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685B1 -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685B1
KR102080685B1 KR1020180067537A KR20180067537A KR102080685B1 KR 102080685 B1 KR102080685 B1 KR 102080685B1 KR 1020180067537 A KR1020180067537 A KR 1020180067537A KR 20180067537 A KR20180067537 A KR 20180067537A KR 102080685 B1 KR102080685 B1 KR 10208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wire
wais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709A (ko
Inventor
강오현
Original Assignee
피씨오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오낙(주) filed Critical 피씨오낙(주)
Priority to KR102018006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6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와; 상기 힙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반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허리 착용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아기 돌봄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를 돌볼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Wearable baby weight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는 유아 체중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캐리어는 걸음마를 하지 못하거나 어린 유아들과 외출할 때, 유아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데리고 다니면서 돌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가슴 쪽 또는 등쪽에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유아용 캐리어는 대부분 벨트 등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에 메거나 허리 등 상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체중이 사용자의 상체에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척추에 상당히 무리가 따르게 되어 유아 돌봄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를 담아서 보호 및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 이동시에만 이용되고, 이때 유아가 활발하고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29876호 미국 공개특허 US2018/00020843 A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는 물론 다리 쪽까지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 돌봄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와; 상기 힙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반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허리 착용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 지지대는, 상기 힙 지지대 쪽에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와 상기 종아리 링크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무릎 관절 부분과,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은 낮추는 강성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퇴부 링크와 종아리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다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착용 벨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에 연결되어서 상기 와이어가 감길 수 있게 원형 구조로 형성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로부터 상기 대퇴부 링크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연결체와 상기 와이어를 통해 맞물리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와,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굽힘 강성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허리 착용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는 상기 허리 착용대가 사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반전된 상태로 지지하는 위치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힙 지지대와 허리 착용대 사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허리는 물론 다리 쪽까지 착용한 상태에서 지지대 위에 올려진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아기 돌봄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아를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릎 관절부에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강성조절장치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착용자의 앞쪽 이용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착용자의 뒤쪽 이용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로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의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1은 착용자의 앞쪽 이용시의 사시도, 도 2는 착용자의 뒤쪽 이용시의 사시도, 도 3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에 구성되는 무릎 관절부 강성조절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4는 측면 구성도, 도 5는 주요부 상세도, 도 6은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는,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와, 이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30)와, 이 힙 지지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허리 착용대(40)와, 이 허리 착용대(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아기의 다리가 올려질 수 있는 판형 구조를 비롯하여 아기가 앉을 수 있는 의자 구조까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발 등 신체가 닺는 부분에 쿠션 소재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아 지지대(50)는 아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아기에게 착용시킬 수 있는 안전 착용물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허리 착용대(4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 지지대(50)를 지지하고 힙 지지대(30)를 통해 한 쌍의 다리 지지대(10) 쪽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허리 착용대(40)는 기본적으로 하중을 지지하고 전달할 수 있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경량의 금속 소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안착시킨 상태로 착용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허리 착용대(40)는 적어도 사용자의 허리에 닿는 부분에는 쿠션 소재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리 착용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쪽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착용대(40)의 분리 및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유아 지지대(50) 쪽에 버클 구조(42)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허리 착용대(40)의 결합 및 분리 위치, 개수는 실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허리 착용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 쪽과 등 쪽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앞뒤로 역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허리 착용대(40)는 힙 지지대(30)에 힌지축(32)으로 연결되어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면 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허리 착용대(40)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아기를 지지할 수 있는 회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는 위치 지지수단(4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지지수단(45)은 힙 지지대(30)에 구성되어 허리 착용대(40)가 앞쪽 또는 뒤쪽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는 더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기능을 하는 스토퍼 구조물(미도시)일 수 있다.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 구조물은 널리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대한 도면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위치 지지수단(45)은 힙 지지대(30)와 허리 착용대(40) 사이에 연결된 탄성 구조물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탄성 구조물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 스프링(47)을 이용하여 허리 착용대(40)를 탄성력 있게 지지하고, 이와 함께 반전 상태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축 스프링(47)이 설치될 경우에 유아 지지대(50)에 아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아기가 상하로 움직일 때 압축 스프링(47)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위치 지지수단(45)은 압축 스프링(47)이 아니더라도 이와 유사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여러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허리 착용대(40)와 힙 지지대(30)를 연결하는 힌지축(32)에 스프링 구조물을 설치하여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힙 지지대(30)는 사용자의 엉덩이 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허리 착용대(40)의 하중을 다리 지지대(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부분으로서, 인체 모형에 따라 연결 링크 등을 이용하여 자유도를 추가하는 등 모션 구조 및 형상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 다리 지지대(10)는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힙 지지대(3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무릎 관절 부분(10a)을 중심으로 대퇴부 링크(11)와 종아리 링크(15)로 이루어지고, 무릎 관절 부분(10a)은 굽힘 강성(또는 댐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다리 지지대(10)는, 상기 힙 지지대(30) 쪽에 연결축(35)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11)와, 이 대퇴부 링크(11)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15)와, 대퇴부 링크(11)과 종아리 링크(15)가 연결되는 무릎 관절 부분(10a) 쪽에 구성되어 관절 부분의 탄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대퇴부 링크(11)와 종아리 링크(15)에는 모두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 벨트(12)(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퇴부 링크(11)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링크 구조로 힙 지지대(30)에 연결될 수 있는데, 대퇴부 링크(11)와 힙 지지대(30) 사이에 링크를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힙 지지대(30)와 대퇴부 링크(11)의 연결축(35)에는 필요에 따라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구조물(즉, 회전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대퇴부 링크(11)를 힙 지지대(30)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지 않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퇴부 링크(11)가 힙 지지대(30)에 대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퇴부 링크(11)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강성조절장치(20)가 내장 또는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조절장치(20)의 설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종아리 링크(15)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10a)을 통해 대퇴부 링크(1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강성조절장치(20)에 의해 상대 회전 강성 즉, 관절부 굽힘 강성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강성조절장치(20)는,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무릎 관절 부분(10a)의 굽힘 강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음직일 때는 무릎 관절 부분(10a)의 굽힘 강성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성조절장치(20)는, 무릎 관절 부분(10a)에 연결되는 연결체(21)와, 이 연결체(21)로부터 대퇴부 링크(11)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23)와, 와이어(2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4)와, 대퇴부 링크(11) 내에 구비되어 와이어(23)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25)와, 대퇴부 링크(11) 쪽에 구비되어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연결체(21)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와이어(23)가 감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안내체(25)는 연결체(21)와 와이어(23)를 통해 맞물리게 연결된다. 이때, 종아리 링크(15)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10a)을 통해 대퇴부 링크(1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므로, 와이어 안내체(25)는 와이어(23)를 통해 연결체(21)와 맞물리게 연결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체(21)는 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종아리 링크(15)가 움직일 때 와이어(23)를 당겨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와이어(23)는 통상의 금속성의 선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금속 소재가 아닌 로프, 벨트 등의 선형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부재(24)는 와이어(23)의 중간에 설치되어 인장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 부재(24)는 와이어(23)의 중간 위치가 아닌 와이어(23)가 연결되는 양단부에 다른 구조물 사이에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안내체(25)는 회전 도르래 등으로 이루어져 와이어(23)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와이어가 지나가는 적절한 위치에 수 개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장력조절수단(26)은 대퇴부 링크(11) 쪽에서 와이어(23)를 당겨줄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수동 방식 또는 자동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동인 경우에는 대퇴부 링크(11) 쪽에서 사용자가 레버(27)를 직접 당겨서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자동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위치 등을 작동시키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서 와이어(23)를 당겨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수동 방식의 장력조절수단(26)을 예시하고 있다.
수동 방식의 장력조절수단(26)은, 와이어(23)에 연결되고 대퇴부 링크(11)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와이어(23)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27)와, 대퇴부 링크(11)에 구비되어 레버(27)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27)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27)의 이동 궤적은 실시 조건에 따라 직선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으로 상하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가이드 결정체(28)는 레버(27)의 작동 경로를 구성하고, 또한 레버(27)가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 등의 방법으로 그 위치가 정지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레버(27)의 걸림 및 위치 고정 구조는 공지의 가이드 구조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도면 예시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강성조절장치(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와이어(23)의 장력을 변화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을 때는 레버(27)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당겨서 와이어(23)의 장력을 크게 함으로써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을 크게 하여 다리 지지대(10)를 통해 안정된 지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이동할 때는 도 3에서와 같이 레버(27)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장력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무릎 관절 부분(10a)의 강성이 약해져서 사용자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다리 지지대 11 : 대퇴부 링크
15 : 종아리 링크 20 : 강성조절장치
21 : 연결체 23 : 와이어
24 : 탄성 부재 25 : 와이어 안내체
26 : 장력조절수단 27 : 레버
28 : 가이드 결정체 30 : 힙 지지대
40 : 허리 착용대 45 : 위치 지지수단
50 : 유아 지지대

Claims (9)

  1. 관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다리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의 상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힙 지지대와;
    상기 힙 지지대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앞쪽과 뒤쪽으로 반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허리 착용대와;
    상기 힙 지지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 사이에는 상기 허리 착용대가 사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반전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 구조물 또는 탄성 구조물인 위치 지지수단과;
    상기 허리 착용대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지지대는,
    상기 힙 지지대 쪽에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대퇴부 쪽에 착용되는 대퇴부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 쪽에 착용되는 종아리 링크와,
    상기 대퇴부 링크와 상기 종아리 링크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굽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무릎 관절 부분과,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의 굽힘 강성은 낮추는 강성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상기 무릎 관절 부분에 연결되어서 와이어가 감길 수 있게 원형 구조로 형성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로부터 상기 대퇴부 링크 쪽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연결체와 상기 와이어를 통해 맞물리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의 위치 및 이동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체와,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굽힘 강성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대퇴부 링크 쪽에 구비되어 일정 변위를 이동하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레버와,
    상기 대퇴부 링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레버의 작동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결정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링크와 상기 종아리 링크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다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착용 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 착용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지지수단은 상기 힙 지지대와 상기 허리 착용대 사이에 연결된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67537A 2018-06-12 2018-06-12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KR10208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37A KR102080685B1 (ko) 2018-06-12 2018-06-12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37A KR102080685B1 (ko) 2018-06-12 2018-06-12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09A KR20190140709A (ko) 2019-12-20
KR102080685B1 true KR102080685B1 (ko) 2020-04-24

Family

ID=690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537A KR102080685B1 (ko) 2018-06-12 2018-06-12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61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KR102205260B1 (ko) * 2020-06-02 2021-01-20 채병식 아기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8010A (ja) * 2011-03-14 2014-04-03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具および装具を使用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40A (ko) * 2013-10-02 201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기 캐리어
US10334962B2 (en) 2016-07-22 2019-07-02 Jason Hornor Wearable portable baby changing table
KR101829876B1 (ko) 2017-07-03 2018-02-20 주식회사 아이엔젤 유아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8010A (ja) * 2011-03-14 2014-04-03 カデンス バイオ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装具および装具を使用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09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853B1 (ko) 관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2218960B1 (ko) 몸통 지지 외골격 및 사용 방법
KR102080685B1 (ko) 착용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EP3998054A1 (en) Waist assistance device
JP2022515698A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080018163A1 (en) Harness system for an infant or young child
KR101518174B1 (ko) 배낭에 구비되는 멜빵부 위치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KR20080091226A (ko) 음경을 신장시키기 위한 하네스
US4802466A (en) Lightweight, compact orthotic device for controlling knee instabilities
JP2013078526A (ja) 膝装具
EP3755183B1 (en) Baby carrier
KR102042519B1 (ko) 유아용 캐리어
KR102127376B1 (ko) 힙 시트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EP1803487B1 (en) Safety harness
WO2018229772A1 (en) A harness comprising interconnecting beams
JP2023540550A (ja) ウェアラブルチャイルドキャリア
WO2018148184A1 (en) Load adjustment system for backpacks
JP2022182258A (ja) 作業支援スーツ
KR102042517B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484108Y1 (ko) 아기띠
KR10191400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아기띠
KR20210051705A (ko) 기계식 레그 레스트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102076578B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9038653A1 (en) MOTOR REHABILITATION DEVICE IN POSTURAL DYS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