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22U -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22U
KR20130005822U KR2020120002474U KR20120002474U KR20130005822U KR 20130005822 U KR20130005822 U KR 20130005822U KR 2020120002474 U KR2020120002474 U KR 2020120002474U KR 20120002474 U KR20120002474 U KR 20120002474U KR 20130005822 U KR20130005822 U KR 201300058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groove
bucket
ring
sink
pack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연승
Original Assignee
삼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822U/ko
Publication of KR20130005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통의 상부에 링끼움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버켓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을 상기 링끼움홈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의 외측벽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의 외측단부에 외측벽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싱크대의 버켓에 배수통을 설치할때 과도한 토크를 가하여 결합하더라도 하부패킹링이 비틀어지거나 링끼움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되어 배수통의 실링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수통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Sealing device}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통의 상부에 링끼움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버켓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을 상기 링끼움홈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의 외측벽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의 외측단부에 외측벽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싱크대의 버켓에 배수통을 설치할때 과도한 토크를 가하여 결합하더라도 하부패킹링이 비틀어지거나 링끼움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되어 배수통의 실링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수통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및 도 2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버켓(bucket)(1)과, 상기 버켓(1)에 장착된 배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수장치는 설거지 등을 할 때 버켓(1)으로 버려지는 오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찌꺼기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버켓(1)의 하면에 부착되는 배수통(5)과, 버켓(1)의 상면에서 배수통(5)과 결합되는 결합부(2), 배수통(5)에 내장되는 필터망(13), 배수통(5)의 하단에 연결된 악취유입방지구(일명 유트랩:U-trap)(12)와, 버켓(1)의 측면으로부터 배수통(5)으로 이어진 오버플로우배관(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버켓(1)의 상부에 끼워지는 결합부(2)는 그 하단부에 수나사부(3)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와 버켓(1)의 사이에는 상부패킹링(4)이 개재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합부(2)의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는 배수통(5)에는 수나사부(3)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6)가 배수통(5)의 상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배수통(5)의 하측에는 악취유입방지구(12)가 결합되기 위한 배수구(7)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통(5)의 측면 중간부에는 오버플로우배관(11)이 결합되기 위한 입수구(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통(5)의 상부에는 밀착부(8)가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밀착부(8)의 상부에는 하부패킹링(9)이 안착된 상태로 버켓(1)의 저면부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켓(1)의 상부에 결합부(2)를 끼우고, 버켓(1)의 하측으로부터 배수통(5)을 결합부(2)에 결합하는데, 이때 결합부(2)의 하측에 형성된 수나사부(3)에 배수통(5)의 암나사부(6)를 나사결합하여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2)와 버켓(1)의 사이에 상부패킹링(4)을 개재시켜 버켓(1)의 상부가 실링되도록 하고, 배수통(5)의 밀착부(8)와 버켓(1)의 저면부 사이에 하부패킹링(9)을 개재시켜 버켓(1)의 하부가 실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오버플로우배관(11)을 버켓(1)의 중간부로 부터 입수구(10)를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배수통(5)의 배수구(7)에는 악취유입방지구(12)를 결합하여 싱크대의 배수장치를 완성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결합부(2)에 배수통(5)을 나사 결합할 때 상부패킹링(4)과 하부패킹링(9)의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우 강한 토오크로 배수통(5)을 결합부(2)에 나사결합하기 때문에 과도한 토오크에 의해 하부패킹링(9)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위치를 이탈하게되어 실링성이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하부패킹링은 단순히 밀착부(8)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고, 배수통(5)이 결합부(2)에 나사결합될때 발생하는 결합력에 의존하여 버켓(1)의 저면부에 밀착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수통(5)을 결합부(2)에 과도한 토오크로 결합시키게되면 하부패킹링의 형상이 찌그러지면서 변형되거나 밀착부(8)로 부터 벗어나면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되어 싱크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수통의 상부에 링끼움홈을 형성하고, 싱크대의 버켓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을 상기 링끼움홈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의 외측벽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의 외측단부에 외측벽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서, 싱크대의 버켓에 배수통을 설치할때 과도한 토크를 가하여 결합하더라도 하부패킹링이 비틀어지거나 링끼움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되어 배수통의 실링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수통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버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버켓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배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있어서,
배수통의 상부에 링끼움홈을 형성하고, 버켓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을 상기 링끼움홈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의 외측벽을 상측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의 외측단부에는 외측벽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대의 버켓에 배수통을 설치할때 과도한 토크를 가하여 결합하더라도 하부패킹링이 비틀어지거나 링끼움홈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되어 배수통의 실링성이 향상됨은 물론 배수통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를 보인 분해도.
도 2 는 종래의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를 보인 분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배수통과 하부패킹링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버켓(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하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버켓(1)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배수통(5)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있어서,
배수통(5)의 상부에 링끼움홈(20)을 형성하고, 버켓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30)을 상기 링끼움홈(20)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20)의 외측벽(22)을 상측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30)의 외측단부에는 외측벽(22)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통(5)의 상부에 환형으로 링끼움홈(20)을 형성하고, 이 링끼움홈(20)에 하부패킹링(30)을 끼워 설치한다.
이때, 링끼움홈(20)에는 내측벽(21)과 외측벽(22)이 형성되는데, 내측벽(21)은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벽(22)은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벽(22)의 상측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끼움홈(20)에 끼워지는 하부패킹링(30)의 외측단에 외측벽(22)과 동일한 형태의 경사면(31)을 형성하여 하부패킹링(30)을 링끼움홈(20)에 끼웠을때 하부패킹링(30)의 경사면(31)이 외측벽(22)에 끼워지게되어 하부패킹링(30)이 링끼움홈(20)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된다.
또한, 배수통(5)을 결합부(2)에 과도한 토오크로 나사결합하더라도 외측벽(22)의 상측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패킹링(30)의 이탈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인해 하부패킹링(30)의 형상변형에 의한 실링성 하락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링끼움홈(20)의 내측벽(21)을 상측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링끼움홈(20)에 끼워지는 하부패킹링(30)의 내측단에 경사면(31)을 형성하여 하부패킹링(30)을 링끼움홈(20)에 끼웠을때 하부패킹링(30)의 경사면(31)이 내측벽(21)에 끼워지게 되어 하부패킹링(30)이 링끼움홈(20)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6c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버켓(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하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버켓(1)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배수통(5)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있어서,
배수통(5)의 상부에 링끼움홈(20)을 형성하고, 버켓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30)을 상기 링끼움홈(20)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20)의 내측벽(21)과 외측벽(22)의 중간부에 걸림돌기(23)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30)의 내측단부와 외측단부에는 걸림돌기(23)에 끼워지는 걸림홈(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c와 같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는 링끼움홈(20)의 내측벽(21)과 외측벽(22)의 중간부에 걸림돌기(23)를 환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30)의 내측단부와 외측단부에 각각 걸림돌기(23)에 끼워지는 걸림홈(32)을 형성하므로서, 하부패킹링(30)을 링끼움홈(20)에 끼웠을때 하부패킹링(30)의 걸림홈(32)이 걸림돌기(23)에 끼워짐에 따라 배수통(5)을 강한 토오크로 결합부(2)에 결합시키더라도 하부패킹링(30)이 링끼움홈(20)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1: 버켓, 2: 결합부,
4: 상부패킹링, 5: 배수통,
6: 암나사부, 20: 링끼움홈,
21: 내측벽, 22: 외측벽,
30: 하부패킹링, 31: 경사면,
32: 걸림홈, 23: 걸림돌기,

Claims (2)

  1. 버켓(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하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버켓(1)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배수통(5)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있어서,
    배수통(5)의 상부에 링끼움홈(20)을 형성하고, 버켓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30)을 상기 링끼움홈(20)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20)의 내측벽(21) 또는 외측벽(22)을 상측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30)의 내측단부 또는 외측단부에는 내측벽(21) 또는 외측벽(22)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경사면(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2. 버켓(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하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버켓(1)의 저면부에 설치되는 배수통(5)을 포함하여 구성된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에 있어서,
    배수통(5)의 상부에 링끼움홈(20)을 형성하고, 버켓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하부패킹링(30)을 상기 링끼움홈(20)에 끼워 설치하되,
    링끼움홈(20)의 내측벽(21)과 외측벽(22)의 중간부에 걸림돌기(23)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하부패킹링(30)의 내측단부와 외측단부에는 걸림돌기(23)에 끼워지는 걸림홈(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KR2020120002474U 2012-03-28 2012-03-28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KR201300058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74U KR20130005822U (ko) 2012-03-28 2012-03-28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74U KR20130005822U (ko) 2012-03-28 2012-03-28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22U true KR20130005822U (ko) 2013-10-08

Family

ID=5243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74U KR20130005822U (ko) 2012-03-28 2012-03-28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82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65U (ko) 2018-05-25 2019-12-04 신세욱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KR102074503B1 (ko) *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CN113786049A (zh) * 2021-09-30 2021-12-14 宁波埃米智能卫浴科技有限公司 带保温水箱的洗头机
KR20220063058A (ko) 2020-11-09 2022-05-17 (주)와이비케이 싱크대와 배수통의 설치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65U (ko) 2018-05-25 2019-12-04 신세욱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KR102074503B1 (ko) *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20220063058A (ko) 2020-11-09 2022-05-17 (주)와이비케이 싱크대와 배수통의 설치 구조
CN113786049A (zh) * 2021-09-30 2021-12-14 宁波埃米智能卫浴科技有限公司 带保温水箱的洗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822U (ko) 싱크대의 배수통 실링장치
JP2014220895A5 (ko)
KR101000112B1 (ko)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된 배수트랩
US10030374B2 (en) Drainage fitting
KR101060061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352785B1 (ko)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JP6319999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構成体の製造方法
KR200385885Y1 (ko) 씽크대용 배수트랩 패킹 결합구조
KR101126336B1 (ko) 싱크대 배수유닛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20190002965U (ko) 싱크대용 배수통 체결 구조
JP6029130B2 (ja) 排水トラップ
JP6060325B2 (ja) 排水装置の取付構造
KR200455142Y1 (ko) 싱크대의 배수유닛
KR101263633B1 (ko) 싱크대용 배수트랩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JP2015206195A (ja) 排水器の取付構造
KR20120056955A (ko) 싱크대 배수구 연결부재
KR200360049Y1 (ko)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479000Y1 (ko) 루프드레인용 여과망 덮개
CN104075024A (zh) 一种防爆水龙头
KR101644904B1 (ko) 밀폐 구조 개선형 너트를 갖는 팝업밸브
KR20110010965U (ko) 싱크대용 오버플로우 장치
KR20130072850A (ko)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