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33B1 - 싱크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633B1
KR101263633B1 KR1020130026425A KR20130026425A KR101263633B1 KR 101263633 B1 KR101263633 B1 KR 101263633B1 KR 1020130026425 A KR1020130026425 A KR 1020130026425A KR 20130026425 A KR20130026425 A KR 20130026425A KR 101263633 B1 KR101263633 B1 KR 10126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oupling
packing
bucket
screw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선
Original Assignee
박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선 filed Critical 박일선
Priority to KR102013002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과 배수통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구조를 강화하며, 결합링과 배수통의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버킷의 오버플로우 호스와 배수통의 오버플로우 유입구의 방향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버킷(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링(20)과 결합되는 결합구(30)와, 결합구(30)에 결합되는 배수통(40)과, 배수통(40)에 결합되는 패킹(50)이 버킷(10)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20)은 외주면에 걸림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3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나사산(32)이 형성되며, 결합링(20)과 결합구(30)가 맞닿는 결합구(30)의 상단에 링형의 기밀패킹(34)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트랩{A drain trap for a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버킷과 배수통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구조를 강화하며, 결합링과 배수통의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버킷의 오버플로우 호스와 배수통의 오버플로우 유입구의 방향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부와, 캐비넷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조리대를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설거지를 하고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해 공간이 마련된 버킷부 및 버켓부에 설치되어 설거지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싱크대의 구성요소 중 배수트랩은 물이 배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연결상태가 불량하거나 노후되면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누수될 염려가 있으며, 음식물 찌꺼기 등이 포함된 물이 누수되면 배수트랩의 주변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누수현상은 버킷부와 배수트랩이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서 주로 발생된다. 이에, 종래부터 버킷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패킹을 구비함으로써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트랩의 고무패킹은 버킷부와 배수트랩의 결합부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으나, 배수트랩의 오버플로우 유입구와 버킷부의 오버플루우 배출구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버킷부에 결합된 배수트랩을 돌려 주다보면 버킷부와 배수트랩의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배수트랩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상기 배수트랩의 구조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버킷(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링(20)과 배수통(40)이 나사결합되며, 배수통(40)의 상부에 링형의 패킹(50)이 버킷(10)에 밀착되게 구성된 것으로, 패킹(50)이 튜브로 제작되어 결합링(20)과 배수통(40)을 결합할 때 패킹(50)이 한쪽으로 밀리는 틀림현상이 발생하거나 패킹(50)을 제작할 때 패킹(50) 연결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틀어짐 현상으로 인해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로 인한 하부패킹의 변형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버킷과 배수통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구조를 강화하며, 결합링과 배수통의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버킷의 오버플로우 호스와 배수통의 오버플로우 유입구의 방향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고, 현 배수트랩의 단점을 보완하여 계절과 스테인리스 개수대 회사별 상이한 구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버킷(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링(20)과 배수통(40)이 나사결합되며, 배수통(40) 상부의 패킹(50)이 버킷(10)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20)과 배수통(40) 사이에 결합구(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20)은 외주면에 걸림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3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나사산(32)이 형성되며, 결합링(20)과 결합구(30)가 맞닿는 결합구(30)의 상단에 링형의 기밀패킹(34)이 끼워지고, 결합구(30)의 외주면에 배수통(40)이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버킷(10)과 배수통(4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여 물이 새지 않게 실링구조를 강화하였으며, 결합링(20), 결합구(30)와 배수통(40)의 체결이 용이하며 견고하고, 버킷(10)의 오버플로우 호스와 배수통(40)의 오버플로우 유입구(42)의 방향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확대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주면에 나사부(41)를 형성하고 일측 하부에 유입구(42)를 형성하며 하부에 배수구(43)를 형성한 배수통(40)과 결합링(20)이 버킷(10)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함과 동시에 배수통(40)의 상부에 패킹(50)을 끼워 패킹(50)이 버킷(10)의 하부에 밀착되게 결합하여 배수트랩을 구성한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트랩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배수통(40)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기존의 배수통(40)을 그대로 이용하여 배수트랩을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링(20)과 배수통(40) 사이에 결합구(30)를 형성하여 결합한다.
상기 결합링(20)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구(30)를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21)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구(30)의 내주면에는 결합링(20)의 걸림홈(2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1)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상기 배수통(40)과 나사결합하기 위한 고정나사산(32)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링(20)과 결합구(30)는 결합링(20)의 걸림홈(21)에 결합구(30)의 걸림돌기(31)가 끼워져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링(20)과 결합구(30)가 맞닿는 결합구(30)의 외주면 상단에는 링형의 기밀패킹(34)을 끼워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32)이 하부에는 상하로 이동되게 이동나사산(33)을 형성하여 기존의 배수통(40)의 나사부(41)의 나사피치가 다른 어떤 배수통(40)이라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구(30)의 고정나사산(32) 및/또는 이동나사산(33)과 배수통(40)의 나사부(41)가 나사결합하여 결합구(30)와 배수통(40)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나사산(33)의 배면에는 가이드돌기(33a)를 형성하고 결합구(3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33b)이 형성되어 가이드돌기(33a)가 가이드홈(33b)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구성하여 이동나사산(33)이 상하 이동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돌기(33a)와 가이드홈(33b)의 구성으로 이동나사산(33)이 상하 이동되게 하였으나,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33a)와 가이드홈(33b)으로 이동나사산(33)이 상하 이동되게 한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배수통(40)의 상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진 경사부(44)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5)를 형성하여, 경사부(44)와 돌출부(45) 사이에 단면상 사다리꼴의 패킹(50)을 끼워 구성한다.
여기서 패킹(50)은 버킷(10)의 하부에 최소면적이 밀착될 수 있게 배수통(40)의 경사부(44)와 돌출부(45)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배수트랩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결합링(20)의 걸림홈(21)에 결합구(30)의 내주면의 걸림돌기(31)를 끼워 넣어 결합링(20)과 결합구(30)를 결합하고, 결합구(30)의 외주면 상단에 기밀패킹(34)을 끼워 버킷(10)의 배수구에 끼운다.
버킷(10)의 배수구에 결합링(20)과 결합구(30)를 끼운 다음 결합구(30) 외주면의 고정나사산(32)을 배수통(40)의 나사부(41)와 나사결합하여 결합구(30)와 배수통(40)을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배수통(40)의 상단에 끼워진 패킹(50)이 버킷(10)의 하부에 밀착되게 결합구(30)와 배수통(40)을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링(20)과 결합구(30)가 걸림홈(21)과 걸림돌기(31)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배수통(40)의 유입구(42)를 버킷(10)의 배수구과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배수통(40)을 회전시키더라도 결합구(30)와 배수통(40)의 나사결합은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링(20)에 결합된 결합구(30)가 회전됨으로 배수통(40)의 유입구(42)와 버킷(10)의 배수구의 방향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결합구(30)와 배수통(40)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패킹(34)과 배수통(40)과 버킷(10)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50)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구(30)가 회전되므로 배수통(40) 외부로 누수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결합구(30)의 고정나사산(32)의 하부에 이동나사산(33)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동나사산(33)이 상하로 이동되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통(40) 나사부(41)의 피치에 상관없이 이동나사산(33)이 이동되어 결합됨으로 고정나사산(32)과 이동나사산(33)에 의해 배수통(4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나사부(41)의 피치가 다른 배수통(40)이라도 나사결합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배수통(40)에 패킹(50)이 끼워지는 상단부를 상향 경사진 경사부(44)와 돌출부(45)를 형성하여, 경사부(44)와 돌출부(45) 사이에 단면상 사다리꼴의 패킹(50)을 버킷(10)의 하부에 최소면적이 밀착될 수 있게 끼워 넣어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배수통(40)의 상부에 상향 경사지게 경사부(44)와 돌출부(45)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패킹(50)이 움직일 수 없으며, 배수통(40)을 조립할 때 패킹(50)의 탄력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힘이 내측으로 작용하여 종래보다 조립이 용이하고 계절에 관계없이 패킹(50)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버킷(10)과 배수통(40) 사이의 밀봉효과가 종래에 비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패킹(50)과 버킷(10)이 맞닿는 면적이 적을수록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배수통(40)의 유입구(42)를 맞추기 위하여 배수통(40)을 회전시킬 때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패킹(50)의 원주 전체를 버킷(10)에 밀착시킬 수 있어 밀폐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버킷 20 : 결합링
21 : 결합홈 30 : 결합구
31 : 걸림돌기 32 : 고정나사산
33 : 이동나사산 33a : 가이드돌기
33b : 가이드홈 34 : 기밀패킹
40 : 배수통 41 : 나사부
42 : 유입구 43 : 배수구
44 : 경사부 45 : 돌출부
50 : 패킹

Claims (3)

  1. 버킷(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링(20)과 배수통(40)이 나사결합되며, 배수통(40) 상부의 패킹(50)이 버킷(10)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결합링(20)과 배수통(40) 사이에 결합구(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20)은 외주면에 걸림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3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고정나사산(32)이 형성되며, 결합링(20)과 결합구(30)가 맞닿는 결합구(30)의 상단에 링형의 기밀패킹(34)이 끼워지고, 결합구(30)의 외주면에 배수통(40)이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32)이 하부에는 상하로 이동되게 이동나사산(33)을 형성하여 배수통(40)의 나사부(41)의 나사피치가 다른 배수통(40)에도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40)의 상부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진 경사부(44)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5)를 형성하여, 경사부(44)와 돌출부(45) 사이에 단면상 사다리꼴의 패킹(50)을 끼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트랩.
KR1020130026425A 2013-03-12 2013-03-12 싱크대용 배수트랩 KR10126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25A KR101263633B1 (ko) 2013-03-12 2013-03-12 싱크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25A KR101263633B1 (ko) 2013-03-12 2013-03-12 싱크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633B1 true KR101263633B1 (ko) 2013-05-15

Family

ID=4866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425A KR101263633B1 (ko) 2013-03-12 2013-03-12 싱크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503B1 (ko)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42Y1 (ko) 2011-03-15 2011-08-19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42Y1 (ko) 2011-03-15 2011-08-19 박일선 싱크대의 배수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503B1 (ko)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5662A1 (en) Strainer assemb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eamless sink drain
US10400435B2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US20170030059A1 (en) Seamless connecting drain structure of metallic sink
KR101263633B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JP5046633B2 (ja) ボウルの排水構造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130005822U (ko)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KR101281612B1 (ko) 배수 트랩
KR20230027596A (ko) 배수용 실링구조
CA2784382A1 (en) Strainer assembly for use in conjunction with seamless sink drain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60001601U (ko) 욕조마개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344209Y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0368183Y1 (ko)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KR20100053781A (ko) 싱크대용 배수 유닛
KR200455142Y1 (ko) 싱크대의 배수유닛
CN212742754U (zh) 下水器管体连接器及具有该管体连接器的洗脸盆下水器
KR101518279B1 (ko) 넘침 방지용 조리용기뚜껑
KR20210078997A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380767Y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