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19B1 -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819B1
KR102079819B1 KR1020180015909A KR20180015909A KR102079819B1 KR 102079819 B1 KR102079819 B1 KR 102079819B1 KR 1020180015909 A KR1020180015909 A KR 1020180015909A KR 20180015909 A KR20180015909 A KR 20180015909A KR 102079819 B1 KR102079819 B1 KR 10207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signature
encrypted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231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뉴트리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트리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트리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암호키를 생성 저장하고,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정보가 저장된 키 저장 서버;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와 대응되는 고객의 고유 식별 정보(ID)를 매칭시켜 가상의 파일을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를 토대로 검색식에 대응하여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을 목록 작성하고, 각 목록에서 고객정보가 공개되도록 하고,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성별과 연령별로 질병 분포, 최근 판매량에 많은 제품들을 중심으로 목록화하고 세부적인 고객정보는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검색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고객정보를 암호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절차 및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조합하는 것을 제어하는 관리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운영 서버는, 의료기관 및 제품 제조/판매 기업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발급 요청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 및 공개 여부를 고객으로부터 승인 받는 고객 인증 확인부와,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에서 승인 받은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요청부와, 상기 인증 요청부에 의해 발송된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고객 서명과 상기 키 저장 서버에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를 공유하거나 이용해야 할 경우, 고객이 직접 공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의 보안성을 높이면서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사회 구성원들은 과거와 달리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공간 상에서 다양한 사회활동을 한다. 예를 들어, 거래를 할 때, 과거에는 은행이나 시장과 같은 물리적 공간에서 거래자들이 거래를 하였지만, 최근에는 온라인과 같은 디지털 공간 상에서 이러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 구성원들의 사회활동 영역이 물리적 공간에서 디지털 공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무엇보다도 중요시되는 분야가 정보 보안이다. 이는, 디지털 공간 상에서 거래를 할 경우, 거래계약서뿐만 아니라 개인이나 기업 정보들 역시, 디지털화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최근, 개인의 의료, 인적 정보나 기업 정보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덩어리(블록) 형태로 연결(체인)하는 블록체인(block chain)이 제안되었다. 블록체인은 종래 하나의 메인서버에서 거래 정보를 일괄 관리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수가 모든 이의 거래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한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정보가 기록으로 남고 누구나 기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보안성과 투명성, 안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은 최초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디지털 가상화폐에서 도입되었지만, 점차 관공서, 의료기관, 은행 등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정보 보안을 위해 블록체인이 적용되더라도 관공서, 의료기관 및 은행은 각각의 기관 별로 정보를 블록체인 형태로 구현하기 때문에 이들 정보를 관리하고 유기적으로 이용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의 경우 법인이나 개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각 의료기관은 다른 의료기관과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진료기록과 같은 의료정보를 공유하거나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의료기관에 의료정보를 요청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의료기관이 고객의 의료정보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를 하기 때문에 한 명의 고객에 대한 의료정보들이 서로 다른 보안성을 갖게 되고, 고객을 진료하는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진료 중인 고객이 과거 어떠한 진료를 받았고, 이와 관련하여 어떤 건강식품 등을 구매하였는지 알 수 없어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가 일괄적으로 관리 및 운영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고객들에 대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1720268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암호키를 생성 저장하고,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정보가 저장된 키 저장 서버;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와 대응되는 고객의 고유 식별 정보(ID)를 매칭시켜 가상의 파일을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를 토대로 검색식에 대응하여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을 목록 작성하고, 각 목록에서 고객정보가 공개되도록 하고,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성별과 연령별로 질병 분포, 최근 판매량에 많은 제품들을 중심으로 목록화하고 세부적인 고객정보는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검색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고객정보를 암호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절차 및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조합하는 것을 제어하는 관리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운영 서버는, 의료기관 및 제품 제조/판매 기업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발급 요청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 및 공개 여부를 고객으로부터 승인 받는 고객 인증 확인부와,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에서 승인 받은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요청부와, 상기 인증 요청부에 의해 발송된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고객 서명과 상기 키 저장 서버에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에 대한 목록은 각 고객에 대해 고유 식별 정보(ID)와 고객의 성별, 질병, 구매 제품, 구매 기간, 나이가 매칭되도록 하고, 해당 목록을 클릭할 경우, 고객에 대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가 세부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키 저장 서버에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에 대해 서명할 때의 압력 강도, 서명 속도, 각 부분별 곡률과 각도를 서로 비교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키 저장 서버에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에 대한 압력 강도, 서명 속도, 각 부분별 곡률과 각도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된 일치율과, 이들 항목 전체 평균에 대한 설정된 일치율 모두를 충족할 때, 고객이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하도록 하는 암호화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관리운영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고객 확인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서 고객의 승인을 받지 않은 고객정보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서 고객의 승인을 받은 경우 고객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8은 3차원 고객 서명과 서명의 분할에 따른 서명 조각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100)은, 고객의 건강식품등과 같은 제품의 구매정보와 고객의 진료기록과 같은 의료정보를 암호화하고 관리 및 제공하는 관리시스템(300)과, 통신망을 통해 건강식품 등을 구매한 고객 구매정보를 제공하는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건강식품을 구매한 고객의 진료기록 등의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정보 서버(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시스템(300)은 건강식품을 판매하거나 복수의 의료기관이 회원으로 가입하여 운영하는 임의의 관리기관 또는 기업일 수 있다. 따라서, 관리기관이나 기업이 건강식품과 같은 제품을 판매할 경우, 상기 관리시스템(300)은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관리기관이 의료기관일 경우에는 의료정보 서버(400)와 관리시스템(300)이 일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복수의 고객들이 진료를 받는 의료기관은 질병이나 의료기관의 위치에 따라 다른 복수의 의료기관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의료기관들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고객 맞춤형 건강식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이 자체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를 보유하면서 관리시스템(300)을 운영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는, 건강식품과 같은 제품을 구매한 복수의 고객정보(고객의 제품 구매정보)를 상기 관리시스템(300)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게 건강식품을 구매한 고객정보를 제공한다. 각 고객은 의료기관에서 진료 또는 의료상담을 받은 후, 추천 받은 건강식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기관 또는 기업이 운영하는 관리시스템(300)에 가입된 회원일 경우, 건강 식품 등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는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 내에 데이터화 된다.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에 데이터화된 고객정보는 고객의 주소, 연령, 관심 분야, 질병, 진료를 받고 있는 의료기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고객정보는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를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의 정책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서버(400)는, 복수의 의료기관 각각에 대한 서버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의료기관은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를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 등록된 회원을 고객(환자)으로 진료하는 의료기관일 수 있다.
고객들은 복수의 의료기관에서 자신의 질병 또는 의료상담을 받고, 각 의료기관은 고객의 진료기록을 데이터화한다. 복수의 의료기관은 상기 관리시스템(300)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 회원으로 가입된 기관일 수 있다.
즉, 고객은 상기 관리시스템(300)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 회원으로 가입된 의료기관들로부터 진료 또는 의료상담을 받고, 의료기관(의사)은 고객에게 최선의 건강식품 정보를 기관 또는 기업에게 제공한다. 상기 관리시스템(300)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고객에 대한 건강식품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고 이를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관리시스템(300)은, 고객의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구매정보 및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기반의 암호화한 후, 빅데이터 형태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고, 이를 의료기관과 고객이 의료기관 단말기(201)와 고객 단말기(202)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면에서는 의료기관 단말기(201)와 고객 단말기(202)만을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시스템(300)에서 운영하는 고객정보(의료정보 및 제품 구매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외부 기업(외부업체)일 경우, 상기 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여 고객 정보 이용 승인을 획득한 후, 고객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시스템(300)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하고, 의료정보 요청 및 고객정보의 공개하기 위한 고객 승인절차 진행을 제어하는 관리운영서버(350)와,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의료정보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고객정보(고객의 제품구매 정보와 고객의 진료기록 정보 등)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서버(303)와, 상기 암호화 서버(303)에 의해 암호화된 의료데이터와 제품구매 데이터(고객정보)를 저장하는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301, 302)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301, 302)에 저장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암호화된 고객정보), 고객이 미리 저장한 서명을 블록체인 방식으로 암호화 키 정보를 저장하는 키(key) 저장서버(304)와, 고객의 고유 식별 정보(ID), 각 ID에 대응하는 고객의 기본정보(나이, 성별, 주소 등), 의료정보 및 제품구매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 데이터 서버(306)와, 상기 의료기관 단말기(201)와 고객 단말기(202)에 의해 요청된 고객정보 공유 및 공개 요청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서버(305)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관리운영 서버(350)는 상기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상기 의료정보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제품구매 정보와 의료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를 진행하거나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ID, 고객의 3차원 서명 정보를 생성하거나 매칭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운영 서버(350)는 외부로부터 요청되는 고객정보 열람(공유 및 공개)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정책에 따라 고객에게 고객정보 공유 및 공개에 관한 승인 절차를 수행하고, 고객정보를 단계별로 목록화하여 상기 검색 서버(305)를 통해 고객정보를 공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 서버(303)는 각 의료기관이 운영하는 외부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료정보(고객의 진료 및 의료상담)와 건강식품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 구매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고객의 제품구매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다. 상기 의료정보는 고객에 대한 진료기록 예를 들어, CT, MRI, XRAY 등과 같이 의료기기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질병에 대한 의사의 진료기록 및 진료를 받기 위한 타액호로몬 검사, 모발중금속검사, 면역기능검사, 유전자검사, 유기산검사나 홍채 검사 등과 같은 사전 검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구매 정보는 고객이 제품을 구매한 기간, 구매 제품, 연령, 성별, 진료기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 서버(303)는 고객이 주기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거나 제품구매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 서버(306)는 고객의 고유 식별 정보(ID)와 대응되는 암호화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암호화된 고객정보)를 매칭 시켜 가상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의 파일은 제1 파일 스토리지(301)와 제2 파일 스토리지(302)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목록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정보에 대한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하기 전인 경우에는 고객들의 성별과 연령별로 질병, 구매한 제품정보 등으로 분류하고 목록화한 다음, 목록에 대응되는 세부적인 고객정보는 공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각 목록에 대응되는 세부적인 고객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서버(305)는 고객 또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검색식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요청할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객의 승인 여부에 따라 고객정보를 일부 또는 전체를 공개한다.
만약, 의료기관의 의사가 현재 진료중인 고객에 대한 과거 질병 내역과 구매한 제품정보를 요청할 경우, 고객의 승인절차를 완료한 후,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해제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고객정보를 토대로 의료기관(의사)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이 구매한 건강식품에 대해 맞춤형 건강식품, 맞춤형 화장품, 헬스디바이스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고객정보를 공유 및 공개할 것을 승인할 경우, 고객에게 일정한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고, 고객의 고객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게는 유료정보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빅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키 저장서버(304)는,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301, 302)에 암호화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에 추가적으로 암호키를 설정하거나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고객이 해제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고객정보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는 고객의 인증절차에서 고객이 고객정보를 공유 및 공개하는 것에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객 승인 암호는 미리 등록된 고객의 3차원 서명정보와 고객정보 공개 요청에 대응하여 고객에 고객 단말기를 통하여 송신하는 서명과 비교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의 관리운영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300)에 배치된 관리운영서버(350)는, 의료기관 등으로부터 고객의 고객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발급 요청부(351)와, 고객에게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할 것인지를 요청하고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고객 인증 확인부(352)와,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로부터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 받은 경우,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게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운영서버(350)의 정보 발급 요청부(351)는 고객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거나 의료상담을 한 의료정보와 고객이 제품구매를 한 제품 구매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를 통해 고객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고객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나 기업에게 미리 고객정보를 요청한다.
즉, 상기 관리시스템(300)에 고객정보를 암호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해 상기 관리운영서버(350)는 미리 고객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관 또는 기업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고객정보를 이용해야 할 이벤트(EVEN)가 발생할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고, 사전에 일괄적이고 지속적으로 고객정보를 외부서버(의료기관 서버 또는 제품판매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객의 고객정보를 의료기관이나 외부업체의 요청에 따라 고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에서 미리 회원으로 가입된 고객으로부터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암호화된 고객정보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화를 위한 고객정보 이용에 대해서도 고객 승인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와 같이,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기관 또는 기업이 고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후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로부터 고객정보 요청이 있을 경우, 아래 설명하는 고객 인증 확인부(352)의 승인 절차에 따라 고객 승인을 획득해야 데이터베이스화된 고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는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 요청이 있을 경우, 고객 단말기로 직접 승인 여부를 문의하고, 고객이 승인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저장 서버(304)에 고객 승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미리 3차원 서명이 저장된 경우, 승인 요청을 받은 고객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승인을 위한 서명을 하고, 이를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에 전송한다.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는 고객으로부터 수신된 3차원 서명과 상기 키 저장 서버(304)에 저장된 고객 서명을 비교하여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를 통하여 고객이 승인한 경우에만 암호화된 고객정보(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를 공개 형태로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353)는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352)에서 고객의 승인을 받은 고객정보에 대해 고객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게 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정보를 암호화한 후, 고객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외부에 공유 및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높은 보안을 유지하면서 고객의 고객정보를 공개할 때에는 고객에 의해서만 암호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상기 도 3의 고객 확인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운영 서버의 고객 확인 서버(352)는, 고객에게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 하기 위한 인증 요청부(401)와, 상기 인증 요청부(401)에 의해 발송된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고객 서명을 상기 키 저장 서버(304)에 저장된 고객 서명과 비교하는 비교부(402)와, 상기 비교부(402)에 의해 두 개의 서명을 비교한 후, 고객이 고객정보를 공유 및 공개할 것을 승인하였는지를 결정하는 판단부(4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고객의 인증 여부에 의해서만 공개가 결정되기 때문에 고객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키 저장 서버(304)에 고객의 3차원 서명을 저장한 후, 상기 인증 요청부(401)의 요청에 의해 전송된 고객 서명과 비교하여 고객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의 승인 여부를 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인증코드의 입력으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고객의 승인 여부를 3차원 서명 비교 방식을 적용할 경우, 상기 키 저장 서버(304)에는 미리 저장된 고객의 3차원 서명에 대해 서명할 때의 압력 강도, 서명 속도, 각 부분별 곡률과 각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고객의 서명에 대해서도 동일한 분류를 한 다음, 이들을 서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미리 저장된 고객의 3차원 서명에 대한 분류목록 정보들과 수신된 고객 서명에 대한 분류목록을 각각 개별적으로 비교하고(압력 강도, 서명 속도, 부분별 곡률, 각도 등), 각각의 항목들에 대해 90~95% 이상 일치하고, 전체 항목의 평균 일치도가 90% 이상일 경우 고객이 승인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고객 단말기(202)에 서명할 때, 압력 강도, 서명 속도, 부분별 곡률, 각도에 따른 서명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고객 단말기(202)는 관리 시스템(300)으로 서명 조각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키 저장 서버(304)는 수신된 서명 조각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난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저장 서버(304)는 미리 저장한 고객의 3차원 서명을 도 8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3차원 고객 서명을 생성한 난수에 기초하여 랜덤한 방향으로 복수의 서명 조각으로 분할(예시적으로 점선 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시스템(300)은 서명 조각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202)로 전송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202)는 서명 조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디스플레이된 서명 조각을 터치나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조각들 각각을 이동 시키며 서명 조각을 조립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202)는 서명 조각에 대한 조립이 완료되면 조립 완료 정보와 함께 조립된 서명 정보를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키 서장 서버(304)는 수신한 조립된 서명 정보와 미리 저장한 3차원 고객 서명을 비교하여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는, 고객이 최초 키 저장 서버(304)에는 3차원 고객 서명이 저장되도록 하였으나, 자신의 단말기(202)의 기종에 따라서 단말기(202)상에 터치의 압력 강도, 서명 속도, 부분별 곡률,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어 3차원 고객 서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고객은 수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서명 조각을 조립하는 형태로 3차원 고객 서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키 저장 서버(304)는 3차원 고객 서명을 N개의 조각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 값은 3차원 고객 서명의 복잡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저장 서버(304)는 3차원 고객 서명을 분석하여 서명이 복잡도가 높은 경우 N 값을 낮추고, 복잡도가 낮은 경우 N 값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서명의 복잡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서명 조각들로 인하여 진정한 고객(실제로 3차원 서명을 한 고객)이 서명 조각을 빠르게 조립 또는 조립에 실패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명이 복잡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구하고 적은 수의 서명 조각들로 인하여 진정하지 않은 고객(실제로 3차원 서명을 하지 않은 고객이 인증을 도용하는 경우 등과 같이)이 서명의 형상을 대략 유추하여 서명 조각을 정확하게 조립함에 따른 인증 도용 등의 문제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고객 승인을 위한 일치 범위는 일실시예에 대한 것이므로 고객 승인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일치여부를 비교하고, 일치도의 범위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서 고객의 승인을 받지 않은 고객정보들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공유 및 공개하고자 할 때, 고객에게 승인할 것인지를 요청한다. 고객의 승인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검색 서버를 통해 공개되는 정보는 특정한 고객임을 알 수 없도록 개략적인 정보만을 공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연령>이나 <성별>로 구분한 경우, 각각 연령별 질병율이 높은 순서대로 질병1, 질병2, …를 항목으로 하고, 각 질병들에 대응하여 건강식품 등 제품들 중 고객들이 많이 구매한 제품들 순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을 성별 단위로 구분한 후, 이를 연령별로 세분화하고, 각 연령에 대응하는 질병들과 각 질병들에 대응되는 구매된 제품들을 목록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정보에 대하여 고객의 승인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항목들에 대한 비율 형태로 표시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에서 고객의 승인을 받은 경우 고객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고객의 승인을 획득한 경우에는 고객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게 이름, 성별, 질병, 구매제품, 구매기간, 나이 등으로 항목을 분류한 후, 이를 목록화한다.
목록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특정 목록을 클릭할 경우, 고객에 대응되는 고객정보가 모두 표시된다. 즉, 도 2에서 암화된 고객정보를 고객정보를 요청한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게 모두 공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방법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암화화하는 단계(S701)와,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고객의 서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702)와,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조합하여 목록화하는 단계(S703)와,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 요청에 대응하여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4)와, 고객인 고객정보 공유 및 공개를 승인 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하는 단계(S70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은, 고객의 제품 구매정보 서버(200)와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를 진행한다.
이때, 이후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한 공유 및 공개 요청이 있을 경우, 고객의 승인을 획득하기 위해 암호화된 고객정보와 대응되는 고객 서명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또한,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조합하여 목록화를 한 다음,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로부터 공유 및 공개 요청이 있는 경우, 고객에게 승인 여부를 요청한다.
고객은 고객정보 공개에 대한 승인 여부 신청이 있을 경우, 고객 단말기를 통한 서명을 전송함으로써, 승인의 의사표시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전송한 서명정보와 미리 저장된 고객의 서명정보를 비교한 다음,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고객이 고객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승인할 경우,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고객의 승인 절차를 거쳐 공개함으로써 고객에게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와 같은 고객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한 후, 의료정보와 제품 구매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빅데이터를 구현함으로써 고객정보를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나 공개 요청이 있을 때, 고객이 직접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면서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200: 제품 구매정보 서버
300: 관리 시스템
400: 의료정보 서버
301: 제1 파일 스토리지
302: 제2 파일 스토리지
303: 암호화 서버
304: 키 저장 서버
305: 검색 서버
306: 메타 데이터 서버

Claims (7)

  1.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암호키를 생성 저장하고,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고객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정보가 저장된 키 저장 서버;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와 대응되는 고객의 고유 식별 정보(ID)를 매칭시켜 가상의 파일을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를 토대로 검색식에 대응하여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을 목록 작성하고, 각 목록에서 고객정보가 공개되도록 하고,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객들의 성별과 연령별로 질병 분포, 최근 판매량에 많은 제품들을 중심으로 목록화하고 세부적인 고객정보는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검색 서버;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고객정보를 암호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절차 및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조합하는 것을 제어하는 관리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운영 서버는 의료기관 및 제품 제조/판매 기업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발급 요청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된 암호화된 고객정보에 대해 공유 및 공개 여부를 고객으로부터 승인 받는 고객 인증 확인부와,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에서 승인 받은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를 의료기관 또는 외부업체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 확인부는,
    상기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요청부와,
    상기 인증 요청부에 의해 발송된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고객 서명과 상기 키 저장 서버에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미리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을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고객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경우에는 암호화된 고객정보들에 대한 목록은 각 고객에 대해 고유 식별 정보(ID)와 고객의 성별, 질병, 구매 제품, 구매 기간, 나이가 매칭되도록 하고, 해당 목록을 클릭할 경우, 고객에 대한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가 세부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키 저장 서버에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에 대해 서명할 때의 압력 강도, 서명 속도, 각 부분별 곡률과 각도를 서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키 저장 서버에 저장된 고객 서명과 상기 수신된 고객 서명에 대한 압력 강도, 서명 속도, 각 부분별 곡률과 각도 항목 각각에 대해 설정된 일치율과, 이들 항목 전체 평균에 대한 설정된 일치율 모두를 충족할 때, 고객이 암호화된 고객정보의 공유 및 공개를 승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와 제품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일 스토리지에 저장하도록 하는 암호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KR1020180015909A 2018-02-08 2018-02-08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KR102079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09A KR102079819B1 (ko) 2018-02-08 2018-02-08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909A KR102079819B1 (ko) 2018-02-08 2018-02-08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31A KR20190096231A (ko) 2019-08-19
KR102079819B1 true KR102079819B1 (ko) 2020-02-20

Family

ID=6780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09A KR102079819B1 (ko) 2018-02-08 2018-02-08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42B1 (ko) 2019-10-07 2020-06-19 신호열 블록체인 데이터 검색 방법
KR102336904B1 (ko) * 2019-12-17 2021-12-08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335151B1 (ko) 2020-02-14 2021-12-02 윤명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70154B1 (ko) * 2022-04-22 2022-11-24 주식회사 대하에프앤씨 블록체인 기반 의료기기 거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341A (ko) * 2007-10-09 2009-04-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KR20100035044A (ko) * 2008-09-25 2010-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정보 보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31396A (ko) * 2011-09-21 2013-03-29 김돈회 의약품 통계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0268B1 (ko)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1883271B1 (ko) * 2016-06-20 2018-07-30 주식회사 피노텍 자필서명을 이용한 금융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827B1 (ko) 2016-04-07 2017-08-02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블록체인 기반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31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6985B2 (en) Healthcare transaction validation via blockchain systems and methods
KR10207981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US8874909B2 (en)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data
US7814024B2 (en) Multi-way transactions related data exchange apparatus and methods
US11468176B2 (en) Computer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dentity management using blockchain
US20180204191A1 (en) Secure Digital Data Operations
CN107438992A (zh) 浏览器与密码的集成
CN110086830A (zh) 可搜索的经加密的数据
US11722304B2 (en) Secur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Gropper Powering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with HIE of one blockchain health IT
CN11144453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管理平台
US20190258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Security and Confidentiality of Consumer Information
US20240089109A1 (en) Secure digit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JP2017135590A (ja) 電子契約の管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194480A1 (en) Device for management of personal data
Desmarais Body language, security and e‐commerce
US11574320B1 (en) Tokenizing scarce goods with provenance history bound to biological fingerprints
US20230153832A1 (en) Tokenizing scarce goods with provenance history bound to biological fingerprints
TWI737139B (zh) 個人資料保護應用系統與個人資料保護應用方法
US20230131095A1 (en) Computer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dentity management
Mao Using Smart and Secret Sharing for Enhanced Authorized Access to Medical Data in Blockchain
KR20240050180A (ko)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관리대상제품을 구매하는 시스템 및 방법
CA3175232A1 (en) A system and method using a web3.0 digital self-sovereign-identity wallet, digital identity tokens, blockchain, and identity based authentication to deliver assets, more specifically electronic signatures and electronic prescriptions bound with validated digital identity credentials
US20230299985A1 (en) Identity on a Network
CN11116089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支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