정 틀(140)은 도 4와 같이 이등분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등분이나 육등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틀(140)에서 분할된 부분에는 상기 연결부(140c)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140)의 분할된 부분에서 상기 고정 틀(140)이 상기 케이크(10)의 측면을 지지하는 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틀(140)이 등분할 되므로, 상기 고정 틀(14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틀(140)이 동일한 모양을 분할되므로, 분할된 상기 고정 틀(140)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틀(140)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도록 다수개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고정 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 틀이 구비된 케이크 포장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틀(140)은 보강 부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48)는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 즉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가 만나는 모서리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148)는 상기 외측부(140c)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 즉 상기 외측부(140b)와 상기 연결부(140c)가 만나는 모서리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48)는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140c)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부재(148)는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를 동시에 지지하거나, 상기 외측부(140c)와 상기 연결부(140c)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140c)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가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48)는 상기 고정 틀(1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틀(140)은 상기 케이크(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40c)는 상기 내측부(140a)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140b)의 상단을 연결하므로, 상기 보강 부재(148)가 상기 내측부(140a)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140c)와 상기 연결부(140c)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더라도 상기 고정 틀(140)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고정 틀(140)도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다수개로 등분할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틀(140)의 크기를 줄이고, 상기 고정 틀(140)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띠지(150)는 상기 케이크(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케이크(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장식(12)이 있는 경우, 상기 띠지(150)는 상기 장식(12)이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케이크(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띠지(150)는 상기 고정 틀(140)이 상기 케이크(10)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크(10)가 생크림 케이크이더라도 상기 생크림이 상기 고정 틀(140)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크 포장 구조물은 상기 고정 틀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크를 지지하므로,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며 상기 케이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케이크 포장 구조물 110 : 받침대
120 : 고정 부재 130 : 상자
140 : 고정 틀 142 : 파지 홈
146 : 개구 148 : 보강 부재
150 : 띠지 10 : 케이크
12 : 장식 20 : 아이스 팩

Claims (11)

  1. 받침대에 지지된 케이크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기 케이크를 수용하는 상자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가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의 수직 방향 길이가 상기 외측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짧도록 상기 내측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을 노출하는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 및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연결 부위들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에 상기 장식이 없는 경우, 상기 고정 틀을 상하 반전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의 삽입과 배출을 위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파지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을 보관할 때 다수의 상기 고정 틀들을 밀착하여 적층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는 상방 내측을 향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은 동일한 모양을 갖도록 다수개로 등분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측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연결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케이크를 냉각하기 위한 아이스 팩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틀.
  9. 케이크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케이크를 수용하는 상자; 및
    상기 케이크의 측면 및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자 내에서 상기 케이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틀은,
    상기 케이크의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자의 내측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의 상단과 상기 외측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가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장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부의 수직 방향 길이가 상기 외측부의 수직 방향 길이보다 짧도록 상기 내측부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기 장식을 노출하는 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및 상기 외측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연결 부위들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크의 하단 둘레에 상기 장식이 없는 경우, 상기 고정 틀을 상하 반전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KR1020180126839A 2018-10-23 2018-10-23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KR10208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39A KR102083094B1 (ko) 2018-10-23 2018-10-23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39A KR102083094B1 (ko) 2018-10-23 2018-10-23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094B1 true KR102083094B1 (ko) 2020-02-28

Family

ID=6963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39A KR102083094B1 (ko) 2018-10-23 2018-10-23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0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353A (en) * 1995-06-07 1999-05-04 Sabin; Jeffrey Michael Ice cream cone cake holder
JP2000289780A (ja) * 1999-04-08 2000-10-17 Shinji Ito ケーキ収納ケース
JP2001322629A (ja) * 2000-05-12 2001-11-20 Mic Brain Center:Kk ケーキ等の易損品の包装体
KR20100047978A (ko) * 2008-10-30 2010-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크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353A (en) * 1995-06-07 1999-05-04 Sabin; Jeffrey Michael Ice cream cone cake holder
JP2000289780A (ja) * 1999-04-08 2000-10-17 Shinji Ito ケーキ収納ケース
JP2001322629A (ja) * 2000-05-12 2001-11-20 Mic Brain Center:Kk ケーキ等の易損品の包装体
KR20100047978A (ko) * 2008-10-30 2010-05-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케이크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5167C (en) Shipping container for packing units
US5244094A (en) Molded pulp tray for holding cold containers
KR101913081B1 (ko)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KR100850876B1 (ko) 딸기 포장용기
RU2735963C2 (ru) Лоток для клубники
KR102083094B1 (ko)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US5823351A (en) Semiconductor crystal packaging device
US10807768B2 (en) Fixing frame and cake packaging structure including the fixing frame
US4009781A (en) Slide tray and tape cassette container
JP5612192B2 (ja) クレート
JP6919196B2 (ja) 果菜類輸送容器
KR101937624B1 (ko) 고정 틀 및 이를 갖는 케이크 포장 구조물
CN106275896B (zh) 显示屏模组防护结构
JP2013523541A (ja) クレート
BR112012024854A2 (pt) caixa
JP2005219795A (ja) 梱包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梱包装置
JP6530735B2 (ja) 搬送用容器
KR20120117173A (ko) 포장상자
KR20210091706A (ko) 적층 가능한 열가소성 계란판과 계란 포장 카톤
US202203432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EP3381833A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EP2007636B1 (en) Protection and transport container for bottles
JP3239850U (ja) 包装容器
US20040134804A1 (en) Container with movable sidewall
KR200410872Y1 (ko) 2열 적재식 딸기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