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02B1 -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802B1 KR102082802B1 KR1020180109119A KR20180109119A KR102082802B1 KR 102082802 B1 KR102082802 B1 KR 102082802B1 KR 1020180109119 A KR1020180109119 A KR 1020180109119A KR 20180109119 A KR20180109119 A KR 20180109119A KR 102082802 B1 KR102082802 B1 KR 102082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ue
- membrane
- influence value
- operation rate
- water treat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의 초기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수처리 시스템의 초기 정보들의 상관성에 의해 도출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이용해 최적의 고압 펌프 가동 범위를 도출하기 위해, 도 3에 개시된 수처리 시스템의 초기 정보들과 도 4에 개시된 그래프에 의해 도출된 산정식에 의해 산출된 펌프가동률 및 펌프효율에 의해 도출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의 실제 운영 정보 및 의 운영 정보에 따른 운영 예시를 나타낸 표이다.
도 7 내지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운영 예시를 나타낸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설비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이다.
110: 피처리수 탱크
120: 전처리 필터
130: 막여과부
134: 세척부
140: 처리수 탱크
150: 농축수 탱크
P1, P2: 펌프
H.P: 고압 펌프
SQ: 유량 센서
SP: 압력 센서
Claims (9)
- 막여과부(130);
상기 막여과부(130)의 전단에 위치하는 전처리 필터(120);
상기 막여과부(130)와 상기 전처리 필터(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압 펌프;
상기 막여과부(130)의 전단에 위치하는 압력 센서;
상기 고압 펌프에 연결되는 인버터;
상기 막여과부(130)의 배출 라인에 위치하는 유량계와 수질계측기; 및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수질계측기, 상기 인버터, 및 상기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200)가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수질계측기, 상기 인버터, 및 상기 유량계로부터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초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초기 정보를 이용해 예상 펌프 가동률의 산정식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200)가 실제 운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예상 펌프 가동률의 산정식에 상기 실제 운영 정보를 대입하여 1차 예상 펌프 가동률(PA1)을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1차 예상 펌프 가동률(PA1)과 상기 실제 운영 정보 중 실제 펌프 가동률을 이용하여 전처리 필터로 인한 영향 값(A1)을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초기 정보와 상기 실제 운영 정보를 이용해 기설정된 방법으로 운영 인자별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g)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운영 인자별 가중치를 이용해 기설정된 방법으로 2차 예상 펌프 가동률(PA2)을 운영 인자별로 각각 산출하는 단계;
(h)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2차 예상 펌프 가동률(PA2)을 기설정된 방법으로 수온으로 인한 영향 값(A2)과 삼투압으로 인한 영향 값(A3)으로 산출하는 단계;
(i)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산출된 전처리 필터, 수온, 및 삼투압에 의한 영향 값(A1, A2, A3)과 초기 예상 펌프 가동률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법으로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을 산출하는 단계;
(j) 상기 제어부(200)가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이 막여과부의 세척을 위한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j1) 상기 제어부(200)가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일 경우로 판단하면, 막여과부(130)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j)단계 이후에,
(k)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이하이되, 상기 전처리 필터로 인한 영향 값(A1)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k1)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전처리 필터로 인한 영향 값(A1)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을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일 경우로 판단하면, 상기 전처리 필터(120)를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k) 단계 이후에,
(l)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이 기설정된 기준 이하이되, 상기 수온으로 인한 영향 값(A2)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l1)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수온으로 인한 영향 값(A2)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일 경우로 판단되면, 열교환기를 이용해 상기 수처리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 단계 이후에,
(m)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이하이되, 상기 삼투압으로 인한 영향 값(A3)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m1) 상기 삼투압으로 인한 영향 값(A3)과 상기 막오염으로 인한 영향 값(A4)의 합이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 초과일 경우, 상기 고압 펌프의 가동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b1)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도출된 예상 펌프 가동률의 산정식과 상기 초기 정보에 포함되는 초기 세팅 정보와 초기 운영 정보를 이용해 기설정된 방법으로 상기 고압 펌프의 가동 범위를 도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제어부(200)가 도출된 상기 고압펌프의 상기 가동 범위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예상 펌프 가동률의 산정식은 상기 초기 운영 정보 중 펌프 가동률과 유입 압력의 상관성을 이용해 도출되는 산정식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고압 펌프의 상기 가동 범위는 상기 펌프 가동률과 전력소비량 및 이를 통해 도출 가능한 펌프효율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도출되는 그래프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전처리 필터로 인한 영향 값(A1)은,
상기 실제 펌프 가동률에서 상기 1차 예상 펌프 가동률(PA1)을 뺀 후 절대값으로 변환하여 산출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 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한계 값은 30% 내지 50% 범위에서 설정되는 값인,
수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119A KR102082802B1 (ko) | 2018-09-12 | 2018-09-12 |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119A KR102082802B1 (ko) | 2018-09-12 | 2018-09-12 |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2802B1 true KR102082802B1 (ko) | 2020-02-28 |
Family
ID=6963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119A Active KR102082802B1 (ko) | 2018-09-12 | 2018-09-12 |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2802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344399Y (zh) | 1998-08-07 | 1999-10-20 | 湖北省环境科学研究院 | 一种多级纯水装置 |
CN200961108Y (zh) | 2006-07-03 | 2007-10-17 | 李伟 | 血液净化用纯水及透析液配制用纯水设备 |
JP4805201B2 (ja) * | 2007-03-22 | 2011-11-02 | 月島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膜分離を用いた目的物質の分離方法と装置 |
KR101156592B1 (ko) | 2011-03-30 | 2012-06-20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여과 방식의 수처리 설비의 운영 장치 및 방법 |
KR20130085220A (ko) * | 2012-01-19 | 2013-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역삼투 막의 막오염 진단 기능을 가지는 해수담수화장치 |
KR20130142583A (ko) * | 2012-06-20 | 2013-12-30 | 코웨이 주식회사 | 막여과 공정에서의 분리막 오염 절감 방법 |
KR101519079B1 (ko) | 2013-12-12 | 2015-05-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오염물질 데이터베이스-기반 수처리 분리막 공정의 가변운전 시스템 및 방법 |
KR101674831B1 (ko) * | 2015-10-02 | 2016-11-2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
KR20170086017A (ko) * | 2014-08-12 | 2017-07-25 | 워터 플래닛, 아이엔씨. | 지능형 유체 여과 관리 시스템 |
KR101815932B1 (ko) | 2016-07-08 | 2018-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고압 정유량 실린지펌프와 여과막을 이용한 다채널 막오염지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9119A patent/KR10208280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344399Y (zh) | 1998-08-07 | 1999-10-20 | 湖北省环境科学研究院 | 一种多级纯水装置 |
CN200961108Y (zh) | 2006-07-03 | 2007-10-17 | 李伟 | 血液净化用纯水及透析液配制用纯水设备 |
JP4805201B2 (ja) * | 2007-03-22 | 2011-11-02 | 月島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膜分離を用いた目的物質の分離方法と装置 |
KR101156592B1 (ko) | 2011-03-30 | 2012-06-20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여과 방식의 수처리 설비의 운영 장치 및 방법 |
KR20130085220A (ko) * | 2012-01-19 | 2013-07-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역삼투 막의 막오염 진단 기능을 가지는 해수담수화장치 |
KR20130142583A (ko) * | 2012-06-20 | 2013-12-30 | 코웨이 주식회사 | 막여과 공정에서의 분리막 오염 절감 방법 |
KR101519079B1 (ko) | 2013-12-12 | 2015-05-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오염물질 데이터베이스-기반 수처리 분리막 공정의 가변운전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86017A (ko) * | 2014-08-12 | 2017-07-25 | 워터 플래닛, 아이엔씨. | 지능형 유체 여과 관리 시스템 |
KR101674831B1 (ko) * | 2015-10-02 | 2016-11-23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정삼투막 베셀의 세정 진단 장치 및 방법 |
KR101815932B1 (ko) | 2016-07-08 | 2018-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고압 정유량 실린지펌프와 여과막을 이용한 다채널 막오염지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edavyasan | Pretreatment trends—an overview | |
KR100979096B1 (ko) | 간헐폭기식 공기세정방식을 이용한 막분리 공정의 최적운전제어시스템 및 방법 | |
JP6053175B2 (ja) | 異常検出機能を有する淡水化システム | |
TWI391332B (zh) | Pure water manufacturing device | |
JP5587240B2 (ja) | 海水淡水化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20130140370A (ko) | 압력조절 정삼투 방법 및 장치 | |
McMordie Stoughton et al. | Reverse osmosis optimization | |
JP2021041374A (ja) | 濃縮システム | |
JPH11319516A (ja) | 水ろ過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AU2007262651B2 (en) | Brine squeezer | |
Valizadeh et al. | Scale-up economic assessment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MF–RO integrated membrane systems in oily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or reuse application | |
JPH06277665A (ja) | 高純度水の製造装置 | |
JP4779391B2 (ja) | 純水製造装置 | |
KR102082802B1 (ko) | 고압펌프 가동률을 이용한 하수재이용 및 정수처리 ro 시스템의 제어 방법 | |
KR100949658B1 (ko) | 여과막을 이용한 유체 처리 장치 | |
Ebrahim et al. | Conventional pretreatment system for the Doha Reverse Osmosis Plant: Technical and economic assessment | |
KR100720139B1 (ko) | 막분리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의 막오염 지수 연속 모니터링에 의한 응집 전처리 공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CN112174382A (zh) | 一种半导体工业废水处理技术及回收利用工艺 | |
KR20210011366A (ko) | 역침투 시스템의 진단 장치 | |
US8337702B2 (en) |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heavy metals | |
KR101806144B1 (ko) | 제어-삼투 및 역삼투를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 | |
CN202729914U (zh) | 小产量双泵型双级反渗透系统 | |
KR101418738B1 (ko) | 가압형-침지형 하이브리드 막 여과시스템 | |
WO2019180788A1 (ja) | 塩分濃縮装置及び塩分濃縮装置のスケール検知方法 | |
KR20210055294A (ko)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멤브레인 세정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