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79B1 -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 Google Patents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79B1
KR102076779B1 KR1020180169808A KR20180169808A KR102076779B1 KR 102076779 B1 KR102076779 B1 KR 102076779B1 KR 1020180169808 A KR1020180169808 A KR 1020180169808A KR 20180169808 A KR20180169808 A KR 20180169808A KR 102076779 B1 KR102076779 B1 KR 10207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main body
guide par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준
김상헌
이근백
공용식
이준경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crash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rrier unit is formed in a square shape for various crash tests of an automobile, and is installed rotation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360 degrees. In addition,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units have different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units respectively on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thereby minimizing automobile crash testing preparation time and crash testing tim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by performing an accurate crash test and reducing maintenance and test costs by minimizing an installation space. The automobile crash t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the test and can facilitate convenience of a tester.

Description

자동차 충돌시험장치{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베리어유닛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 시간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시험을 수행하며, 설치공간 최소화를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의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he barrier unit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various collision tests of a vehicle, thereby minimizing vehicle collision test time and performing accurate tes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crash test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cost of an automobile crash test by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and facilitate the experimenter's convenience.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평가할 때에는 그 동력 성능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각 자동차 제조사들과 부품 공급사들은 자동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 및 실험을 하고 있다.In general, when evaluating a vehicle, safety as well as its power performance becomes an important factor. Accordingly, each automobile manufacturer and a component supplier are conducting a lot of research and experiments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automobile.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사들은 최초로 신차나 부품을 개발하거나 부품을 개량할 때에 개발된 자동차나 부품 또는 개량된 부품의 안전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검사하게 된다.As a result, automakers and parts suppliers first carry out various safety tests to check the safety of developed cars, parts, or improved parts when developing a new car or part, or improving parts. The completeness is check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자동차의 안전성은 인간의 생명에 직접 연관되어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The safety of a vehicle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life and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completeness of the vehicle. In most countries of the world, the most stringent standards are applied to the safety of such vehicles.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는, 시트 백의 안전성 시험, 시험용 더미의 내구시험, 에어백 작동시험, 도어 잠금장치 변형시험, 범퍼 충돌시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험들은 최대한 실차조건에 가깝게 하여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차체에 각 구성부품들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슬래드형 충격 시험장치를 통하여 그 시험이 이루어진다.These safety tests include seat back safety tests, endurance tests for test dummy, air bag operation test, door lock deformability test, bumper crash test, etc. These tests can be performed in the actual vehicle body to be tested as close to actual vehicle conditions as possible. The test is carried out with a slat-type impact tester, with all components mounted on it.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성능이나 내구성 및 안전도 등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며, 이러한 평가 결과는 자동차 설계에 반영하여 자동차 개발이 이루어진다. 결국, 시험차량(대차)에 대한 다양한 충돌시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돌시험은 많은 시간과 인원 및 예산이 소요된다.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of automobiles in general, the performance,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vehicle is evaluated,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reflected in the vehicle design, and the automobile development is made. As a result, various crash tests on the test vehicle (bogie) are carried out, and these crash tests require a lot of time, personnel, and budget.

이러한 자동차 충돌시험은 정면 충돌, 오프셋 충돌(좌우), 경사면 충돌(좌우), 및 돌출물에 의한 폴(pole) 충돌 시험이 있다. 이러한 각 충돌시험에는 베리어(barrier)의 충돌면을 변경하면서 시험차량(대차)과의 충돌시험을 수행한다.These vehicle crash tests include frontal crash, offset crash (left and right), slope crash (left and right), and pole crash tests by protrusions. In each of these collision tests, collision tests with the test vehicle (bogie) are carried out while changing the collision surface of the barrier.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1개의 충돌면을 구비하고, 상술한 다양한 다른 자동차 충돌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충돌면 변경은 중량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고정벽에 베리어의 위치나 각도를 수작업으로 조정하였다. 이처럼 지게차를 이용한 베리어의 이동이나 조정은 많은 시간과 인원이 필요하여 자동차 충돌시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중량물의 이동이나 조정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높고, 실험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has one collision surface, and the collision surface change fo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various other vehicle collision test was manually adjusted the position or angle of the barrier on the fixed wall using a forklift as a heavy material. As such, the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barrier using a forklift truck requires a lot of time and personnel,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st of a vehicle crash test,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during the movement or adjustment of a heavy load, and an inconvenience for an experimenter. There was this.

또한,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다양한 베리어를 보관하기 위해 설치공간이 증가되어 설치비용이 증가되고, 이러한 충돌시험장치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생산단가가 증가함에 따라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도입할 수 없어 균형있는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has increased installation space to store a variety of barriers for a variety of crash tests,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the maintenance cost of such a crash test device increases, and finally the production cost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apparatus Increasingly, SMEs could not introduce them, which hindered balanced industrial development.

더욱이,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2개의 충돌면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각각의 충돌면의 조정이나 이동이 자동으로 일괄해서 진행되지 않아 충돌시험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자동차 충돌시험의 신뢰성과 정확성이 감소하고,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안정성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for the crash test because the collision or collision of each collision plane is not automatically carried out for the collision test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has two collision face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curate adjustment is not mad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is reduced, and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finally reduced.

게다가,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베리어가 일부 이동하는 경우에도 베리어의 견고성이나 강성이 확보되지 않아 충돌시험에 따른 베리어의 손상이나 파손에 의해 유지비용이 증가하고, 종국적으로 자동차 충돌시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does not secure the rigidity or rigidity of the barrier even when the barrier is partially moved for various collision tests, and thus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due to damage or damage of the barrier caused by the collision test, and eventually the automobile cras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est cost increases.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3589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535897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2222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222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8-0020497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020497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25559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025559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베리어유닛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360도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2, 3, 4 면에 서로 다른 제1, 2, 3, 4 베리어부가 각각 제1, 2, 3, 4 충돌부를 구비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 준비시간과 충돌시험 시간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신뢰성을 향상하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지비용과 시험비용을 절감하고, 시험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arrier unit in a rectangular shape for various collision tests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to rotate 360 degre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s hav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parts, respectively, minimizing the vehicle crash test preparation time and the crash test time, Improving reliability by performing crash tests,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test costs, preventing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esting, and providing an automobile crash test apparatus that can facilitate the experimenter's convenience. .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대차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범퍼유닛;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리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l unit; A balanc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A bumper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cart unit; And a barrier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rail unit so as to collide with the cart unit, wherein the barrier unit includes a base unit fixed and installed near the front end of the rail unit; It may include;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리어유닛; 및 상기 대차유닛과 상기 베리어유닛의 충돌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Car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l unit; A balanc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A barrier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to collide with the car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llision between the trolley unit and the barrier unit, wherein the barrier unit includes: a base unit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It may include;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리어유닛; 및 상기 대차유닛과 상기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상기 베리어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유닛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l unit; A balanc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A barrier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to collide with the cart unit; And a safety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arrier unit in order to prevent the barrier unit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balance unit collides with the barrier unit. The barrier unit is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A base portion; It may include;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리어유닛; 및 상기 대차유닛과 상기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충돌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베리어유닛의 전방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unit; A balanc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A barrier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to collide with the cart unit; And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barrier unit in order to photograph a collision state when the cart unit and the barrier unit collide with each other, wherein the barrier unit is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A base portion; It may include; and the main body portion is rotatably moun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승하강 및 회전 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상기 본체부의 승하강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op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ower to raise and lower the body portion and rotates; And a stopper part which fixes the main body to the base to prevent the lowering and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when the cart unit is collided, w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rotatable 360 degrees. Can be installed in the depart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시에 상기 본체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본체부가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is to lift the body portion when rotating the body portion, and lower the body portion when colliding with the bogie unit A lift unit to make; And a rotation part generating the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body part to rotate the body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베리어유닛은 4개의 서로 다른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베리어부; 상기 제1 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베리어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설치되는 제3 베리어부; 및 상기 제3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면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설치되는 제4 베리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comprises: a first barrier portion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for four different vehicle collision tests; A second barrier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A third barrier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and installed on a thir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And a fourth barrier part adjacent to the third surface and installed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second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상기 제1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넥트부; 상기 커넥트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하는 제1 충돌부; 및 상기 커넥트부와 상기 제1 충돌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arrier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collision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 unit and colliding with the balance unit; And a shock absorb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 part and the first crash part to cushion an impact during a collision of the cart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커넥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 일측이 상기 수직부의 상부 선단에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충돌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장부; 각각의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수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1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is a plurality of vertical parts spaced eve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having one side connect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llision part; And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extension part or the vertical par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first collision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1 충돌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대응하고 상기 본체부의 제1 면과 평행하면서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연장부와 상기 완충부에 결합 설치되는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플랫부의 상부에 상기 플랫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제1 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llision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corresponds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the plurality so as to face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flat part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and the buffer part; Coupling holes are formed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lat portion; And a first gauge uni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fla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2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 충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arrie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a first mov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slid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long the first moving unit; And a second colli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상뷰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3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 보다 크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3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ving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first guide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below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hird guide extending below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u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nd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part; A first driving part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And a second gau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view of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guide portion, wherein a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is The first guide part,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part may be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larger than a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3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상기 제2 충돌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충돌부와 결합하는 조인트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충돌부를 회전시키는 선회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guide portio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third guide portion by the first driving portion; A body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joi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engage with the second impact portion to fix and support the second impact portion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of the trolley unit; A turning part installed at the body part to rotate the second collision part; And a second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joint par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second collision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3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3 충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barrie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a second mov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third moving par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A support par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third moving part; And a third colli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가이드부;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5 가이드부; 상기 제5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4 가이드부 및 상기 제5 가이드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5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6 가이드부;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4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가 상기 제5 가이드부와 상기 제6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 보다 크도록 상기 제4 가이드부, 상기 제5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가이드부가 상기 확장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ving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extend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fourth guide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A fifth guide part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ixth guide part extending in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uide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and the fifth guide part and disposed below the fifth guide part;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guide part and the fifth guide part; And a third gau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urth guide portion, wherein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ourth guide portion and the fifth guide portion is vertical. The fourth guide part, the fifth guide part, and the sixth guide part may be disposed in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larger than a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fth guide part and the sixth guide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확장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브릿지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 가이드부;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8 가이드부;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상기 제8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구동부; 및 상기 제7 가이드부 또는 상기 제8 가이드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게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moving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by the second drive unit the fourth guide portion, the fifth guide portion and the sixth guide portion A bridge uni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xtension unit; A seventh guide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idge part; An eighth guide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venth guide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disposed between the seventh guide part and the eighth guide part; And a fourth gauge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venth guide portion or the eighth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상기 제8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브릿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부; 상기 제3 충돌부와 상기 수평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3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ridge portion along the seventh guide portion and the eighth guide portion by the third drive portion A horizontal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A fastening part configured to rotatably couple the third collision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And a third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fastening uni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third collis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4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이동부; 상기 제4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승하강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4 충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barrier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a fourth mov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lifting unit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long the fourth moving unit; And a fourth collision unit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 가이드부; 상기 제9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9 가이드부 및 상기 제10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 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및 상기 제11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가이드부; 상기 제9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구동부; 상기 제4 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고, 상기 제12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구동부; 및 상기 제4 구동부 또는 상기 제5 구동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moving par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a ninth guid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tenth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eleventh guide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and the ten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tenth guide part; A twelfth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the tenth guide part, and the eleven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eleventh guide part; A fourth driving part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on one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ninth guide part; A fifth driving unit which is parallel to the fourth driv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on a horizontal side of the twelfth guide unit; And a fifth gauge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ourth driving part or the fifth driv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ninth guide part and the tenth guide part. The fourth guide part, the tenth guide part, the eleventh guide part, and the twelfth guide part are arranged in the fourth body part such that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eleventh guide part and the twelfth guide part is uniformly formed. May be disposed on a 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제4 구동부와 상기 제5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9, 10, 11, 12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부; 상기 제4 충돌부와 상기 서포트부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4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is the four driving unit and the fifth driving unit by the ninth, 10, 11, 12 guide portion along the A support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fixing part for fixedly coupling the fourth collision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a fourth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fixing uni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fourth collision unit.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베리어유닛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360도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2, 3, 4 면에 서로 다른 제1, 2, 3, 4 베리어부가 각각 제1, 2, 3, 4 충돌부를 구비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 준비시간과 충돌시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rri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various collision tests of automobiles, and is installed to rotate 360 degre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nd h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A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are provided wit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parts, respectively,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vehicle crash test preparation time and the crash test tim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베리어유닛이 회전하면서 제1, 2, 3, 4 베리어부의 제1, 2, 3, 4 충돌부로 4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한 설치공간을 감소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four or more different tests wit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part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while the barrier unit rotates.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for testing, the spac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자동으로 최소한의 시간으로 4가지 또는 5가지의 정확한 자동차 충돌시험을 수행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과 견고성을 향상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생산단가를 감소하여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어 보급의 증대에 따라 균형있는 산업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oreover,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crash test by performing four or five accurate vehicle crash tests in a minimum amount of time, and the dur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apparatus can be reduced, so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an easily introduce it,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balanced industrial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distribution.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중량물의 잦은 이동이나 충돌부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게 됨에 따라 충돌시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collision test in advance, since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heavy weight or the replacement of the collision part is not necessary, and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can be achieved.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4가지 이상의 자동차 충돌시험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시간 감소에 의해 자동차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자동차 충돌시험을 통해 자동차의 성능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며, 자동차 충돌시험 장치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하여 부품 손상 등을 최소화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st of the vehicle crash test by reducing the time as four or more vehicle crash test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car through various vehicle crash tes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by minimizing component damage by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레일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대차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2 베리어부 방향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1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2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4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lan view of FIG. 1.
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ail uni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balance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 shows a side view of the second barrier portion direc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rrier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Figure 8 show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arrier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barrier part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forward.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0.
1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relative size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that is present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개념도를 나타낸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레일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대차유닛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2 베리어부 방향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1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2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베리어유닛의 제4 베리어부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내고,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 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ail uni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bogie uni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ide view of the barrier unit direc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6 shows a plan view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7 A perspective view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rrier part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forward.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barrier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forward,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barrier portion of the barrier unit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forwar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0, and FIG. 12 is an invention.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1 내지 도 11에서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1 내지 도 11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승강(상승)"이란 도 1 내지 도 11에서 수직방향인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강"이란 도 1 내지 도 11에서 수직방향인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내부)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 즉, 도 1 내지 도 11에서 안쪽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도 1 내지 도 11에서 바깥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레일유닛과 마주할 때에 레일유닛의 선단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레일유닛과 마주할 때에 레일유닛의 선단에 먼쪽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mean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While it means the height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upward (upper) means an up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upward in FIGS. 1 to 11, and downward (lower) means a downward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in FIGS. 1 to 11. It means the downward direction. In addition, "elevating" means moving in the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Figs. 1 to 11, and "falling" means mov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ch is vertical in Figs. it means. In addition, the inner side (inner) means a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that is, the inner side in Figs. 1 to 11 and the outer side means a relatively far from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that is, the outer side in Figs. . In addition, "front" means the side closer to the tip of the rail unit when facing the rail unit in the same member, and "rear" means the side farther from the tip of the rail unit when facing the rail unit in the same member.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는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범퍼유닛(5000), 베리어유닛(3000), 제어유닛(4000), 안전유닛(6000), 및/또는 촬영유닛(7000)을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2 will be described a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2,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unit 1000, a bogie unit 2000, a bumper unit 5000, a barrier unit 3000, a control unit 4000. , Safety unit 6000, and / or photographing unit 7000.

레일유닛(1000)은 베리어유닛(3000)을 향하면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지면 에 설치된다.The rail unit 10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o have a certain length while facing the barrier unit 3000.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이 레일유닛(1000)은 레일부(1100), 모터부(1200), 와이어부(1300), 및 견인부(140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unit 1000 that includes a rail unit 1100, a motor unit 1200, a wire unit 1300, and a towing unit 1400. Include.

레일부(1100)가 지면에 설치된다. 즉, 레일부(1100)는 지면에 일정한 깊이로 파인 상태에서 대차유닛(2000)이 레일부(1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하는 충돌속도를 낼 수 있도록 베리어유닛(3000)을 향해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다.The rail unit 1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is, the rail unit 1100 is installed with a constant length toward the barrier unit 3000 so that the trolley unit 2000 moves along the rail unit 1100 in a state of being dug to a certain depth on the ground to produce a desired collision speed. .

모터부(1200)가 레일부(1100) 또는 안전유닛(6000)에 설치된다. 모터부(1200)는 대차유닛(2000)을 베리어유닛(3000)에 충돌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러한 모터부는 후술하는 제어유닛(4000)의 제어부(4800)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서보모터(servo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unit 1200 is installed in the rail unit 1100 or the safety unit 6000. The motor unit 1200 generates power to collide the trolley unit 2000 with the barrier unit 3000. In addition, the motor unit may be formed as a servo motor so that th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800 of the control unit 4000 to be described later.

와이어(1300)가 레일부(1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부(1200)의 구동에 레일부를 따라 전후진 이동한다. The wire 1300 is installed inside the rail unit 1100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rail unit to drive the motor unit 1200.

견인부(1400)는 와이어부(1300)에 연결된 상태로 대차유닛(20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어유닛(4000)의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모터부(1200)가 원하는 회전속도로 작동하면 이에 따라 와이어(1300)가 레일부(1100)의 내부에서 움직이고, 레일부(1100)와 연결된 견인부(1400)가 원하는 속도로 레일부(1100)를 따라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견인부(1400)에 결합된 대차유닛(2000)이 원하는 속도로 이동하여 베리어유닛(3000)에 충돌하게 된다.The towing unit 14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lance unit 200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wire unit 1300. That is, when the motor unit 1200 operates at the desired rotational spe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of the control unit 4000, the wire 1300 moves inside the rail unit 1100 and the rail unit 1100. And the towing unit 1400 connected to the rail unit 1100 moves at a desired speed, and at the same time, the bogie unit 2000 coupled to the towing unit 1400 moves at a desired speed to collide with the barrier unit 3000. do.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속도의 자동차 충돌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정밀한 속도조절을 통해 충돌시험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such,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he vehicle collision test of various speeds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unit,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collision test through precise speed adjustment.

대차유닛(2000)은 레일유닛(100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cart unit 200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1000.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대차유닛(2000)은 바디부(2100), 복수의 휠부(2200), 전방충돌부(2300), 후방충돌부(2400), 및 복수의 정지부(2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vehicle unit 2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2100, a plurality of wheel parts 2200, a front crash part 2300, and a rear crash part 2400. ), And a plurality of stops 2500.

바디부(2100)는 자동차의 외형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대차유닛(20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디부(2100)는 복합소재,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정확한 시험을 위해 가능한 충돌시험 대상차종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portion 2100 is formed similarly to the outer shape of the vehicle, and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alance unit 20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ody portion 2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composite material, metal, plastic, and the like,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imilar to a vehicle to be subjected to a crash test for accurate testing.

복수의 휠부(2200)는 바디부(2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대차유닛(2000)이 견인부(1400)에 의해 레일부(1100)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바디부(2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복수의 휠부(2200)는 실제 자동차와 동일하게 바디부(2100)의 4곳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바디부(2100)의 4곳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반적인 자동차의 타이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wheel parts 2200 may be rotatable to the body part 2100 such that the cart unit 2000 may linearly reciprocate along the rail part 1100 by the towing part 1400 while supporting the body part 2100. Is installed. That is, the plurality of wheel parts 2200 are rotatably installed at four parts of the body part 2100 so as to stably support four parts of the body part 2100 in the same way as a real car, and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tire of a general car. It is preferable.

전방충돌부(2300)가 바디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범퍼유닛(50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전방충돌부(2300)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방과 동일한 부분으로 전방충돌부(2300)에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유닛이 장착되어 전방충돌 시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front collision part 23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bumper unit 5000 is detachably mounted. That is, the front collision unit 2300 is a front bumper unit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front collision unit 2300 in the same portion as the front of a general vehicle can smoothly perform the front collision test.

후방충돌부(2400)가 전방충돌부와 바디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바디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범퍼유닛(5000)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후방충돌부(2400)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후방과 동일한 부분으로 후방충돌부(2400)에 자동차의 리어 범퍼유닛이 장착되어 후방충돌 시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rear collision part 24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ody part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ront collision part and the body part so that the bumper unit 5000 is detachably mounted. That is, the rear collision unit 2400 may be equipped with the rear bumper unit of the vehicle to the rear collision unit 2400 in the same portion as the rear of the general vehicle can smoothly perform the rear collision test.

이처럼, 대차유닛(2000)은 전방충돌과 후방충돌을 대차의 위치를 180도 회전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자동차이 다양한 충돌시험의 시간과 비용을 감소하고, 실험자이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such, the balance unit 2000 can easily change the front collision and the rear collision only by rotating the position of the bogie 180 degrees, the vehicle reduces the time and cost of the various collision test, the experimenter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정지부(2500)는 각각의 휠부(22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휠의 회전을 차단한다. 즉, 정지부(2500)는 비상시나 속도제어가 필요한 경우 휠부의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유압 또는 디스크 타입의 브레이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시나 갑작스러운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을 멈추어야 하는 경우 제어유닛(4000)의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정지부가 작동하여 대차유닛의 이동을 순간적으로 멈출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며, 유지비용과 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stop part 2500 is installed adjacent to each wheel part 2200 to block rotation of the wheel. That is, the stop part 2500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or disc type brake capable of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part in case of emergency or speed control. According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or when the collision between the bogie unit and the barrier unit has to be stopped, the stop unit is operated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of the control unit 400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ogie unit can be stopped momentarily. It can prevent the damage or breakage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nd reduce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test cost.

범퍼유닛(5000)은 대차유닛(20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범퍼유닛(5000)은 프론트 범퍼와 리어 범퍼로 구별되고, 필요한 충돌시험에 따라 전방충돌부 또는 후방충돌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umper unit 5000 is detachably installed to the trolley unit 2000. As described above, the bumper unit 5000 is divided into a front bumper and a rear bumper,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front collision part or a rear collision part according to a required crash test.

베리어유닛(3000)은 대차유닛(2000)과 충돌하도록 레일유닛(1000)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즉, 베리어유닛(3000)은 대차유닛(2000)이 자동차 충돌시험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속도로 충돌할 수 있도록 레일유닛(1000)이 끝나는 지점에 설치된다. 이러한 베리어유닛(3000)은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충격을 버티고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와 같은 중량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rrier unit 30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1000 so as to collide with the cart unit 2000. That is, the barrier unit 3000 is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rail unit 1000 ends so that the vehicle unit 2000 may collide at a desired speed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collision test. The barrier unit 3000 may be formed of a heavy material such as concrete in order to withstand an impact during collision of the balance unit and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제어유닛(4000)은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어유닛(4000)은 실험자의 조작 편의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레일유닛(1000)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400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balanc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for various collision tests of the vehicle.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ntrol unit 4000 is spaced apart from the rail unit 10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order to secure the operation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the experimenter.

안전유닛(6000)이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시에 베리어유닛(3000)이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유닛(3000)의 후방에 설치된다.The safety unit 60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arrier unit 3000 in order to prevent the safety unit 60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arrier unit 3000 when the balanc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collide with each other.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안전유닛(6000)은 중량체부(6100)와 하우징부(62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afety unit 6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ight portion 6100 and a housing portion 6200.

중량체부(6100)는 베리어유닛(300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즉, 중량체부(6100)는 베리어유닛(3000)이 레일유닛(1000)과 중량체부(610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레일유닛(1000)의 선단에 대해 베리어유닛(3000)보다 이격하도록 베리어유닛(3000)의 후방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중량체부(6100)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금속블록이나 금속 프레임 등 강력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weight body part 610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arrier unit 3000. That is, the weight unit 6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barrier unit 3000 is spaced apart from the barrier unit 3000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rail unit 1000 such that the barrier unit 3000 is positioned between the rail unit 1000 and the weight unit 6100. 3000) is installed at the rear.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weight part 61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ong rigidity such as a concrete block or a metal block or a metal frame.

하우징부(6200)는 중량체부(6100)의 둘레면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부(6200)는 금속 프레임, 금속망 또는 플라스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량체부(6100)와 하우징부(6200) 사이에 모터부(1200)와 각종 측정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6200 performs a function of wrapp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ight part 6100. The housing part 6200 may be formed in a metal frame, a metal mesh, or a plastic shape, and the motor part 1200 and various measuring device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eight part 6100 and the housing part 6200.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안전유닛에 의해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베리어유닛이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이탈된 베리어유닛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인명사고와 다른 장치의 손상을 예방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such,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evia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barrier unit is installed when the balance unit and the barrier unit collide with the safety unit, and prevents the accident and other devices that may be caused by the detached barrier unit. Damage can be prevented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vehicle crash test system.

촬영유닛(7000)이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시에 충돌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베리어유닛(3000)의 전방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The photographing unit 70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barrier unit 3000 in order to photograph the collision state at the time of collision between the balanc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촬영유닛(7000)은 촬영부(7100)와 조명부(7200)를 포함한다.1 to 2, the photographing unit 7000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7100 and the lighting unit 7200.

촬영부(7100)는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이 충돌하는 베리어유닛의 전방의 양측면과 상부에 설치된다. 촬영부(7100)에서 촬영된 영상기록은 후술하는 제어유닛(4000)의 데이터 저장부(4200)의 화상데이터 저장부(4260)로 전송되어 기록 및 저장된다.The photographing unit 71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arrier unit in which the balanc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collide with each other. The image recording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710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ata storage unit 4260 of the data storage unit 4200 of the control unit 40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recorded and stored.

조명부(7200)는 촬영부(7100)에 인접하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촬영부(7100)의 작동시에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지점에 광원을 조사한다. 이러한 조명부(7200)는 조명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720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photographing unit 7100 and is movable so that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to the collision point between the cart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when the photographing unit 7100 is operated. The lighting unit 7200 may be formed of a lamp.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촬영부와 조명부는 레일부와 베리어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충돌진동이나 소음에 관계엇이 충돌상태를 촬영하고, 제어유닛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lighting unit are movably installed on the frame installed on the rail unit and the barrier unit. Can be taken and can be easily moved by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이처럼, 촬영유닛으로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충돌순간을 정확하게 촬영하고 기록함에 따라 충돌시험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조명부에 의해 낮이나 밤 등 시간에 관계없이 자동차 충돌시험을 진행할 수 있어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llision unit and the barrier unit are accurately photographed and recorded at the moment of collision, the collision test result is accurately analyze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device and the day and night time by the lighting uni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crash test is conducted, the experimenter's convenience and the cost of the crash test can be reduced.

도 1 및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베리어유닛(3000)은 베이스부(3100), 본체부(3200), 작동부(3300), 스토퍼부(3400), 제1 베리어부(3500), 제2 베리어부(3600), 제3 베리어부(3700), 및 제4 베리어부(38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5 to 11, the barrier unit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3100, a body part 3200, an operation part 3300, a stopper part 3400, and a first berry. A fisherman 3500, a second barrier unit 3600, a third barrier unit 3700, and a fourth barrier unit 3800 are included.

베이스부(3100)는 레일유닛(1000)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된다. 즉, 베이스부(3100)는 레일유닛(1000)의 일측 선단에서 대차유닛(2000)이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부(3100)는 내부에 공동을 구비한 콘크리트 중량물 또는 내부에 후술하는 작동부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금속재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3100 is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1000. That is, the base 31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art unit 2000 may collide at one end of the rail unit 10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ase part 3100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pace in which a concrete weight having a cavity therein or an operation part described later therein may be installed.

본체부(3200)는 베이스부(3100)의 상부에서 승하강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체부(3200)는 후술하는 제어유닛의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다른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충돌부가 레일유닛의 레일부와 마주하도록 위치해야 함에 따라 회전이 필요하다. 이처럼 본체부(3200)가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3100)에서 승강한 상태로 회전하고, 충돌시에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지탱하기 위해서 회전이 완료되면 베이스부에서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3200)는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중량물 또는 금속재질이나 이와 유사한 강성과 하중을 갖는 금속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3200 is installed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rot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3100. That is, the main body 3200 needs to be rot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of the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llision part may face the rail part of the rail unit for another vehicle crash test. As such, the main body 3200 rotates in the elevated state in the base portion 3100 to rotate, and is fixed in the lowered state in the base portion when the rotation is completed in order to absorb and support the impact energy during the collisio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3200 may be formed of a metal frame having a heavy material such as a concrete block or a metal material or similar rigidity and load.

작동부(3300)는 베이스부(3100)에 설치되어 본체부(3200)를 승하강 및 회전 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킨다.The operation unit 3300 is installed in the base unit 3100 to generate power to raise and lower the body unit 3200.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작동부(3300)는 리프트부(3310)와 회전부(3320)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operating part 3300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 part 3310 and a rotation part 3320.

리프트부(3310)는 본체부(3200)의 회전시에 본체부(3200)를 베이스부(3100)로부터 승강시키고, 본체부(3200)의 필요한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대차유닛(2000)과 충돌시에 본체부(3200)를 하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리프트부(3310)는 본체부(3200)의 4면의 하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설치되어 중량물인 본체부(3200)를 안전하게 승하강 시킨다. 또한, 본체부의 빠른 승하강과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해 리프트부(3310)는 에어 베어링(air bearin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본체부(3200)의 승강시에 리프트부(3310)에 에어가 유입되어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본체부를 승강시키고, 본체부(3200)의 하강시에 리프트부(3310)에 유입된 에어가 유출되어 부피가 감소함에 따라 본체부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처럼, 에어의 유입과 유출의 간단한 작동만으로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본체부를 승하강 시킬 수 있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lift part 3310 lifts the body part 3200 from the base part 3100 when the body part 3200 rotates, and collides with the cart unit 2000 in a state in which the required rotation of the body part 3200 is completed. Lower the main body 3200 to perform the function. The lift unit 33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total of four lift units 3310 ar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and base portions of the four surfaces of the main body 3200, respectively, to safely lift the main body 3200. In addition, the lift unit 3310 is preferably formed of an air bearing (air bearing) for the rapid lifting and stable lifting of the body portion. That is, the air flows into the lift part 3310 when the main body 3200 moves up and down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and as a result, the main body part is raised and lowered, and the lift part when the main body 3200 descends. A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3310 flows out and the volume decreases, the main body portion is lowered. As such, by simply operat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the main body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lifted and lowered when necessary, thereby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회전부(3320)는 본체부(3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본체부(3200)가 리프트부(3310)에 의해 승강된 상태에서 본체부(320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회전부(3320)는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리프트부(3310)에 의해 본체부가 승강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신호에 따른 회전각도만큼 회전하는 동력을 발생시켜 본체부를 회전시킨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회전부는 서보모터(servo motor)로 형성된다.The rotating part 3320 generates a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the main body 32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rotating the main body 3200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3200 is lifted by the lift part 3310. That is, the rotating unit 3320 rotates the main body by generating a power that rotates by the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is lifted by the lift unit 3310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48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rotating unit is formed of a servo motor.

스토퍼부(3400)는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시에 본체부의 승하강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를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토퍼부(3400)는 본체부(3200)의 각 면의 하부에 각각 2개가 설치되어 본체부(3200)와 베이스부(310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토퍼부(3400)는 유압척 또는 공압척이나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3400)는 제어부(4800)의 신호에 의해 본체부(3200)가 리프트부(3310)에 의해 승강할 때에 해제되고, 본체부(3200)가 회전부(3320)에 의해 회전한 후에 리프트부(3310)에 의해 하강한 상태에서 작동하여 본체부(3200)와 베이스부(310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처럼, 스토퍼부(3400)에 의해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이 충돌시에 본체부가 베이스부에 견고하게 자동으로 고정 결합됨에 따라 베리어유닛이나 대차유닛의 이탈에 따른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자동으로 진행함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stopper part 3400 fixes the main body part to the base part to prevent the lowering and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part during collision between the cart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Two stoppers 3400 are installed at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main body 3200 to firmly fix the main body 3200 and the base 31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topper part 34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ydraulic chuck or a pneumatic chuck or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That is, the stopper part 3400 is released when the main body part 3200 is lifted by the lift part 3310 by the signal of the control part 4800, and after the main body part 3200 rotates by the rotating part 3320, It is operated in the lowered state by the lift unit 3310 to firmly fix the main body 3200 and the base 3100. As such, when the trolley unit and the barrier unit are firmly and automatically coupled to the base unit by the stopper unit 3400, the stopper unit 3400 prevents a human acciden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barrier unit or the trolley unit and prevents a car crash. It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preventing damage or damage of the test equipment, and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by automatically proceeding and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제1 베리어부(3500)가 4개의 서로 다른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본체부의 제1 면(3210)에 설치된다. The first barrier part 3500 is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body part for four different vehicle crash tests.

제2 베리어부(3600)가 본체부의 제1 면(3210)에 인접하도록 본체부의 제2 면(3220)에 설치된다. The second barrier part 36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main body part.

제3 베리어부(3700)가 본체부 제2 면(3220)에 인접하고, 본체부의 제1 면(3210)과 마주하도록 본체부의 제3 면(3230)에 설치된다. The third barrier part 3700 is adjacent to the body part second surface 3220 and is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body part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body part.

제4 베리어(3800)가 본체부의 제3 면(3230)에 인접하고, 본체부 제2 면(3220)에 마주하도록 본체부의 제4 면(3240)에 설치된다.The fourth barrier 3800 is adjacent to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and is provided on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so as to face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도 1 내지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리어유닛(3000), 구체적으로 베리어유닛의 본체부(3200)는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특히 이러한 베리어유닛(3000)의 본체부(3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32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자동차 충돌시험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1 to 2 and 5 to 6, the barrier unit 3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main body portion 3200 of the barrier unit is a variety of collision test of the vehicle Is rotatably installed for, in particular, the body portion 3200 of the barrier unit 30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3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sta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in a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crash test in th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부의 제1, 2, 3, 4면에 설치되는 제1, 2, 3, 4 베리어부(3500, 3600, 3700, 3800)은 다양한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본체부의 제1, 2, 3, 4 면(3210, 3220, 3230, 324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제1, 2, 3, 4 베리어부가 본체부의 제1, 2, 3, 4 면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돌시험을 위한 충돌부를 본체부의 제1, 2, 3, 4 면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충돌시험을 수행하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충돌시험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충돌시험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bu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3500, 3600, 3700, and 3800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of the main body may be used for various vehicle crash tests. Re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3210, 3220, 3230, and 3240 of the negative. As suc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third collision parts for various types of collision tests may be necessary.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combined with four sides to perform a crash test and easily remove it to secure variety of crash tests, save time and cost of crash tests, and minimize installation spac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베리어유닛의 본체부의 제1, 2, 3, 4 면에 서로 다른 충돌부가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 준비시간과 충돌시험 시간을 최소화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한 설치공간을 감소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ehicle collision test preparation time and the collision test time by installing different collision parts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of the main body of the barrier unit, and performs the automobile collision test.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the spac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도 6 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리어유닛(3000)의 제1 베리어부(3500)는 커넥트부(3510), 완충부(3520), 및 제1 충돌부(3530)을 포함한다.6 to 8, the first barrier part 3500 of the barrier unit 3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 part 3510, a buffer part 3520, and a first barrier part 3500. 1 includes a collision portion 3530.

커넥트부(3510)는 본체부의 제1 면(3210)에 고정 설치된다.The connect part 35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main body part.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트부(3510)는 복수의 수직부(3511), 복수의 연장부(3512), 및 제1 센싱부(35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 part 3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parts 3511,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3512, and a first sensing part 3513.

복수의 수직부(3511)은 본체부의 제1 면(3210)에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지니만, 복수의 수직부(3511)는 금속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3511 are installed to be uniformly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main body por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3511 are formed of a metal frame.

복수의 연장부(3512)는 일측이 수직부의 상부 선단에서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충돌부와 연결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복수의 연장부(3512)는 금속바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3512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llision part.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3512 are formed of metal bars.

제1 센싱부(3513)는 각각의 연장부 또는 수직부에 설치되어 제1 충돌부(3530)에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제어유닛의 수신부(4500)로 전송한다. 제1 센싱부(3513)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3513 is installed on each extension part or vertical part to measure th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first collision part 3530, and transmit the measured result to the receiver part 4500 of the control unit. send. The first sensing unit 3513 may be formed as a load cell.

제1 충돌부(3530)는 커넥트부(3510)에 연결 설치되어 대차유닛(2000)이 충돌한다. The first collision part 35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 part 3510 and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each other.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1 충돌부(3530)는 플랫부(3531), 결합공(3532), 및 제1 게이지부(353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llision part 35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art 3531, a coupling hole 3532, and a first gauge part 3535.

플랫부(3531)는 본체부의 제1 면(3510)에 대응하고 본체부의 제1 면과 평행하면서 마주하도록 복수의 연장부(3512)와 완충부(3520)에 결합 설치된다. 즉, 플랫부(3531)는 평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복수의 연장부(3512)에 결합되고, 중앙과 하부는 완충부(3520)에 볼트, 리벳, 용접 등으로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플랫부(3531)에 대차유닛(2000)이 충돌한다.The flat part 3531 corresponds to the first surface 3510 of the main body and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3512 and the shock absorbing part 3520 to face and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flat part 353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3512, and the center and the lower part are coupled to the buffer part 3520 by bolts, rivets, welding, or the like.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the flat part 3531.

결합공(3532)은 플랫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물에 의한 폴(pole) 충돌시험을 하기 위해 플랫부(3531)에 ㅎ형성되는 결합공(3532)에 지지프레임과 폴(ploe)이 설치되어 폴 충돌시험도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Coupling holes 3532 ar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lat portion. Specifically, a support frame and a plow are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3532 formed in the flat part 3531 to perform a pole collision test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pole collision test does not take much time and cost. It can also be done in addition.

제1 게이지부(3533)는 플랫부의 상부에 플랫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게이지부(3533)에 의해 대차유닛의 정확한 충돌위치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여 충돌시험의 정확도를 향상하고, 폴 설치시에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하여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gauge part 3333 extend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t part on the flat part. The first gauge unit 3535 transmits the result of the exact collision position of the bogie unit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llision test, and quickly and easily installs and removes the correct position at the time of pole installation, and thus the collision test time and cost. Can be minimized.

또한, 제1 게이지부(3533)는 눈금자와 같은 일반 게이지일 수 있지만, 자동 게이지로 형성되고 자동 게이지(gauge)에 의해 대차유닛의 충돌위치와 충돌에너지량 등이 수신부(4500)로 전송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auge part 3333 may be a general gauge such as a ruler, but is formed as an automatic gauge and the collision position and the collision energy amount of the trolley unit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4500 by the automatic gauge. Fast and accurate crash tests can be performed.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충돌부(3530)는 자동차의 정면충돌을 시험하기 위해 플랫 베리어(flat barrier)이 설치된다. 또한, 돌출물에 의한 폴(pole) 충돌을 시험하기 위해 제1 베리어부(3500)의 결합공(3532)에 지지프레임과 폴(ploe)이 설치되어 폴 충돌시험도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irst collision part 3530 is provided with a flat barrier to test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a support frame and a plow are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3532 of the first barrier part 3500 to test the pole collision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pole collision test can be added without much time and cost. It can be done with

완충부(3520)은 커넥트부(3510)와 제1 충돌부(3530) 사이에 설치되어 대차유닛과 제1 충돌부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완충부(3520)는 플랫부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완충부(3520)는 금속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된다.The buffer unit 352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 unit 3510 and the first colliding unit 3530 to cushion a shock at the collision of the trolley unit and the first colliding unit.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520 is formed to have a shape and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lat portion. Preferably, the buffer part 3520 is formed of a metal flat plate.

도 5 내 도 6 및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리어유닛(3000)의 제2 베리어부(3600)는 제1 이동부(3610), 슬라이드부(3620), 및 제2 충돌부(3630)을 포함한다.5 and 6 to 8 to 9, the second barrier unit 3600 of the barrier unit 3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moving unit 3610, The slide part 3620 and the second collision part 3630 are included.

제1 이동부(3610)는 본체부의 제2 면(322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The first moving part 361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부(3610)는 제1 가이드부(3611), 제2 가이드부(3612), 제3 가이드부(3613), 제1 구동부(3614), 및 제2 게이지부(3615)를 포함한다.8 to 9, the first moving part 3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part 3611, a second guide part 3612, a third guide part 3613, and a first driving part ( 3614, and a second gauge portion 3615.

제1 가이드부(3611)는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guide part 361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제2 가이드부(3612)는 제1 가이드부(3611)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가이드부(3611)는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위쪽에 제2 가이드부(3612)는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아래쪽에 형성된다.The second guide part 3612 extends below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part 3611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3611 is formed above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3612 is formed below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제3 가이드부(3613)는 제2 가이드부(3612)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제1 가이드부(3611) 및 제2 가이드부(3612)와 평행하고 제2 가이드부(361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즉, 제3 가이드부(3613)는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하부에서 제2 가이드부(3612)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제1, 2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The third guide part 3613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uide part 3612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guide part 3611 and the second guide part 3612, and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part 3612. Preferably, it extends below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body portion. That is, the third guide part 3613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guide part 3612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and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2, 3 가이드는 LM 가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2, 3 가이드는 본체부의 제2 면에 볼트, 리벳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2, 3 가이드부는 각각 해당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이드 블록은 해당 가이드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각각의 해당 가이드 블록은 슬라이드부의 몸체부와 결합되어 슬라이드부의 이송시에 슬라이드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s may be formed of LM guide rails.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s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by bolts and rivets. In addi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portions each have a corresponding guide block, and the guide block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portion. Each of the corresponding guide block is combined with the body portion of the slide portion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slide portion during the transfer of the slide portion.

제1 구동부(3614)는 제1 가이드부(3611)와 제2 가이드부(3612)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본체부의 제2 면(322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구동부는 볼스크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유닛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 볼스크류, 너트, 모터 베어링 하우징, 및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은 볼스크류 유닛의 일측단에 설치된다. 서보모터가 볼스크류 유닛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 베어링 하우징이 서보모터의 일측에 설치된다. 볼스크류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과 서보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너트가 볼스크류에 삽입설치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부의 몸체부 중 일부가 너트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와 함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부가 제1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first driving part 3614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3611 and the second guide part 3612.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irst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unit. The ball screw unit is composed of a support bearing housing, a ball screw, a nut, a motor bearing housing, and a servomotor. The support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all screw unit. A servomo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ll screw unit to transmit powe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The motor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ball screw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ear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ball screw to move horizontally on the ball screw by driving the servomotor. Some of the body part of the slide part is connected with the nut. Accordingly, the slide unit is moved along the first moving unit by the driving of the servomotor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nut.

결국, 제1 가이드부(3611)와 제2 가이드부(3612)의 수직방향 이격거리(H1)가 제2 가이드부(3612)와 제3 가이드부(3613)의 수직방향 이격거리(H2) 보다 크도록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및 제3 가이드부(3611, 3612, 3613)가 본체부의 제2 면(3220)에 배치된다. As a result,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1 of the first guide part 3611 and the second guide part 3612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2 of the second guide part 3612 and the third guide part 3613. The first guide part,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part 3611, 3612, and 3613 ar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large.

이처럼,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보다 제2 가이드부와 제3 가이드부가 수직방향으로 더욱 가깝게 설치되고(H1>H2), 제1 구동부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제2 충돌부가 제1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1, 2, 3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에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1 이동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며, 처짐 방지를 통해 제2 충돌부의 정확하고 정밀한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third guide portion are installed closer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H1> H2), and the first driving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he second impact portion, which has a relatively heavy load, is prevented from sagging by its own weight when the second impact portion moves or stops al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portions by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portion, It prevents damage or breakage, prevents sag, and ensures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vehicle crash test through accurate and precise movement of the second collision part, thereby reducing costs.

제2 게이지부(3615)는 제1 가이드부(36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체부의 제2 면(322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2 게이지부는 제3 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부의 제2 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도 있다.The second gauge part 3615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guide part 3611.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f necessary, the second gauge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guide portion.

또한, 제2 게이지부(3615)는 눈금자와 같은 일반 게이지일 수 있지만, 자동 게이지로 형성되고 자동 게이지(gauge)에 의해 대차유닛의 충돌위치와 충돌에너지량 등이 수신부(4500)로 전송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auge part 3615 may be a general gauge such as a ruler, but is formed as an automatic gauge, and as the collision position and the collision energy amount of the trolley unit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4500 by the automatic gauge. Fast and accurate crash tests can be performed.

슬라이드부(3620)는 제1 이동부(3610)를 따라 본체부의 제2 면(3220)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lide part 362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first moving part 3610.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3620)는 몸체부(3621), 조인트부(3622), 선회부(3623), 및 제2 센싱부(3624)를 포함한다.8 to 9, the slide part 36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3621, a joint part 3622, a pivot part 3623, and a second sensing part 3624.

몸체부(3621)는 제1 구동부(3614)에 의해 제1 가이드부(3611)와 제2 가이드부(3612) 및 제3 가이드부(3613)를 따라 본체부의 제2 면(322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621)는 제1, 2, 3 가이드부에 각각의 가이드블록에 의해 지지 및 연결된다. 또한, 몸체부(3621)는 제1 구동부의 너트에 결합 설치된다. The body part 3621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first guide part 3611, the second guide part 3612, and the third guide part 3613 by the first driving part 3614.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3621 is supported and connected by the respective guide blocks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parts.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621 is coupled to the nut of the first drive unit.

조인트부(3622)는 대차유닛(2000)의 충돌시에 제2 충돌부(36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몸체부(36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충돌부(3630)와 결합한다. 즉, 조인트부(3622)는 돌출된 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충돌부(3630)와 몸체부(3621)를 결합시킨다. The joint part 36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part 3621 and engages with the second impact part 3630 to fix and support the second crash part 3630 when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each other. That is, the joint part 36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ding shaft to couple the second collision part 3630 and the body part 3621.

선회부(3623)는 몸체부(3621)에 설치되어 제2 충돌부를 회전시킨다. 즉, 선회부(3623)는 수동 또는 모터와 같은 자동으로 형성된 축으로 구성되고, 몸체부(3621)와 결합설치되어 조인트부(3622)와 몸체부(3621)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실험자 또는 제어부(48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제2 충돌부를 좌우로 18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자동차의 충돌시험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pivot part 3323 is installed at the body part 3621 to rotate the second collision part. That is, the turning part 3623 is composed of a shaft 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such as a motor, and coupled to the body part 3621, and the experimenter or the state in which the joint part 3622 and the body part 3621 are disconnected. In operat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the second collision part is rotated 180 degrees from side to side. Accordingly, the collision test of various vehicle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thereby reducing the collision test time and cost, and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제2 센싱부(3624)는 조인트부(3622)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충돌부(3630)에 대차유닛(2000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한다. 또한, 제2 센싱부(3624) 측정된 결과를 제어유닛의 수신부(4500)로 전송한다. 제2 센싱부(3624)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3624 is installed in the joint unit 3622, respectively, and measures the collision energy when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the second collision unit 3630. In addition, the second sensing unit 3624 measure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4500 of the control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3624 may be formed as a load cell.

제2 충돌부(3630)은 슬라이드부(36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충돌부(3630)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을 시험하기 위해 뉴 알카 40% 오프셋 베리어(New RCAR 40% offset barrier)이 설치된다.The second collision part 36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 part 362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econd collision part 3630 is provided with a New RCAR 40% offset barrier to test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리어유닛(3000)의 제3 베리어부(3700)는 제2 이동부(3710), 제3 이동부(3720), 지지부(3730), 및 제3 충돌부(374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6 and 10 to 11, the third barrier part 3700 of the barrier unit 3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moving part 3710 and a third moving part. A part 3720, a support part 3730, and a third collision part 3740 are included.

제2 이동부(3710)은 본체부의 제3 면(323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The second moving part 371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부(3710)는 확장부(3711), 제4 가이드부(3712), 제5 가이드부(3713), 제6 가이드부(3714), 제2 구동부(3715), 및 제3 게이지부(3716)를 포함한다.10 to 11, the second moving part 37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art 3711, a fourth guide part 3712, a fifth guide part 3713, and a sixth guide part 3714. ), A second driving unit 3715, and a third gauge unit 3716.

확장부(3711)는 본체부의 제3 면(3230)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확장부(3711)은 본체부의 제3 면(3230)보다 큰 형태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다.The extension part 3711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extension 3711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shape larger than that of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제4 가이드부(3712)는 확장부(371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ourth guide portion 371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3711.

제5 가이드부(3713)는 제4 가이드부(3712)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확장부(371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즉, 제4 가이드부(3712)는 확장부(3711)의 위쪽에 제5 가이드부(3713)는 확장부(3711)의 아래쪽에 형성된다.The fifth guide part 371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pansion part 371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3712 while being sp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ourth guide part 3712 is formed above the extension part 3711, and the fifth guide part 3713 is formed below the extension part 3711.

제6 가이드부(3714)는 제5 가이드부(3713)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제4 가이드부(3712) 및 제5 가이드부(3713)와 평행하고 제5 가이드부(3713)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확장부(371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다. 즉, 제6 가이드부(3714)는 확장부(3711)의 하부에서 제5 가이드부(3713)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제4, 5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설치된다. The sixth guide part 3714 is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uide part 3713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3712 and the fifth guide part 3713, and disposed below the fifth guide part 3713. The extension portion 3711 is formed below the extension portion 3711. That is, the sixth guide part 3714 is positioned below the fifth guide part 3713 at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part 3711, and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fourth and fifth guide parts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4, 5, 6 가이드는 LM 가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4, 5, 6 가이드는 확장부에 볼트, 리벳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5, 6 가이드부는 각각 해당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이드 블록은 해당 가이드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각각의 해당 가이드 블록은 제3 이동부의 브릿지부와 결합되어 제3 이동부의 이송시에 제3 이동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ourth, fifth, and sixth guides may be formed of LM guide rails. In additio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uides may be detachably fastened by bolts and rivets to the extension part. In additio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uide parts each include a corresponding guide block, and the guide block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part. Each of the corresponding guide blocks is combined with the bridge part of the third moving part to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third moving part when the third moving part is transferred.

제2 구동부(3715)는 제4 가이드부(3712)와 제5 가이드부(3713)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확장부(371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구동부는 제1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볼스크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유닛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 볼스크류, 너트, 모터 베어링 하우징, 및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은 볼스크류 유닛의 일측단에 설치된다. 서보모터가 볼스크류 유닛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 베어링 하우징이 서보모터의 일측에 설치된다. 볼스크류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과 서보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너트가 볼스크류에 삽입설치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 이동부의 브릿지부 중 일부가 너트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와 함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3 이동부가 제2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second driving part 3715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expansion part 3711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guide part 3712 and the fifth guide part 3713.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econd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unit like the first driving unit. The ball screw unit is composed of a support bearing housing, a ball screw, a nut, a motor bearing housing, and a servomotor. The support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all screw unit. A servomo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ll screw unit to transmit powe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The motor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ball screw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ear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ball screw to move horizontally on the ball screw by driving the servomotor. A part of the bridge part of the third moving part is connected with the nut. Accordingly, the third moving unit moves along the second moving unit by driving the servomotor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nut.

최종적으로, 제4 가이드부(3712)와 제5 가이드부(3713)의 수직방향 이격거리(H3)가 제5 가이드부(3713)와 제6 가이드부(3714)의 수직방향 이격거리(H4) 보다 크도록 제4 가이드부, 제5 가이드부, 및 제6 가이드부(3712, 3713, 3714)가 확장부(3711)에 배치된다. Finally,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3 of the fourth guide part 3712 and the fifth guide part 3713 is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4 of the fifth guide part 3713 and the sixth guide part 3714. The fourth guide portion, the fifth guide portion, and the sixth guide portions 3712, 3713, and 3714 are disposed in the expansion portion 3711 so as to be larger.

이처럼, 제4 가이드부와 제5 가이드부보다 제5 가이드부와 제6 가이드부가 수직방향으로 더욱 가깝게 설치되고(H3>H4), 제2 구동부가 제4 가이드부와 제5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제3 충돌부가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4, 5, 6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에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2 이동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며, 처짐 방지를 통해 제3 충돌부의 정확하고 정밀한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the fifth guide portion and the sixth guide portion are disposed closer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fourth guide portion and the fifth guide portion (H3> H4), and the second driv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ourth guide portion and the fifth guide portion. According to this, the relatively heavy load of the third collision portion is prevented from sagging by its own weight when moving or stopping along the fourth, fifth and sixth guide portions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portion, It prevents damage or breakage and prevents sag to ensure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vehicle crash test through accurate and precise movement of the third collision part, and to reduce costs.

제3 게이지부(3716)는 제4 가이드부(37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확장부(371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3 게이지부는 제6 가이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확장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도 있다.The third gauge part 3716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expansion part 371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urth guide part 3712.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f necessary, the third gauge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sixth guide part.

또한, 제3 게이지부(3716)는 눈금자와 같은 일반 게이지일 수 있지만, 자동 게이지로 형성되고 자동 게이지(gauge)에 의해 대차유닛의 충돌위치와 충돌에너지량 등이 수신부(4500)로 전송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gauge part 3716 may be a general gauge such as a ruler, but is formed as an automatic gauge and the collision position and the amount of collision energy of the balance unit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4500 by the automatic gauge. Fast and accurate crash tests can be performed.

제3 이동부(3720)는 제2 이동부(3710)를 따라 본체부의 제3 면(3230)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3 이동부(3720)는 제2 이동부(3710)를 따라 본체부의 제3 면과 평행하는 확장부(3711)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third moving part 372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3710. That is, the third moving part 372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expansion part 3711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3710.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3 이동부(3720)는 브릿지부(3721), 제7 가이드부(3722), 제8 가이드부(3723), 제3 구동부(3724), 및 제4 게이지부(372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0 to 11, the third moving part 37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idge part 3721, a seventh guide part 3722, an eighth guide part 3723, and a third driving part 3724. And a fourth gauge portion 3726.

브릿지부(3721)는 제2 구동부(3715)에 의해 제4 가이드부(3712)와 제5 가이드부(3713) 및 제6 가이드부(7314)를 따라 확장부(3711)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브릿지부(3721)은 확장부와 본체부의 제3 면(3230)보다 작은 형태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다.The bridge part 3721 may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xtension part 3711 along the fourth guide part 3712, the fifth guide part 3713, and the sixth guide part 7314 by the second driving part 3715. Is installed.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bridge portion 3721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smaller shape tha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제7 가이드부(3722)는 브릿지부(3721)에 브릿지부(372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seventh guide part 372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idge part 3721 to the bridge part 3721.

제8 가이드부(3723)는 제7 가이드부(372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브릿지부(7321)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7 가이드부(3722)는 브릿지부(3721)의 수평방향 일측에 제8 가이드부(3723)는 브릿지부(3721)의 수평방향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eighth guide part 372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ridge part 732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venth guide part 3722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seventh guide part 3722 is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ridge part 3721 and the eighth guide part 3723 on the other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7, 8 가이드는 LM 가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7, 8 가이드는 확장부에 볼트, 리벳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7, 8 가이드부는 각각 해당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이드 블록은 해당 가이드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각각의 해당 가이드 블록은 지지부의 수평부와 결합되어 지지부의 이송시에 지지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eventh and eighth guides may be formed of LM guide rails. In addition, the seventh and eighth guides may be detachably fastened by bolts and rivets to the extension part. In addition, the seventh and eighth guide parts each include a corresponding guide block, and the guide block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corresponding guide part. Each of these corresponding guide blocks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support during transport of the support.

제3 구동부(3724)는 제7 가이드부(3722)와 제8 가이드부(3723)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브릿지부(3721)에 수식방향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3 구동부는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볼스크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유닛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 볼스크류, 너트, 모터 베어링 하우징, 및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은 볼스크류 유닛의 일측단에 설치된다. 서보모터가 볼스크류 유닛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 베어링 하우징이 서보모터의 일측에 설치된다. 볼스크류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과 서보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너트가 볼스크류에 삽입설치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의 수평부 중 일부가 너트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와 함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가 제3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third driving part 3724 is provided in the modification direction in the bridge part 3721 to be disposed between the seventh guide part 3722 and the eighth guide part 3723.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unit like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The ball screw unit is composed of a support bearing housing, a ball screw, a nut, a motor bearing housing, and a servomotor. The support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all screw unit. A servomo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ll screw unit to transmit powe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The motor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ball screw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ear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ball screw to move horizontally on the ball screw by driving the servomotor. Some of the horizontal portions of the support are connected with the nuts. Accordingly, the support moves along the third moving part by the driving of the servomotor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nut.

이처럼, 제7 가이드부와 제8 가이드부가 균일하게 이격되고, 그 사이에 제3 구동부가 설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제3 충돌부가 제3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7, 8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에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3 이동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며, 처짐 방지를 통해 제3 충돌부의 정확하고 정밀한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as the seventh guide part and the eighth guide part are uniformly spaced apart, and the third driving part is installed therebetween, the relatively heavy third collision part is perpendicular to the seventh and eighth guide parts by the driving of the third driving part. It prevents sag by its own weight when reciprocating or stopping in the direction, and prevents damage or damage of the third moving part due to the impact during the collision, and prevents sagging and makes the vehicle crash test through accurate and precise movement of the third crash part. Accuracy, speed and cost can be reduced.

제4 게이지부(3725)는 제7 가이드부(3722) 또는 제8 가이드부(3723)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브릿지부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ourth gauge part 3725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art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venth guide part 3722 or the eighth guide part 3723.

또한, 제4 게이지부(3725)는 눈금자와 같은 일반 게이지일 수 있지만, 자동 게이지로 형성되고 자동 게이지(gauge)에 의해 대차유닛의 충돌위치와 충돌에너지량 등이 수신부(4500)로 전송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gauge part 3725 may be a general gauge such as a ruler, but is formed as an automatic gauge, and as the collision position and the collision energy amount of the trolley unit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4500 by the automatic gauge. Fast and accurate crash tests can be performed.

지지부(3730)는 제3 이동부(3720)를 따라 본체부의 제3 면(3230)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구체적으로 지지부(3730)는 제3 이동부(3720)를 따라 본체부의 제3 면(3230)과 평행하는 브릿지부(3721)의 상부에서 슈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3 충돌부는 최종적으로 본체부의 제3면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위치에서의 자동차 충돌시험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시험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373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third moving part 3720. That is, the support part 3730 is specifically installed along the third moving part 3720 such that the support part 3730 can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art 3721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ccordingly, the third collision part can finally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here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automobile collision test at various positions, reducing test cost and time, and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can do.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3730)는 수평부(3731), 체결부(3732), 및 제3 센싱부(373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0 to 11, the support part 37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art 3731, a fastening part 3732, and a third sensing part 3735.

수평부(3731)는 제3 구동부(3724)에 의해 제7 가이드부(3722)와 제8 가이드부(3723)를 따라 본체부의 제3 면(3230)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부(3731)는 제7, 8 가이드부에 각각의 가이드블록에 의해 지지 및 연결된다. 또한, 수평부(3731)는 제3 구동부의 너트에 결합 설치된다. The horizontal part 373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seventh guide part 3722 and the eighth guide part 3723 by the third driving part 3724.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portion 3731 is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seventh and eighth guide portions by respective guide blocks. 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3731 is coupled to the nut of the third drive portion.

체결부(3732)는 대차유닛(2000)의 충돌시에 제3 충돌부(374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수평부(373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3 충돌부(3740)와 결합한다. 즉, 체결부(3732)는 돌출된 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제3 충돌부(3740)가 수평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3 충돌부(3740)와 수평부(3731)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732)는 수동 또는 모터와 같은 자동으로 형성된 축으로 구성되고, 수평부(3731)에 설치되어 실험자 또는 제어부(48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제3 충돌부를 상하좌우로 90도 및 180도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자동차의 충돌시험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하여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art 3732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rizontal part 3731 so as to securely support the third crash part 3740 when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the third crash part 3740. That is, the fastening part 37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ding shaft to couple the third crashing part 3740 and the horizontal part 3731 so that the third crashing part 374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art.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3732 is composed of a shaft 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such as a mo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part 3731 and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experimenter or the control unit 4800, the third collision part 90 up, down, left and right Rotate degrees and 180 degrees. Accordingly, the collision test of various vehicle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thereby reducing the collision test time and cost, and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제3 센싱부(3733)는 체결부(3732)에 각각 설치되어 제3 충돌부(3740)에 대차유닛(2000)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한다. 또한, 제3 센싱부(3733) 측정된 결과를 제어유닛의 수신부(4500)로 전송한다. 제3 센싱부(3723)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ensing units 3735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astening units 3732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the third collision unit 3740. In addition, the third sensing unit 3735 transmits the measured result to the receiving unit 4500 of the control unit. The third sensing unit 3723 may be formed as a load cell.

제3 충돌부(3740)은 지지부(37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3 충돌부(3740)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을 시험하기 위해 뉴 알카 아이아이에이치에스 15% 오프셋 센터(New RCAR IIHS 15% offset center)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IIHS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협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를 의미한다. IIHS는 최근 필드에서 발생하는 가혹한 충돌조건 중 하나인 스몰 오버랩 충돌시험을 도입하였고, 미국 등에 수출시에 해당 시험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The third collision part 37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73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third collision unit 3740 is provided with a New RCAR IIHS 15% offset center to test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IHS here means the American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 IIHS recently introduced the Small Overlap Collision Test, one of the harshest collision conditions in the field, and must use products with data on the test results when exporting to the United States.

도 5,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리어유닛(3000)의 제4 베리어부(3800)는 제4 이동부(3810), 승하강부(3820), 및 제4 충돌부(3830)을 포함한다.5, 6, 7 and 10, the fourth barrier unit 3800 of the barrier unit 3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th moving unit 3810, The elevating unit 3820 and the fourth collision unit 3830 are included.

제4 이동부(3810)는 본체부의 제4 면(324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The fourth moving part 381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art.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4 이동부(3810)는 제9 가이드부(3811), 제10 가이드부(3812), 제11 가이드부(3813), 제12 가이드부(3814), 제4 구동부(3815), 제5 구동부(3816), 및 제5 게이지부(38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and 10, the fourth moving part 38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inth guide part 3811, a tenth guide part 3812, an eleventh guide part 3813, and a twelfth guide part. 3814, a fourth driver 3815, a fifth driver 3816, and a fifth gauge part 3817.

제9 가이드부(3811)는 본체부의 제4 면(324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ninth guide part 3811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art.

제10 가이드부(3812)는 제9 가이드부(381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본체부의 제4 면(3240)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tenth guide part 3812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3811 while being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1 가이드부(3813)는 제10 가이드부(381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제9 가이드부(3811) 및 제10 가이드부(3812)와 평행하고 제10 가이드부(3812)보다 본체부의 제4 면에서 좌측에 인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eleventh guide part 3835 is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tenth guide part 3812, and is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3811 and the tenth guide part 3812, and is formed of the main body part rather than the tenth guide part 3812.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eft side from four sides.

제12 가이드부(3814)는 제11 가이드부(3813)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제9 가이드부(3811), 제10 가이드부(3812), 및 제11 가이드부(3813)와 평행하고 제11 가이드부(3813)보다 본체부의 제4 면에서 좌측에 인접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twelfth guide portion 3814 is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ortion 3811, the tenth guide portion 3812, and the eleventh guide portion 3813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eleventh guide portion 3814.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adjacent to the left side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an the guide portion 3814.

즉, 제9 가이드부(3811)는 본체부의 제4 면(32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2 가이드부(3814)는 제9 가이드부(3811)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고 평행하도록 본체부의 제4 면(3240)이 타측에 설치되고, 제10 가이드부(3812)는 제9 가이드부와 제12 가이드부 사이에서 제11 가이드부보다 제9 가이드부(3811)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면서 제9, 12 가이드부(3811, 3814)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고 평행하도록 설치되고, 제11 가이드부(3813)은 제9 가이드부와 제12 가이드부 사이에서 제10가이드부보다제12 가이드부(3814)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면서 제 9, 12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도록 설치된다.That is, the ninth guide portion 381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twelfth guide portion 3814 is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ortion 38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ur sides 324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tenth guide part 3812 is relatively adjacent to the ninth guide part 3811 than the eleventh guide part between the ninth guide part and the twelfth guide par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parallel to the 12 guide portion (3811, 381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eleventh guide portion 3713 is the twelfth guide portion (3814) than the tenth guide portion between the ninth guide portion and the twelfth guide portion It is installed so as to be relatively adjacent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ninth and twelfth guide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9, 10, 11, 12 가이드는 LM 가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9, 10, 11, 12 가이드는 본체부의 제4 면에 볼트, 리벳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9, 10, 11, 12 가이드부는 각각 해당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이러한 가이드 블록은 해당 가이드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각각의 해당 가이드 블록은 슬라이드부의 몸체부와 결합되어 슬라이드부의 이송시에 슬라이드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ninth, 10, 11, and 12 guides may be formed of LM guide rails. In addition, the ninth, 10, 11, and 12 guides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by bolts and rivets. In addition,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ve guide parts each include a corresponding guide block, and the guide block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corresponding guide part. Each of the corresponding guide block is combined with the body portion of the slide portion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slide portion during the transfer of the slide portion.

제4 구동부(3815)는 제9 가이드부(3811)의 수평방향 일측에 본체부의 제4 면(324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The fourth driving part 3815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art on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ninth guide part 3811.

제5 구동부(3816)는 제4 구동부(3815)와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고, 제12 가이드부(3814)의 수평방향 일측에 본체부의 제4 면(384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The fifth driving unit 3816 is parallel to the fourth driving unit 3815 while facing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3840 of the main body unit on on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welfth guide unit 3814.

즉,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4 구동부(3815)는 본체부의 제4 면의 우측면에 인접하도록 제9 가이드부의 외측에서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제5 구동부(3816)는 본체부의 제4 면의 좌측면에 인접하도록 제12 가이드부의 외측에서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다만, 우측과 좌측은 상황에 따라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결국, 제9, 10, 11, 12 가이드부(3811, 3812, 3813, 3814)는 제4 구동부(3815)와 제5 구동부(3816)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4, 5 구동부와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fourth driving unit 3815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ninth guide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fth driving portion 3816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twelfth guide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fourth surface of the body portion. However,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a result, the ninth, tenth, eleventh, and twelfth guide parts 3811, 3812, 3813, and 3814 are positioned between the fourth drive part 3815 and the fifth drive part 3816, and face each other to be parallel to the fourth and fifth drive parts.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4th surface of a main body part.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4 구동부와 제5 구동부는 제1, 2, 3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는 볼스크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유닛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 볼스크류, 너트, 모터 베어링 하우징, 및 서보모터로 이루어진다.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은 볼스크류 유닛의 일측단에 설치된다. 서보모터가 볼스크류 유닛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 베어링 하우징이 서보모터의 일측에 설치된다. 볼스크류가 서포트 베어링 하우징과 서보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너트가 볼스크류에 삽입설치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볼스크류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하강부의 서포트부 중 일부가 너트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와 함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부가 제4 이동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ourth driving unit and the fifth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ball screw unit like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iving units. The ball screw unit is composed of a support bearing housing, a ball screw, a nut, a motor bearing housing, and a servomotor. The support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all screw unit. A servomo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ll screw unit to transmit power for rotating the ball screw. The motor bearing hous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ball screw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earing housing and one side of the servomotor. The nut is inserted into the ball screw to move horizontally on the ball screw by driving the servomotor. A part of the support part of the elevating part is connected with the nut. As a result,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ourth moving unit by driving the servomotor oper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nut.

결국, 제9 가이드부(3811)와 제10 가이드부(3812)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1), 제10 가이드부(3812)와 제11 가이드부(3813)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2), 제11 가이드부(3813)와 제12 가이드부(3814)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3)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L1=L2=L3) 제9, 10, 11, 12 가이드부(3811, 3812, 3813, 3814)가 본체부의 제4 면(324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As a result,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1 of the ninth guide part 3811 and the tenth guide part 3812,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2 of the tenth guide part 3812 and the eleventh guide part 3813,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ve guide parts 3811, 3812, so that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3 of the eleventh guide part 3613 and the twelfth guide part 3814 are uniformly formed (L1 = L2 = L3). 3813 and 3814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body portion.

이처럼, 제9 가이드부(3811)와 제10 가이드부(3812)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1), 제10 가이드부(3812)와 제11 가이드부(3813)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2), 제11 가이드부(3813)와 제12 가이드부(3814)의 수평방향 이격거리(L3)가 균일하게 형성되고(L1=L2=L3)), 제9, 10, 11, 12 가이드부가 제4 구동부와 제5 구동부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중이 무거운 제4 충돌부가 제4, 5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제9, 10, 11, 12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에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4 이동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하며, 처짐 방지를 통해 제4 충돌부의 정확하고 정밀한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such,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1 of the ninth guide part 3811 and the tenth guide part 3812,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2 of the tenth guide part 3812 and the eleventh guide part 3813,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L3 of the eleventh guide part 3613 and the twelfth guide part 3814 is uniformly formed (L1 = L2 = L3), and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ve guide parts are fourth drive parts. The fourth collision portion, which is relatively heavy, as installed between the and fifth drive portions, sags due to its own weight when it moves up or down along the ninth, 10, 11, and 12 guide portions by the driving of the fourth and fifth driving portions. Prevent the damage or damage of the fourth moving part due to the impact in the event of a crash, and prevent the sag to ensure the accuracy and speed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through the accurate and precise movement of the fourth crash part and to reduce the cost .

제4 게이지부(3815)는 제4 구동부(3815) 또는 제5 구동부(3816)의 수평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부의 제4 면(3840)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ourth gauge part 3815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urth surface 3840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ourth driving part 3815 or the fifth driving part 3816.

또한, 제4 게이지부(3815)는 눈금자와 같은 일반 게이지일 수 있지만, 자동 게이지로 형성되고 자동 게이지(gauge)에 의해 대차유닛의 충돌위치와 충돌에너지량 등이 수신부(4500)로 전송됨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gauge portion 3815 may be a general gauge such as a ruler, but is formed as an automatic gauge and the collision position and the collision energy amount of the trolley unit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4500 by the automatic gauge. Fast and accurate crash tests can be performed.

승하강부(3820)는 제4 이동부(3810)를 따라 본체부의 제4 면(3240)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levating unit 3820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along the fourth moving unit 3810.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3820)는 서포트부(3821), 고정부(3822) 및 제4 센싱부(38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7 and 10, the lifting unit 38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unit 3811, a fixing unit 3822, and a fourth sensing unit 3831.

서포트부(3821)는 제4 구동부와 상기 제5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9, 10, 11, 12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부(3821)는 제9, 10, 11, 12 가이드부에 각각의 가이드블록에 의해 지지 및 연결된다. 또한, 서포트부(3821)는 제4, 5 구동부의 너트에 결합 설치된다. The support part 3821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fth guide parts by the fourth driving part and the fifth driving part.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3811 is supported and connected to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fth guide parts by respective guide blocks.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821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nut of the 4th, 5th drive part.

고정부(3822)는 대차유닛(2000)의 충돌시에 제4 충돌부(383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해 서포트부(38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4 충돌부(3830)와 결합한다. The fixing part 3822 protrudes outward from the support part 3831 to couple the fourth collision part 3830 to fix the fourth collision part 3830 when the vehicle unit 2000 collides.

제4 센싱부(3823)는 고정부(3822)에 각각 설치되어 제4 충돌부(3830)에 대차유닛(2000)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한다. 또한, 제4 센싱부(3823) 측정된 결과를 제어유닛의 수신부(4500)로 전송한다. 제4 센싱부(3823)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urth sensing units 3827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fixing units 3822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cart unit 2000 collides with the fourth collision unit 3830. In addition, the fourth sensing unit 3823 transmits the measured result to the receiving unit 4500 of the control unit. The fourth sensing unit 3823 may be formed as a load cell.

제4 충돌부(3830)은 승하강부(3820)에 결합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4 충돌부(3830)은 서포트부(3821)에 결합 설치된다.The fourth collision part 3830 is coupled to the elevating part 3820. In detail, the fourth collision part 383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821.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4 충돌부(3830)는 자동차의 측면충돌을 시험하기 위해 뉴 IIHS 뉴 알카 풀베리어(New IIHS NEW RCAR full barrier)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IIHS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협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를 의미한다. IIHS는 최근 필드에서 발생하는 가혹한 충돌조건 중 하나인 스몰 오버랩 충돌시험을 도입하였고, 미국 등에 수출시에 해당 시험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fourth crashing part 3830 is provided with a new IIHS NEW RCAR full barrier to test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IHS here means the American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IIHS). IIHS recently introduced the Small Overlap Collision Test, one of the harshest collision conditions in the field, and must use products with data on the test results when exporting to the United State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자동차의 다양한 충돌시험을 위해 베리어유닛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360도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2, 3, 4 면에 서로 다른 충돌부가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 준비시간과 충돌시험 시간을 최소화하며,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한 설치공간을 감소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하며, 자동으로 다양한 자동차 충돌시험을 신속하게 수행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과 견고성을 향상하며,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생산단가를 감소하여 중소기업에서는 이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어 보급의 증대에 따라 균형있는 산업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rier un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various collision tests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to rotate 360 degre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first, second, third, Minimized vehicle crash test preparation time and crash test time by installing different crash parts on four sides, and minimizing installation space for car crash test, maximizing space efficiency, reducing installation cost, and automatically As the test is carried out quickly,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crash test can be improved, the dur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vehicle crash test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vehicle crash test device can be reduced so tha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can easily introduce it. Increasingly, balanced industrial development can be achieved.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제어유닛(4000)은 조작부(4100), 데이터 저장부(4200), 위치확인부(4300), 회전각도 확인부(4400), 수신부(4500), 계산부(4600), 판단부(4700), 제어부(4800), 및 분석부(49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control unit 4000 of the vehicle collision tes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4100, a data storage unit 4200, a positioning unit 4300, and a rotation angle checking unit 4400. ), A receiver 4500, a calculator 4600, a determiner 4700, a controller 4800, and an analyzer 4900.

제어유닛(4000)은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제어유닛(4-00)에는 서보 모터의 구동프로그램,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각 충돌시험종류별로 가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제어유닛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또한, 제어유닛(4000)은 제1, 2, 3, 4 센싱부(3513, 3624, 3733, 3823), 제1, 2, 3, 4, 5 게이지부((3513, 3615, 3716, 3725, 3817),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작동부(3300), 스토퍼부(3400), 안전유닛(6000), 및 촬영유닛(7000)과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4000 includes a numerical control (NC) or a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and includes various numerical control programs. That is,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drive program of the servo motor, a movable program for each crash test type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is automatically load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0 is a first, 2, 3, 4 sensing unit (3513, 3624, 3733, 3823), the first, 2, 3, 4, 5 gauge unit ((3513, 3615, 3716, 3725, 3817), the rail unit 1000, the balance unit 2000, the operation unit 3300, the stopper unit 3400, the safety unit 6000, and the imaging unit 70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protocol.

또한, 제어유닛(4000)은 제1, 2, 3, 4 센싱부(3513, 3624, 3733, 3823), 제1, 2, 3, 4, 5 게이지부((3513, 3615, 3716, 3725, 3817),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작동부(3300), 스토퍼부(3400), 안전유닛(6000), 및/또는 촬영유닛(7000)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 받는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0 is a first, 2, 3, 4 sensing unit (3513, 3624, 3733, 3823), the first, 2, 3, 4, 5 gauge unit ((3513, 3615, 3716, 3725, 3817, feedback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ail unit 1000, the balance unit 2000, the operation unit 3300, the stopper unit 3400, the safety unit 6000, and / or the imaging unit 7000.

조작부(4100)는 제어유닛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부(4100)는 화면표시 프로그램과 화면표시 선택에 따른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화면표시 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표시화면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인식하여 기계 동작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unit 410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ontrol unit. The operation unit 4100 includes a display program and a data input program according to the display selection, and display a software switch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display program, and turn on / off the software switch. This function is to recognize input and output commands of machine operation.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부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조작부는 입력버튼부와 시작버튼부 비상정비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ration unit includes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nd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such an operation part may include an input button part and a start button part emergency maintenance button part.

입력버튼부를 통해 후술하는 데이터 저장부에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시작 버튼부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작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4가지의 자동차 충돌시험의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의 준비시간과 시험시간을 최소화하고, 신속성을 확보하여 시험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Various data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described later through the input button unit. The start button part start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sh tester. That is, a series of four vehicle crash test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simply pressing the start button, minimizing the preparation time and test time of the car crash test, reducing the test cost by securing the spe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Can be planned.

비상정지버튼부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비상시에 비상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 중에 갑자기 긴급한 경우가 있는 경우 실험자가 수동으로 비상정지버튼부를 누르면 대차유닛의 이동을 포함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이나 사고발생시에 추가사고를 방지하고,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The emergency stop button part performs an emergency stop in case of an emergency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That is, when there is a sudden emergency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the experimenter manually presses the emergency stop button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unit. Accordingly, in case of emergency or accident, additional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personnel accidents can be prevented.

데이터 저장부(4200)는 대차유닛(2000)과 베리어유닛(3000)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 저장부(4200)는 대차유닛(2000)이 베리어유닛(3000)이 제1, 2, 3, 4 면에 설치된 제1, 2, 3, 4 베리어와 순차적으로 충돌하여 다양한 시험을 한번에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data storage unit 4200 stores data for collision between the balanc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That is, in the data storage unit 4200, the balance unit 2000 sequentially collides wit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s in which the barrier unit 3000 is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and performs various tests at once. Various data are stored for quick execution.

위치확인부(4300)은 레일유닛(1000)의 선단에 위치하는 베리어유닛(3000)의 위치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위치확인부(4300)는 레일유닛(1000)이 선단에 마주하는 위치에서의 베리어유닛(3000)의 본체부(3200)의 어떠한 면이 위치하고, 해당 면에 어떠한 베리어부가 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후술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한다. 즉, 위치확인부(4300)는 최초에 레이유닛(1000)의 선단에 베리어유닛(3000)의 본체부의 제1 면(3210)에 설치된 제1 베리어부(3500)가 위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본체부의 제2 면(3220)에 설치된 제2 베리어부(3600), 본체부의 제3 면(3230)에 설치된 제3 베리어부(3700), 및 본체부이 제4 면(3240)에 설치된 제4 베리어부(380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위치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한다.The positioning unit 4300 checks the position of the barrier unit 3000 positioned at the tip of the rail unit 1000. Specifically, the positioning unit 4300 checks which side of the main body unit 3200 of the barrier unit 3000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rail unit 1000 faces the tip, and which barrier unit is located on the side thereof. The data is transmitted to a location data storag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positioning unit 4300 is first located on the front end of the ray unit 1000, the first barrier unit 3500 installed on the first surface 3210 of the main body of the barrier unit 3000, the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is The second barrier part 3600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3220 of the main body part at intervals of 90 degrees, the third barrier part 3700 provided on the third surface 3230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urth surface 3240 of the main body part.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barrier unit 3800 is installed at, and transmits this data to the position data storage unit.

회전각도확인부(4400)은 베리어유닛(3000)의 회전시에 베리어유닛의 회전각도를 확인하고 해당 회전각도를 회전각도데이터 저장부(4230)으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회전각도확인부(4400)는 제어부(4800)의 신호에 따라 베리어유닛(3000)의 본체부(3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본체부(3200)이 회전각도를 확인하여 상술한 위치확인부(4300)와의 정보를 기초로 후술하는 계산부에서 현재 제1, 2, 3, 4 베리어부(3500, 3600, 3700, 3800)의 위치를 계산한다. 즉, 회전각도확인부(4400)에 의해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본체부가 회전할 때에 회전각도를 매번 확인하여 필요한 해당 충돌시험에 따라 원하는 베리어부가 레일유닛의 선단에 마주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angle check unit 4400 checks the rotation angle of the barrier unit when the barrier unit 3000 rotates and transmits the rotation angle to the rotation angle data storage 4230. In detail, the rotation angle checking unit 4400 checks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3200 when the main body 3200 of the barrier unit 300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4800. By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barrier unit (3500, 3600, 3700, 3800) in the calcul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ing unit (43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rotation angle check unit 4400 may check the rotation angle every time the main body rotates for the vehicle crash test,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desired barrier part faces the tip of the rail unit according to the required crash test.

수신부(4500)는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베리어유닛(3000), 안전유닛(6000), 및 촬영유닛(70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The receiver 450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il unit 1000, the balance unit 2000, the barrier unit 3000, the safety unit 6000, and the photographing unit 7000.

계산부(4600)는 데이터 저장부(4200)에 저장된 데이터와 수신부(4500)에서 수신된 신호를 통해 베리어유닛의 본체부(3200)의 회전각도, 현재 레일유닛(1000)과 마주하는 베리어부와 나머지 베리어부의 배치상태와 위치(구제척으로 제1, 2, 3, 4 베리어부의 위치), 베리어유닛의 제1, 2, 3, 4 베리어부에서 제1, 2, 3, 4 충돌부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이동량, 대차유닛의 이동속도와 충돌시 속도, 모터부와 제1, 2, 3, 4,5 구동부의 구동량, 및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에너지를 계산한다.The calculation unit 4600 may include a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unit 3200 of the barrier unit and a barrier unit facing the current rail unit 1000 through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200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unit 4500. Position and position of the remaining barrier parts (the posi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for relief),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part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of the barrier unit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speed at the time of collision with the moving unit, the driving amount of the motor unit and the first, second, three, four and five driving units, and the collision energy of the bogie unit and the barrier unit are calculated.

판단부(4700)는 계산부(4600)의 계산결과에 따라 현재 베리어유닛의 회전위치를 판단한다. 즉, 구체적으로 자동차 충돌시험의 정확성을 위해 제1, 2, 3, 4 베리어부 중에서 현재 레일유닛의 선단에 마주하는 베리어부가 어떠한 베리어부이고 이에 따른 각각의 제1,2, 3, 4 베리어부의 위치와 배치가 어떠한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4700 determines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current barrier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4600. Specifically, for the accuracy of the automobile crash test, the barrier part facing the tip of the current rail unit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is any barrier part, and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 parts according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placement of the. Accordingly,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crash test can be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can be maximized.

제어부(4800)는 판단부(4700)이 판단결과와 계산부(4700)의 계산결과에 따라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베리어유닛(3000)의 제1, 2, 3, 4 베리어부의 제1, 2, 3, 4 충돌부의 위치와 작동, 베리어유닛(3000)의 작동부의 리프트부와 회전부, 안전유닛, 촬영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800)는 레일유닛(1000), 대차유닛(2000), 베리어유닛(3000), 안전유닛(6000), 및 촬영유닛(7000)에 작동신호와 정지신호를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4800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47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4700,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f the rail unit 1000, the bogie unit 2000, and the barrier unit 3000. Control the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impact portion of the barrier unit, the lift unit and the rotating unit, the safety unit, the operation unit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barrier unit 3000. In detail, the controller 48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and a stop signal to the rail unit 1000, the balance unit 2000, the barrier unit 3000, the safety unit 6000, and the photographing unit 7000.

조작부(4100), 데이터 저장부(4200), 위치확인부(4300), 회전각도확인부(4400), 수신부(4500), 계산부(4600), 판단부(4700), 제어부(4800), 및 분석부(4900)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부(4200)와 수신부(4300), 계산부(4600)와 판단부(4700), 판단부(4700)와 제어부(4800), 제어부와 계산부, 분석부와 제어부는 계속해서 수신부와 계산부, 판단부, 제어부, 분석부, 데이터 저장부에서 발생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The operation unit 4100, the data storage unit 4200,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4300, the rotation angle check unit 4400, the reception unit 4500, the calculation unit 4600, the determination unit 4700, the control unit 4800, and The analyzer 4900 performs communication by a predetermined protocol. The data storage unit 4200 and the receiver 4300, the calculator 4600 and the determiner 4700, the determiner 4700 and the controller 4800, the controller and the calculator, the analyzer and the controller continue to calculate the receiver and the calculator.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nit, the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 unit, the analysis unit, and the data storage unit.

분석부(4900)는 수신부(4500)에 수신된 신호와 계산부(4700)의 계산결과 및 데이터 저장부(420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충돌결과를 분석처리한다. 즉, 분석부는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의 충돌시에 충돌에너지, 충돌상태, 충돌속도, 범퍼의 파손 상태 등을 그래프 또는 이미지로 추출하여 모니터 등을 통해 표시함에 따라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analyzer 4900 analyzes the collision result when the balance unit and the barrier unit collid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4500,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or 4700, and the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4200. . That is, the analysis unit extracts the collision energy, the collision state, the collision speed, the damage state of the bumper, etc. in a graph or image and displays them on a monitor, etc., in the event of a collision between the bogie unit and the barrier unit, for the convenience of the experimenter. It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계산부(4600)와 판단부(4700), 제어부(4800) 및 분석부(490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구비하고, 수치제어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을 받아 작동하여 상술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calculator 4600, the determiner 4700, the controller 4800, and the analyzer 4900 includ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operate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numerical control program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4200)는 기본데이터 저장부(4210), 위치데이터 저장부(4220), 회전각도데이터 저장부(4230), 속도데이터 저장부(4240), 시간데이터 저장부(4250), 및 화상데이터 저장부(42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data storage unit 4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data storage unit 4210, a position data storage unit 4220, a rotation angle data storage unit 4230, and a velocity data storage unit 4240. , Time data storage 4250, and image data storage 4260.

기본데이터 저장부(4210)은 자동차 충돌시험 종류와 각 충돌시험별 대차유닛의 속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basic data storage unit 4210 stores data such as the type of vehicle crash test and the speed of the balance unit for each crash test.

위치데이터 저장부(4220)은 상술한 위치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와 다양한 자동차의 충돌시험을 위한 대차유닛의 초기위치, 베리어유닛의 제1, 2, 3, 4 면(3210, 3220, 3230, 3240)과 제1, 2, 3, 4 베리어부(3500, 3600, 3700, 3800), 및 제1, 2, 3, 4 충돌부(3530, 3630, 3740, 3830)의 위치와 초기에 레일유닛과 마주하는 베리어유닛의 본체부의 면과 해당 베리어부의 위치를 저장한다. 최소한의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충돌시험의 시간을 절약하고, 정확한 이동을 통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position data storage section 4220 is the position identified by the above-described positioning unit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alance unit for the collision test of various vehicl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rfaces 3210, 3220, 3230 of the barrier unit. , 3240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barriers (3500, 3600, 3700, 3800), and the first and second, third, fourth collisions (3530, 3630, 3740, 3830) It stores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barrier unit facing the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barrier. Minimal movement saves the time of crash test of the vehicle crash tester, and ensures stability and reliability through accurate movement.

회전각도데이터 저장부(4230)는 진행중인 충돌시험에 따라 작동부의 회전 각도를 저장한다. 즉, 회전각도확인부(4400)를 통해 확인된 베이스유닛의 회전각도와 실제 충돌시험의 종류에 따라 회전하는 각도데이터를 저장한다.The rotation angle data storage unit 4230 stores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collision test in progress. That is, the rotation angle of the base unit confirmed by the rotation angle check unit 4400 and stores the angle data to rota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ctual collision test.

속도데이터 저장부(4240)은 충돌시험의 종류에 따른 대차유닛의 이동 속도와 실제 대차유닛이 이동하여 제1, 2, 3, 4 충돌부에 충돌하는 순간의 속도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정확한 시험결과 분석을 통해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The speed data storage unit 4240 stores the moving speed of the bogie unit according to the type of collision test and the velocity data at the moment when the bogie unit moves and collides with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llision uni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ar through accurate test results analysis.

시가데이터 저장부(4250)은 대차유닛의 이동 시간과 베리어유닛의 회전을 위해 작동부가 작동하는 시간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cigar data storage unit 4250 stores the movement time of the balance unit and the time data at which the operation unit operates for the rotation of the barrier unit.

화상데이터 저장부(4260)은 대차유닛과 베리어유닛이 충돌시에 촬영유닛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처럼, 충돌순간의 영상과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image data storage unit 4260 stores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hen the balance unit and the barrier unit collide with each other. As suc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s by storing and analyzing the image and image data at the moment of collision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4가지 이상의 자동차 충돌시험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시간 감소에 의해 자동차 충돌시험 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자동차 충돌시험을 통해 자동차의 성능과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며, 자동차 충돌시험 장치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하여 부품 손상 등을 최소화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st of the vehicle crash test by reducing the time as four or more vehicle crash tests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us improves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car through various vehicle crash tes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vehicle crash test device by minimizing component damage by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crash test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rt.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1000 : 레일유닛,
2000 : 대차유닛, 3000 : 베리어유닛,
4000 : 제어유닛, 5000 : 범퍼유닛,
6000 : 안전유닛, 7000 : 촬영유닛.
1: Car crash test device, 1000: Rail unit,
2000: Balance unit, 3000: Barrier unit,
4000: control unit, 5000: bumper unit,
6000: safety unit, 7000: shooting unit.

Claims (20)

레일유닛;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차유닛;
상기 대차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범퍼유닛;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베리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의 선단에 인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승하강 및 회전 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상기 본체부의 승하강과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하는 스토퍼부;
4개의 서로 다른 자동차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베리어부;
상기 제1 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베리어부;
상기 제2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설치되는 제3 베리어부; 및
상기 제3 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면에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설치되는 제4 베리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를 승강시키고, 상기 대차유닛과 충돌시에 상기 본체부를 하강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본체부가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고정 설치되는 커넥트부;
상기 커넥트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하는 제1 충돌부; 및
상기 커넥트부와 상기 제1 충돌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트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수평방향으로 균일하게 이격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
일측이 상기 수직부의 상부 선단에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충돌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장부;
각각의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수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돌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1 면에 대응하고 상기 본체부의 제1 면과 평행하면서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연장부와 상기 완충부에 결합 설치되는 플랫부;
상기 플랫부에 수평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플랫부의 상부에 상기 플랫부의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제1 게이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2 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Rail unit;
A balanc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A bumper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cart unit;
And a barrier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so as to collide with the bogie unit.
The barrier unit,
A base portion fixedly install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rail unit;
A main body part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art;
An operation unit installed at the base unit to generate 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in body unit;
A stopper part which fixes the main body to the base to prevent the lowering and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when the cart unit collides;
A first barrier part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for four different vehicle crash tests;
A second barrier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A third barrier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surface and installed on a thir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face the first surface; And
And a fourth barrier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surface and installed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face the second surface.
The main body,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nstalled in the base portion to be rotated 360 degrees,
The operation unit,
A lift part which lifts the main body part when the main body part rotates and lowers the main body part when colliding with the cart unit; And
It includes; a rotation unit for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to rotate the main body portion to rotate the main body portion,
The first barrier unit,
A connect portion fixedly installed on a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collision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 unit and colliding with the balance unit; And
And a shock absorb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connect part and the first crash part to cushion an impact during a collision of the cart unit.
The connect portion,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uniformly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having one side connect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ollision part;
And a first sensing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extension part and the vertical par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first collision part.
The first collision portion,
A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and the buffer portion so as to face and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n parallel;
Coupling holes are formed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lat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gaug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lat portion,
The second barrier unit,
A first moving part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slide uni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long the first moving unit; And
And a second colli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e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서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의 상뷰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가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제3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 보다 크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3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ving unit,
A first guide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second guide part extending below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third guide extending below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nd spaced below the second guide and disposed below the second guide; part;
A first driving part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And
And a second gau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n upper view of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guide portion.
The first guide part,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part so that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part. The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3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2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대차유닛의 충돌시에 상기 제2 충돌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충돌부와 결합하는 조인트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충돌부를 회전시키는 선회부; 및
상기 조인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e unit,
A body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first guide part, the second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part by the first driving part;
A joi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engage with the second impact portion to fix and support the second impact portion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of the trolley unit;
A turning part installed at the body part to rotate the second collision part; And
And a second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joint par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second collision pa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2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상기 제3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제3 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third barrier unit,
A second moving part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third moving par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second moving part;
A support part install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third moving part; And
And a third collis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가이드부;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5 가이드부;
상기 제5 가이드부와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4 가이드부 및 상기 제5 가이드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5 가이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6 가이드부;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4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3 면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가 상기 제5 가이드부와 상기 제6 가이드부의 수직방향 이격거리 보다 크도록 상기 제4 가이드부, 상기 제5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가이드부가 상기 확장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moving unit,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fourth guide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A fifth guide part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ixth guide part extending in a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uide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fourth guide part and the fifth guide part and disposed below the fifth guide part;
A second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disposed between the fourth guide part and the fifth guide part; And
And a third gauge portion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thir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urth guide portion.
The fourth guide part, the fifth guide part, and the sixth part so that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fourth guide part and the fifth guide part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fth guide part and the sixth guide part. Vehicle crash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disposed in the expansion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4 가이드부와 상기 제5 가이드부 및 상기 제6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확장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릿지부;
상기 브릿지부에 상기 브릿지부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7 가이드부;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8 가이드부;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상기 제8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구동부; 및
상기 제7 가이드부 또는 상기 제8 가이드부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게이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ird moving unit,
A bridge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xtension part along the fourth guide part, the fifth guide part and the sixth guide part by the second driving part;
A seventh guide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idge part;
An eighth guide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venth guide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third driving part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disposed between the seventh guide part and the eighth guide part; And
And a fourth gauge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venth guide portion or the eighth guide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3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7 가이드부와 상기 제8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브릿지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부;
상기 제3 충돌부와 상기 수평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3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support portion,
A horizontal part installed by the third dri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venth guide part and the eighth guide part in the bridge part;
A fastening part configured to rotatably couple the third collision part and the horizontal part; And
And a third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fastening unit to measure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third collision unit.
제17항에 있어서,
제4 베리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이동부;
상기 제4 이동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부; 및
상기 승하강부에 결합 설치되는 제4 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fourth barrier part,
A fourth moving part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lifting unit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along the fourth moving unit; And
And a fourth collision unit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9 가이드부;
상기 제9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9 가이드부 및 상기 제10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1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와 수평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상기 제 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및 상기 제11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가이드부;
상기 제9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구동부;
상기 제4 구동부와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고, 상기 제12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5 구동부; 및
상기 제4 구동부 또는 상기 제5 구동부의 수평방향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게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부의 수평방향 이격거리는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9 가이드부, 상기 제10 가이드부, 상기 제1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2 가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fourth moving unit,
A ninth guide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 tenth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eleventh guide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and the ten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tenth guide part;
A twelfth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be parallel to the ninth guide part, the tenth guide part, and the eleventh guide part while being spaced horizontally from the eleventh guide part;
A fourth driving part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on one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ninth guide part;
A fifth driving unit which is parallel to the fourth driv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on a horizontal side of the twelfth guide unit; And
And a fifth gauge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so as to be positioned at one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ourth driving part or the fifth driving part.
The ninth guide part, the tenth guide part, the eleventh guide part, so that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ninth guide part, the tenth guide part, the eleventh guide part, and the twelfth guide part are formed uniformly. And the twelfth guide part is disposed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제4 구동부와 상기 제5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9, 10, 11, 12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본체부의 제4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포트부;
상기 제4 충돌부와 상기 서포트부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충돌부에 상기 대차유닛이 충돌할 때에 충돌에너지를 측정하는 제4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elevating unit,
A support part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ourth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long the ninth, ten, eleven, and twelve guide parts by the fourth driving part and the fifth driving part;
A fixing part for fixedly coupling the fourth collision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And a fourth sensing unit installed at the fixing unit and measuring a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unit collides with the fourth collision unit.
KR1020180169808A 2018-12-26 2018-12-26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KR102076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808A KR102076779B1 (en) 2018-12-26 2018-12-26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808A KR102076779B1 (en) 2018-12-26 2018-12-26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79B1 true KR102076779B1 (en) 2020-02-12

Family

ID=6956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808A KR102076779B1 (en) 2018-12-26 2018-12-26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885A (en) * 2021-11-18 2022-02-18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Linear drive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497U (en) 1996-10-14 1998-07-15 박병재 Vehicle Collision Testing Barrier with Transporting Means
KR100255597B1 (en) 1996-09-16 2000-06-01 정몽규 Structure for towing a vehicle for testing bumper
KR20070053388A (en) * 2005-11-21 2007-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neral-purpose barrier for collision test for vehicle
JP2007292695A (en) * 2006-04-27 2007-11-08 Sumitomo Metal Ind Ltd Crash testing device and crash test method for automobile body
JP2014085249A (en) * 2012-10-24 2014-05-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Side collision testing method and 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vehicle
KR101535897B1 (en) 2014-04-25 2015-07-14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A device for offset crash testing of a car
KR20170022221A (en)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collision test facilit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597B1 (en) 1996-09-16 2000-06-01 정몽규 Structure for towing a vehicle for testing bumper
KR19980020497U (en) 1996-10-14 1998-07-15 박병재 Vehicle Collision Testing Barrier with Transporting Means
KR20070053388A (en) * 2005-11-21 2007-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eneral-purpose barrier for collision test for vehicle
JP2007292695A (en) * 2006-04-27 2007-11-08 Sumitomo Metal Ind Ltd Crash testing device and crash test method for automobile body
JP2014085249A (en) * 2012-10-24 2014-05-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Side collision testing method and side collision testing device for vehicle
KR101535897B1 (en) 2014-04-25 2015-07-14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A device for offset crash testing of a car
KR20170022221A (en)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Bumper collision test fac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1885A (en) * 2021-11-18 2022-02-18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Linear drive device
CN114061885B (en) * 2021-11-18 2024-02-20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Linear driv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3837B (en) Track inspection robot
WO2012162865A1 (en) System for rapidly changing chassis battery of electric passenger car based on rectangular coordinate robot
CN107478441B (en) Device for detect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automobile tail plate
KR102076779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N106836915B (en) A kind of horizontal mobile three-dimensional garage control system
CN103842240A (en) Direct vehicle body locking sensor apparatus and method
CN104330268A (en) Multifunctional test system for car body safety
CN102818708B (en) Automobile cab and front and back end protective device checkout equipment
KR101911383B1 (en) Crash test device of seat back for vehicle
KR102076785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KR102076774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KR102314104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N112945262B (en) Portable intelligent measurement dolly that possesses engineering data detection function
CN112945264B (en) Portable intelligent measurement dolly that possesses travel record function
KR102176563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N107421754B (en) Pedestrian collision protection scribing device
CN202939038U (en) Detection platform for strength of protective device at rear lower part of automobile/trailer
KR102314095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N210557460U (en) Rail mounted discharge apparatus based on image recognition automatic positioning
KR102176557B1 (en) Collision test device of vehicle
CN215509780U (en) Triaxial NC flexible positioning tool
KR20200098555A (en) Battery replacement cart, battery replacemen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834340A (en) Mobile power swapp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CN109211498B (en) Intensity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N203306040U (en) Rail truck overloading detec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