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140B1 -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140B1
KR102078140B1 KR1020150035050A KR20150035050A KR102078140B1 KR 102078140 B1 KR102078140 B1 KR 102078140B1 KR 1020150035050 A KR1020150035050 A KR 1020150035050A KR 20150035050 A KR20150035050 A KR 20150035050A KR 102078140 B1 KR102078140 B1 KR 10207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kin
cosmetic composition
hydroxyethyl
buff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868A (ko
Inventor
나철희
원보미
한종섭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3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140B1/ko
Priority to CN201680015173.8A priority patent/CN107427429B/zh
Priority to PCT/KR2016/002341 priority patent/WO2016148434A1/ko
Publication of KR2016010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68A/ko
Priority to HK18103801.3A priority patent/HK1244226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산에 의한 자극이 적고, 내/외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각질박리 및 피부장벽 개선을 통해 노화, 여드름 및 아토피를 포함하는 트러블 피부상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pH buffer system}
본 발명은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pH(산도)는 약산성으로, 약산성의 피부 pH는 피부의 세린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 베타-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beta-glucocerebrosidase) 등 정상적인 피부기능을 유지하는 효소들의 활성과 연관이 있다. 노화된 피부뿐만 아니라 여드름, 아토피를 비롯한 트러블이 발생한 피부의 대부분에서 정상보다 높은 피부 pH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선행문헌 1,2 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 및 노화된 피부에 낮은 pH의 물질을 처리함으로써 피부 장벽이 회복되고 피부가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산성 pH 시스템의 경우 아토피 또는 트러블로 인해 손상되거나 민감해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그 효과가 일시적이어서 피부상태의 본질적인 개선이 어렵고 소비자가 원하는 효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유기산은 각질층의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하여 과잉의 각질의 박리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각질층은 물리적, 화학적인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피부 세포의 지속적인 생성과 각질층에서의 박리로 진행되는 턴오버(Turn over)를 통해 깨끗하고 맑은 피부를 항시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노화, 자외선 또는 스트레스로 인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자연적인 각질탈락이 지연되어 각질이 쌓이게 되면 피부 윤기가 감소하게 되고,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이 가속될 수 있다. 각질 박리를 촉진시키는 유기산으로 알파 하이드록시산, 베타 하이드록시산, 폴리하이드록시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기산을 그대로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민감한 피부 및 트러블 피부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효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유기산에 의한 자극이 적고, 내/외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이 필요하다.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847-2856, 127, 2007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824-1835, 129, 2009
본 발명은 유기산에 의한 자극이 적고, 내/외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pH 완충 시스템은 산(acid)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acid)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고, pH가 3 내지 5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산(acid)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고, pH가 3 내지 5인 피부 보습 및 피부 pH 변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산에 의한 자극이 적고, 내/외적 원인으로 인한 피부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각질박리 및 피부장벽 개선을 통해 노화, 여드름 및 아토피를 포함하는 트러블 피부상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pH 완충 시스템은 산(acid)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acid)을 함유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고, pH가 3 내지 5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잘 융합되지 않는 2 이상의 액체의 혼합물인 에멀젼이기만 하면 되고, 그 타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il in water; O/W) 또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수중유중수형(Water in oil in water; W/O/W) 또는 유중수중유형(Oil in water in oil; O/W/O)등의 다중 에멀젼 타입이어도 무방하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일 수 있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과 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유상이 친수성과 친유성을 분자안에 동시에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 분자에 의해 에멀전 구조를 형성하여 정제수, 폴리올, 점증제 등으로 이루어진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가용화 제형에 비해 보습지속력과 피부 유연감 등이 뛰어나, 아토피를 비롯한 트러블이 발생한 피부의 지속적인 개선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완충 용액은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의 산이나 염기를 가하여도 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수소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액의 pH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액을 말한다. 본 발명의 완충 용액은 산을 함유함으로써,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3 내지 5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pH의 범위는 화장품 시험방법 중 pH 시험법으로 측정하였을 때의 pH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H가 3 내지 5임을 특징으로 한다. pH 3 미만의 경우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pH 5 초과시 피부 pH 변화를 완화하는 효과가 미약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도 조성물의 pH를 pH 3 내지 5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완충 용액은 유기산 및 그 짝염기를 포함하거나, 유기산 및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과 그의 짝염기, 또는 유기산과 pH 조절제를 포함함으로써,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코노락톤, 락토바이온산,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pH 조절제는 조성물의 pH를 pH 3 내지 5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pH 조절제는 공지의 완충제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로메타민, HEPES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HEPPS(3-[4-(2-hydroxyethyl)piperazin-1-yl]propane-1-sulfonic acid), TAPS(3-[[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propane-1-sulfonic acid),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TES(2-[[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ethanesulfonic acid), BES(N,N-bis(2-hydr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 TAPSO(3-[[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2-hydroxypropane-1-sulfonic acid), POPSO(Piperazine-N,N′-bis(2-hydroxypropanesulfonic acid)), HEPPSO(N-(Hydroxyethyl)piperazine-N'-2-hydroxypropanesulfonic acid), DIPSO(3-(N,N-Bis[2-hydroxyethyl]amino)-2-hydroxypropanesulfonic acid), 글리신아미드(glycinamide), 바이신(Bicine), 트리신(Tricine), 아세트아미도글리신(Acetamidoglycine), MOPS(3-morpholinopropane-1-sulfonic acid),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기산 및 그 짝염기는 1: 0.2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유기산 및 그 짝염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도 조성물의 pH를 pH 3 내지 5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유기산 및 pH 조절제는 1: 0.2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유기산 및 pH 조절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도 조성물의 pH를 pH 3 내지 5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피부의 수분 보유능을 향상시키고, 내/외부적 원인에 의한 피부의 pH 상승 작용을 완화시켜, 피부를 pH 3 내지 5의 정상 범위로 유지시킴에 따라, pH 변화에 의한 다양한 피부 증상을 완화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결을 매끄럽게 하고, 피부 노화, 여드름, 아토피 증상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감을 현저히 낮춤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pH 변화 완화용 화장료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스킨);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오일, 왁스 및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70℃ 내지 75℃로 가열 용해 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pH 완충 용액으로 유기산 및 그 짝염기, 또는 유기산 및 유기버퍼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pH 완충 용액, 폴리올 및 점증제 등을 정제수에 분산시켜 70℃ 내지 75℃로 가열한 수상에 상기 유상을 첨가하였다. 그 후, 호모믹서 1500 내지 3500 rpm 조건하에서 10분간 교반하고 50℃에서 첨가제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나서, 5분간 교반하여 30℃까지 냉각시켜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1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한 방법으로 pH 완충 시스템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2

[ 실험예 ]
실험예 1: pH 및 경도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pH 및 경도를 확인하였다. pH는 화장품 시험방법 중 pH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요약하면,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 2g을 정제수 30ml로 희석하고, 기능성화장품 시험방법에 따라 F-52 pH 미터(HORIBA社)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경도는 RTC-3005D 경도계(RHEOTECH社)를 사용하여, 측정바가 2cm/min 속도로 시료를 25mm 깊이로 눌렀을 때의 저항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3

실험예 2: pH 완충 시스템 종류 및 유무에 따른 피부 pH 변화 및 지속력 비교
pH 완충 시스템의 종류 및 유무에 따른 피부 pH 변화 완화 효과 및 지속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온도 25℃, 상대습도 70%로 유지된 항온 항습실에서 경증의 아토피를 겪고 있는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직전 환부의 피부 pH를 측정하고, 피부 pH를 인위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pH 10의 폼클렌저로 환부를 클렌징한 직후 피부 pH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제형을 바른 뒤 30분 단위로 240분까지의 피부 pH를 측정해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피부 pH는 피부 pH 측정장치(Skin-pH-Meter PH905,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피부 pH를 빠르게 정상화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측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의 경우 완충능(Buffer capacity)의 차이로 인해 도포 180분 까지만 피부 pH가 정상화되어 유지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 제형을 바른 뒤 120분이 지나도 실험전의 pH로 회복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2의 경우, 제형을 바른 뒤 빠르게 pH 회복이 이루어지나 90분 후 실험전의 pH로 되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H 완충 시스템을 가짐으로써 피부의 pH 변화를 지속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pH 완충 시스템 유무에 따른 피부결 , 각질박리 개선, 피부 수분 보유능 및 피부자극 비교
pH 완충 시스템 유무에 따른 피부결, 각질박리 개선 및 피부보습 개선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버퍼 시스템을 달리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을 사용하였다. 50대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직전 피부결 및 피부 pH를 측정하고 평소 사용방법대로 크림을 얼굴에 4주 동안 사용하게 하고 2주마다 측정하여 시험전 대비 개선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사용만족도는 4주 사용 후 5점 만점 척도로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온도 25℃, 상대습도 70%로 유지된 항온 항습실에서 피부결 변화는 PRIMOS High Resolution Image Analys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질박리 개선효과는 시험부위를 DHA로 착색한 후 (Chromameter CR300, 독일 CK Electronic)으로 Luminosity 값의 변화를 시료를 사용하지 않은 시험부위와 시료를 사용한 부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수분 함량은 피부 수분함량 측정장치(Corneometer CM825, 독일 CK Electroni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값은 시험전 대비 개선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피부자극도는 화장품평가/분석법 평-29에 근거하여 24시간 첩포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자극지수(PII)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5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6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실시예 1이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현저한 피부결 개선, 피부 수분 함량 개선 및 각질박리 개선을 보이며 노화피부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내지 5의 경우 피부결, 피부수분함량 및 각질박리가 일부 개선되나 그 정도가 현저히 낮으며, 비교예 4 및 비교예 6의 경우 피부자극이 높아 민감한 피부의 사용자에게 부적합하며, 사용자 만족도 또한 낮게 나오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pH 완충 시스템이 피부결 개선, 피부 수분 함량 개선, 각질 박리 개선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pH 완충 시스템에 함유되는 유기산의 농도 및 유기산 및 그 짝염기 또는 유기 버퍼화합물의 함량비가 상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실험예 4: pH 완충 시스템 유무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 TEWL ), 아토피 개선 및 사용 만족도 비교
pH 완충 시스템 유무에 따른 아토피 환부의 피부장벽 복구 및 증상 개선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버퍼 시스템을 달리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사용하였다.
경증 아토피를 겪고 있는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직전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 평소 사용방법대로 환부에 크림을 4주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온도 25℃, 상대습도 70%로 유지된 항온 항습실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은 Tewameter(TM300, 독일 CK Electronic)를 이용하여 2주 마다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시험전 대비 개선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아토피 증상 개선은 육안 확인을 통하여 증상 개선 인원 비율로 환산하였으며 4주 사용 후 5점 만점 척도로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용 만족도는 4주 사용 후 5점 만점 척도로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24831491-pat00007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실시예 1이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현저한 경피 수분 손실량(TEWL)으로 측정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 및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이 아토피 개선 인원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아토피개선 만족도 및 사용만족도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내지 4의 경우 경피 수분 손실량 및 육안으로 확인한 증상 개선이 일부 있으나 그 정도가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pH 완충 시스템이 피부장벽 개선 효과 및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장벽 개선 및 아토피 증상 완화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H 완충 시스템에 함유되는 유기산의 농도 및 유기산 및 그 짝염기 또는 유기 버퍼화합물의 함량비가 상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유기산 및 그 짝염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유기산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완충 용액을 포함하고,
    pH가 3 내지 5이며,
    상기 pH 조절제는 트로메타민, HEPES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HEPPS(3-[4-(2-hydroxyethyl)piperazin-1-yl]propane-1-sulfonic acid), TAPS(3-[[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propane-1-sulfonic acid),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TES(2-[[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ethanesulfonic acid), BES(N,N-bis(2-hydr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 TAPSO(3-[[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2-yl]amino]-2-hydroxypropane-1-sulfonic acid), POPSO(Piperazine-N,N′-bis(2-hydroxypropanesulfonic acid)), HEPPSO(N-(Hydroxyethyl)piperazine-N'-2-hydroxypropanesulfonic acid), DIPSO(3-(N,N-Bis[2-hydroxyethyl]amino)-2-hydroxypropanesulfonic acid), 글리신아미드(glycinamide), 바이신(Bicine), 트리신(Tricine), 아세트아미도글리신(Acetamidoglycine), MOPS(3-morpholinopropane-1-sulfonic acid),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기산 및 그 짝염기는 1: 0.2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유기산 및 pH 조절제는 1: 0.2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산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유기산은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코노락톤, 락토바이온산,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35050A 2015-03-13 2015-03-13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7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50A KR102078140B1 (ko) 2015-03-13 2015-03-13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CN201680015173.8A CN107427429B (zh) 2015-03-13 2016-03-09 具有pH缓冲系统的乳化化妆材料组合物
PCT/KR2016/002341 WO2016148434A1 (ko) 2015-03-13 2016-03-09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HK18103801.3A HK1244226A1 (zh) 2015-03-13 2018-03-19 具有ph緩沖系統的乳化化妝材料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50A KR102078140B1 (ko) 2015-03-13 2015-03-13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68A KR20160109868A (ko) 2016-09-21
KR102078140B1 true KR102078140B1 (ko) 2020-02-17

Family

ID=5691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050A KR102078140B1 (ko) 2015-03-13 2015-03-13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78140B1 (ko)
CN (1) CN107427429B (ko)
HK (1) HK1244226A1 (ko)
WO (1) WO2016148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0838B2 (en) 2017-06-23 2020-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KR102113126B1 (ko) * 2017-07-27 2020-05-20 (주)엘지하우시스 완충제를 포함하는 벽지
US11622963B2 (en) 2018-07-03 2023-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KR102122649B1 (ko) * 2018-08-23 2020-06-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4557915A (zh) * 2022-03-23 2022-05-31 伊美莱(广州)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化妆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484A2 (en) 2005-06-20 2007-01-04 Playtex Products, Inc. Non-irritating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7731A (en) * 1970-02-12 1974-06-26 Ethichem Ltd Free flowing powder compositions and ointments containing them'
JPS60158105A (ja) * 1984-01-28 1985-08-19 Susumu Morita 酸性リンス剤
DE3603595A1 (de) * 1986-02-06 1987-08-13 Beiersdorf Ag Haarkosmetische mittel
JPH08119828A (ja) * 1994-10-18 1996-05-14 Kanebo Ltd 化粧料
US5932196A (en) * 1994-11-04 1999-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uffered emulsion compositions containing actives subject to acid or base hydrolysis
FR2730928B1 (fr) * 1995-02-23 1997-04-04 Oreal Composition a base de vesicules lipidiques a ph acide et son utilisation en application topique
US5976556A (en) * 1996-06-13 1999-11-02 Active Organics, Inc. Combination of acid protease enzymes and acidic buffers and uses thereof
US5935589A (en) * 1997-10-17 1999-08-10 Chesebrough-Pond's Usa Co. Stable cosmetic compositions with different pH emulsions
US6036963A (en) * 1998-02-26 2000-03-14 Chesebrough-Ponds'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Gluconolactones and glucarolactones as anti-irritants in cosmetic compositions
CN102100647B (zh) * 2009-12-16 2013-03-20 麦克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脚去死皮角质的有机酸组合物及含该组合物的膜片
US20110152384A1 (en) * 2009-12-17 2011-06-23 Gunn Euen T Mild leave-on skin care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484A2 (en) 2005-06-20 2007-01-04 Playtex Products, Inc. Non-irritat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68A (ko) 2016-09-21
WO2016148434A1 (ko) 2016-09-22
CN107427429A (zh) 2017-12-01
HK1244226A1 (zh) 2018-08-03
CN107427429B (zh)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140B1 (ko) pH 완충 시스템을 갖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Rawlings et al. Moisturizer technology versus clinical performance
AU2005200381B2 (en) Cosmetic compositions with long lasting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EP2819639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for application on wet skin
US20150359723A1 (en) Composition externally used for subacid skin and cosmetic material including same
DE202014001438U1 (de) Emulgatorfreie, hautkonditionierende und wirkstoffhaltig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KR102312901B1 (ko) 산성 pH의 마크로 액정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EP2575745A1 (en) Topical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r conditions that transcur through a deficit of maturation of the cornified envelope
EP2819637B1 (en) Fixing of perfume on wet skin
JP6436488B2 (ja) クニフォフィア・ウバリア種子の抽出物、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又は皮膚用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
Jeong et al. Analysis of electrical property changes of skin by oil‐in‐water emulsion components
US20210369583A1 (en) Compositions for providing skin care benefits and methods of use
Filipović et al. Alp Rose stem cells, olive oil squalene and a natural alkyl polyglucoside emulsifier: Are they appropriate ingredients of skin moisturizers-in vivo efficacy on normal and sodium lauryl sulfate-irritated skin?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US9974734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keratinic tissue
Leite-Silva et al. The Influence of emollients on derm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EP3283179B1 (en) Solid skin care emulsion comprising solid and liquid lipids
KR20180031309A (ko) 판테놀 및 해송자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손상 회복용 조성물
EP435689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ramides and sphingolipid
Leite-Silva et al. Yousuf Mohammed, Hamid R. Moghimi, and Michael S. Roberts
NZ610535B2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 for application on wet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