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663B1 -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663B1
KR102081663B1 KR1020180030682A KR20180030682A KR102081663B1 KR 102081663 B1 KR102081663 B1 KR 102081663B1 KR 1020180030682 A KR1020180030682 A KR 1020180030682A KR 20180030682 A KR20180030682 A KR 20180030682A KR 102081663 B1 KR102081663 B1 KR 10208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alley
stor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59A (ko
Inventor
황동현
이정임
Original Assignee
황동현
이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현, 이정임 filed Critical 황동현
Priority to KR102018003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6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점포정보 저장모듈; 상기 점포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주소지가 '길'단위인 점포를 추출하는 1차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는 좌표화 모듈; 상기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2차 추출모듈; 상기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하는 밀집도 산출모듈; 상기 밀집도정보를 필지 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하는 필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필지정보를 시각화하며 상기 시각화 된 필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Alley commercial district Redesign System}
본 발명은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고, 도로명 주소의 ‘길’ 단위 골목의 양쪽 모두 상권에 포함됨과 동시에 건물 단위의 골목상권의 영역설정 방법을 개선한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목상권이란 개개의 자영업자들이 골목을 중심으로 만들어낸 상권을 의미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주택이 밀집된 곳에 형성된 대형 유통시설 및 발달상권을 포함하지 않는 상권을 의미하며, 상기 골목상권은 골목을 중심으로 생활용품, 잡화 및 식재료 등을 주로 판매하므로 생활밀착형 업종에 포함된다.
최근,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권을 분석하고, 분석한 상권의 규모 및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권 분석정보를 창업예정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상권 정보 제공 서비스의 경우 골목상권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분석한 상권영역과 실제 골목상권의 영역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길을 기준으로 상권이 표시되지 않아, 길의 양쪽으로 골목상권이 형성된 경우 길의 한쪽 점포만이 상권 영역에 포함되고 다른 한쪽의 점포들은 골목상권이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와 건물 중간에 영역이 설정되는 등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고, 길의 양쪽 모두 상권에 포함됨과 동시에 건물 중심의 골목상권 영역설정 방법을 개선한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은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점포정보 저장모듈; 상기 점포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주소지가 '길'단위인 점포를 추출하는 1차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는 좌표화 모듈; 상기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2차 추출모듈; 상기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하는 밀집도 산출모듈; 상기 밀집도정보를 필지 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하는 필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필지정보를 시각화하며 상기 시각화 된 필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좌표화 모듈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좌표계를 갖지 않은 상기 점포의 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상기 점포주소를 좌표화하고, 상기 좌표화 된 주소를 나타내는 좌표계로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추출모듈은, 상기 1차 추출된 점포 중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집도 산출모듈은, 상기 고유영역을 “점포수/'길'의 길이”로 골목상권을 계량화할 수 있는 지표인 상기 밀집도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적선을 이용해 분류된 필지정보의 경계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유동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성 모듈은, 택시, 지하철 및 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모듈;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유동성 분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지도상에서 등고선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구정보 수집모듈; 면적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차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한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공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산출정보를 전달하여 자차로 이동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유리한 골목상권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별로 분석하는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대정보 분석모듈은,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하는 임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별로 군집시켜 생성한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로 전송하는 임대정보 군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발달 상권과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함으로써 골목상권의 모호한 정의가 객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유 영역을 필지영역으로 나누어 길의 양쪽 모두가 상권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건물과 건물 사이의 경계에 따라 상권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산출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필지정보를 시각화 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 주차정보 모듈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주차정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산출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산출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필지정보를 시각화 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 주차정보 모듈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유동성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주차정보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산출정보를 시각화 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구성은 서버(1)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따르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골목점포의 밀집도가 높은 골목상권을 재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 골목상권이란 기존 발달상권 및 시장과 구분된 영역이나, 종래의 경우 이를 표기하는 기준이 모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와 구분된 고유 영역을 정의하여 골목상권을 재설계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의 필요성이 있어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서버(1)는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여 사용자 단말(2)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서버(1)는 WIFI 또는 통신망(3G/4G)을 통해 재설계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사용자 단말(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버(1)로부터 전송되는 재설계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수신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은 WIFI 또는 통신망(3G/4G) 연결이 가능한 모바일 타입(휴대폰, 패드 등)과 데스크탑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1)는 점포주소 저장모듈(10), 1차 추출모듈(20), 좌표화 모듈(30), 2차 추출모듈(40), 밀집도 산출모듈(50), 필지정보 생성모듈(60) 및 시각화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점포정보 저장모듈(10)은 나이스평가정보 등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을 수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때 저장된 점포정보는 월 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점포의 생성 및 점포의 업종 교체에 대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업 트랜드 및 배후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점포정보 저장모듈(10)은 저장된 점포정보를 1차 추출모듈(20)로 전달할 수 있다.
1차 추출모듈(20)은 점포정보 저장모듈(10)로부터 전달받은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도로명주소의 주소지가 '길' 단위인 점포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로변이 아닌 거주지 인근의 좁은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점포가 추출되므로 골목 상권을 더욱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1차 추출모듈(20)은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 모듈(30)로 전달할 수 있다.
좌표화 모듈(30)은 1차 추출모듈(20)로부터 전달받은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여 좌표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좌표화 모듈(30)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점포의 주소에서 지리 정보를 추출하여 점포의 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좌표화할 수 있고, 좌표화 된 점포의 주소를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에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좌표화된 점포의 주소가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에 표시되므로 좌표화된 점포를 공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표화 된 점포의 오류 데이터가 정제되어 추출된 점포의 위치 정확도를 9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좌표화 모듈(30)은 좌표화된 점포를 2차 추출모듈(40)로 전달할 수 있다.
2차 추출모듈(40)은 좌표화 모듈(30)로부터 전달받은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2차 추출모듈(40)은 상기 제외한 상권 및 시장 이외에도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추가로 제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유 영역을 보다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발달상권과 시장 및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골목 상권의 모호한 범위를 객관화 할 수 있다.
또한, 2차 추출모듈(40)은 추출된 고유 영역을 밀집도 산출모듈(50)로 전달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모듈(50)은 2차 추출모듈(40)로부터 전달받은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밀집도는 '길'의 길이당 점포수(“점포수/'길'의 길이”)로 나눈 값이며 이에 따라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계량화 할 수 있다.
또한, 밀집도 산출모듈(50)은 생성된 밀집도정보를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 전달할 수 있다.
필지정보 생성모듈(60)은 밀집도 산출모듈(50)로부터 전달받은 밀집도정보를 필지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필지정보 생성모듈(60)은 필지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
시각화 모듈(70)은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전달받은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의 계량화된 값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후, 분류된 필지정보를 지적선을 이용해 지도상에 표기하여 시각화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해 골목상권을 재설계함으로써 골목상권의 모호한 영역을 객관화할 수 있고, 고유 영역을 필지단위로 분리하여 건물과 건물 사이의 경계에 따라 상권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의 서버(1)는 유동성 모듈(80), 주차정보 모듈(90) 및 임대정보 분석모듈(100)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유동성 모듈(80)은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고,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유동성 모듈(80)은 교통정보 수집모듈(81), 위치정보 수집모듈(82) 및 유동성 분류모듈(83)을 포함할 수 있다.
교통정보 수집모듈(81)은 택시, 지하철 및 버스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및 시간대별 통행량을 파악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집모듈(82)은 이동통신 통화량을 기반으로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유동성 분류모듈(83)은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며 이를 필지정보와 비교하여 단순히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인지, 골목상권이 활성화 된 지역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성 분류모듈(83)은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제공하므로 소비자에게 생활밀착 되어있는 업종을 창업예정자 및 자영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분류모듈(83)은 생성된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유동성 분류모듈(83)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화 모듈(70)은 유동성분류모듈(83)로부터 전달받은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조밀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조밀도가 높은 영역이 골목상권뿐만 아니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색깔, 조밀도, 등고선 등으로 시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화 된 유동성정보는 지도 외에 개별적으로 표기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차정보 모듈(90)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주차정보 모듈(90)은 가구정보 수집모듈(91), 주차정보 산출모듈(92) 및 주차공간 모듈(93)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구정보 수집모듈(91)은 아파트 및 건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아파트 단지별 가구수 정보 및 건물의 면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가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구정보 수집모듈(91)은 가구정보를 주차공간 모듈(93)로 전달할 수 있다.
주차정보 수집모듈(92)은 아파트 및 건물의 데이터베이스와 교통관련 시설(공용주차장, 주차타워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건물 내/외부의 주차장 여부 및 교통가능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정보 수집모듈(92)은 주차정보를 주차공간 모듈(93)로 전달할 수 있다.
주차공간 모듈(93)은 가구정보 수집모듈(91)로부터 전달받은 가구정보의 가구수 및 주차정보 수집모듈(92)로부터 전달받은 주차정보에 따라 면적 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 모듈(93)은 산출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
시각화 모듈(70)은 주차공간 모듈(93)로부터 전달받은 산출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출정보는 주차공간에 따른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총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가 표 형태로 표기되어 시각화될 수 있다.
또한, 산출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에 입력한 원하는 지역의 위치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위치의 지도 위에 원하는 지역의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총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로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자차로 이용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용이한 골목상권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임대정보 분석모듈(100)은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 별로 분석하며 필지정보 생성모듈(60)로부터 필지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임대정보 분석모듈(100)은 임대정보 생성모듈(101) 및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임대정보 생성모듈(101)은 한국감정원 등의 부동산 서버와 연계되어 상기 부동산 서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임대정보 생성모듈(101)은 임대정보를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 전달할 수 있다.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은 임대정보 생성모듈(101)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 별로 군집시켜 군집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임대정보 군집모듈(102)은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 모듈(70)은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부터 전달받은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고, 구별한 군집정보를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어 시각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시각화 모듈(70)은 임대정보 군집모듈(102)로부터 전달받은 군집정보를 등고선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등고선을 지도 외에 개별적 그래프로 표기하거나, 지도상에 표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군집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서버
2: 사용자 단말
10: 점포정보 저장모듈
20: 1차 추출모듈
30: 좌표화 모듈
40: 2차 추출모듈
50: 밀집도 산출모듈
60: 필지정보 생성모듈
70: 시각화 모듈
80: 유동성 모듈
81: 교통정보 수집모듈
82: 위치정보 수집모듈
83: 유동성 분류모듈
90: 주차정보 모듈
91: 가구정보 수집모듈
92: 주차정보 수집모듈
93: 주차공간 모듈
100: 임대정보 분석모듈
101: 임대정보 생성모듈
102: 임대정보 군집모듈

Claims (11)

  1.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골목상권의 밀집도를 재설계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점포의 도로명주소 및 업종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점포정보 저장모듈;
    상기 점포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점포의 주소 중 주소지가 '길'단위인 점포를 추출하는 1차 추출모듈;
    상기 추출된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는 좌표화 모듈;
    상기 좌표화된 점포 중 기존 발달상권, 전통시장 및 대형 유통시장을 제외한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2차 추출모듈;
    상기 고유 영역의 밀집도를 산출하여 밀집도정보를 생성하는 밀집도 산출모듈;
    상기 밀집도정보를 필지 단위로 분리하여 필지정보를 생성하는 필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필지정보를 시각화하며 상기 시각화 된 필지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시각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밀집도 산출모듈은,
    상기 고유 영역을 "점포수/'길'의 길이"로 골목상권을 계량화할 수 있는 지표인 상기 밀집도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필지정보를 밀집도정보에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적선을 이용해 분류된 필지정보의 경계를 지도상에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좌표화 모듈은,
    지오코딩(Geocoding)을 이용해 좌표계를 갖지 않은 상기 점포주소에 위치를 부여하여 상기 점포의 주소를 좌표화하고,
    상기 좌표화 된 주소를 나타내는 좌표계로 단일평면직각좌표계(Universal Transverse Mercator-k)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추출모듈은,
    상기 1차 추출된 점포 중 통신업, 금융업 및 운송업과 같은 보조상업이 이루어지는 점포를 제외하여 고유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소비자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유동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모듈은,
    택시, 지하철 및 정류장의 승하차정보를 수집하는 교통정보 수집모듈;
    점포에 출입한 소비자의 모바일 단말기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승하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종합하여 유동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동성정보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유동성 분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모듈에 상기 분류된 유동성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정보 모듈은,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가구정보 수집모듈;
    면적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차정보 수집모듈 및
    상기 면적별 가구수에 대한 주차공간의 비율을 산출한 산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공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화 모듈에 상기 산출정보를 전달하여 자차로 이동하는 소비자의 접근이 유리한 골목상권을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점포의 임대료를 면적별로 분석하는 임대정보 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정보 분석모듈은,
    점포의 임대료 및 보증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임대정보를 생성하는 임대정보 생성모듈 및
    상기 임대정보를 유사한 가격별로 군집시켜 생성한 군집정보를 시각화 모듈로 전송하는 임대정보 군집모듈을 포함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모듈은,
    상기 군집정보를 일정 조건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별하여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도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KR1020180030682A 2018-03-16 2018-03-16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KR10208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ko) 2018-03-16 2018-03-16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ko) 2018-03-16 2018-03-16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59A KR20190108959A (ko) 2019-09-25
KR102081663B1 true KR102081663B1 (ko) 2020-02-26

Family

ID=6806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82A KR102081663B1 (ko) 2018-03-16 2018-03-16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815B1 (ko) 2020-08-26 2023-03-02 사단법인 대전세종에스엔에스감성진흥원 소상공인 상생을 위한 감성 기반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15B1 (ko) * 2016-08-18 2018-01-08 오정석 상권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권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지씨알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207486B1 (ko) * 2011-03-09 2013-04-1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단위 주차시스템의 적용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럭단위 주차시스템 적용 평가방법
KR101674021B1 (ko) * 2015-03-26 2016-11-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업점포의 위치 선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215B1 (ko) * 2016-08-18 2018-01-08 오정석 상권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권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59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g et al. Does hotel location tell a true story? Evidence from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of hotels in Hong Kong
Zhu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MRT system on accessibility in Singapore using an integrated GIS tool
Farber et al. Transit accessibility, land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 priority: A typology of planned station catchment areas in the Greater Toronto and Hamilton Area
CN108053240B (zh) 生成车载广告投放公交线路方案的方法及装置
Blainey Trip end models of local rail demand in England and Wales
KR20130019629A (ko)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009379A (zh) 一种选址模型构建和选址方法、装置及设备
Sharma et al. Equity of transit connectivity in Tennessee cities
KR102081663B1 (ko) 골목상권 재설계 시스템
KR100823827B1 (ko) Gis를 기반으로 교통사고 실황지도를 그리는 방법과 교통사고 고유식별용 연속번호를 자동 생성하여 교통사고의 통계를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ROȘU et al. Evaluating issues and performance of a public transport network in a post-communist city using a quantitative spatial approach
KR20100123408A (ko) Gis 기반의 가맹점 마케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Massobrio et al. Urban data analysis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f Montevideo, Uruguay
Ortega et al. The influence of spatial data allocation procedures on accessibility results: The case of high-speed rail networks
KR20030038178A (ko)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KR20100123398A (ko) 상권 내에서의 업종별 매출 추정 방법
Nelson et al. Office rent premiums with respect to distance from light rail transit stations in Dallas and Denver
Prastacos Integrating GIS technology in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modeling
JP2021096793A (ja) エリア分析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Tian et al. Identifying residential and workplace locations from transit smart card data
Hagen et al. Modeling of parking violations using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 case study for Berlin
Chen et al. Large-scale urban building function mapping by integrating multi-source web-based geospatial data
JP703722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116827A1 (ja) 大量データ可視化システム及び大量データ可視化方法
Murad Planning and loc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Jeddah City, Saudi Arabia: Discussion of the constructive us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