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002B1 -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002B1
KR102078002B1 KR1020180070209A KR20180070209A KR102078002B1 KR 102078002 B1 KR102078002 B1 KR 102078002B1 KR 1020180070209 A KR1020180070209 A KR 1020180070209A KR 20180070209 A KR20180070209 A KR 20180070209A KR 102078002 B1 KR102078002 B1 KR 10207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et
feeding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34A (ko
Inventor
박웅수
Original Assignee
박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수 filed Critical 박웅수
Priority to KR102018007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처리부,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를 설정하는 먹이 설정부, 및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후원금의 결제 정보에 따라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먹이 급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먹이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PET FOOD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원금의 금액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먹이를 관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혼 남녀의 1인 가구의 증가나 독거노인의 증가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애완동물의 분양, 사육, 관리를 위한 동물 병원, 애완동물 용품의 제조 및 판매업자, 애완동물 카페, 애완동물 미용업자, 애완동물 호텔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편, 애완동물 소유주는 애완동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으나, 애완동물 소유주의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기르던 애완동물을 유기하거나 유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또는 유실 동물은 길거리에 방치되거나 동물 보호소에 일정 기간 보호된다. 그러나, 동물 보호소는 유기동물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관리 비용 등의 부족으로 안락사 되는 유기동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7956(2017.01.13)호는 애완동물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 공급부, 먹이 공급부로부터 먹이를 공급받는 먹이용기, 먹이용기에 체결되어 먹기용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 먹이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구동부에 의해 먹이용기가 경사져 구동될 때에 먹이용기에 관류하는 먹이가 회수되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48964(2014.01.02)호는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료 저장공간 및 사료 배출구가 형성된 사료 저장통, 사료 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사료를 사료 계량부로 투입하는 투입작동과 투입을 중지하는 투입 중지 작동을 행하는 급여량 조절부, 급여량 조절부로부터 투입되는 사료가 적재되고, 중량 센서를 구비하여 적재되는 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사료 계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료 계량부에 적재되어 대기 중인 사료를 투여받는 먹이통, 먹이통에 급여된 사료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잔량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또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먹이통에 정량의 사료가 급여되도록 급여량 조절부의 투입 작동 및 투입 중지 작동을 제어하되, 중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정보에 잔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잔량 정보를 반영하여 급여량 조절부의 투입 중지 작동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7956(2017.01.1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48964(2014.01.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원금의 금액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먹이를 관리할 수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완동물의 먹이 급여 장치를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완동물의 영상 시청 중 후원금 결제를 통해 먹이 급여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는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애완동물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처리부,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를 설정하는 먹이 설정부, 및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상기 후원금의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먹이 급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먹이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먹이 설정부는 먹이의 종류, 상기 먹이의 1회 배출 중량 및 먹이 배출구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먹이 급식 메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먹이 설정부는 미리 저장된 상기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는 상기 애완동물의 1일 총 먹이 권장량, 먹이 공급 시간, 먹이 중단 시간 및 사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 설정부는 상기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되는 상기 애완동물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애완동물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먹이 급식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부, 서로 다른 먹이를 저장하는 복수의 먹이 저장통, 및 상기 복수의 먹이 저장통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먹이를 먹이통에 배출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먹이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먹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먹이 저장통 및 상기 먹이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는 상기 먹이 급식 장치의 식별자를 등록시키고, 상기 먹이 급식 장치의 식별자와 후원금 관리 계좌를 연동시켜 관리하는 후원금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공급 장치는 후원금의 금액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먹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 급여 장치를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을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공급 장치는 애완동물의 영상 시청 중 후원금 결제를 통해 먹이 급여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있는 먹이 급여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4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완동물 먹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 먹이 급여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로부터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 먹이 급식 메뉴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수신 받아 영상 및 음성을 재생한다.
여기서, 먹이 급식 메뉴 정보는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설정된 1회 먹이 배출 중량, 먹이의 종류, 먹이 배출구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정보는 후원 기업의 상업 광고 데이터, 입양 기관의 입양 홍보 데이터, 애완동물의 기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데이터는 애완동물의 종, 나이, 성별, 이름,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에 대응하는 후원금을 결제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10)은 먹이 급식 메뉴를 선택하여 결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먹이 급여 장치(150)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견 카페 등과 같이 복수의 먹이 급여 장치(150)와 일대일 대응하여 애완동물이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먹이 급여 장치(150)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의 후원금을 결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애완동물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견 보호 센터 등과 같이 복수의 애완동물이 하나의 먹이 급여 장치(150)를 공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애완동물 중 어느 하나의 식별자를 기준으로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의 후원금을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이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먹이 급여 장치(150)로부터 외부의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한다. 여기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생성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녹화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후원 기업이나 입양 기관 등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 받아 광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를 설정하고, 설정된 먹이 급식 메뉴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 정보, 광고 정보 및 먹이 급식 메뉴의 정보의 전송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광고 화면이 애완동물의 화면보다 먼저 재생되도록 제어하거나, 애완동물의 화면 시청 중에 광고 화면이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원금의 결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받고, 후원금의 결제 정보에 따라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먹이 급여 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영상 정보, 음성 정보, 광고 정보 및 먹이 급식 메뉴를 제공하고, 먹이 급여 장치(1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및 먹이 급여 장치(150)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먹이 급여 장치(15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먹이 급여 장치(15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전송한다. 먹이 급여 장치(150)는 외부의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전송한다. 그리고, 먹이 급여 장치(150)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의해 제어되어 먹이를 배출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 먹이 급식 메뉴의 정보, 후원자 정보, 먹이 급여 장치(150)의 식별자, 애완동물 식별자 등을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된 저장장치이다.
데이터베이스(170)는 특정 범위에 속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서브-데이터베이스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은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서브-데이터베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제어 흐름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영상 처리부(210), 음성 처리부(230), 먹이 설정부(250), 먹이 관리부(270), 후원금 관리부(290) 및 제어부(291)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210)는 먹이 급여 장치(150)로부터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음성 처리부(230)는 먹이 급여 장치(150)로부터 외부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먹이 설정부(250)는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를 설정한다. 여기서, 먹이 급식 메뉴는 먹이의 종류, 먹이의 1회 배출 중량 및 먹이 배출구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이 설정부(250)는 후원금이 A원인 경우 먹이 급식 메뉴로 기본 사료를 설정하고, 후원금이 B원(B>A)인 경우 먹이 급식 메뉴로 건강 사료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먹이 설정부(250)는 미리 저장된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에 따라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는 애완동물의 1일 총 먹이 권장량, 먹이 공급 시간, 먹이 중단 시간 및 사료 정보(예를 들어, 사료 칼로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이 설정부(250)는 후원금이 입금되는 시간이 먹이 중단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먹이 급식 메뉴를 기본 사료에서 간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먹이 설정부(250)는 애완동물의 현재 누적 먹이 급식량을 연산하고, 누적 먹이 급식량과 1일 총 먹이 권장량을 비교하여 1회 배출 중량을 일정 비율 증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회 배출 중량(Po)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59989014-pat00001
여기서, In_c는 입금되는 후원금의 금액, Pu는 단위 중량, α는 가중치, Un_c는 기준 금액 단위이다. 기준 금액 단위는 후원금의 기준 금액, 예를 들어 1000원일 수 있고, 가중치(α)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59989014-pat00002
여기서, Pt는 1일 총 먹이 권장량이고, Ps는 누적 먹이 급식량이다. 예를 들어, 1일 총 먹이 권장량이 100g이고, 단위 중량이 10g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현재 후원금이 1000원 입금되고, 누적 먹이 급식량이 0g인 경우 1회 배출 중량은 10g이다. 반면, 현재 후원금이 2000원 입금되고, 누적 먹이 급식량이 0g인 경우 1회 배출 중량은 20g이다.
그리고, 누적 먹이 급식량이 50g이고, 현재 후원금이 1000원 입금된 경우 1회 배출 중량은 5g이다. 한편, 누적 급식량이 80g이고, 현재 후원금이 1000원 입금된 경우 1회 배출 중량은 2g이다. 이와 같이, 먹이 설정부(250)는 누적 급식량에 따라 1회 배출 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누적 급식량이 100g인 경우 1회 배출 중량은 0g이다. 즉, 누적 급식량이 1일 총 먹이 권장량과 동일한 경우 사료의 배출은 중단되고, 먹이 설정부(250)는 간식이나 음료 등으로 먹이 급식 메뉴를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 설정부(250)는 애완동물의 1일 총 먹이 공급 횟수를 설정하고, 1일 먹이 공급 횟수 별 먹이 공급 시간 및 총 배출 중량을 설정할 수 있다. 먹이 설정부(250)는 1일 먹이 공급 횟수 별로 먹이 공급 시간 동안 후원금의 입금에 따른 누적 먹이 급식량을 연산하고, 먹이 공급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에 총 배출 중량과 누적 먹이 급식량 간의 차이에 대응하는 잔여 먹이 급식량을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관리자 먹이 급식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애완동물의 1일 총 먹이 공급 횟수가 2회이고, 10시부터 10시 10분까지 1회차의 먹이가 20g 공급되며, 5시부터 5시 10분까지 2회차의 먹이가 20g 공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먹이 설정부(250)는 1회차의 먹이 공급 시간 동안 후원금 입금을 통해 10g의 먹이만 배출된 경우 10시 10분에 10g의 잔여 먹이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리자 먹이 급식 메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먹이 설정부(250)는 애완동물의 식별자 별로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이 설정부(250)는 먹이 급여 장치(15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된 애완동물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애완동물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에 따라 1회 배출 중량을 일정비율 증감시킬 수 있다.
먹이 관리부(270)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후원금의 결제 정보에 따라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먹이 급여 장치(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먹이 관리부(270)는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에 따라 먹이 급여 장치(150)의 복수의 먹이 저장통(350_1~350_n) 및 복수의 먹이 배출구(370_1~370_n)(도 3 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시간을 제어한다.
후원금 관리부(290)는 먹이 급여 장치(150)의 식별자를 등록시키고, 먹이 급여 장치(150)의 식별자와 후원금 관리 계좌를 연동시켜 관리한다. 후원금 관리부(29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원자 정보를 수신 받아 후원자 별로 후원금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291)는 영상 처리부(210), 음성 처리부(230), 먹이 설정부(250), 먹이 관리부(270) 및 후원금 관리부(29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먹이 급여 장치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먹이 급여 장치(150)는 영상부(310), 음향부(330), 복수의 먹이 저장통(350_1~350_n), 복수의 먹이 배출구(370_1~370_n), 먹이통(390) 및 제어부(391)를 포함한다. 영상부(31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영상부(310)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일정 공간 내에서 먹이 급여 장치(150)가 복수의 애완동물과 일대일 대응하여 배치된 경우 복수의 먹이 급여 장치(150) 각각의 영상부(310)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부(310)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애완동물의 먹이 공급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고, 먹이 중단 시간 동안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음향부(330)는 애완동물의 음성을 수집하여 애완동물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복수의 먹이 저장통(350_1~350_n) 각각은 미리 설정된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먹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먹이는 기본 사료, 건강 사료, 간식, 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먹이 저장통(350_1)에는 기본 사료가 저장되어 있고, 먹이 저장통(350_2)에는 기본 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액이 높은 건강 사료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먹이 배출구(370_1~370_n) 각각은 복수의 먹이 저장통(350_1~350_n) 각각에 연결되어 있고, 미리 설정된 후원금의 금액 별로 분류된 서로 다른 형태의 배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먹이 배출구(370_1)는 직선형 미끄럼틀 형태일 수 있고, 먹이 배출구(370_2)는 먹이를 원거리로 배출할 수 있는 먹이 대포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먹이 대포 형태의 경우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급식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직선형 미끄럼틀 형태에 비해 작동시킬 수 있는 후원금의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먹이통(390)은 복수의 먹이 배출구(370_1~370_n)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통(390)은 애완동물의 먹이를 제공하는 그릇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먹이통(390)에 중량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잔여 먹이량을 검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91)는 영상부(310), 음향부(330), 복수의 먹이 저장통(350_1~350_n), 복수의 먹이 배출구(370_1~370_n) 및 먹이통(390)을 제어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먹이 급여 장치(150)는 애완동물에 부착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먹이 급여 장치(150)는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애완동물을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모션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먹이 급여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단계 S410). 그러면,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이 재생된다. 여기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후원금의 금액 별 먹이 급식 메뉴 화면을 애완동물의 영상 화면에 삽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후원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 중에 후원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에 제공할 먹이 급식 메뉴를 선택하고, 선택한 먹이 급식 메뉴에 대응하는 후원금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애완동물의 영상 재생 이전 또는 중간에 후원 기업이나 입양 기관의 광고를 삽입시킬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원금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단계 S420).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후원금의 결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먹이 급식 메뉴 중 입금된 후원금의 금액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단계 S430).
이때,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후원금의 입금 시간 및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에 따라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원금의 입금 시간이 해당 애완동물의 먹이 급여 시간인 경우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현재까지의 누적 먹이량을 연산한다. 누적 먹이량이 1일 총 먹이 권장량을 초과하는 경우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사료 메뉴를 비활성화시키고, 간식이나 음료 메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먹이 급여 장치(150)가 애완동물이 일대일 대응하여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된 경우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복수의 애완동물 중 먹이 급여 시간에 해당하는 애완동물의 영상 및 음성 화면을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원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먹이 금지 시간으로 인해 후원 의지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원금의 입금을 통한 먹이 배출이 실시간으로 피드백 되어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에 따라 먹이 급여 장치(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40). 예를 들어,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가 기본 사료 및 직선형 미끄럼틀인 경우 먹이 저장통(350_1) 및 먹이 배출구(370_1)를 일정 시간 동작 시킬 수 있다.
반면,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130)는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가 기본 사료 및 먹이 대포인 경우 먹이 저장통(350_1) 및 먹이 배출구(370_2)를 일정 시간 동작 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110)이 후원금의 입금을 통해 먹이 급여 장치(15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후원자는 후원금의 입금을 통해 제공된 먹이를 애완동물이 먹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흥미가 유발되고, 후원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기견 보호 센터, 애견 카페, 동물원 등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장소의 관리자는 후원금을 통해 애완동물의 관리에 필요한 복지비를 확보할 수 있고, 유기견의 입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애완동물 먹이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150: 먹이 급여 장치 170: 데이터베이스
210: 영상 처리부 230: 음성 처리부
250: 먹이 설정부 270: 먹이 관리부
290: 후원금 관리부 291: 제어부
310: 영상부 330: 음향부
350: 먹이 저장통 370: 먹이 배출구
390: 먹이통 391: 제어부

Claims (8)

  1.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애완동물의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외부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애완동물의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처리부;
    후원금의 금액 별로 서로 다른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를 설정하는 먹이 설정부;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상기 후원금의 결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먹이 급식 메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먹이 급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먹이 관리부; 및
    상기 먹이 급여 장치의 식별자를 등록시키고, 상기 먹이 급여 장치의 식별자와 후원금 관리 계좌를 연동시켜 관리하는 후원금 관리부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설정부는
    먹이의 종류, 상기 먹이의 1회 배출 중량 및 먹이 배출구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먹이 급식 메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설정부는
    미리 저장된 상기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상태 정보는
    상기 애완동물의 1일 총 먹이 권장량, 먹이 공급 시간, 먹이 중단 시간 및 사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설정부는
    상기 먹이 급여 장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감지되는 상기 애완동물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애완동물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먹이 급식 메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급여 장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부;
    서로 다른 먹이를 저장하는 복수의 먹이 저장통; 및
    상기 복수의 먹이 저장통과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먹이를 먹이통에 배출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복수의 먹이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먹이 급식 메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먹이 저장통 및 상기 먹이 배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8. 삭제
KR1020180070209A 2018-06-19 2018-06-19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KR10207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09A KR102078002B1 (ko) 2018-06-19 2018-06-19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09A KR102078002B1 (ko) 2018-06-19 2018-06-19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34A KR20190142934A (ko) 2019-12-30
KR102078002B1 true KR102078002B1 (ko) 2020-02-17

Family

ID=6910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209A KR102078002B1 (ko) 2018-06-19 2018-06-19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26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2967A1 (en) * 2001-04-20 2002-10-24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for supplying feed to animals
US20160048890A1 (en) 2013-08-16 2016-02-18 Christopher Viale Pet social network
JP2016529896A (ja) * 2013-08-13 2016-09-2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ペット監視及び給餌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給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319A (ko) * 2002-09-30 2004-04-03 박대진 유무선통신을 이용한 동물병원용 동물원격사육시스템의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101348964B1 (ko) 2013-01-23 2014-01-16 정규철 사료 자동 급여 장치 및 시스템
KR101498672B1 (ko) * 2013-04-30 2015-03-06 (주)쿠나이앤티 애완동물 sns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7956B1 (ko) 2014-11-17 2017-01-19 (주)신성테크 애완동물 급식기
KR20170004518A (ko) * 2015-07-03 2017-01-11 노현진 애완동물 개체별 섭취량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2967A1 (en) * 2001-04-20 2002-10-24 Lely Enterprises A.G., A Swiss Limited Liability Company Device for supplying feed to animals
JP2016529896A (ja) * 2013-08-13 2016-09-2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遠隔ペット監視及び給餌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給餌装置
US20160048890A1 (en) 2013-08-16 2016-02-18 Christopher Viale Pet social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226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KR102431588B1 (ko) * 2020-05-18 2022-08-12 주식회사 노타 딥러닝 기반 얼굴 인식을 활용한 동물 개체 인식과 식사량 기록 및 배식 조절을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34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2311B2 (en) Method and medium for shopping in a physical store
CN109414000A (zh) 用于提供空中动物食物递送的装置和方法
CN105723325B (zh) 使用因用户而异的语法的媒体项选择的方法与设备
US20180181906A1 (en) Stock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1762780B1 (ko) 반려 동물용 통신 장치
CN109284793A (zh) 一种发货管理系统及方法
CN106796671B (zh) 食品管理系统、冰箱、服务器以及记录介质
US20200187452A1 (en) Electronic animal feeding system
KR102078002B1 (ko) 애완동물 먹이 관리 장치
US20160275631A1 (en) Order system
US201702432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ordering of discarded products
CN108470157A (zh) 一种客户信息获取方法及系统
WO2019208327A1 (ja) 接客支援システム
KR20160130627A (ko) 재활용 휴지통, 상기 재활용 휴지통을 이용한 보상금 지급 장치 및 방법
CN109063874A (zh) 一种酒店管理系统
US20140143077A1 (en) Automated Print and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s Vending Kiosk
US20150304540A1 (en) System allowing users to interact with animals, both real and simulated
US20180247381A1 (en) Smart food-line system
TW201706023A (zh) 資訊處理裝置、控制方法及程式
KR20190029249A (ko)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법
CN110347850B (zh) 一种基于用户信息的信息推送方法及客户端
CN111080909A (zh) 用于饮水机的取水方法、服务器、饮水机系统和存储介质
CN208061315U (zh) 一种自动售货机及系统
US20220261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second terminal apparatus
KR20230068531A (ko) 일회용품 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