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70B1 - 유리 셀프 교환기 - Google Patents

유리 셀프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870B1
KR102079870B1 KR1020180097597A KR20180097597A KR102079870B1 KR 102079870 B1 KR102079870 B1 KR 102079870B1 KR 1020180097597 A KR1020180097597 A KR 1020180097597A KR 20180097597 A KR20180097597 A KR 20180097597A KR 102079870 B1 KR102079870 B1 KR 102079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lass
plate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수
이재봉
Original Assignee
하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수 filed Critical 하현수
Priority to KR1020180097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와,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유리가 거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레버에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된다.

Description

유리 셀프 교환기{DEVICE FOR EXCHANGE A GLASS BY ONESELF}
본 발명은 유리 셀프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프레임에 본딩제를 도포하고, 2인이 차량의 양측에서 앞유리를 들고 차량의 장착위치로 이동 후 본딩제가 도포된 차량의 프레임에 앞유리를 결합시킨다.
이 경우, 혼자서는 차량의 앞유리를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앞유리를 차량 프레임에 장착할 때 장착 위치의 기준 및 설정없이 숙련도만으로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장착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와,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유리가 거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레버에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및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회동부재, 지지부재 및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의 회동범위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연결플레이트 및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차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지지바디 및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디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는 수평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수평이동 유닛,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리프트와,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거치대, 및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와,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및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는 회동부재, 지지부재 및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의 회동범위에 위치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자서 차량의 앞유리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유리 셀프 교환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유리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2 유리 지지구조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는 도 12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셀프 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셀프 교환기(1000)은 리프트(1100), 유리 거치대(1200) 및 유리 지지구조체(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프트(1100)는 유리를 들어 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유리 거치대(1200)는 유리를 거치한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작업을 위해 거치된 상태로 유리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 지지구조체(1300)는 유리를 차체에 지지시키고, 차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리 지지구조체(1300)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1310)와 제2 유리 지지구조체(1320)를 포함한다.
또한, 리프트(1100)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유리를 혼자서 교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유리 셀프 교환기의 세부구성, 유기적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1100)는 바디 프레임(1110), 수평 이동유닛(1120) 및 승강 이동유닛(11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 프레임(1110)은 수직 프레임(1111), 상부 수평 프레임(1112), 하부 수평 프레임(1113) 및 바퀴(1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수평 프레임(1112)에는 수평 이동유닛(1120) 및 승강 이동유닛(1130)이 결합된다.
수평 이동유닛(1120)은 수평 이동모터(1121), 제1 롤러(1122), 제2 롤러(1123), 이동부재(1124) 및 이동바디(1125)를 포함한다.
수평 이동모터(1121)는 이동바디(1125)의 수평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 롤러(1122)는 수평 이동모터(1121)에 결합되고, 이동부재(1124)는 제1 롤러(1122)와 제2 롤러(1123)에 연결된다.
제1 롤러(1122)와 제2 롤러(1123)는 상부 수평 프레임(1112)의 양측에 장착된다.
다음으로 승강 이동유닛(1130)은 승강모터(1131), 승강이동부재(1132) 및 유리 결합부(1133)를 포함한다. 승강모터(1131)는 승강이동부재(1132)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유리 결합부(1133)는 승강이동부재(1132)와 유리(G)에 결합되고 승강이동부재(1132)의 이동에 따라 유리를 승강시킨다.
승강 이동유닛(1130)은 유압식, 벨트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리프트(1100)는 유리(G)를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 좌우이동,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유리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거치대(1200)는 본체바디(1210) 및 거지부재(1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바디(1210)에는 거지부재(1220)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거지부재(1220)는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는 서로 엇갈리도록 본체바디(1210)에 결합된다.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의 일단부는 각각 본체바디(121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의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유리를 거치할 경우,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를 본체바디(1210)로부터 기립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거치부재(1221)와 제2 거치부재(1222)의 단부에 유리(G)를 거치한다.
그리고 본체바디(1210)에는 바퀴(1211)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리 지지구조체(1310)는 흡착판(1311), 손잡이(1312), 연결플레이트(1313) 및 제1 지지체(13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1311)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1312)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1313)는 손잡이(1312)와 제1 지지체(1314)를 연결한다.
제1 지지체(1314)는 레버 조작에 의해 유리의 지지상태를 유지 및 해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지지체(1314)는 유리가 장착되는 차량의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레버(1314a), 지지판(1314b), 회동부재(1314c), 지지부재(1314d) 및 지지바디(1314e)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1314a)는 지지바디(1314e)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버(1314a)에는 회동부재(1314c)가 연결되고, 회동부재(1314c)에는 지지판(1314b)이 연결된다.
그리고 지지바디(1314e)는 상기 연결플레이트(1313)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바디(1314e)에는 지지부재(1314d)가 연결된다. 지지부재(1314d)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314d)는 제1 지지체(1314)의 견고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지판(1314b)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지지판(1314b)은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레버(1314a) 조작에 의해 연동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레버(1314a)를 회동시킬 경우, 레버(1314a)에 연결된 회동부재(1314c) 및 지지판(1314b)은 회동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314b)에 거치된 유리는 하강된다.
또한, 레버(1314a)가 소정각도로 회동된 경우, 지지판(1314b)은 지지부재(1314d)에 접하고, 레버(1314a)는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314)는 도 5에 도시한 제1 지지체(1314)와 비교하여 지지판의 형상 및 유기적인 결합구조만이 상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2314)는 레버(2314a), 지지판(2314b), 회동부재(2314c), 지지부재(2314d) 및 지지바디(2314e)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2314a)는 지지바디(2314e)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레버(2314a)에는 회동부재(2314c)가 연결되고, 회동부재(2314c)에는 지지부재(2314d)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바디(2314e)에는 지지부재(2314d)가 연결된다. 지지부재(2314d)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2314d)는 지지체(2314)의 견고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지판(2314b)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지지판(2314b)은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레버(2314a) 조작에 의해 연동된다. 또한, 지지판(2314b)은 경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리는 경사부에 거치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리 지지구조체(1320)는 흡착판(1321), 손잡이(1322), 연결플레이트(1323) 및 제2 지지체(132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1321)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1322)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1323)는 손잡이(1322)와 제1 지지체(1314)를 연결한다.
또한, 제2 지지체(1324)는 유리를 거치하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지지체(1324)는 유리가 장착되는 차량의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고, 제2 지지체(1324)에는 유리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리 지지구조체(2320)는 흡착판(2321), 손잡이(2322), 지지바디(2323) 및 지지체(232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2321)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2322)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바디(2323)는 손잡이(2322)와 지지체(2314)를 연결한다. 그리고 지지체(2324)는 지지바디(2323)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지지바디(2323)는 유리를 지지하기 위해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2 유리 지지구조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324)는 지지바디(2323)로부터 회동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314b)에 거치된 유리는 하강된다.
도 10 및 도 11은 유리 셀프 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C)의 타측부에 제1 유리 지지구조체(1310)와 제2 유리 지지구조체(1320)를 부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흡착기(1330)을 이용하여 유리(G)를 차체로 이동시키고, 차체의 일단부에 유리(G)의 일단부를 거치시킨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G)의 타단부를 제1 유리 지지구조체(1310)와 제2 유리 지지구조체(1320)에 거치시킨다.
이 때, 유리의 일단부를 차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유리 지지구조체(1310)의 레버(1314a)를 회동시켜 유리의 타단부 일측을 하강시키고, 제2 유리 지지구조체(1320)를 제거하여 유리의 타단부 타측을 하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혼자서도 차량의 유리를 교체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리 지지구조체(3310)는 흡착판(3311), 손잡이(3312), 연결플레이트(3313), 제1 지지체(3314) 및 보조 지지체(331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판(3311)은 차체에 부착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3312)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플레이트(3313)는 손잡이(3312)와 제1 지지체(3314)를 연결한다.
보조 지지체(3315)는 제1 지지체(3314)에 거치되는 유리의 무게를 차체에 지지시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조 지지체(3315)에는 차체 지지부(3315a)와 플레이트 지지부(3315b)가 형성된다. 차체 지지부(3315a)는 쿠션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플레이트(3313)에는 슬릿(33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지지체(3315)는 슬릿(3313a)에 삽입되고 플레이트 지지부(3315b)가 연결플레이트(3313)를 지지한 상태에서 차체 지지부(3315a)가 차체에 지지됨에 따라 연결플레이트(3313)의 단부에 결합된 제1 지지체(3314)에 유리가 거치된 경우에도 연결플레이트(3313)의 휨 없이 유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플레이트(3313)는 플레이트부(3313a), 제1 경사부(3313b) 및 제2 경사부(3313c)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3313b)는 플레이트부(3313a)에 대하여 하향경사도록 연장되고, 제2 경사부(3313c)는 제1 경사부(3313b)의 단부에서 플레이트부(3313a)측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진다.
슬릿(3313a)은 플레이트부(3313a)에 형성된다.
제1 지지체(3314)는 레버 조작에 의해 유리의 지지상태를 유지 및 해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지지체(3314)는 유리가 장착되는 차량의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레버(3314a), 지지판(3314b), 지지부재(3314c)를 포함한다.
또한, 레버(3314a)는 제1 경사부(3313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리가 지지되는 지지판(3414b)이 결합된다. 또한, 지지판(3414b)은 레버(3314a)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3314c)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판(3414b)은 제1 판부(3414b')와 제2 판부(3414b”)가 형성되고, 제2 판부(3414b”)는 레버(3314a)에 결합되고, 제1 판부(3414b')는 제2 판부(3414b”)에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제1 판부(3414b')는 플레이트부(3313a)와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차체의 내측으로 유리가 결합되는 차종에 대해서도 유리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유리 셀프 교환기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리 지지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제1 유리 지지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리 지지구조체(4310)는 흡착판(4311), 손잡이(4312), 연결플레이트(4313), 제1 지지체(4314) 및 보조 지지체(4315)를 포함한다.
흡착판(4311), 손잡이(4312)와 보조 지지체(4315)는 도 12에 도시한 흡착판(3311), 손잡이(3312)와 보조 지지체(3315)와 동일하다.
또한, 연결플레이트(4313)는 플레이트부(4313a), 제1 경사부(4313b) 및 제2 경사부(4313c)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4313b)는 플레이트부(4313a)에 대하여 하향경사도록 연장되고, 제2 경사부(4313c)는 제1 경사부(4313b)의 단부에서 플레이트부(4313a)측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진다.
또한, 제2 경사부(4313c)는 제1 경사부(4313b)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스토퍼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지지체(3314)는 레버(4314a), 지지판(4314b), 지지부재(4314c)를 포함한다.
또한, 레버(4314a)는 제1 경사부(4313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리가 지지되는 지지판(4414b)이 결합된다. 또한, 지지판(3414b)은 레버(3314a)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부재(3314c)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판(3414b)은 제1 판부(3414b'), 제2 판부(3414b”) 및 제3 판부(4414b"')가 형성된다.
제3 판부(4414b"')는 레버(4314a)에 결합되고, 제2 판부(3414b”)는 제3 판부(4414b"')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연결되고, 제1 판부(3414b')는 제2 판부(3414b”)에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제1 판부(4414b')는 플레이트부(4313a)와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제1 판부(4414b'), 제2 판부(4414b”) 및 제3 판부(4414b"')에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판(4414b)의 회동시 제2 판부(3414b”)이 제2 경사부(4313c)에 접촉될 경우, 더 이상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유리 셀프 교환기 1100: 리프트
1110: 바디 프레임 1111: 수직 프레임
1112: 상부 수평 프레임 1113: 하부 수평 프레임
1114: 바퀴 1120: 수평 이동유닛
1121: 수평 이동모터 1122: 제1 롤러
1123: 제2 롤러 1124: 이동부재
1125: 이동바디 1130: 승강 이동유닛
1131: 승강모터 1132: 승강이동부재
1133: 유리 결합부 1200: 유리 거치대
1210: 본체바디 1211: 바퀴
1220: 거지부재 1221: 제1 거치부재
1222: 제2 거치부재 1300: 유리 지지구조체
1310: 제1 유리 지지구조체 1311: 흡착판
1312: 손잡이 1313: 연결플레이트
1314a: 레버 1314: 제1 지지체
1314d: 지지부재 1314b: 지지판
1314c: 회동부재 1320: 제2 유리 지지구조체
1321: 흡착판 1322: 손잡이
1323: 연결플레이트 1324: 제2 지지체
1330: 흡착기 2314a: 레버
2314d: 지지부재 2314: 지지체
2314b: 지지판 2314c: 회동부재
2320: 제2 유리 지지구조체 2321: 흡착판
2322: 손잡이 2323: 지지바디
2324: 지지체

Claims (10)

  1.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 및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유리가 거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레버에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및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회동부재, 지지부재 및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유리 지지구조체는 상기 연결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보조 지지체는 차체 지지부와 플레이트 지지부가 형성되고, 플레이트 지지부는 연결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차체 지지부는 보조 지지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체에 지지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의 회동범위에 위치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연결플레이트 및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차체에 부착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가 부착된
    유리 셀프 교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지지바디 및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바디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유리 셀프 교환기.
  9. 수평이동 모터를 포함하는 수평이동 유닛과,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리프트;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거치대; 및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1 유리 지지구조체와,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유리가 장착되는 오픈부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는 유리 지지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유리가 거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레버에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되고,
    상기 제1 유리 지지구조체는 흡착판, 손잡이 및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고, 상기 흡착판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지체는 회동부재, 지지부재 및 지지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유리 셀프 교환기.

  10. 삭제
KR1020180097597A 2018-08-21 2018-08-21 유리 셀프 교환기 KR10207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97A KR102079870B1 (ko) 2018-08-21 2018-08-21 유리 셀프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97A KR102079870B1 (ko) 2018-08-21 2018-08-21 유리 셀프 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870B1 true KR102079870B1 (ko) 2020-04-08

Family

ID=7027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597A KR102079870B1 (ko) 2018-08-21 2018-08-21 유리 셀프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689A (en) * 1994-05-24 1996-01-02 Harmon Glass Company Windshield expansion tool and method for removing vehicle windshields
JP2004090200A (ja) * 2002-09-03 2004-03-25 Nissho Rubber Co Ltd 自動車の窓ガラス取付装置
US20060143891A1 (en) * 2005-01-04 2006-07-06 Reesing James M Spacing mean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689A (en) * 1994-05-24 1996-01-02 Harmon Glass Company Windshield expansion tool and method for removing vehicle windshields
JP2004090200A (ja) * 2002-09-03 2004-03-25 Nissho Rubber Co Ltd 自動車の窓ガラス取付装置
US20060143891A1 (en) * 2005-01-04 2006-07-06 Reesing James M Spacing means and methods of us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4086B (zh) 仪器底座及其吸附座
TWI337909B (ko)
JP3645232B2 (ja) 自動車ガラスの作業台
CN104108411A (zh) 自推进附属部件
JP4643531B2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取り替え方法
KR102079870B1 (ko) 유리 셀프 교환기
CN201317327Y (zh) 可适用不同规格仪器的仪器底座
CN212766379U (zh) 一种建筑工地用多功能搬运装置
CN106005544B (zh) 一种膜片贴附治具
JP2019099136A (ja) 交換する自動車ガラスの取り付けに使用される作業台とこの作業台を使用する自動車ガラスの取り付け方法
TWI231780B (en) Glass-plate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210192796U (zh) 一种中空玻璃的上片装置
CN218844780U (zh) 一种oled面板的fpc翻折贴合装置
CN101612951B (zh) 用于漏印版的台车
JP3971990B2 (ja) ドアの保持方法
JPH07137675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ガラス搬送装置
CN108656514B (zh) 一种压合装置和贴合方法
CN207140381U (zh) 一种用于遮物帘自动涂胶的装置
CN113582072B (zh) 一种图书馆上书辅助书车
CN219156432U (zh) 一种玻璃搬运安装车
WO2007132309A3 (en) Device for handling cars in multistorey car parks with improved raising system
JP3421814B2 (ja) 天井材張り付け作業車
CN219740753U (zh) 一种手机用便于贴片装置
JP2003074187A (ja) 断熱パネル施工用装置及び断熱パネル施工方法
CN220031711U (zh) 一种汽车仪表台的防尘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