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279B1 -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279B1
KR101518279B1 KR1020130149740A KR20130149740A KR101518279B1 KR 101518279 B1 KR101518279 B1 KR 101518279B1 KR 1020130149740 A KR1020130149740 A KR 1020130149740A KR 20130149740 A KR20130149740 A KR 20130149740A KR 101518279 B1 KR101518279 B1 KR 10151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low
hole
vertical groov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3014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를 배출구에 삽입 장착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COOKING POT LID FOR PREVENTING OVERFLOWING}
본 발명은 튜브를 배출구에 삽입 장착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으로서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020601호)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이 뚫린 덮개(10)와, 이 덮개(10)의 아래에 걸쳐지는 걸림턱(21)을 가짐과 동시에 통공(11)에 끼워지면서 수나사산(22)을 지니고 내주연에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경사홀(23)을 지닌 원통형 결합구(20)와, 이 원통형 결합구(20)의 수나사산(22)에 체결되는 암나사산(31)을 지니면서 배출공(32)이 뚫린 덮개(10)를 사이에 두고 원통형 결합구(20)에 결합되는 핸들(30)과, 원통형 결합구(20)의 경사홀(23)을 씌우는 원형 플레이트(41)를 가짐과 동시에 경사홀(23)에 안착되도록 원형 플레이트(41)의 테두리로부터 외곽방향으로 상향 확장된 경사턱(42)을 지닌 승강판(4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용 뚜껑은 원통형 결합구(20)를 받아들이는 관통공(51)을 가지면서 핸들(30)의 조임 압력을 받아 덮개(10)에 밀착되는 캡(5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캡(50)은 핸들(30)과 더불어 외형을 고려하고 덮개(10)와의 탄성적 결합을 유지케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팀은 경사홀(23)을 통해 배출공(32)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출되는 스팀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이 있을 수 있고, 배출공(32)으로는 넘치지 않더라도 그 직전까지 올라왔다 내려가는 음식물도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결합구(20)의 수나사산(22)과 핸들(30)의 암나사산(31) 사이에 끼이게 되면 위생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도 나사산 마다 일일이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제대로 닦이질 않을 우려도 커서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06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음식물 등과 같이 이물질이 끼지 않아 세척이 대단히 편리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공부; 상기 수나사와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에서 외측으로 관통한 배출구를 갖는 캡부; 상기 중공을 통과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과 내부가 연통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사나가 체결된 중공부의 상측을 덮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측 외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외측 단면은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수직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측 튜브와, 상기 상측 튜브의 끝단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홈의 내면과 상기 단턱의 외면 사이에 놓이는 내측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의 내측 단면은 상기 배출구의 하면과 상기 단턱의 하면에 놓인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튜브를 배출구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암나사와 수나사 사이의 경계를 덮어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끼이지 못하여 하여 위생이 좋고 세척도 대단히 용이하다.
튜브의 외측 단면은 ㄱ자, 튜브의 내측 단면은 ㅡ자 로 구성되어, 중공부와 캡부의 나사 체결 후 암나사와 수나사 사이의 경계를 확실을 덮는다.
중공부의 단턱과 ㄱ자 단면을 통해 중공부와 캡부의 나사 체결이 완료되면 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또한, 튜브는 고강도 고탄성 내열성을 지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어느 정도 탄성 변형을 통한 용이한 조립과 조립 후의 밀착력, 음식물 및 열기에 대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넘침 방지 냄비용 뚜껑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은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는 넘침방지부재(10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중심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넘침방지부재(100)는 관통공(11)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는 중공부(110)와, 관통공(1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위로 노출된 중공부(110)와 결합되며 배출구(131)를 갖는 캡부(130)와, 배출구(131)에 삽입 장착되는 튜브(150)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부(110)는 관통공(11)을 통과하는 원통 형상의 중공체(111)와, 중공체(111)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3)과, 중공체(11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115)로 이루어진다.
걸림턱(113)은 플랜지 타입으로 관통공(11)의 하면(13)에 걸린다.
캡부(130)에는 수나사(115)와 체결되는 암나사(135)가 형성된 수직홈(130a)과, 수직홈(130a)에서 외측으로 관통한 배출구(131)를 갖는다.
암나사(135)는 배출구(131)의 하면 아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150)는 암나사(135)와 수나사(115)가 체결된 중공부(110)의 중공체(111) 상측을 덮는다.
따라서, 암나사(135)와 수나사(115)의 경계 틈새로 스팀에 섞인 찌꺼기나 음식물 넘침으로 인한 찌꺼기가 스며 끼는 것을 완전히 방지한다.
특히 중공부(110)의 중공체(111)의 상측 외주면에는 단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튜브(150)의 외측 단면(150a)은 배출구(131) 및 수직홈(130a)의 상면(132a)에 밀착되는 상측 튜브(151a)와, 상측 튜브(151a)의 끝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내측 튜브(151b)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튜브(151b)는 수직홈(130a)의 내면(134a)과 단턱(120)의 외면(121) 사이에 놓인다.
튜브(150)의 내측 단면(150b)은 배출구(131)의 하면(132b)과 단턱(120)의 하면(123)에 놓인다.
튜브(150)의 내측 단면(150b)과 내측 튜브(151b)는 암나사(135)와 수나사(115)의 경계 틈새를 확실히 덮어 실링 역할을 한다.
특히 내측 튜브(151b)는 수직홈(130a)의 내면(134a)과 단턱(120)의 외면(121) 사이에 놓이기 때문에, 튜브(150)가 앞으로 빠지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튜브(150)의 내측 단면(150b)의 끝단은 단턱(120)의 외면(121)에 맞닿는 게 좋다.
이러한 튜브(15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LCP(Liquid crystal polymer)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LCP(Liquid crystal polymer)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고강도, 고탄성율, 내열 안정성을 지니기 때문에, 위생적이면서 조립이 매우 쉽고 조립 후에는 밀착률이 좋아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걸림턱(113)에는 오링(200)이 설치되어, 걸림턱(113)과 관통공(11)의 하면(13) 사이를 실링한다.
캡부(130)의 하측 외주에는 마감을 위한 링(300)이 끼워져 설치되어 심하게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캡부(130)의 상측 일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40)이 형성되어, 손잡이와 뚜껑을 세울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관통공
13 : 관통공의 하면 40 : 암
100 : 넘침방지부재 110 : 중공부
111 : 중공체 113 : 걸림턱
115 : 수나사 120 : 단턱
121 : 단턱의 외면 123 : 단턱의 하면
130 : 캡부 130a : 수직홈
131 : 배출구 132a : 배출구 및 수직홈의 상면
134a : 수직홈의 내면 135 : 암나사
150 : 튜브 150a : 튜브의 외측 단면
151a : 상측 튜브 150b : 튜브의 내측 단면
151b : 내측 튜브 200 : 오링
300 : 링

Claims (4)

  1. 삭제
  2.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115)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중공부(110);
    상기 수나사(115)와 체결되는 암나사(135)가 형성된 수직홈과, 상기 수직홈에서 외측으로 관통한 배출구를 갖는 캡부(130);
    상기 중공을 통과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과 내부가 연통되는 튜브(150);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부(110)의 상측 외주면에는 단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150)는 상기 중공부(110)의 단턱(120)에 놓여, 상기 암나사(135)와 상기 수나사(115)의 경계 틈새로 찌꺼기가 스며 끼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튜브(150)의 외측 단면은 상기 배출구 및 상기 수직홈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측 튜브와, 상기 상측 튜브의 끝단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홈의 내면과 상기 단턱(120)의 외면 사이에 놓이는 내측 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튜브(150)의 내측 단면은 상기 배출구의 하면과 상기 단턱(120)의 하면에 놓이는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브(15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KR1020130149740A 2013-12-04 2013-12-04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KR101518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40A KR101518279B1 (ko) 2013-12-04 2013-12-04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740A KR101518279B1 (ko) 2013-12-04 2013-12-04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279B1 true KR101518279B1 (ko) 2015-05-15

Family

ID=5339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740A KR101518279B1 (ko) 2013-12-04 2013-12-04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886A (zh) * 2016-05-26 2016-07-13 马人欢 超频防溢出电饭锅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24Y1 (ko) * 1996-03-15 1999-02-01 신창대 밥물넘침 방지구
KR20100059385A (ko) * 2008-11-26 2010-06-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내솥 및 잠금링의 마모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밥솥
KR200454391Y1 (ko) * 2009-08-18 2011-07-05 양성원 조리용기의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024Y1 (ko) * 1996-03-15 1999-02-01 신창대 밥물넘침 방지구
KR20100059385A (ko) * 2008-11-26 2010-06-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내솥 및 잠금링의 마모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밥솥
KR200454391Y1 (ko) * 2009-08-18 2011-07-05 양성원 조리용기의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886A (zh) * 2016-05-26 2016-07-13 马人欢 超频防溢出电饭锅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313Y1 (ko) 수전 고정구조
US20170030059A1 (en) Seamless connecting drain structure of metallic sink
KR101518279B1 (ko)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TW201706191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KR200403163Y1 (ko) 싱크대용 배수유닛
KR101203655B1 (ko) 냄비 뚜껑 손잡이
JP2014162518A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KR20130090655A (ko) 배수 트랩
JP5890750B2 (ja) 排水栓装置
US5435022A (en) Secondary sink
AU2011231147B2 (en) Waste fitting
AU2017100639A4 (en) Seamless connecting drain structure of metallic sink
KR101612098B1 (ko) 소형 개수 장치
JP2004244981A (ja) 排水トラップ
KR101399645B1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KR20230001975U (ko) 싱크대용 배수구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102207170B1 (ko) 싱크 배수장치
TWM585759U (zh) 改良型密封蓋
KR101263633B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20180051780A (ko) 기름튀김방지용 다용도 뚜껑
CN210249408U (zh) 一种可拆卸清洗的杯盖
KR200344209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0481857Y1 (ko) 경사진 배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뚜껑
KR20160002271U (ko) 스테인리스 강제의 싱크대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