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341A -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341A
KR20090036341A KR1020070101467A KR20070101467A KR20090036341A KR 20090036341 A KR20090036341 A KR 20090036341A KR 1020070101467 A KR1020070101467 A KR 1020070101467A KR 20070101467 A KR20070101467 A KR 20070101467A KR 20090036341 A KR20090036341 A KR 20090036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dical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배하석
정혜정
김석준
조범석
박창일
장병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6341A/ko
Publication of KR2009003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료정보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이 구비되고, 통신기지국이나 인터넷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접속과 클라이언트에 의한 접속이 구분되는 웹서버와, 웹서버상의 지원프로그램을 다운받아 휴대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는 휴대용 저장수단, 그리고 웹서버에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접속시 신원인증을 위한 소스를 제공하는 공인인증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능동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의료정보를 기록 및 조회할 수 있고, 진료상에서도 병원 상호 간의 협력체제를 도모하며, 신속 정확한 응급처치는 물론,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유비쿼터스, 유에스비, 휴대폰, 의료정보, 허브, 공유, 건강, 검진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THE SYSTEM FOR PROVIDING USER'S HEALTHCARE INFORMATION VIA UBIQUITO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영향을 미쳐 각 분야의 산업구조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의료분야의 영상전송시스템(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의 경우, 병원에서 환자가 등록카드를 제시하면 환자의 진료기록부나 방사선 촬영 이미지와 같은 해당 의료정보를 담당의사의 컴퓨터로 전송되게 함으로써, 간호사가 환자의 진료기록부를 찾아서 담당의사에게 직접 전달해야만 했던 진료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했다.
그러나 위 의료영상전송시스템은 시스템이 구축된 병원 내에서만 가능한 것 으로, 다른 병원이나 의원 및 약국과 연계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425070호(2004. 3. 18.,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와 제425370호(2004. 3. 19., 이하 '종래기술2'라 함) 및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6928호(2004. 12. 20., 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중계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 서비스 중계방법은 인증서 수신단계와, 인증서의 진위확인단계, 인증서 저장단계, 환자의 병세 저장단계, 진료신청단계, 진료일정을 수신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진료기관으로 진료예약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진료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약국으로 인증서와 진료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이를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수단과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기술2는 인터넷상에서 개인의료정보 관리 및 처방전 전달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병원단말기의 전용브라우저를 구동하는 단계와, 로그인 단계, 처방정보에 의사의 전자서명 및 관리자 인증서를 포함하여 환자의 스마트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지정약국 확인단계, 약국정보 검색단계, 선택약국으로 처방정보 전송단계 및 판매약품정보 저장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기술3은 환자등록카드용 휴대형 저장장치와 이를 이용한 진료기록부 작성방법 및 긴급 환자정보 전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3의 환자등록카드용 휴대형 저장장치는 커넥터와, 전송제어부, 플래시 메모리,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이피롬(EPROM)이 구비된 형태로, 플래시 메모리에는 환자의 인적사항, 검진 데이터, 진찰이력이 저장된 것이다.
종래기술3의 환자등록카드용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진료기록부 작성방법은 환자의 휴대형 저장장치의 내용을 조회하는 단계와, 조회된 내용을 읽어내어 진료기록부를 작성하는 단계 및 작성된 진료기록부를 담당의사에게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환자등록카드용 휴대형 저장장치를 이용한 긴급 환자정보 전달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긴급 호출 버튼을 감지하여 환자등록카드용 휴대형 저장장치의 환자정보 및 연락처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읽어들인 연락처로 환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기술1, 2, 3은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중계하거나 환자의 의료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형태 또는 휴대형 저장장치를 통해 병원변경으로 인한 중복 진료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병력사항에 대한 관리를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사용자가 자신의 병력사항에 대해 직접 관리하지 못하고 서버관리자나 병원 관계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주도되는 형태이므로 정작 사용자 본인은 자신의 의료정보 관리에 소극적이거나 피동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3에서와 같은 휴대형 저장장치의 경우,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환자의 인적사항이나 검진 데이터 및 진찰이력에 대한 보안이 허술하므로 분실시 환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능동적으로 자신의 혈당이나 혈압 및 맥박과 같은 건강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한 저장수단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의료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므로 병원 간의 상호 협력 또한 도모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과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수단의 의료정보를 구조대원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가능케 하며, 동시에 웹서버와 연계되는 인증체계를 이중 내지 삼중으로 보완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이 근본적으로 차단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과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및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이 구비되고, 통신기지국이나 인터넷망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는 양방향 통신모듈로써, 사용자에 의한 접속과 클라이언트에 의한 접속이 구분되는 웹서버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의료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수단, 웹서버와 연 계되어 클라이언트 접속시 신원인증을 위한 소스를 제공하는 공인인증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은 크게 의료정보입력과정과 의료정보열람과정 및 후속조치과정으로 나눠 볼 수 있는 것으로, 의료정보입력과정은 접속허용단계, 옵션선택단계 및 진료기록단계를 포함하고, 의료정보열람과정은 공개정보열람단계 및 차단정보열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과 그 구축방법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의료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의료정보를 기록 및 조회할 수 있고, 또 사용자에 대한 진료상에서도 해당 의료정보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으므로 자연히 병원 상호 간의 협력체제를 도모하는 등의 효과가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응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의료정보 즉, 병력사항 등을 구조대원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를 가능케 하여 위급상황에서의 인명구조 효율을 높이고, 웹서버와 연계되는 인증체계를 통해서 차단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등의 효과 또한 뛰어나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은 웹서버(10)와 휴대용 저장수단(20) 및 공인인증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서버(1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1)와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12)이 구비되고, 통신기지국(40)이나 인터넷망(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접속과 클라이언트(60)에 의한 접속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지원프로그램(12)은 사용자 주도형 의료정보관리를 위해 다운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형태로, 인터넷망(50)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의 해당 포터(porter) 등을 통해 구동될 때, 본 발명의 웹서버(10)와 자동으로 연계되어 사용자 인증 등의 프로세스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또, 지원프로그램(12)의 디비(DB) 구조는 각각 저장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아 인증과정 없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공개정보영역(12a)과 암호화하여 인증과정 없이는 열람할 수 없는 차단정보영역(12b)으로 구성된다. 공개정보영역(12a)에는 사용자의 혈액형, 비상연락처 및 자주 가는 병원과 같은 정보를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차단정보영역(12b)에는 주민번호와 같은 사용자의 신상정보, 알레르기(Allergie)와 같은 병적 특이사항 및 병력사항, 복용중인 약품정보 등 본인이나 관계자 외에는 보안사항으로 관리해야 하는 정보에 대해 기록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저장수단(20)은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다운받아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 단말기나 각종 유에스비(USB) 드라이브 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50)과 연계된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에스비(USB) 드라이브가 좋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지원프로그램(12) 및 휴대용 저장수단(20)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혈당, 혈압, 맥박과 같은 의료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기록 및 저장할 수 있고, 인증절차를 거쳐 조회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발휘 된다.
본 발명은 웹서버(10)와 연계되는 공인인증기관(30)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60) 접속시 신원인증을 위한 소스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인인증기관(30)은 구조대원이나 의료인의 면허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응급구조협회나 의사협회나 병원협회 또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좋다.
즉, 본 발명의 웹서버(10)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시 정한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적부를 가려 인증받는 사용자 접속방식과 휴대용 저장수단(20)의 분실이나 응급상황발생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60) 접속 즉, 제 3자나 구조대원 또는 다른 병원의 의료진 등이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접속하는 방식 등에 대한 접속경로를 구비하되, 접속 이후의 인증방식에 따라 구분 가능하게 구성된다.
클라이언트(60) 접속시 인증방식은 연계된 공인인증기관(30)을 통해 해당 소스를 제공받아 허용 여부를 가리는 방식으로, 해당 구조대원이나 의료진의 면허번호 또는 개인 공인인증서를 통해 인증하는 방식, 또는 인증을 위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를 발급해서 이를 통해 인증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웹서버(10)는 누가 언제 어디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조회 했는지에 대한 로그정보가 기록되며,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구축방법은 사용자가 병원 및 의원 등을 방문 진료하면서 자신의 의료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의료정보입력과정(S10)과, 기록 저장된 의료정보를 클라이언트(60) 즉, 사용자 이외의 관계자에 의한 인증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공개정보나 차단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의료정보열람과정(S20), 그리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응급조치 또는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후속조치과정(S30)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의료정보입력과정(S10)은 다시 접속허용단계(S11)와 옵션선택단계(S12) 및 진료기록단계(S13)를 포함하고, 의료정보열람과정(S20)은 프로그램 및 서버연동단계(S21)와 공개정보열람단계(S22) 및 차단정보열람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접속허용단계(S11)는 사용자의 의료정보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1)와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12)이 구비된 웹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거나 회원으로 가입하는 단계로, 회원가입시 설정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그 적부를 가려 접속을 허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옵션선택단계(S12)에서는 사용자가 의료정보를 웹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1) 상에 기록 저장할 것인지 또는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휴대용 저장수단(20)으로 다운받아 지원프로그램(12)의 디비(DB)에 기록하거나 저장할 것인지를 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두 가지 사용 방법을 병행하는 형태 또는, 둘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방법만을 고수하는 형태 등 다양한 패턴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휴대전화 단말기나 유에스비(USB) 드라이브와 같은 휴대용 저장수단(20)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형태의 지원프로그램(12)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권장실시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진료기록단계(S13)는 위 옵션선택단계(S12)에서 선택한 옵션에 따라 사용자가 의료검진시 자신의 의료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는 단계로,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수첩을 기록하는 것처럼 능동적으로 혈당이나 혈압 및 맥박과 같은 의료정보를 체크할 때마다 기록해 둔다.
이때,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휴대용 저장수단(20)에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원프로그램(12)의 공개정보영역(12a)에는 혈액형, 비상연락처 및 자주 가는 병원과 같은 정보를 기록해 두고, 차단정보영역(12b)에는 주민번호와 같은 사용자의 신상정보, 알레르기(Allergie)와 같은 병적 특이사항 및 병력사항 또는 복용중인 약품정보와 같은 것들을 기록해 둠으로써, 휴대용 저장수단(20)의 분실시 개인정보유출과 같은 사고를 미리 방지하는 동시에 기록을 위한 시간적 또는 공간적인 제한으로부터 벗어나는 등 특징이 발휘된다.
이후, 의료정보열람과정(S20)에서는 클라이언트(60) 즉, 제 3자나 구조대원 또는 다른 병원의 의료진 등에 의한 접속 및 인증 여부에 따라 웹서버(10)상의 데이터베이스(11) 또는 휴대용 저장수단(20)에 다운로드 된 지원프로그램(12) 내에 기록된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 즉, 공개정보나 차단정보를 열람하는 각 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프로그램 및 서버연동단계(S21)에서는 휴대용 저장수단(20)에 다운로드 된 지원프로그램(12)이 활성화되면서 웹서버(10)가 연동 되고, 웹서버(10)에서 클라이언트(60)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공인인증기관(30)과 연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공개정보열람단계(S22)는 클라이언트(60)의 신원확인을 위한 입력정보가 없거나 다른 사정으로 인해 신원이 인증되지 않은 상태로써, 휴대용 저장수단(20)의 지원프로그램(12)에서 공개정보영역(12a)의 디비(DB) 내용만이 독출되어 열람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분실한 휴대용 저장수단(20)을 습득한 제 3자가 지원프로그램(12)을 활성화시켜 웹서버(10)에 접속하는 경우, 인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비상연락처와 같은 공개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납을 위한 연락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차단정보열람단계(S23)는 공인인증기관(30)과 연계된 웹서버(10)에 의해 클라이언트(60)의 신원이 인증된 상태로써, 웹서버(10)에서 일회용 인증키가 발급되어 휴대용 저장수단(20)에 다운로드 된 지원프로그램(12)의 암호화된 차단정보영역(12b)의 디비(DB) 내용을 해독하여 열람 가능하게 한다. 즉, 사용자의 주민번호와 같은 주요 신상정보나 알레르기(Allergie)와 같은 병적 특이사항 및 병력사항 또는 복용중인 약품정보 등에 대한 암호모듈이 일회용 인증키에 의해 해독되어 열람할 수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클라이언트(60)에 대한 인증은 연계된 공인인증기관(30)을 통해 해당 소스를 제공받아 허용 여부를 가리는 형태로써, 구조대원이나 의료진의 면허번호 또는 개개인에 대한 공인인증서 또는 인증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하되, 적어도 다른 두 가지를 병행하는 이중 인증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보안체계를 강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의료정보열람과정(S20) 이후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조치 를 신속하게 적용하는 응급조치단계(S31)와, 앞서 언급한 휴대용 저장수단(20)의 분실시 습득한 제 3자가 사용자의 비상연락처로 분실사실을 알리거나, 응급상황에서 구조대원이 사용자에 대한 응급조치 후,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후송 중인 의료기관으로 보내 응급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전송단계(S32)로 이루어지는 후속조치과정(S30)을 포함하여 수행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은 구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특정 실시형태를 대표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또는 변경 실시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웹서버 11 : 데이터베이스
12 : 지원프로그램 12a: 공개정보영역
12b: 차단정보영역 20 : 휴대용 저장수단
30 : 공인인증기관 40 : 통신기지국
50 : 인터넷망 60 : 클라이언트

Claims (6)

  1. 사용자의 의료정보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1)와,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12)이 구비되고, 통신기지국(40)이나 인터넷망(5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한 접속과 클라이언트(60)에 의한 접속이 구분되는 웹서버(10)와,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다운받아 휴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는 휴대용 저장수단(20), 웹서버(10)와 연계되어 클라이언트(60) 접속시 신원인증을 위한 소스를 제공하는 공인인증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프로그램(12)은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아 인증 없이도 열람할 수 있는 공개정보영역(12a)과 암호화되어 인증 없이는 열람할 수 없는 차단정보영역(12b)으로 이루어진 디비(DB)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인증기관(30)은 구조대원이나 의료인의 면허를 확인해 줄 수 있는 응급구조협회나 의사협회나 병원협회 또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4. 사용자의 의료정보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1) 및 다운로드 가능한 지원프로그램(12)이 구비된 웹서버(1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거나 회원으로 가입하는 접속허용단계(S11)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웹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11)나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다운받은 휴대용 저장수단(20)에 저장할 것인지를 정하는 옵션선택단계(S12), 그리고 사용자가 의료검진시 자신의 의료정보를 옵션선택단계(S12)에서 선택한 옵션에 따라 기록 및 저장하는 진료기록단계(S13)를 포함하는 의료정보입력과정(S10)과;
    웹서버(10)상의 지원프로그램(12)을 다운받은 휴대용 저장수단(20)에 기록된 사용자 의료정보를 클라이언트(60) 접속에 의한 인증 여부에 따라 공개정보영역(12a) 또는 차단정보영역(12b)의 디비(DB)를 열람할 수 있는 의료정보열람과정(S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열람과정(S20) 이후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응급조치단계(S31)와, 휴대용 저장수단(20)의 분실시 사용자의 비상연락처로 분실사실을 알리거나, 응급상황에서 구조대원이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후송 중인 의료기관으로 보내 응급상황을 대비하도록 하는 정보전송단계(S32)로 이루어지는 후속조치과정(S3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열람과정(S20)은,
    휴대용 저장수단(20)으로 다운로드 된 지원프로그램(12)이 활성화되면서 웹서버(10)가 연동 되고, 웹서버(10)는 클라이언트(60)의 접속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공인인증기관(30)과 연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및 서버연동단계(S21)와;
    클라이언트(60)의 신원확인을 위한 입력정보가 없거나 또는 신원이 인증되지 않은 상태로써, 휴대용 저장수단(20)의 지원프로그램(12)에서 공개정보영역(12a)의 디비(DB) 내용만이 독출되는 공개정보열람단계(S22)와;
    공인인증기관(30)과 연계된 웹서버(10)에 의해 클라이언트(60)의 신원이 인증된 상태로써, 웹서버(10)에서 일회용 인증키가 발급되어 휴대용 저장수단(20)에 다운로드 된 지원프로그램(12)에서 암호화된 차단정보영역(12b)의 디비(DB) 내용이 열람 가능한 차단정보열람단계(S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 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방법.
KR1020070101467A 2007-10-09 2007-10-09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KR20090036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67A KR20090036341A (ko) 2007-10-09 2007-10-09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67A KR20090036341A (ko) 2007-10-09 2007-10-09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41A true KR20090036341A (ko) 2009-04-14

Family

ID=4076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67A KR20090036341A (ko) 2007-10-09 2007-10-09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6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31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31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관리 및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0850T3 (es) Intercambio seguro de registros de salud en tiempo real
CN110494919B (zh) 用于通过使用治疗管理系统管理医疗保健服务的方法
EP27679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5525161B2 (ja) 携帯機器または携帯端末へ医療データを安全に転送する方法
US10120977B2 (en) Secure healthca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88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of Medical Data Through Biometric Identifier
US8943556B2 (en) Secure information release
US20140039912A1 (en) Controlled Communications Mobile Digital System for Physician-Healthcare System Integration
TWI739088B (zh) 個人醫療情報整合系統
US20210118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rivate, and trusted 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and semi-autonomous prescription management
US11436369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ly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assets using an authenticated computer hub and a central server
JP6037653B2 (ja) 処方薬提供システム
KR102418721B1 (ko)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442371B2 (ja) 患者情報管理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090036341A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사용자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KR20090101561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방법 및 그에따른 시스템
KR20010096755A (ko) 컴퓨터 통신망과 보안장치를 이용한 건강 기록 정보 전달시스템 및 방법
US20080059235A1 (en) Medical Information Storage and Access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faq et al. Mobile-based patient-centric EMR sharing system using blockchain
NL2012301C2 (en) Digital car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JP7284969B1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US11968205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ely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assets using an authenticated computer hub and a central server
JP2013257771A (ja) 処方薬データ管理装置、処方薬データ管理システム、処方薬データ管理方法及び処方薬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KR20140147489A (ko) 모바일 처방전을 갖는 단말기 및 그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