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686B1 -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686B1
KR102081686B1 KR1020190057528A KR20190057528A KR102081686B1 KR 102081686 B1 KR102081686 B1 KR 102081686B1 KR 1020190057528 A KR1020190057528 A KR 1020190057528A KR 20190057528 A KR20190057528 A KR 20190057528A KR 102081686 B1 KR102081686 B1 KR 10208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lasma
icp
impedan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231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5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01J37/3211Antennas, e.g. particular shapes of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7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the RF discharge
    • H01J37/32183Match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ICP 안테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ICP 안테나로서, 일단이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통하여 RF 전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안테나 코일; 및 상기 안테나 코일의 일부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PLASMA}
본 발명은 기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ICP 안테나의 일부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처리 표면 상에서 플라즈마 밀도의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기판 처리 장치는 반도체 회로의 초미세화, 반도체 회로를 제조하기 위한 기판의 대형화 및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에 따라 전체 처리 면적은 대형화됨에 반해 내부 회로는 더욱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한정된 영역에 보다 많은 소자의 집적이 필요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대형화된 전체 면적에 형성되는 소자의 균일성을 개선시키도록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기판 처리 장치로 이용되고 있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챔버 내의 반응 가스를 활성화시켜 플라즈마를 형성한 후 형성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을 처리하는 건식 처리 장치로, 전극 형태에 따라 용량 결합형 플라즈마(Capacitively Coupled Plasma; CCP)와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방식으로 구분된다.
CCP 방식은 일반적으로 평행한 한 쌍의 플레이트형 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전극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정확한 용량 결합 조절과 이온 조절 능력이 높아서 ICP 방식에 비하여 공정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반면, 무선 주파수 전원의 에너지가 거의 배타적으로 용량 결합을 통하여 플라즈마에 전달되기 때문에 플라즈마 이온 밀도는 용량 결합된 무선 주파수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서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밀도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무선 주파수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 주파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이온 충격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온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무선 주파수 전력을 증가시키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
이에 반해, ICP 방식은 일반적으로 나선형의 안테나에 고주파를 인가하고 안테나에 유입되는 고주파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되는 전기장으로 챔버 내부의 전자를 가속시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무선 주파수 전력의 증가에 따라 이온 밀도를 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이에 따른 이온 충격은 상대적으로 낮아 고밀도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고밀도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ICP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안테나의 관련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100)는 내부에 플라즈마(P)에 의해 처리되는 피처리 기판(W)이 배치되는 챔버(110), 챔버(110) 내부에 기판의 처리를 위한 소스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분사부(120) 및 기판 처리 후 잔여 가스 및 미반응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130), 챔버(1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기판이 배치되는 서셉터(140), 챔버(1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위치하며 챔버 내부에 플라즈마(P)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장 및 전기장을 형성하는 안테나(150), 상기 안테나에 소스 전원을 인가하는 고주파 발진기(RF generator, 160) 및 상기 고주파 발진기(160)에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로드 임피던스에 맞추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회로(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는 안테나 및 유전체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팬케이크형 안테나, 실린더형 안테나 및 돔형 안테나로 분류될 수 있는데 도 2의 (a)는 종래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팬케이크형(Pancake type antenna) 안테나의 형상을 나타내며, 도 2의 (b)는 실린더형 안테나(Cylinderical type antenna)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ICP 방식은 안테나 코일 형상과 주파수에 의하여 불균일한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서 안테나 코일 설계에 어려움이 있을뿐 아니라 주파수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플라즈마 소스와 기판 사이의 거리가 CCP 방식에 비해 크다는 문제가 있어서 확산에 의해 플라즈마의 거동이 결정되며 피처리 기판 상에서 플라즈마의 균일도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 일부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처리면 상에서의 플라즈마의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판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ICP 안테나는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ICP 안테나로서, 일단이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통하여 RF 전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된 안테나 코일; 및 상기 안테나 코일의 일부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ICP 안테나는 상기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은 실린더형 안테나 코일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이 실린더형 안테나 코일인 경우, 상기 안테나 코일의 상기 일단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타단을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일단을 포함하는 코일 상부 또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타단을 포함하는 코일 하부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은 팬케이크형 안테나 코일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이 팬케이크형 안테나 코일인 경우, 상기 안테나 코일의 상기 일단은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단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일단을 포함하는 외측 코일부 또는 상기 안테나 코일의 타단을 포함하는 내측 코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는 내부에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되는 피처리 기판이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상기 피처리 기판의 처리를 위한 소스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분사부; 상기 피처리 기판 처리 후 상기 챔버 내의 잔여 가스 및 미반응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 상기 피처리 기판이 배치되는 서셉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ICP 안테나; 상기 ICP 안테나에 소스 전원을 인가하는 고주파 발진기; 및 상기 ICP 안테나와 상기 고주파 발진기 사이에 연결된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 처리 장치는 상기 ICP 안테나의 가변 커패시터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커패시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효과는 안테나 일부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기판 처리면 상에서의 플라즈마의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처리 장치에서 안테나 관련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에 도시된 ICP 안테나 구성에 의한 플라즈마 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d)에 도시된 ICP 안테나 구성에 의한 플라즈마 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실제 구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가변 커패시터 적용 전후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 측정한 플라즈마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CP 안테나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코일을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임피던스를 둘로 나누어 두 개의 임피던스가 직렬 연결된 회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개념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270)를 통하여 RF 전원(160)에 연결된 일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분의 임피던스를 제1 임피던스(Z1, 250a)라 하고 접지된 타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부분의 임피던스를 제2 임피던스라 한다.
여기서, 제2 임피던스(Z2)가 커지게 되면 전체 코일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ICP 안테나를 흐르는 전체 코일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코일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제1 임피던스(Z1)에 인가되는 전력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임피던스(Z1)에 해당하는 코일 부분에 의하여 생성되는 플라즈마 역시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증가하면 플라즈마 전력은 증가한다. 제2 임피던스(Z2)에 해당하는 코일 부분은 LC 병렬 연결과 가변 커패시터의 용량 조절로 LC 공진 조건에 가까워지면서 공진 조건에 따른 인덕터 전류와 커패시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임피던스는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코일 입력단에서 측정되는 코일 전류는 감소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제 2 임피던스(Z2)의 임피던스 증가에 의하여 플라즈마가 감소, 유지 또는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ICP 안테나를 두 개의 임피던스가 직렬 연결된 안테나로 가정하고 두 개 중 하나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두 개의 임피던스 모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위별 임피던스 조절에 의하여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플라즈마 균일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의 (a)는 종래 실린더형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안테나 구성을 나타내고, (c)는 (b)의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성을 나타내며, (d)는 상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안테나 구성을 나타내고, (e)는 (d)의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b)에 도시된 ICP 안테나 구성에 의한 플라즈마 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의 (a)는 종래 실린더형 ICP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의 피처리기판 상에서의 밀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b)는 도 4의 (b)에 도시된 ICP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의 피처리기판 상에서의 밀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ICP 안테나에 유도된 전기장은 소정 반경을 가지는 환형의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생성된 플라즈마는 챔버 하부에 배치된 피처리 기판의 중심과 챔버를 향하여 확산된다. 따라서 확산 거리가 길수록 중심 부분의 플라즈마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실린더형 ICP 안테나의 경우 상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는 챔버 하부에 배치된 기판까지 확산됨에 따라 기판 중심에서 높은 밀도를 보이는 산 모양의 밀도 분포를 나타낸다. 그러나 하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는 확산 거리가 짧아 유도 전기장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와 같이 환형의 밀도 분포로 피처리 기판 표면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는 상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와 하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가 중첩된 형태의 플라즈마 밀도 분포를 이루게 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플라즈마 밀도는 기판 중심의 밀도가 높은 분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 플라즈마 밀도를 조절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한 경우 하부 안테나에 해당하는 제2 임피던스(Z2)가 증가하여 안테나의 전체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안테나를 통하여 흐르는 전체 코일 전류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부 안테나에 인가되는 플라즈마 전력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부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밀도가 감소한다. 반면, 하부 안테나의 경우 임피던스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코일 전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플라즈마 전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성되는 플라즈마 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를 채용한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어 확산된 플라즈마 밀도가 감소하여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플라즈마 밀도는 종래 ICP 안테나에 비하여 반경방향으로 균일한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d)에 도시된 ICP 안테나 구성에 의한 플라즈마 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 실린더형 ICP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의 피처리기판 상에서의 밀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b)는 도 4의 (d)에 도시된 ICP 안테나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의 피처리기판 상에서의 밀도 분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의 (a)와 마찬가지로 종래 실린더형 ICP 안테나의 경우 상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는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 산 모양의 플라즈마 분포를 하부 코일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는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 환형의 플라즈마 분포를 형성한다. 다만, 도 6의 (a)의 경우, 상부 안테나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 밀도가 도 5의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전체 플라즈마 밀도는 기판 중심의 밀도가 낮은 분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 플라즈마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한 경우 상부 안테나에 해당하는 제1 임피던스(Z1)가 증가하여 안테나의 전체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전체 안테나를 통하여 흐르는 전체 코일 전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하부 안테나에 인가되는 플라즈마 전력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하부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밀도가 감소한다. 반면, 상부 안테나의 경우 임피던스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코일 전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플라즈마 전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성되는 플라즈마 밀도가 감소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를 채용한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테나에 의해 생성되어 확산된 플라즈마 밀도가 감소하여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전체 플라즈마 밀도는 종래 ICP 안테나에 비하여 반경방향으로 균일한 분포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는 도 4의 (c)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임피던스 조절의 가변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소정 값을 가지는 저항을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 가변 저항이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ICP 안테나는 팬케이크형 안테나에 적용한 것을 제외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 7의 (a)는 종래 팬케이크형 ICP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며,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안테나 구성을 나타내고, (c)는 내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도 4의 (c) 및 (e)와 마찬가지로 저항 또는 가변 저항이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형 안테나와 마찬가지로, 도 7의 (b)와 같이 외부 안테나에 가변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내부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되는 산 모양의 플라즈마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와 같이 내부 안테나에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어 확산되는 도넛 모양의 플라즈마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ICP 안테나 일부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플라즈마 밀도를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P 안테나의 실제 구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300mm용 ICP 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원주 방향으로의 플라즈마 밀도의 균일성을 위하여 짝수로 권선된 코일(4회 권선 코일)을 사용하였으며, 4회 권선된 코일에서 중간부인 2회 권선이 끝나는 지점(N)에 탭(tap)을 내어 가변 커패시터를 연결하였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변 커패시터에 컨트롤 놉(control knob)을 연결하여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CP 안테나는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저항이 가변 저항인 경우 커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컨트롤 놉에 의하여 가변 저항의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가변 커패시터 적용 전후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 측정한 플라즈마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의 가로축은 피처리 기판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플라즈마 밀도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내부가 채워진 원은 가변 커패시터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 ICP 안테나(비교예)에 의한 플라즈마 밀도를 나타내며 내부가 빈 원은 가변 커패시터를 구비한 ICP 안테나(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밀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 ICP 안테나와 동일 조건에서 안테나 코일 일부에 가변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그 값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피처리 기판 표면에서의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110: 챔버 120: 가스 분사부
130: 가스 배출구 140: 서셉터
150, 250: ICP 안테나 160, 260: 고주파 발진기
170, 270: 임피던스 매칭회로

Claims (5)

  1. 상호 직렬연결되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안테나 코일을 구비하는 ICP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판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CP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코일을 구비하는 제1 임피던스와, 병렬연결되어 LC 병렬 회로를 이루는 상기 제2 안테나 코일 및 가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제2 임피던스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임피던스와 상기 제2 임피던스는 직렬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ICP 안테나의 일단은 하나의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통해 하나의 RF 전원에 직렬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LC 병렬 회로를 LC 공진 조건에 근접하도록 상기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값을 증가시켜 상기 ICP 안테나의 전체 임피던스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ICP 안테나를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며 상기 제1 안테나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플라즈마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제2 플라즈마의 밀도를 유지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 방법은, 상기 가변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저항의 저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코일은 실린더형 안테나 코일인, 플라즈마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코일은 팬케이크형 안테나 코일인, 플라즈마 처리 방법.
KR1020190057528A 2019-05-16 2019-05-16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10208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28A KR102081686B1 (ko) 2019-05-16 2019-05-16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528A KR102081686B1 (ko) 2019-05-16 2019-05-16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738A Division KR20180092684A (ko) 2017-02-10 2017-02-10 Icp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31A KR20190057231A (ko) 2019-05-28
KR102081686B1 true KR102081686B1 (ko) 2020-02-26

Family

ID=6665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528A KR102081686B1 (ko) 2019-05-16 2019-05-16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5298A (ja) * 2008-10-27 2010-06-17 Tokyo Electron Ltd 誘導結合プラズマ処理装置、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5165821B2 (ja) * 1998-06-30 2013-03-21 ラム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 誘導結合型プラズマ発生システム用の複数コイル・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881B1 (ko) * 2014-12-05 2016-12-06 인베니아 주식회사 플라즈마 발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5821B2 (ja) * 1998-06-30 2013-03-21 ラム リサーチ コーポレーション 誘導結合型プラズマ発生システム用の複数コイル・アンテナ
JP2010135298A (ja) * 2008-10-27 2010-06-17 Tokyo Electron Ltd 誘導結合プラズマ処理装置、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231A (ko)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167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0645469B1 (ko) 유도적으로 결합된 플라즈마 발생 시스템을 위한 다중코일 안테나
US6288493B1 (en) Antenna device for generat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US7537672B1 (en) Apparatus for plasma processing
TWI621376B (zh) Plasma processing device (2)
US7381292B2 (en)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ing apparatus incorporating serpentine coil antenna
US20130112666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18343A (ko) 복수의 권선들을 갖는 코일을 구비하는 유도성 플라즈마프로세서 및 플라즈마 밀도의 제어방법
TW201946150A (zh) 可調節邊緣射頻等離子體分佈的ccp刻蝕裝置及其方法
US11282679B2 (en) Plasma control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040023792A (ko) 유도성 플라즈마 프로세서용 적층 rf 여기 코일
JP2010515232A (ja) プラズマ封じ込みのための電界低減装置
KR102081686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US20220028658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US10892139B2 (en) ICP antenna an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14902B1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CN112151343B (zh) 一种电容耦合等离子体处理装置及其方法
KR101040541B1 (ko) 플라즈마 발생용 하이브리드 안테나
US20210074514A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JPH09167696A (ja) 誘導結合プラズマ処理装置
KR20220096079A (ko) 하이브리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하이브리드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92808A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