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32B1 -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 Google Patents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32B1
KR102078032B1 KR1020190069033A KR20190069033A KR102078032B1 KR 102078032 B1 KR102078032 B1 KR 102078032B1 KR 1020190069033 A KR1020190069033 A KR 1020190069033A KR 20190069033 A KR20190069033 A KR 20190069033A KR 102078032 B1 KR102078032 B1 KR 10207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drying zone
door
zone
dry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32B1/ko
Priority to JP2020086861A priority patent/JP6889354B2/ja
Priority to CN202010442121.7A priority patent/CN11208233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dust or loosely-baled or loosely-piled materials, e.g. in silos, in chimn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13Heating with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9Alarm systems; Safety sytems, e.g. preventing fire and explo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4Drying;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 챔버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하측의 건조존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존과 히팅존에 제1,2폭파구를 구비하여 챔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격판을 기준으로 상측에 히팅존이 구비되고, 상기 격판의 하측에 건조존이 마련되는 복층 구조의 건조기 챔버와; 상기 히팅존의 상부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폭파구와; 상기 건조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어 개폐되는 도어상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 내에 폭발 발생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에 힌지 연결된 방폭도어를 구비한 제2폭파구; 및 상기 제2폭파구를 통해 분출되는 폭발 압력과 화염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방폭도어의 개방시 상부와 간섭되어 개방량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제2폭파구의 방폭도어 전면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DRYER CHAMBER STRUCTURE}
본 발명은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기 챔버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하측의 건조존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존과 히팅존에 제1,2폭파구를 구비하여 챔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이하 MLCC)는 전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품으로 최근 초소형화, 초고용량화 등이 진행되고 있는 부품으로 세라믹을 다층 구조로 사용하고 온도 및 주파수 특성이 좋고 크기가 작아 제품의 소형화가 추구되는 현재 중요한 부품으로 적용되어지고 있다.
휴대폰에는 250여개(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의 2배), 노트북에 300여개, LCD TV에는 700여개 등이 소요되는 MLCC는 앞으로도 수요가 많아 질 것이며, 초소형화 등 기술적 발전과 함께 저가격화 및 가격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MLCC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세라믹 파우더를 준비한다.(S1) 다음으로 유전체 파우더를 배치(Batch)한다.(S2) 배치된 파우더로 성형 유전체 시트를 제조하고,(S3) 그 위에 전기회로를 인쇄한다.(S4) 전기회로가 인쇄된 얇은 유전체 시트는 제품 종류에 따라 복수 개를 적층한 다음,(S5) 압착을 통해 하나의 판으로 결합시킨다.(S6) 아직까지 무른 상태인 이 세라믹 판들은 제품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후,(S7) 가소(Burn out)를 통해 유기 바인더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한다.(S8) 다음으로 열처리를 통해 세라믹 판은 단단하게 경화된다.(S9) 열처리가 끝나면 외부 전극을 도포한 후,(S10) 외부 전극을 소성한다.(S11) 마지막으로 도금과정을 통해 전체 제조공정이 마무리된다.(S12)
이때, MLCC 제조 과정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부분이 열처리 과정이다. 가소(S8) 및 소성(S9) 공정이 열처리에 해당되는 과정으로서 이 두 공정에서의 소요시간이 전체의 25% 수준에 이른다.
가소란 물질에 열을 가하여 휘발성 성분이 없어지거나 없애는 일을 말하는 것으로 MLCC 공정에서는 "Binder Burn-Out" 공정이라 한다. 가소 공정 시 주의할 점은 MLCC는 구리(Cu), 니켈(Ni)과 같은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있는데, 세라믹 재질의 MLCC를 소성함에 있어서 산소가 거의 없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구리(Cu), 니켈(Ni)등의 재질로 되는 내부전극이 산화가 되면 전극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존 MLCC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113163호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공개일자 : 2018.10.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그린 시트 상에, 평균 입경이 100㎚ 이하이고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가 15 이하인 금속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평균 입경이 10㎚ 이하이고 입도 분포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세라믹 분말을 공재로서 포함하는 금속 도전 페이스트의 패턴을 배치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적층 단위를 복수 적층하여 얻어진 세라믹 적층체를 소성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의 소결에 의하여 얻어지는 내부 전극층의 두께를 a로 하고, 상기 내부전극층의 주성분 금속의 결정립의, 상기 내부 전극층의 연장 방향의 길이를 b로 한 경우에, 상기 내부 전극층에 포함되는 상기 결정립 중 b/a<1로 되는 상기 결정립의 존재 비율을 상기 내부 전극층에 있어서 70%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기존 MLCC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80690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방법, 세라믹 적층체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공개일자 : 2018.07.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층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세라믹층과 복수의 내부전극층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내부전극층 및 상기 내부전극층 간에 끼워진 상기 세라믹층이 함께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2개 이상 가지는 적층체를 준비하는 적층체 준비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제1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전사(轉寫)하는 전사 공정을 실시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는 길이 방향의 단면(端面)인 2개의 단면과, 상기 단면에 직교하는 4개의 면을 가지는 직방체 형상이며, 상기 4개의 면의 적어도 1개에 상기 노출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전사 공정에 있어서, 홈을 가지는 전사용 지그(治具: jig)에 상기 제1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부여하고, 상기 홈에 존재하는 상기 제1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 전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도 기존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의 경우에는 유기성 용제를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공정에서 별도의 코팅 건조기 챔버를 통과시키는 열풍 건조방식으로 건조하고 있고 있으며, 상기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코팅 건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9에 도시하였다.
기존 코팅 건조기는 내부에 격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건조존(110)과 히팅존(120)으로 구획되고, 우측에 마련된 상기 히팅존(120)의 내부에 히터와 송풍기가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의 송풍모터(200)로부터 히팅존(120) 내의 열풍이 상기 건조존 내에 상,하로 마련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 내에 공급되고, 상,하로 마련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 사이의 내부를 코팅된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을 길이방향으로 통과시키면서 건조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건조기 챔버의 구조적 특성상 히팅존 내의 열풍을 열풍공급덕트의 우측단에 일방향으로 공급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일측과 타측의 열풍 온도가 불균일하여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의 건조 균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챔버의 경우에는 휘발성을 갖는 유기 용제의 특성상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농축될 경우 폭발성 가스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전기 등의 작은 불씨가 있더라도 상기한 폭발성 가스로 인해 건조기가 폭발할 우려가 있다.
상기한 건조기의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 압력이 건조기의 챔버 중 압력에 취약한 부위를 통해 폭발 압력 및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폭발 압력 및 화염이 작업 중인 작업자에게 전달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건조기의 챔버 상부에 폭발 압력 및 화염의 분출 통로인 폭파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나, 작업자의 보행에 관계없는 챔버의 상부에만 적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조기의 히팅존과 건조존이 좌,우 양측으로 구성된 제약으로 인해 폭방향 부피가 커져서 설치 공간의 제약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층 구조의 챔버를 적용할 경우에는 폭파구가 건조존에 일정규격이상 설치되어야 하는 현재 안전법규를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건조기의 폭발시 발생되는 분진 가루가 건조기 챔버의 바닥에 쌓이게 되는 데, 현재 건조기 챔버의 구조상 완전히 청소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건조기 챔버 내에 잔존하는 분진 가루가 건조기 챔버 내부를 통과하는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113163호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방법"(공개일자 : 2018.10.1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80690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방법, 세라믹 적층체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공개일자 : 2018.07.1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기 챔버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하측의 건조존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조존과 히팅존에 제1,2폭파구를 구비하여 챔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격판을 기준으로 상측에 히팅존이 구비되고, 상기 격판의 하측에 건조존이 마련되는 복층 구조의 건조기 챔버와; 상기 히팅존의 상부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폭파구와; 상기 건조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어 개폐되는 도어상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 내에 폭발 발생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에 힌지 연결된 방폭도어를 구비한 제2폭파구; 및 상기 제2폭파구를 통해 분출되는 폭발 압력과 화염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방폭도어의 개방시 상부와 간섭되어 개방량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제2폭파구의 방폭도어 전면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폭파구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존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전면 및 측면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유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존의 내부에 마련된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존 내에 상,하로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2연결덕트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격판은 상기 히팅존 내의 열풍이 건조존 내로 공급된 후에 다시 히팅존 내로 순환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히팅존의 열풍 공기는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건조존 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상향유도부의 전면은 상기 연장부의 전면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폭파구는 상기 건조존의 후면에 중간높이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건조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는 시창구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폭파구의 상부면은 상기 히팅존의 상면과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 챔버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제1,2연결덕트를 통해 하측의 건조존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챔버 내부를 통과하는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측에 공급하여 제품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층구조로 구성된 건조기 챔버의 히팅존에 제1폭파구를 구비하고 건조존에 제2폭파구를 같이 구비하여 폭발이 건조존 또는 히팅존 내에 발생하더라도 건조기 챔버의 과도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폭파구측에 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폭파구를 통해 건조존 내의 폭발 압력과 화염이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방을 향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기 챔버의 주위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조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좌,우 양측으로 개폐되고 폭파구가 마련된 도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챔버 내부에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도어를 개방시켜 챔버의 바닥면에 쌓인 분진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품 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조기 챔버구조체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2폭파구가 형성된 건조존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방폭도어가 배치된 제2폭파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제2폭파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건조기 챔버구조체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제2폭파구와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기존 건조기 챔버의 열풍 공급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건조기 챔버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하측의 건조존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공급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2폭파구를 구비하여 건조기 챔버의 폭발 발생시 챔버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격판(115)을 기준으로 상측에 히팅존(120)이 구비되고, 상기 격판(115)의 하측에 건조존(110)이 마련되는 복층 구조의 건조기 챔버(100)와; 상기 히팅존(120)의 상부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폭파구(500)와;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어 개폐되는 도어(112)상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110) 내에 폭발 발생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12)에 힌지 연결된 방폭도어(555)를 구비한 제2폭파구(550); 및 상기 제2폭파구(550)를 통해 분출되는 폭발 압력과 화염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방폭도어(555)의 개방시 상부와 간섭되어 개방량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112)에 구비된 제2폭파구(550)의 방폭도어(555) 전면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건조기 챔버(100)는 천정 상부에 제1폭파구(500)가 복수개 형성되고,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좌,우 양측에 개폐가능한 도어(112)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112)는 개방동작시 복층 구조로 구성된 건조존(1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함으로써, 청소작업이나 유지 보수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 챔버 내에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도어(112)를 개방시켜 바닥면에 적층된 분진가루를 외부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2)는 외부에서 상기 건조존(110) 내부의 작업 진행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시창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폭파구(550)는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 도어(112)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110) 내에 폭발 발생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12)에 힌지 연결된 방폭도어(555)를 구비한다.
상기 방폭도어(555)의 전면방향에는 상기 건조존(110) 내의 폭발 발생시 방폭도어(555)의 개방동작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폭발압력과 화염을 상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폭파구(500)의 상부면은 상기 히팅존(120)의 상면과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건조기 챔버(100)의 상부면에 돌출된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기 챔버(100)는 격판(115)을 기준으로 상측에 히팅존(120)이 마련되고, 상기 격판(115)의 하측에 건조존(110)이 마련된 복층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격판(115)은 상기 히팅존(120) 내의 열풍이 건조존(110) 내로 공급된 후에 다시 히팅존(120) 내로 순환되도록 통공(미도시)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히팅존(120)은 내부에 히터(300;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송풍모터(200)와 송풍팬(250)으로 구성된 송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히팅존(120) 내의 열풍 공기를 필터링한 후에 상기 건조존(110) 측으로 공급하도록 필터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재(400)는 예를 들어 헤파필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존(11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하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250)으로부터 송풍된 열풍을 상,하측에서 분사하기 위한 노즐(미도시)이 형성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공급덕트(130A,130B)는 건조기 챔버(100)의 건조존(110)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측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열풍공급덕트(130A,130B)는 상기 히팅존(120)의 일측에 마련된 필터부재(400)를 통과하여 상기 히팅존(120)의 일측(우측)으로부터 격판(115)을 통과하여 공급된 열풍을 길이방향(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되면서 각각의 노즐을 통해 상,하로 분출하여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코팅액을 건조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히팅존(120)의 내부에 마련된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존(110) 내에 상,하로 마련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2연결덕트(140,150)를 더 구비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덕트(140)는 상기 히팅존(120) 내의 열풍을 상측의 열풍공급덕트(130A)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덕트(150)는 상기 히팅존(120) 내의 열풍을 하측의 열풍공급덕트(130B)의 좌,우 양측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상,하측 열풍공급덕트(130A,130B)는 좌,우 양측방향으로 히팅존(120) 내의 열풍이 공급되어 폭방향 부위별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의 부위별 건조 균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폭파구(500)는 상기 히팅존(120)의 일측과 타측 부위에 마련되어 중간에 마련된 히터(300)와 송풍모터(200)를 기준으로 상기 히팅존(120) 내의 일측과 타측 부위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 압력과 화염을 일측과 타측 양측 부위를 통해 수직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방폭도어(555)는 평상시에는 상기 도어(112)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건조존(110) 내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폭발 압력에 의해 상기 도어(112)로부터 회동되면서 상기 제2폭파구(550)를 개방시키게 되고, 건조존(110) 내의 폭발 압력과 화염을 건조기 챔버(100)의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폭파구(550)의 방폭도어(555)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기 챔버(100)의 건조존(110) 내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2폭파구(550)를 통해 폭발 압력과 화염을 수직방향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6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제2폭파구(55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0)와, 상기 연장부(610)의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유도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향유도부(620)는 상기 연장부(610)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상향 경사진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용제가 사용되는 건조존(110) 내에 주로 폭발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건조존(110) 내에 폭발이 발생할 경우 화염과 폭발압력이 제2폭파구(550)를 통과한 후에 연장부(610)와 상향유도부(620)의 형상을 따라 상방으로 유도되어 보행중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 제2폭파구(55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폭파구(5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존(110)의 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폭파구(550)는 상기 건조존(110)의 후면에 중간높이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건조존(110) 내에 유기용제의 휘발성가스가 농축되어 폭발이 발생할 경우 건조존(11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제2폭파구(5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가이드부재(600)를 통해 상승하게 되어 폭발 발생시 화염과 폭발압력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건조존(110)의 후면에 형성된 제2폭파구(550)는 방폭도어(555)없이 도어(1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메쉬망과 알루미늄박판이 설치되어 폭발압력이 전달될 때 상기 건조존(1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폭파구(550)는 건조존(110)의 후면에만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에는 시창구를 갖는 도어(11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기 챔버(100)를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측의 히티존 내 열풍을 제1,2연결덕트(140,150)를 통해 하측의 건조존(110)에 마련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열풍의 온도를 균일하게 챔버 내부를 통과하는 MLCC 또는 이차전지 제품측에 공급하여 제품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층구조로 구성된 히팅존(120)에 제1폭파구(500)를 구비하고 건조존(110)에 제2폭파구(550)를 같이 구비하여 폭발이 건조존(110) 또는 히팅존(120) 내에 발생하더라도 건조기 챔버(100)의 과도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폭파구(550)측에 가이드부재(6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폭파구(550)를 통해 건조존(110) 내의 폭발 압력과 화염이 가이드부재(600)를 통해 상방을 향해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기 챔버(100)의 주위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좌,우 양측으로 개폐되고 폭파구가 마련된 도어(11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존 건조기 챔버의 구조로는 챔버 내 폭발 발생시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분진가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게 되어 건조존(110)을 통과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반면에, 본 발명은 챔버 내부에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도어(112)를 좌,우 양측으로 개방시켜 챔버의 바닥면에 쌓인 분진가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품 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건조기 챔버 110 : 건조존
112 : 도어 115 : 격판
120 : 히팅존 130A,130B : 열풍공급덕트
140,150 : 제1,2연결덕트 200 : 송풍모터
250 : 송풍팬 300 : 히터
400 : 필터부재 500 : 제1폭파구
550 : 제2폭파구 555 : 방폭도어
600 : 가이드부재 610 : 연장부
620 : 상향유도부

Claims (8)

  1. 격판(115)을 기준으로 상측에 히팅존(120)이 구비되고, 상기 격판(115)의 하측에 건조존(110)이 마련되는 복층 구조의 건조기 챔버(100)와;
    상기 히팅존(120)의 상부 천정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폭파구(500)와;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마련되어 개폐되는 도어(112)상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존(110) 내에 폭발 발생시 폭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112)에 힌지 연결된 방폭도어(555)를 구비한 제2폭파구(550); 및
    상기 제2폭파구(550)를 통해 분출되는 폭발 압력과 화염을 상측방향으로 유도하고 상기 방폭도어(555)의 개방시 상부와 간섭되어 개방량을 제한하도록 상기 도어(112)에 구비된 제2폭파구(550)의 방폭도어(555) 전면측에 배치된 가이드부재(6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제2폭파구(55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0)와, 상기 연장부(610)의 전면 및 측면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유도부(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존(120)의 내부에 마련된 송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존(110) 내에 상,하로 마련된 열풍공급덕트(130A,130B)의 좌,우 양측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제1,2연결덕트(140,1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판(115)은 상기 히팅존(120) 내의 열풍이 건조존(110) 내로 공급된 후에 다시 히팅존(120) 내로 순환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팅존(120)의 열풍 공기는 필터부재(400)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건조존(110)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유도부(620)의 전면은 상기 연장부(610)의 전면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폭파구(500)의 상부면은 상기 히팅존(120)의 상면과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존(11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112)는 시창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폭파구(550)는 상기 건조존(110)의 후면에 중간높이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KR1020190069033A 2019-06-12 2019-06-12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KR10207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3A KR102078032B1 (ko) 2019-06-12 2019-06-12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JP2020086861A JP6889354B2 (ja) 2019-06-12 2020-05-18 有機溶剤を使用する乾燥機チャンバ構造体
CN202010442121.7A CN112082331A (zh) 2019-06-12 2020-05-22 使用有机溶剂的干燥器腔室结构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3A KR102078032B1 (ko) 2019-06-12 2019-06-12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032B1 true KR102078032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33A KR102078032B1 (ko) 2019-06-12 2019-06-12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9354B2 (ko)
KR (1) KR102078032B1 (ko)
CN (1) CN1120823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258B1 (ko) * 2021-06-10 2022-01-10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용 챔버 내부 청소장치
JPWO2023013207A1 (ko) 2021-08-03 2023-02-09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89A (ko) * 1999-04-26 1999-07-05 박용하 자동차의도색건조방법및도색건조장치
KR100623188B1 (ko) * 2005-07-29 2006-09-12 나은수 회전교반통기형 건조기
KR20110019252A (ko) * 2009-08-19 2011-02-25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80080690A (ko) 2017-01-04 2018-07-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 세라믹 적층체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20180113163A (ko) 2017-04-05 2018-10-15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0937A (en) * 1936-07-29 1939-08-29 Heraeus Gmbh W C Explosion safety device
JP3429188B2 (ja) * 1998-03-30 2003-07-22 戸田建設株式会社 爆発対策の施された建物の構造
JP4590683B2 (ja) * 2000-04-28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厨芥処理機
CN101307982B (zh) * 2008-07-03 2010-09-15 南阳防爆集团有限公司 节能防爆烘干炉及其烘干监控系统
JP5788241B2 (ja) * 2011-06-24 2015-09-30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熱処理装置
JP5875358B2 (ja) * 2011-12-19 2016-03-02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乾燥装置
CN203035244U (zh) * 2012-12-28 2013-07-03 深圳市中兴昆腾有限公司 用于避难硐室的单向排气阀的防爆保护装置
CN205418668U (zh) * 2015-12-24 2016-08-03 陕西电器研究所 一种具有自动开启装置的防爆门
CN205860687U (zh) * 2016-08-10 2017-01-04 四川伟嘉机械工程有限公司 高保温电热烘干箱
CN207716745U (zh) * 2017-12-27 2018-08-10 通威太阳能(成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片电机烘箱设备
CN108302233B (zh) * 2018-01-31 2023-10-17 江苏爵格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带导向装置的泄爆装置
CN208382735U (zh) * 2018-05-09 2019-01-15 深圳市中达强电炉有限公司 一种热风循环烘箱
CN208398193U (zh) * 2018-06-26 2019-01-18 浙江中力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真火壁炉的防爆炉门
CN109084576A (zh) * 2018-09-13 2018-12-25 上海钧华防爆设备有限公司 一种预警式分压力泄爆门防爆恒温干燥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89A (ko) * 1999-04-26 1999-07-05 박용하 자동차의도색건조방법및도색건조장치
KR100623188B1 (ko) * 2005-07-29 2006-09-12 나은수 회전교반통기형 건조기
KR20110019252A (ko) * 2009-08-19 2011-02-25 주식회사 하이텍에너지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80080690A (ko) 2017-01-04 2018-07-1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 세라믹 적층체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20180113163A (ko) 2017-04-05 2018-10-15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201032A (ja) 2020-12-17
JP6889354B2 (ja) 2021-06-18
CN112082331A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032B1 (ko)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건조기 챔버구조체
JP6370744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8797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9042081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319096B (zh) 多层陶瓷电容器
US20150318110A1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TWI743269B (zh) 積層陶瓷電子零件
US20120229949A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231340B2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42924A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CN102099880A (zh) 层叠陶瓷电子部件及其制造方法
US20210407728A1 (en) Coil component and filter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20160053683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JP2013048208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20120091655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090106B2 (en)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JP659654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2502060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KR102025609B1 (ko) 전자부품 제조용 가스 오븐
JP2601069B2 (ja) セラミック成形体の焼成方法及び焼成装置
KR101565725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637545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JP3089922B2 (ja) セラミック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7269736B2 (ja)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95670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