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434B1 -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 Google Patents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434B1
KR102082434B1 KR1020190085788A KR20190085788A KR102082434B1 KR 102082434 B1 KR102082434 B1 KR 102082434B1 KR 1020190085788 A KR1020190085788 A KR 1020190085788A KR 20190085788 A KR20190085788 A KR 20190085788A KR 102082434 B1 KR102082434 B1 KR 10208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storage
storage space
pipe portion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기
정은영
진종필
Original Assignee
(주)덕일기공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일기공,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덕일기공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공급관부를 통해서 저장공간 내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공급관부의 제 1 통공, 제 2 공급관부의 제 2 통공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된 후 격벽부재를 타고넘어 유동 됨으로써 냉각수의 급격한 유동에 의한 유체진동이 감쇄되며, 이로 인해 피씨더블유 탱크의 진동이 억제됨에 따라 피씨더블유 탱크의 피로파괴가 방지될 수 있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로 구획되게 하되 상기 제 1 저장부 또는 제 2 저장부 내에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고 그 상단은 상기 본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된 저장부 내에서 다른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와, 상기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 중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지 않는 저장부 내의 냉각수가 외부로 순환 가능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 측벽에 연결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FLUID VIBRATION DAMPING TYPE PCW TANK}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생산설비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저장되는 PCW(Process Cooling Water) 탱크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PCW(Process Cooling Water)는 반도체 등 다양한 생산설비에서 발생하는 장비의 열을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냉각수는 피씨더블유 탱크 내에 순환 가능하게 저장된다.
피씨더블유 탱크 내에는 열교환기를 통해서 보통 18℃ 내지 20℃로 유지되는 고순도의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저장되는데, 과열로 인해 생산설비가 파손되거나 생산제품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의 냉각수가 항시 공급중단 없이 연속 공급되어야 한다.
한편, 생산설비마다 요구되는 냉각수의 압력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보통 고압계통과 저압계통으로 구분하여 운용되는데 순환펌프에 의해서 고압계통 또는 저압계통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각수 내에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마이크로 필터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피씨더블유 탱크는 연속적으로 냉각수가 그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체진동에 의해서 PCW 탱크에도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이 진동이 누적됨에 따라 피씨더블유 탱크의 피로파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26239호(2014.07.29)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18450호(2016.04.28)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78435호(2010.07.08)
공급관으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일시에 피씨더블유 탱크 내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회에 걸쳐 다수 개의 통공을 통과해 유동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로 구획되게 하되 상기 제 1 저장부 또는 제 2 저장부 내에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고 그 상단은 상기 본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된 저장부 내에서 다른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와, 상기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 중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지 않는 저장부 내의 냉각수가 외부로 순환 가능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 측벽에 연결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저장공간은 호 형상의 외벽을 갖는 제 1 저장부와 수직 외벽을 갖는 제 2 저장부로 형성되는 본체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서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로 구획되게 하되 그 상단은 상기 본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2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와, 상기 제 2 저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수직 외벽 일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예 들에서 상기 제 1 공급관부는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공급관부의 하측에는 상기 제 1 통공이 모두 포함되는 높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제 2 공급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공급관부의 하단은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내부로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삽입 위치되며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제 2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제 1 통공을 통해 유동 된 냉각수가 재차 제 2 통공으로 통해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2 공급관부가 더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는 공급관부를 통해서 저장공간 내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공급관부의 제 1 통공, 제 2 공급관부의 제 2 통공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된 후 격벽부재를 타고넘어 유동 됨으로써 냉각수의 급격한 유동에 의한 유체진동이 감쇄되며, 이로 인해 피씨더블유 탱크의 진동이 억제됨에 따라 피씨더블유 탱크의 피로파괴가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제 1 공급관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단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다른 단면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제 1 공급관부 및 제 2 공급관부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또 다른 단면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사용상태도.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된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제 1 공급관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 도 5 및 도 7은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 공급관부 및 제 2 공급관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물탱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수가 저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본체(10)는 그 내부에 밀폐된 저장공간(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사용되는 생산설비의 규모에 따라, 그리고 사용되는 냉각수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체(10)에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가 연결 구비된다. 이 제 1 공급관부(20, 20', 20")는 본체(10)의 저장공간(11) 내로 냉각수가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공급관부(20, 20', 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장공간(11)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그 하단은 폐쇄되되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21)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제 1 통공(21)을 통해서 저장공간(11) 내로 유동되게 한다.
이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의 하단이 개방될 경우 개방된 하단을 통해 일시에 많은 양의 냉각수가 저장공간(11) 내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강한 세기의 유체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공급관부(20, 20', 20")의 하단은 폐쇄하되 소정 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21)이 관통 형성되게 하고, 이 제 1 통공(21)을 통해서 냉각수가 유동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약한 세기의 유체진동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통공(21)이 형성되는 높이와 형성개수 및 그 크기는 전술한 본체(10)의 크기와 유입되는 냉각수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공급관부(20, 20', 20")의 하단은 저장공간(11)의 바닥면에 밀착(20, 20'에 해당)될 수도 있고 소정간격 이격(20"에 해당)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면접되는 확장플랩(22)이 구비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제 1 공급관부(20, 20', 20")의 하중이 지지 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구조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 1 통공(21)이 관통 형성된 하나의 구멍인 것으로 하되, 제 1 통공(21) 내에 이물질의 필터링이 가능한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고, 제 1 통공(21)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갖는 매쉬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공급관부(20') 중에서 제 1 통공(21)이 형성된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보다 그 내경이 확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 1 공급관부(20') 상측보다 하측에서의 냉각수 내압을 감압시켜 제 1 통공(21)을 통해 유동되는 냉각수의 유체진동 세기를 감쇄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확장되는 정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확장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통공(21)의 개수와 크기 또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저장공간(11)은 격벽부재(30)에 의해서 두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격벽부재(30)는 그 상단이 전술한 본체(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 1 통공(21)을 통해서 저장공간(11) 내로 유동된 냉각수가 급격하게 저장공간(11) 내부로 유동되지 않고 그 상단을 타고넘어 유동되게 함으로써 냉각수의 유체진동 세기를 감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격벽부재(30)는 전술한 저장공간(11) 내에 구비되어 저장공간(11)이 제 1 저장부(11a)와 제 2 저장부(11b)로 구획되게 하되 제 1 저장부(11a) 또는 제 2 저장부(11b) 내에 제 1 공급관부(20, 20', 20")가 포함된다.
즉, 제 1 공급관부(20, 20', 20")가 제 1 저장부(11a) 측에 위치되면, 제 1 공급관부(20, 20', 20")와 제 1 통공(21)을 통해 유동 된 유체는 제 1 저장부(11a)에서 격벽부재(30) 상단을 타고넘어 제 2 저장부(11b)로 유동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저장부(11b) 측에는 배출관부(40)가 연결된다. 전술한 배출관부(40)는 제 2 저장부(11b) 내의 냉각수가 외부로 수환 가능하게 유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배출관부(40)는 한 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격벽부재(3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상 곡면판 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상 곡면판의 형태의 격벽부재(30)가 본체(10) 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를 통해 본체(10) 내로 유입된 냉각수가 격벽부재(30)에 충돌되더라도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상 곡면에 의해 그 충격이 저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수가 격벽부재(30)에 충돌된 직후에 호상 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된 다음 최종적으로 격벽부재(30)의 상단을 타고넘도록 유도됨에 따라 격벽부재(30)의 월류에 앞서 본체(10) 내로 유입된 냉각수의 유체진동 세기가 자연 감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격벽부재(30)는 평판 형상의 패널, 라운드 형상의 패널 외에도 파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저장공간(1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되는 제 1 공급관부(20")의 둘레에는 제 2 공급관부(50)가 더 구비된다. 이 제 2 공급관부(50)는 제 2 통공(51)을 통해 냉각수의 유체진동 세기를 한번 더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공급관부(50)는 전술한 제 1 통공(21)이 모두 포함되는 높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공급관부(50)의 하단은 폐쇄된 상태로 저장공간(11)의 바닥에 안착되는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플랩(52)이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그 상단은 개방되어 내부로 제 1 공급관부(20")가 삽입 위치되며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제 2 통공(5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통공(21)을 통해 유동 된 냉각수가 재차 제 2 통공(51)으로 통해 저장공간(11) 내로 유동되게 한다.
이러한 제 2 통공(51)은 전술한 제 1 통공(21)과 마찬가지로 그 개수 및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제 1 통공(21)을 통해 유동 된 냉각수가 제 2 통공(51)을 통해 저장공간(11) 내로 곧바로 유동되지 않도록 서로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제 1 통공(21)과 제 2 통공(51)의 중심축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이는 제 1 통공(21)을 통과한 냉각수가 제 1 공급관부(20")와 제 2 공급관부(50) 사이에서 한번 더 유동되게 한 뒤 제 2 통공(31)을 통해 유동되게 함으로써 유체진동 세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감쇄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는 도 8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의 전체적인 사용상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공급관부(20, 20', 20")를 통해서 외부의 냉각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냉각수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방향 유동 되다가 제 1 통공(21)을 통과하면서 그 유체진동 세기가 1차 감쇄된 상태로 유동 된다. 제 1 통공(21)을 통과한 유체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와 제 2 공급관부(50) 사이에서 유동 되다가 다시 제 2 통공(51)을 통과하면서 그 유체진동 세기가 2차로 감쇄된 상태로 유동 된다.
제 2 통공(51)을 통과한 유체는 제 1 저장부(11a) 내로 유동 되다가 격벽부재(30)에 가로막힌 뒤 그 상단으로 타고 넘으면서 유체진동 세기가 3차로 감쇄된다. 격벽부재(30)를 타고넘은 유체는 제 2 저장부(11b)로 유동되고, 제 2 저장부(11b)의 본체(10) 측에 연결된 배출관부(40)를 통해서 외부로 순환 가능하게 유출된다.
도 9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며, 도 9는 이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는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11)이 형성되되, 상기 저장공간(11)은 호 형상의 외벽을 갖는 제 1 저장부(11a)와 수직 외벽을 갖는 제 2 저장부(11b)로 형성되는 본체(10)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11a)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21)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21)을 통해서 상기 제 1 저장부(11a)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20, 20', 20")와, 상기 저장공간(1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11)이 제 1 저장부(11a)와 제 2 저장부(11b)로 구획되게 하되 그 상단은 상기 본체(10)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21)을 통해 상기 제 1 저장부(11a)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2 저장부(11b)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30)와, 상기 제 2 저장부(11b)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10)의 수직 외벽 일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부(40)가 포함된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는 격벽부재(30)에 의해 저장공간(11)이 제 1 저장부(11a)와 제 2 저장부(11b)로 구획되되 제 1 저장부(11a)가 위치되는 측의 외벽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저장부(11b)가 위치되는 측의 외벽은 수직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관계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와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의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격벽부재(30)는 도 9에 평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상 곡면판 형상의 패널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1,1')는 공급관부를 통해서 저장공간(11) 내로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공급관부(20, 20', 20")의 제 1 통공(21), 제 2 공급관부(50)의 제 2 통공(51)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된 후 격벽부재(30)를 타고 넘으면서 유동되어 냉각수의 급격한 유동에 의한 유체진동이 감쇄되며, 이로 인해 피씨더블유 탱크의 진동이 억제됨에 따라 피씨더블유 탱크의 피로파괴가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10 : 본체
11 : 저장공간
11a : 제 1 공간부
11b : 제 2 공간부
20, 20', 20" : 제 1 공급관부
21 : 제 1 통공
22 : 확장플랩
30 : 격벽부재
40 : 배출관부
50 : 제 2 공급관부
51 : 제 2 통공
52 : 확장플랩

Claims (7)

  1.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서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로 구획되게 하되 상기 제 1 저장부 또는 제 2 저장부 내에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고 그 상단은 상기 본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된 저장부 내에서 다른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제 1 저장부 및 제 2 저장부 중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포함되지 않는 저장부 내의 냉각수가 외부로 순환 가능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 측벽에 연결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공급관부는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공급관부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통공이 모두 포함되는 높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제 2 공급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공급관부의 하단은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그 내부로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삽입 위치되며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제 2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제 1 통공을 통해 유동 된 냉각수가 재차 제 2 통공으로 통해 유동되게 하는 제 2 공급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2.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밀폐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저장공간은 호 형상의 외벽을 갖는 제 1 저장부와 수직 외벽을 갖는 제 2 저장부로 형성되는 본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냉각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되 그 하단은 폐쇄되고 소정높이까지 다수 개의 제 1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서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제 1 공급관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제 1 저장부와 제 2 저장부로 구획되게 하되 그 상단은 상기 본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상기 제 1 저장부 내로 유동 된 냉각수가 그 상단을 타고넘어 상기 제 2 저장부 내로 유동되게 하는 격벽부재; 및
    상기 제 2 저장부가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수직 외벽 일측에 연결되는 배출관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1 공급관부는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공급관부의 둘레에는 상기 제 1 통공이 모두 포함되는 높이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제 2 공급관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 2 공급관부의 하단은 폐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에 안착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그 내부로 상기 제 1 공급관부가 삽입 위치되며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제 2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제 1 통공을 통해 유동 된 냉각수가 재차 제 2 통공으로 통해 유동되게 하는 제 2 공급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급관부의 하단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플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은, 상기 제 1 통공을 통해 1차 유동된 냉각수가 상기 제 2 통공을 통해 곧바로 2차 유동되지 않도록 그 중심축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관부 중에서 상기 제 1 통공이 형성된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보다 그 내경이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는 평판 형상의 패널 또는 라운드 형상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KR1020190085788A 2018-12-11 2019-07-16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KR102082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98 2018-12-11
KR20180159098 2018-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434B1 true KR102082434B1 (ko) 2020-02-27

Family

ID=6964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788A KR102082434B1 (ko) 2018-12-11 2019-07-16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4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43Y1 (ko) * 1985-02-25 1993-05-19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내부에 열교환기가 설치된 난방기
KR200180690Y1 (ko) * 1999-11-18 2000-05-15 김동균 원통형 스테인레스 물탱크
KR20100078435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소자 제조 장비의 쿨링 시스템
KR101426239B1 (ko) 2012-08-13 2014-08-05 한일에스티(주) 냉각장치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냉각수 공급 장치
KR101618450B1 (ko) 2014-10-02 2016-05-04 주식회사 스피드터치 반도체 설비용 온도 조절 장치
KR20170095468A (ko) * 2016-02-12 2017-08-23 (주)선우하이테크 유체 분사장치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643Y1 (ko) * 1985-02-25 1993-05-19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내부에 열교환기가 설치된 난방기
KR200180690Y1 (ko) * 1999-11-18 2000-05-15 김동균 원통형 스테인레스 물탱크
KR20100078435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소자 제조 장비의 쿨링 시스템
KR101426239B1 (ko) 2012-08-13 2014-08-05 한일에스티(주) 냉각장치의 내부온도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냉각수 공급 장치
KR101618450B1 (ko) 2014-10-02 2016-05-04 주식회사 스피드터치 반도체 설비용 온도 조절 장치
KR20170095468A (ko) * 2016-02-12 2017-08-23 (주)선우하이테크 유체 분사장치
KR101886677B1 (ko) * 2017-11-10 2018-08-08 한삼코라(주)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연접구조형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4629A1 (en) Return filter
JPH03111618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ES2644051T3 (es) Sistema de carga y/o descarga y procedimiento para la carga y/o descarga de un acumulador de energía térmica con un inserto previsto entre las placas difusoras
JP6659573B2 (ja) 緩衝装置
KR102082434B1 (ko) 유체진동 감쇄형 피씨더블유 탱크
JP2006263726A (ja) プレート式物質交換塔
US6651698B1 (en) Suppressor for manifold fluid line
JP4306632B2 (ja) 液体貯槽容器
JP2007107861A (ja) リキッドタンク
JP5392083B2 (ja) 電子機器の冷却装置
CN104989622A (zh) 压缩机及其管系减振节能装置
KR102344474B1 (ko) 선박용 소음저감장치
US20150337861A1 (en) Apparatus to support components of a fluid handl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thereof
JP6567323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JP6493780B2 (ja) 車両のオイルキャッチタンク
CN104626975B (zh) 油箱
JP2021011866A (ja) リザーバタンク
KR100952154B1 (ko) 탱크 내의 와류 형성 방지 장치
CN217977704U (zh) 一种多级降噪调节阀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JP2014173983A (ja) 円筒型熱交換器
CN204488481U (zh) 油箱
KR20180108077A (ko) 복수 챔버를 가진 초임계 이산화탄소용 맥동저감용기
US999973A (en) Gas-purifier.
JP6018138B2 (ja) オイルタンク及び油圧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