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77B1 - 야외 화장실 - Google Patents

야외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77B1
KR102078777B1 KR1020180034422A KR20180034422A KR102078777B1 KR 102078777 B1 KR102078777 B1 KR 102078777B1 KR 1020180034422 A KR1020180034422 A KR 1020180034422A KR 20180034422 A KR20180034422 A KR 20180034422A KR 102078777 B1 KR102078777 B1 KR 10207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toilet
liquid
separation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875A (ko
Inventor
이신애
Original Assignee
이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애 filed Critical 이신애
Priority to KR102018003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야외 화장실을 개시한다.
이러한 야외 화장실은, 변기가 설치된 용변공간을 구비한 화장실 본체와, 상기 화장실 본체의 아래쪽에서 상기 변기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분뇨가 담겨지기 위한 분뇨저장부와, 상기 분뇨저장부 측에 담겨진 분뇨로부터 액체가 분리되는 상태로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분뇨저장부 내측에 형성되는 분리저장부, 및 상기 분리저장부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서 상기 변기 측의 세척용수로 활용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외 화장실{AN OUTDOOR TOILET}
본 발명은 야외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화장실은 대부분 구조가 간단한 조립식이나 이동식 구조를 가지며, 야외 등산로나 유원지, 공원 등에 설치된 상태로 운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야외 화장실들은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 상, 세척용수의 확보(공급)가 원활하지 못하여 대부분 비(非) 수세식 변기들이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재래식의 분뇨 저장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만족할 만한 사용 위생 환경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비(非) 수세식 변기는 용변시 내부면이 쉽게 오염될 수 있지만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주기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여 대부분 오염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사용자들이 야외 화장실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주된 요인이 된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비(非) 수세식 변기에 의해 야외 화장실의 실내 사용 환경이 저하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변기 구조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세척용수를 사용하지 않는 비(非) 수세식 변기 구조로는 화장실의 실내 사용(위생)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810212호_이동식 화장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用便)시 발생되는 분뇨(糞尿)의 저장 효율성 및 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야외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변기가 설치된 용변공간을 구비한 화장실 본체;
상기 화장실 본체의 아래쪽에서 상기 변기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분뇨가 담겨지기 위한 분뇨저장부;
상기 분뇨저장부 측에 담겨진 분뇨로부터 액체가 분리되는 상태로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분뇨저장부 내측에 형성되는 분리저장부; 및
상기 분리저장부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서 상기 변기 측의 세척용수로 활용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처리부;
를 포함하는 야외 화장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용변시 발생된 분뇨가 분뇨저장부 측에 담겨진 상태에서 액체(소변)만 분리되어 변기의 세척용수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처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야외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환경과 한층 더 부합하는 분뇨 저장 효율성 및 유지 관리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야외 화장실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야외 화장실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야외 화장실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일실시 예에 따른 야외 화장실은, 화장실 본체(2), 분뇨저장부(4), 분리저장부(6), 및 분뇨처리부(8)를 포함한다.
화장실 본체(2)는 사용자가 실내에 머문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화장실 본체(2)는 도 1에서와 같이 용변을 위한 용변공간(A)이 내부에 마련되고, 이 용변공간(A)의 바닥면 측에는 좌변기 타입의 변기(B)가 설치된 실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화장실 본체(2)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목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체결(예: 볼팅) 작업에 의해 각 구성부들이 서로 연결 고정되는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뇨저장부(4)는 화장실 본체(2) 측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분뇨(W)가 담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분뇨저장부(4)는 분뇨(W)가 담겨지기 위한 저장공간(C)을 구비하고, 용변공간(A)의 변기(B)를 통해서 낙하되는 분뇨(W)가 저장공간(C) 측에 담겨질 수 있는 상태로 화장실 본체(2)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분뇨저장부(4)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전체(일부)가 설치 지면 측에 매설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지면 상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분리저장부(6)는 분뇨저장부(4) 내측에 담겨진 분뇨(W) 중에서 슬러지들은 걸러지고 액체(W1, 소변)만 분리되는 상태로 담겨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분리저장부(6)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리공간(D)을 구비하고, 이 분리공간(D)은 분뇨저장부(4)의 저장공간(C) 내에서 분리부재(D1)에 의해 공간 둘레가 확보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분리부재(D1)는 홀(D2)들이 형성된 다공(多孔) 타입의 판재(망) 형태로 이루어지고, 분뇨저장부(4)의 저장공간(C) 내에서 분리공간(D)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분리부재(D1)의 홀(D2)들은 분뇨(W)의 슬러지들은 걸러지고, 액체(W1)만 통과될 수 있는 홀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재질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저장부(6)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분뇨저장부(4)의 저장공간(C) 측에 분뇨(W)가 담겨진 상태에서 분리부재(D1)에 의해 분뇨(W)의 슬러지는 걸러지고, 액체(W1)만 분리공간(D) 내측으로 유입되는 상태로 분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저장부(6)는 도 3에서와 같이 액체(W1)의 분리 유도를 위한 분리유도기(E)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유도기(E)는 분뇨저장부(4)의 저장공간(C) 측에 담겨진 분뇨(W)의 액체(W1)가 분리부재(D1)의 홀(D2)들을 통해서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는 상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리유도기(E)는 진동(振動)에 의한 분리 유도 작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분리저장부(6)의 분리부재(D1) 측에 한 개 이상이 간격을 띄우고 설치될 수 있다.
분리유도기(E)는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터의 회전에 의해 편심체가 회전되면서 미세한 진동을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며, 통상의 방법(예: 쏠라 패널)으로 전기를 공급받아서 진동 발생이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분리유도기(E)는 방수 처리된 상태로 분리부재(D1)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리유도기(E)는 분리부재(D1) 측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특히 분뇨(W) 슬러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분리부재(D1) 측의 홀부 막힘 현상을 진동에 의해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액체(W1)가 홀부들을 더욱 원활하게 통과하는 상태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분뇨처리부(8)는 분리저장부(6) 측에 담겨진 액체(W1)를 공급받아서 변기(B)의 세척용수로 활용이 가능하게 처리 및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분뇨처리부(8)는 분뇨(W)의 액체(W1)를 전기분해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뇨처리부(8)는 처리조(10)와, 이 처리조(10) 내측에 배치되는 분해처리기(12)를 구비하고, 화장실 본체(2) 내측에 구비된 보조공간(A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처리조(10)는 도 4에서와 같이 내측에 처리공간(F)이 형성되고, 이 처리공간(F)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유입구(F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F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조(10) 측은 제1 공급관(P1)에 의해 분리저장부(6)의 분리공간(D) 측과 연결되고, 제2 공급관(P2)에 의해 세척용수 저장탱크(T1) 측과 연결된다.
제1 공급관(P1)과 제2 공급관(P2)은 펌프(M1, M2)의 펌핑 구동에 의해 유체가 관로를 따라 공급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분뇨(W)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저장부(6)의 분리공간(D) 측에 담겨진 액체(W1)는 제1 공급관(P1)을 통해서 처리조(10)의 처리공간(F) 측으로 공급될 수 있고, 처리공간(F) 측에서 전기분해 처리된 처리액(W2)은 제2 공급관(P2)을 통해서 세척용수 저장탱크(T1)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조(10) 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순환관(P3)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순환관(P3)은 별도의 전해질 공급탱크(T2) 측을 경유하는 상태로 관체 양쪽 단부 측이 서로 간격을 띄우고 처리공간(F)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관된다.
순환관(P3)은 펌프(M3)의 펌핑 구동에 의해 처리공간(F) 측의 액체(W1)를 일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셋팅된다.
전해질 공급탱크(T2)는 내부에 전해질(S, 예: 정제염)이 담겨지며, 순환관(P3)의 작동시 관로 내측으로 일정량의 전해질(S)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순환관(P3)은 처리조(10) 내측에서 액체(W1)의 전기분해 처리가 이루어질 때, 일정량의 전해질(S)이 처리공간(F) 측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해질(S)의 공급에 의한 전기분해 효율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분해처리기(12)는 전극판(G1)들과, 전극바(G2)를 구비하고, 전극판(G1)들은 예를 들어, 음극판 사이에 양극판이 배치되는 배열을 이루면서 서로 간격을 띄우고 마주하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분해처리기(12)는 도 4에서와 같이 처리조(10) 내측에 담겨지는 액체(W1)의 전기분해 처리가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전극바(G2) 측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기분해가 가능하게 통상의 방법으로 전기가 인가되도록 셋팅된다.
분해처리기(12)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소변과 같은 액체(W1)의 전기분해 처리와 부합하는 여러가지 타입의 전기분해 방식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뇨처리부(8)는 액체(W1)의 전기분해 처리시 수면 상에 발생되는 거품(Q)들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분뇨(W)의 액체(W1)를 전기분해 처리할 때 발생되는 거품(Q)들은 가스(염소가스, 수소가스)와 미세한 슬러지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기분해 효율성을 더 높이려면 거품(Q)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제거부(14)는 도 4에서와 같이 처리조(10)의 유입구(F1) 측에 배치되는 송풍기(H1)와, 배출구(F2) 측에 배치되는 거품제거기(H2)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기(H1)는 처리조(10) 내측에 일방향의 송풍(送風) 분위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송풍기(H1)는 송풍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처리조(10)의 유입구(F1) 측에서 타측의 배출구(F2) 측을 향하여 송풍력 발생이 가능하게 셋팅된다.
즉, 송풍기(H1)는 처리조(10) 내부에 담겨진 액체(W1)가 전기분해 처리될 때 수면 위로 발생되는 거품(Q)들이 거품제거기(H2) 측으로 옮겨지도록 송풍력으로 불어내는 역할을 한다.
거품제거기(H2)는 송풍기(H1)의 작동과 연계하여 거품(Q)을 깨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거품제거기(H2)는 통공들이 형성된 플레이트(또는 망) 타입으로 형성되며, 송풍 분위기에 의해 처리조(10)의 배출구(F2) 측으로 배출되는 거품(Q)들을 받아줄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거품제거기(H2)의 하측에는 수거통(H3)이 배치되고, 이 수거통(H3)은 화장실 본체(2) 외측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배기관(H4) 측과 연결된다.
거품제거기(H2)는 통공들의 홀부가 거품(Q) 둘레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처리조(10)의 배출구(F2) 측에서 거품(Q)들이 배출될 때 통공들에 의해 거품(Q)들이 더욱 원활하게 깨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거품제거부(14)는 도 6에서와 같이 처리조(10) 측에서 액체(W1)의 전기분해 처리시 발생되는 거품(Q)들이 송풍 분위기에 의해 거품제거기(H2) 측에 쌓여지면서 송풍 압력은 물론이거니와, 거품층의 상부층 압력에 의해 하부층의 거품(Q)들이 순차적으로 깨지도록 유도하여 거품(Q)에 포함된 가스는 배기관(H4)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되고, 미세 슬러지들은 수거통(H3) 측에 담겨지는 상태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거품제거부(14)는 도 6에서와 같이 제거유도기(H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거유도기(H5)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터의 회전에 의해 편심체가 회전되면서 미세한 진동을 발생하는 구조를 가지며, 통상의 방법(예: 쏠라 패널)으로 전기를 공급받아서 진동 발생이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제거유도기(H5)는 도 6에서와 같이 거품(Q)들이 거품제거기(H2) 측에서 깨지는 상태로 제거될 때, 이 거품제거기(H2) 측에 진동을 전달하여 거품(Q)들이 더욱 원활하게 깨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분뇨처리부(8)의 구조에 의하면, 분뇨저장부(4) 내측에서 분뇨(W)로부터 분리되어 분리저장부(6) 측에 담겨진 액체(W1)가 제1 공급관(P1)을 통해서 처리조(10) 측으로 공급된 후, 분해처리기(12)에 의해 전기분해 처리될 수 있다.
즉, 처리조(10) 측에 담겨진 액체(W1)는 분해처리기(12)의 작동에 의해 미세한 공기방울들이 용존불순물(가스, 미세 슬러지)들과 함께 부유하면서 수면 상에 거품(Q)들이 발생되는 상태로 전기분해(정화) 처리된다.
이때, 처리조(10) 내측에는 순환관(P3)을 통해서 정제염과 같은 전해질(S)이 공급되므로, 전해질(S) 공급에 의해 전기분해 작용이 촉진되는 상태로 정화(탈색, 탈취 및 소독)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기분해시 수면 상에 부유된 거품(Q)들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송풍기(H1)의 송풍 작용에 의해 거품제거기(H2) 측으로 옮겨진 후, 순차적으로 깨지는 상태로 제거 처리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처리조(10) 내에서 액체(W1)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얻어진 처리액(W2)은 제2 공급관(P2)을 통해서 세척용수 저장탱크(T1) 측에 공급 저장된 후, 용변시 변기(B)의 세척용수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변시 발생된 분뇨의 저장 중에 분뇨로부터 소변(액체)을 분리하여 이를 변기 세척용수로 활용이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특히 대부분의 야외 화장실들이 유지 관리가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할 때, 화장실의 유지 관리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2: 화장실 본체 4: 분뇨저장부 6: 분뇨처리부
W: 분뇨 W1: 액체 W2: 처리액

Claims (5)

  1. 변기가 설치된 용변공간을 구비한 화장실 본체;
    상기 화장실 본체의 아래쪽에서 상기 변기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분뇨가 담겨지기 위한 분뇨저장부;
    상기 분뇨저장부 측에 담겨진 분뇨로부터 액체가 분리되는 상태로 담겨질 수 있도록 상기 분뇨저장부 내측에 형성되는 분리저장부; 및
    상기 분리저장부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서 상기 변기 측의 세척용수로 활용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분뇨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뇨처리부는,
    유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저장부 측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는 처리조와, 이 처리조 내측에 배치되며 액체를 전기분해 처리하기 위한 분해처리기와, 상기 처리조 측의 액체를 순환시키는 상태로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순환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야외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저장부는,
    상기 분뇨저장부 내측에 형성되는 분리공간을 구비하고, 이 분리공간은, 분뇨 중에서 슬러지들은 걸러지고 액체만 분리되면서 담겨질 수 있는 상태로 분리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야외 화장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는,
    분뇨의 액체가 통과되기 위한 홀들이 형성된 판재나 망을 사용하고, 상기 분뇨저장조 내측에서 상기 분리공간의 둘레부를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는 야외 화장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뇨처리부는,
    상기 화장실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야외 화장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뇨처리부는, 전기분해 처리시 액체 수면 상에 발생되는 거품들을 제거하기 위한 거품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품제거부는,
    상기 처리조의 유입구 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 측을 향하여 거품들을 불어낼 수 있는 송풍 분위기를 발생하기 위한 송풍기와, 이 송풍기의 송풍 작동과 연계하여 거품들이 깨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배출구 측에 배치되는 거품제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야외 화장실.
KR1020180034422A 2018-03-26 2018-03-26 야외 화장실 KR10207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22A KR102078777B1 (ko) 2018-03-26 2018-03-26 야외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22A KR102078777B1 (ko) 2018-03-26 2018-03-26 야외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75A KR20190112875A (ko) 2019-10-08
KR102078777B1 true KR102078777B1 (ko) 2020-02-18

Family

ID=6820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22A KR102078777B1 (ko) 2018-03-26 2018-03-26 야외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7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400A (ko) * 2003-01-14 2004-07-22 (주)자연사랑월드 무수 변기를 이용한 소멸식 정화시스템
KR100676924B1 (ko) * 2005-03-02 2007-02-01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변기
KR101776029B1 (ko) * 2015-08-06 2017-09-07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810212B1 (ko) 2017-01-10 2017-12-18 주식회사 앤동일 이동식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875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07281A (ja) 水洗トイレ用殺菌・洗浄装置
KR20180008813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CN209940742U (zh) 一种一体化城镇污水处理装置
KR102078777B1 (ko) 야외 화장실
JP2005007385A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CN109467229A (zh) 一种用于有机废水的电化学处理方法
JP4598143B1 (ja) 生活用水の再使用システム
CN107429508B (zh) 移动式冲水厕所系统
JP3172987U (ja) 汚水浄化装置
RU222891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JP2005177681A (ja) 気泡発生装置及び電気浮上方法
CN210086399U (zh) 一种具有厕所用水系统的移动厕所
CN210683553U (zh) 一种粪便处理系统及电解式公共厕所
KR20170132454A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CN208594059U (zh) 电解装置及智能消毒马桶盖
CN208545801U (zh) 一种马桶污水提升器
KR101404703B1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KR0121077Y1 (ko) 전기분해에 의한 분뇨정화장치
KR101736946B1 (ko) 화장실의 소변 정화장치
JP2017104780A (ja) 生物処理装置の変換方法および更新方法
JP3134900U (ja) 汚水処理装置
JP2006026506A (ja) 排水処理装置と生ゴミ処理システム及び油除去装置
CN109133529A (zh) 一种高效的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处理设备
JP2021046782A (ja) トイ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