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623B1 -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 Google Patents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623B1
KR102077623B1 KR1020180120475A KR20180120475A KR102077623B1 KR 102077623 B1 KR102077623 B1 KR 102077623B1 KR 1020180120475 A KR1020180120475 A KR 1020180120475A KR 20180120475 A KR20180120475 A KR 20180120475A KR 102077623 B1 KR102077623 B1 KR 10207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cket
packing ring
cushion packing
watert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코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트랩 filed Critical (주)코트랩
Priority to KR102018012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는, 배수통의 걸림테두리부와 버켓의 단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테두리부와 단차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쿠션패킹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킹링은 탄력성있는 연질소재로서, 평탄한 형태의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외주단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만곡된 형태의 만곡부와, 상기 기저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킹링의 만곡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그 끝단이 돌출부 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된다.
상기 쿠션패킹링의 돌출부는 배수통의 외주단과, 버켓의 단차부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에 의하면, 쿠션패킹링의 형태특성상 배수통의 걸림테두리부와 버켓의 단차부 사이에서 견고한 수밀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켓의 가공불량이나 사용과정에서의 충격 등의 누수유발 요인에도 불구하고, 배수통과 버켓 사이에서의 누수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 싱크대 사용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통과 버켓사이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싱크대의 수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급수설비로서, 물을 저장하는 버켓(bucket)과, 상기 버켓에 장착되어 버려지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배수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배수구성은 설거지 등을 할 때 버켓으로 버려지는 오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찌꺼기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켓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수통과, 배수통에 내장되는 거름망, 배수통의 하단에 연결된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배수구성에 의하면, 설거지 등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수가 배수통을 통해 배출되며, 오수에 섞인 음식찌꺼기는 거름망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거름망을 통과한 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건물의 오수관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수통(10)은 버켓(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버켓(20)의 상방에서 아래로 끼워지며, 이때, 배수통(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테두리부(101)가 버켓(20)에 걸린상태에서 버켓(20)의 하방에서 고정링(12)이 배수통(10)과 나사 결합되어 버켓(20)을 사이에 두고 걸림테두리부(101)와 상호 압박됨으로써 배수통(10)을 고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는 버켓(20)의 관통홀의 주변에 바닥면보다 낮게 구성된 단차부(201)에 의해 지지되는데, 단차부(201)가 구성되는 것은 배수통(10)이 버켓(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테두리부(101)가 버켓(20)의 바닥면 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배수통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 사이에 패킹링(30)이 구비되고, 패킹링(30)이 걸림테두리부(101)에 의해 아래로 눌리어 단차부(201)에 밀착됨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패킹링(30)에 의해 제대로 된 수밀구조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패킹링(30)의 상면과 저면이 각각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의 저면과, 버켓(20)의 단차부(201)의 상면에 들뜨지 않고 연속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해야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패킹링(30)은 그 구조가 단순하여 탄성변형율이 적은 구조이기 때문에, 버켓(20) 제조상의 가공불량 등으로 인하여 단차부(201)가 평탄하지 않고 굴곡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걸림테두리부(101)에 의해 패킹링(30)이 아래로 눌려도 단차부(201)의 굴곡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링(30)의 저면과 단차부(201)의 상면 사이에 부분적으로 누수간극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과정에서의 충격 등에 의해 배수통(10)의 장착상태가 미세하게 비틀림으로써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간의 간격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패킹링(30)이 이러한 간격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누수간극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누수간극이 발생하게 되면, 설거지 등의 과정에서 배수통(10)으로 유입되어 배수되어야 하는 오수가 누수간극을 통하여 배수통(10)의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주방환경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성변형율이 큰 형태의 쿠션패킹링이 적용됨으로써 수밀성능이 향상되는 싱크대의 수밀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는, 배수통의 걸림테두리부와 버켓의 단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테두리부와 단차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쿠션패킹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킹링은 탄력성있는 연질소재로서, 평탄한 형태의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외주단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만곡된 형태의 만곡부와, 상기 기저부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킹링의 만곡부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그 끝단이 돌출부 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된다.
상기 쿠션패킹링의 돌출부는 배수통의 외주단과, 버켓의 단차부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에 의하면, 쿠션패킹링의 형태특성상 배수통의 걸림테두리부와 버켓의 단차부 사이에서 견고한 수밀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켓의 가공불량이나 사용과정에서의 충격 등의 누수유발 요인에도 불구하고, 배수통과 버켓 사이에서의 누수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 싱크대 사용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일반적인 싱크대 배수통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에 적용되는 쿠션패킹링을 나타낸 절단 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5b, 5c: 본 발명예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에 있어서 쿠션패킹링의 압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 4의 부분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3 부터 도 5c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형태의 쿠션패킹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쿠션패킹링(40)은 탄력성있는 연질소재로서, 단면상으로 볼 때, 평탄한 형태의 기저부(401)와, 상기 기저부(401)의 외주단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만곡된 형태의 만곡부(402)와, 상기 기저부(401)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403)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패킹링(40)의 만곡부(402)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그 끝단이 돌출부(403) 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쿠션패킹링(40)은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테두리부(101)와 단차부(201)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1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쿠션패킹링(40)의 돌출부(403)가 배수통(10)의 외주단과, 버켓(20)의 단차부(201)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10a)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수밀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5a, 5b, 5c 참조)
우선, 쿠션패킹링(40)이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 사이에 개재되고, 고정링(12)이 조여짐에 따라 배수통(10)이 아래로 내려와서 걸림테두리부(101)가 쿠션패킹링(40)을 누르게 되면, 만곡부(40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점차 펴지게 된다.
여기서, 쿠션패킹링(40)의 만곡부(40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그 끝단이 돌출부(403) 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가 기저부(401)와 돌출부(403)에 접한 상태에서는, 쿠션패킹링(40)이 걸림테두리부(101)에 의해 눌려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당한 정도로 펴지게 된다.
따라서, 만곡부(402)가 눌려서 탄성적으로 펴지는 만큼, 만곡부(402)의 선단은 버켓(20)의 단차부(201)의 상면에 강하게 밀착되며, 이러한 만곡부(402)와 버켓(20)의 단차부(201)의 접촉에 의하여 이른바 1차 수밀선(4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버켓(20) 제조상의 가공불량 등으로 인하여 단차부(201)가 평탄하지 않고 어느정도 굴곡지게 형성된 경우에도, 만곡부(402)의 선단이 단차부(201)의 상면을 따라 정밀하게 굴곡되어 밀착됨으로써 누수간극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쿠션패킹링(40)의 돌출부(403)가 배수통(10)의 외주단과, 버켓(20)의 단차부(201)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10a)에 끼워지면서 상기 만곡부(402)의 단차부(201)의 접촉에 의한 1차 수밀선(40a)의 안쪽에서 돌출부(403)에 의한 이른바 2차 수밀선(40b)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혹여 사용과정에서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쿠션패킹링(40)의 만곡부(402)와 버켓(20)의 단차부(201)의 상면사이에 누수간극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돌출부(403)에 의한 2차 수밀선(40b)에 의해 누수가 차단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쿠션패킹링(40)에 의해 1차 수밀선(40a) 및 2차 수밀선(40b)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수밀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켓(20)의 가공불량이나 사용과정에서의 충격 등의 누수유발 요인에도 불구하고, 배수통(10)과 버켓(20) 사이에서의 누수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10: 배수통 101: 걸림테두리부
20: 버켓 201: 단차부
40: 쿠션패킹링 401: 기저부
402: 만곡부 403: 돌출부

Claims (3)

  1. 배수통(10)의 걸림테두리부(101)와 버켓(20)의 단차부(20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걸림테두리부(101)와 단차부(201)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쿠션패킹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패킹링(40)은 탄력성있는 연질소재로서, 단면상으로 볼 때 평탄한 형태의 기저부(401)와, 상기 기저부(401)의 외주단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만곡된 형태의 만곡부(402)와, 상기 기저부(401)의 저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403)로 이루어지며,
    상기 만곡부(402)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그 끝단이 돌출부(403) 보다 더욱 아래로 내려오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03)는 배수통(10)의 외주단과, 버켓(20)의 단차부(201)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배수통(10)이 아래로 내려와서 걸림테두리부(101)가 쿠션패킹링(40)을 누르게 되면, 만곡부(40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점차 펴지게 되고, 만곡부(402)의 선단이 버켓(20)의 단차부(201)의 상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1차 수밀선(40a)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03)가 배수통(10)의 외주단과, 버켓(20)의 단차부(201)의 내주단 사이의 간극(10a)에 끼워지면서 상기 1차 수밀선(40a)의 안쪽에서 2차 수밀선(40b)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수밀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80120475A 2018-10-10 2018-10-10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KR10207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75A KR102077623B1 (ko) 2018-10-10 2018-10-10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75A KR102077623B1 (ko) 2018-10-10 2018-10-10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623B1 true KR102077623B1 (ko) 2020-02-14

Family

ID=6951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475A KR102077623B1 (ko) 2018-10-10 2018-10-10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6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36Y1 (ko) * 1993-01-25 1995-08-24 이종모 이음관
JP2002088850A (ja) * 2000-09-13 2002-03-27 Shigeru Co Ltd 流し台の排水装置
KR200366497Y1 (ko) * 2004-07-28 2004-11-06 주식회사 한성물산 씽크대용 배수구에 구비되는 패킹구조
KR200368183Y1 (ko) * 2004-08-16 2004-11-17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JP2006194374A (ja) * 2005-01-14 2006-07-27 Noriatsu Kojima 排水管
KR20110028191A (ko) * 2009-09-11 2011-03-17 김종남 단 패킹구조의 싱크대 배수장치
KR20110074308A (ko) * 2009-12-24 2011-06-30 박일선 누수방지 패킹 및 그 패킹을 갖는 싱크대의 배수트랩
KR20160002271U (ko) * 2014-12-22 2016-06-30 안귀인 스테인리스 강제의 싱크대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36Y1 (ko) * 1993-01-25 1995-08-24 이종모 이음관
JP2002088850A (ja) * 2000-09-13 2002-03-27 Shigeru Co Ltd 流し台の排水装置
KR200366497Y1 (ko) * 2004-07-28 2004-11-06 주식회사 한성물산 씽크대용 배수구에 구비되는 패킹구조
KR200368183Y1 (ko) * 2004-08-16 2004-11-17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JP2006194374A (ja) * 2005-01-14 2006-07-27 Noriatsu Kojima 排水管
KR20110028191A (ko) * 2009-09-11 2011-03-17 김종남 단 패킹구조의 싱크대 배수장치
KR20110074308A (ko) * 2009-12-24 2011-06-30 박일선 누수방지 패킹 및 그 패킹을 갖는 싱크대의 배수트랩
KR20160002271U (ko) * 2014-12-22 2016-06-30 안귀인 스테인리스 강제의 싱크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09292A2 (pt) aparelho de drenagem para pia
KR101493605B1 (ko) 배수체
KR200403163Y1 (ko) 싱크대용 배수유닛
KR102077623B1 (ko)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SG10201706571PA (en) Kitchen Sink 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2390226B1 (ko) 키친용 싱크
KR200481490Y1 (ko) 욕조마개
KR20130005822U (ko)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KR20190002815U (ko) 쿠션패킹링을 이용한 싱크대의 수밀구조
KR200366497Y1 (ko) 씽크대용 배수구에 구비되는 패킹구조
KR200344209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200368183Y1 (ko)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US1980099A (en) Obstruction remover for sink drains and the like
KR101518279B1 (ko)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KR20210078997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1629920B1 (ko) 배수구 거름망
KR101263633B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20190058227A (ko) 싱크대의 수밀구조
JP6239969B2 (ja) 排水構造および基板処理装置
CN212729718U (zh) 洗碗机底壳及洗碗机
KR20230027596A (ko) 배수용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