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82B1 - 볼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볼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82B1
KR102076582B1 KR1020190123742A KR20190123742A KR102076582B1 KR 102076582 B1 KR102076582 B1 KR 102076582B1 KR 1020190123742 A KR1020190123742 A KR 1020190123742A KR 20190123742 A KR20190123742 A KR 20190123742A KR 102076582 B1 KR102076582 B1 KR 10207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r
mounting
driving body
steel wire
dig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석
Original Assignee
(주)현대화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화스너 filed Critical (주)현대화스너
Priority to KR102019012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 B21G3/2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by forging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32Feeding material to be worked to nail or pin mak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 각 장비별로 맞춤화된 보강설비를 부가하여 각 설비의 양호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인 설비의 양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 설비별로 맞춤화된 보강설비를 부가하여 각 설비의 양호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인 설비의 양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볼트 제조장치{Apparatus manufacturing bolts}
본 발명은 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 각 장비별로 맞춤화된 보강설비를 부가하여 각 설비의 양호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인 설비의 양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볼트 성형을 위한 장치는 강선재가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 공급하는 강선재 권선수단과, 상기 강선재를 일정한 피치로 공급하는 강선재 공급수단과, 공급된 강선재를 절단수단을 통해 처리한 후 볼트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프레스 및 가공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볼트의 정확한 규격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강선재 공급수단을 통한 정확한 공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어느 정도 그 결실을 보고 있다. 하지만 각 장비마다의 역할에 따라 양호한 작동이 저해되고 점진적으로 고장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존재한다. 이는 지속 반복적인 제조 공정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에 해당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미흡하거나 부재하여 생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3596호
본 발명은 볼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 각 설비별로 맞춤화된 보강설비를 부가하여 각 설비의 양호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인 설비의 양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볼트 제조장치로서, 권선된 강선을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 상기 강선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 상기 펼침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 상기 가공부재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의 외측 일방에 장착되는 제1 장착체(110)와,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 외측 타방에 장착되는 제2 장착체(120)와, 상기 제1 장착체(11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체(111)와, 상기 제2 장착체(12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구동체(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보조 구동체(112)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보조 구동체(113)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결속바(113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보조 구동체(122)와, 상기 제3 보조 구동체(12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보조 구동체(123)와,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결속바(1231)와, 상기 제3 결속바(1221)는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2 결속바(11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는 상기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바(1121) 내지 상기 제4 결속바(1231)는 상호 간에 결속되어 상기 가공부재(70')의 몸체를 고정시키는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의 제조 과정에 있어 각 설비별로 맞춤화된 보강설비를 부가하여 각 설비의 양호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전반적인 설비의 양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미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생산성을 담보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b에 다른 볼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권선된 강선(2')을 풀어서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10')와',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직선 상태로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30', 50')와',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70')와',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80', 90')와', 상기 이송부재(80', 90')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110')를 포함하며', 상기 펼침부재(30', 50')와 가공부재(70') 사이에는 상기 강선(2')의 직선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직진도감지센서(60')가 설치되고',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상기 가공부재(70') 사이에는 상기 강선(2')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65')가 설치되어', 상기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절단부재(65')가 작동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는 상기 강선공급부재(10')와 펼침부재(30', 50')와 가공부재(70') 및 이송부재(80', 90')를 포함한다. 가공부재(70')는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강선을 공급받아 가공함으로써 볼트를 제조하는 장치로', 압연 및 인발부(72')', 이송부(74')', 나선가공부(76')', 배출부(78') 및 구동 제어부(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연 및 인발부(72')는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공급된 강선에 압연과 인발 작업을 가해 볼트 머리와 몸체부분을 형성하도록 1차 가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압연 및 인발부(72')는 강선을 가공함으로써', 강선 가지는 재료 성질에 대한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강선의 형태를 변화시켜 지정된 형상의 볼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송부(74')는 압연 및 인발부(72')를 통해 1차 가공이 이루어진 1차가공품을 나선가공부(76')로 이송시켜 볼트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컨베이어 시스템', 또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선가공부(76')는 상기 이송부(74')를 통해 이송된 1차 가공품에 나선을 형성하여 볼트로 제조하는 구성요소이다.
배출부(78')는 나선가공부(76')에 의해 제조된 볼트를 가공장치(70')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배출부(78')는 통상의 이송관',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 가공을 위한 상기 가공부재(7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 채용이 가능하며', 상기된 구성들 이외에 볼트 가공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71')는 가공부재(7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한편', 후술할 직진도감지센서(60')와 불량감지센서(110') 및 절단부재(65')와 분리수거부재(120') 등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강선공급부재(10')는 애초 권취된 금속재 강선(2')을 풀어서 상기 펼침부재(30', 5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강선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부지지롤러(4', 6')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8')와', 강선을지지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롤러(14', 1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강선(2')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 역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으로 설치되되',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지지롤러(14', 16')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들은 핸들(15', 17')의 회전을 통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롤러(14', 16')들 사이의 간격과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롤러(4,6')에 걸쳐지는 강선 롤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를 통해서는 강선 롤의 내주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를 통해서는 강선 롤의 외주 부분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지지롤러(14', 16')들의 간격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강선 롤의 전체 직경에 대응되도록 조절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8')는 상기 상부지지롤러(4', 6')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로부터 강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상부지지롤러의 축과 나란한 방향 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부재(8')가 상기 상부지지롤러(4', 6')의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강선 롤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 둘레로 이동되어 배치되고', 이후 상기 가이드부재(8')를 상기 상부지지롤러(4', 6')의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강선이 상기 상부지지롤러(4', 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펼침부재(30', 50')는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직선으로 펼치면서 상기 가공부재(70')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상기 가공부재(70') 내의 압연 및 인발부(72')를 통한 압연 인발 작업에 의해 강선이 곧게 펼쳐지지만',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이동되는 강선을 일차적으로 직선 상태로 펼침으로써', 상기 압연 및 인발부(72')에 서의 작동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부품의 마모와 고장을 방지하여 전체 장치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면서도',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볼트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펼침부재(30', 50')는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상기 가공부재(70')로 이송하는 다수 개의 제1가이드 롤러(312')가 구성된 제1 가이드부(30')와', 제1가이드부(30')의 후방에 결합되며', 제1가이드부(30')로부터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512')가 구성된 제2 가이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는 각각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들을 포함하며', 강선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곧게 펼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는 연결 배치되는 구성되는 것으로',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제1가이드부(30')는 다수 개의 제1가이드 롤러(312')가 측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 양측부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제2가이드부(50')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 롤러(512')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부(50')를 통해 이송되는 강선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는', 상기 강선의 외주면에 접하며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강선의 공급 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부(314', 514')와', 상기 롤러부(314', 514')를 고정시키는 롤러 샤프트(324', 524')와', 상기 롤러부(314', 514')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326', 526')을 포함한다.
롤러부(314', 514')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제1가이드부(30')와 제2가이드부(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으로 강선의 외주면이 접하는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가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부(314')는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2열로 배치되어 강선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부(314', 514')는 강선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강선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선을 곧게 펼침과 동시에 가공부재(7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롤러 샤프트(324', 524')는 롤러부(314', 514')를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 각각 결합하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는 원기둥 형상의 축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베어링(326', 526')은 롤러 샤프트(324', 524')의 상부 원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롤러부(314', 514')가 롤러 샤프트(324', 524')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상기 다수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의 일면에 삽입되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1조절부재(342', 542')와', 롤러 샤프트(324', 524')의 하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조절부재(342', 54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승하강부재(346', 546')를 포함한다. 이때', 제1조절부재(342', 542')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조절부재(342', 542')가 제자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회전 지지링(344', 544')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지지링(344', 544')은 C-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조절부재(342', 542')에 체결되어', 제1조절부재(342', 542')가 회전 지지링(344', 544')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재(344', 544')의 단부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344', 544')의 끝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가이드블럭(310', 5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조절부재(344', 544')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348', 548')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348', 548')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베어링(327', 527')이 더 구성될 수 도 있다.
승하강 부재(346', 546')는 롤러 샤프트(324', 524')의 하부에 구성되어 제1조절부재(342', 542')의 작동 여부에 따라 롤러 샤프트(324', 524')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롤러 샤프트(324', 524')는 회전 베어링(326', 5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314', 514')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강선의 직경에 따라 접촉부와 접하는 강선의 외주면의 접점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승하강부재(346', 546')는 롤러부(314', 514')를 승하강 시키면서 상기 접점이 접촉부와 점 접촉을 이루는 위치까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선의 이송시 롤러부(314', 514')와의 과도한 압력 접촉에 의해 강선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상기 다수 개의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이 구성될 수 있다.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의 일면에 체결되면서 내부로 삽입되며', 나사 체결방식을 통해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2조절부재(361', 561')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되', 그 상부로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가 결합되고', 상기 제2조절부재(361', 5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절부시(363', 563')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4', 514')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시(363', 563')에 결합되는 체결축(365', 5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에는 그 내부에 상기 조절부시(363', 563')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조절홈(364', 56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조절부시(363', 563')는 조절홈(364', 564')의 바닥면을 따라 양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제1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는 결국', 강선재의 직경에 따라 가이드 장치(30', 50')를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312', 512')의 위치만을 조절하여 상기 강선의 이송이 이루어지 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홈(364', 564')에는 제2조절부재(361', 561')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진 조절부시(363', 563')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367', 567')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홈(364', 564')의 바닥면에는 상기 조절부시(363', 563')의 보다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2조절부재(361', 561')의 작동 여부에 따라 조절부시(363', 563')는 양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구성된다. 또한', 조절부시(363', 563')에는 그 상부 원주면을 따라 상기 조절부시(363', 563')의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363a', 563a')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홈(364', 564')에는 상기 스토퍼(363a', 563a')가 삽입되는 스토퍼홈(364a', 564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위치 조절수단(340', 360') 중',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은 롤러부(314', 514')의 높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2열 배치된 롤러부(314', 51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위치 조절수단(340', 540') 및 제2위치 조절수단(360', 560')은 제1 및 제2가이드부(30', 50')중 어느 하나에 각각 장착되거나', 또는 둘 모두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과한 강선의 진행 경로 상에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가 설치된다.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는 상기 펼침부재(30', 50')에 의해 직선 형태로 펼쳐진 강선의 직진도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를 통해 강선을 촬영함으로써', 강선의 직진 정도를 파악한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감지 신호를 가공부재(70')의 구동 제어부(71')로 전송하여 강선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거나 중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기준 영상으로써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 또는 구동 제어부(71')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정 강선 길이 대비 폭 방향으로 벗어나는 정도로써 정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상기 가공부재(70') 사이에는 강선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재(65')가 설치되며',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에 의해 감지되는 강선의 직진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상기 절단부재(65')가 하강되어 강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재(65')에 의해 절단된 강선은 분리 수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와 절단부재(65')는 상기 가공부재(70')의 구동 제어부(71')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펼침부재(30', 50')를 통과한 강선 중 미리 설정된 직진도 범위를 벗어하는 강선은 상기 직진도감지센서(60')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절단부재(65')를 통해 절단하여 분리 수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볼트의 불량 및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펼침부재(30', 50')를 통해 강선을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직진도로 가공함으로써',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한 가공 시 작용되는 부하를 감소시켜 가공부재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가공부재에서 소요되는 전기 에너지 및 부품의 마모와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은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볼트로 가공되며', 상기 가공부재(70')의 배출부로 배출된 볼트는 이송부재(80', 90')에 의해 저장부재(110')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부재(90')는 한 쌍의 거치부재(92')들을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재(92')에 볼트머리가 거치된 상태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재(90')의 단부에는 볼트의 불량 여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불량감지센서(110')가 설치된다.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는 볼트의 형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볼트의 길이와 폭', 머리 부분의 두께 등을 촬영하여 기준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불량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량감지센서(110')를 통해 가급적 볼트의 형상 대부분을 촬영하고', 볼트의 보다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이송부재(90')의 단부는 원형 단면의 선재(94')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12')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원형 단면의 선재(94') 부분을 통해 볼트가 원활히 미끄러져 이동되면서도', 이동되는 과정 중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볼트 가공에서 중요한 요소인 볼트 머리의 형상과', 전체 길이 및 나사산의 형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재(90')의 단부에는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불량 볼트를 분리수거 하기 위한 분리수거부재(12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불량감지센서(110')에 의해 불량으로 감지되는 볼트는 상기 분리수거부재(120')에 의해 분리 수거 되고', 양품의 볼트들만이 저장부재(130')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90')는 볼트를 일 열씩 구분하여 상승 이송시키기 위한 구분이송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분이송부(80')는 복수 개의 단차부재(82', 84', 86', 88')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재들은 각각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면(84-1')들을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단차부재(82', 84', 86', 88')들이 상하 방향으로 교대 승강됨으로써', 볼트가 일렬 씩 우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구분이송부(80')의 상면(84-1') 폭(W2')은 하나의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되', 그 너비(W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트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구분이송부(80')를 통해 일렬의 볼트들이 이송되어 상기 이송부재(9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b에 다른 볼트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도 8b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볼권선된 강선을 공급하기 위한 선공급부재(10‘);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30’, 50’);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70‘);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90‘); 상기 이송부재(90’)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110’);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의 외측 일방에 장착되는 제1 장착체(110)와,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 외측 타방에 장착되는 제2 장착체(120)와, 상기 제1 장착체(11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체(111)와, 상기 제2 장착체(12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구동체(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보조 구동체(112)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보조 구동체(113)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결속바(113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보조 구동체(122)와, 상기 제3 보조 구동체(12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보조 구동체(123)와,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결속바(1231)와, 상기 제3 결속바(1221)는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2 결속바(11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는 상기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결속바(1121) 내지 상기 제4 결속바(1231)는 상호 간에 결속되어 상기 가공부재(70')의 몸체를 고정시킨다.상기 제1 결속바(1121)는 길이방향 상의 하부에 제1 장착부(T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는 길이방향 상의 하부에 제2 장착부(T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결속바(1221)는 길이방향 상의 상부에 상기 제1 장착부(T1)의 장착을 위한 제1 장작홈(H1)이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4 결속바(1231)는 길이방향 상의 상부에 상기 제2 장착부(T2)의 장착을 위한 제2 장작홈(H2)이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 및 상기 제3 보조 구동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장착부(T1)가 상기 제1 장착홈(H1)들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3 결속바(1221)에 대한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2 보조 구동체(113) 및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장착부(T2)가 상기 제2 장착홈(H2)들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속바(113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에 대한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 장착체(110)와 상기 제2 장착체(120)는, 상기 제1 결속바(1121) 내지 상기 제4 결속바(1231)의 결속상태에서, 각기 상기 제1 장착체(110)와 상기 제2 장착체(120)를 당기도록 동작하여 담김힘을 보강한다. 상기 제3 결속바(1221)의 길이방향상의 하부에는 제3 장착부(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의 길비방향상의 상부에는 상기 제3 장착부(T3)의 장착을 위한 제3 장착홈(H3)이 구비된다.
제1 보조 구동체(112)는, 제1 메인 구동체(112a)와, 상기 제1 결속바(112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메인 구동체(112a)에서 수직방향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바 형상의 제1 서브 구동체(112b)를 포함하며, 제2 보조 구동체(113)는, 제2 메인 구동체(113a)와, 상기 제2 결속바(1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메인 구동체(113a)에서 수직방향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바 형상의 제2 서브 구동체(113b)를 포함한다.
제3 보조 구동체(122)는, 재3 메인 구동체(122a)와, 상기 제3 결속바(1221)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구동체(122a)에서 수직방향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바 형상의 제3 서브 구동체(122b)를 포함하며, 제4 보조 구동체(123)는, 제4 메인 구동체(123a)와, 상기 제4 결속바(1231)가 구비되 상기 제4 메인 구동체(123a)에서 수직방향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 바 형상의 제4 서브 구동체(1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 내지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는, 상기 제1 서브 구동체(112b) 내지 상기 제4 서브 구동체(123b)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호간에 비틀림힘에 기반하는 고정력이 가해진다.
상기 제1 메인 구동체(112a)에는 상기 제2 메인 구동체(113a)와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 메인 구동체(113a) 제1 대향영역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감지부(S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서브 구동체(113b)에는 상기 제1 서브 구동체(112b)와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 서브 구동체(112b) 제2 대향영역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2 감지부(S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메인 구동체(122a)에는 상기 제4 메인 구동체(123a)와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4 메인 구동체(123a) 제3 대향영역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3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3 감지부(S3)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서브 구동체(123b)에는 상기 제3 서브 구동체(122b)와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3 서브 구동체(122b) 제4 대향영역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4 감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4 감지부(S4)가 구비된다.
외부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감지정보와 상기 제2 감지정보를 상호 비교하며, 상기 제3 감지정보와 상기 제4 감지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동작 상태의 양호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 제1 결속바(1121)에는 제1-1 함입홈(HD11)과, 상기 제1-1 함입홈(HD11)과 이격되는 제1-2 함입홈(HD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에는 제2-1 함입홈(HD21)과, 상기 제2-1 함입홈(HD21)과 이격되는 제2-2 함입홈(HD22)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결속바(1221)에는 제3-1 함입홈(HD31)과, 상기 제3-1 함입홈(HD31)과 이격되는 제3-2 함입홈(HD32)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결속바(1231)에는 제4-1 함입홈(HD41)과, 상기 제4-1 함입홈(HD41)과 이격되는 제4-2 함입홈(HD42)이 구비된다.
상기 제1-1 함입홈(HD11)과 상기 제2-1 함입홈(HD21)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2 결속바(1131)를 연동 결속시키는 제1 고정체(141)와, 상기 제1-2 함입홈(HD12)과 상기 제2-2 함입홈(HD22)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2 결속바(1131)를 연동 결속시키는 제2 고정체(142)와, 상기 제3-1 함입홈(HD31)과 상기 제4-1 함입홈(HD41)에 장착되어 상기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를 연동 결속시키는 제3 고정체(143)와, 상기 제3-2 함입홈(HD32)과 상기 제4-2 함입홈(HD42)에 장착되어 상기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를 연동 결속시키는 제4 고정체(144)를 더 포함한다.
소정의 제1 가동부(151)와, 상기 제1 가동부(151)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체(141)에 결속되는 제1 결속부(152)와, 상기 제1 가동부(151)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고정체(142)에 결속되는 제2 결속부(15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51)는 상기 제1 결속부(152)와 상기 제2 결속부(153)를 진퇴유동시키는 제1 보강모듈(150)과, 소정의 제2 가동부(161)와, 상기 제2 가동부(161)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3 고정체(143)에 결속되는 제3 결속부(162)와, 상기 제2 가동부(161)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4 고정체(144)에 결속되는 제4 결속부(16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61)는 상기 제3 결속부(162)와 상기 제4 결속부(163)를 진퇴유동시키는 제2 보강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강선공급부재(10')의 지면과 마주하는 하부에는 복수의 하부 다리(LP')가 구비된다. 상기 강선공급부재(10')에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 다리(LP')의 제1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공급부재(10')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식 파냄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파냄모듈(20')은, 상기 제1 영역부을 수용하는 수용본체(21')와, 상기 수용본체(21')하부에 구비되며 바닥부를 굴착하기 위한 다수의 파냄유닛들이 구비되는 굴착몸체(22')를 포함한다. 상기 파냄유닛은, 제1 파냄유닛(23')와, 상기 제1 파냄유닛(23')와 이웃하는 제2 파냄유닛(24')와, 상기 제2 파냄유닛(24')와 이웃하는 제3 파냄유닛(25')와, 상기 제3 파냄유닛(25')와 이웃하는 제4 파냄유닛(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는 굴착을 수행하여 바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일정하게 유동된다. 상기 파냄유닛은,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일정각도로 가변 유동되는 가변 유동모드와,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전후 유동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파냄유닛은,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이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위 상기 가변 유동모드 상태에서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는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수행하여 바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유동모드로 동작되어 바닥부에 대한 지지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변 유동모드는, 제1 파냄유닛(23') 및 상기 제2 파냄유닛(24')가 단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제1-1 회동 모드로 유동되며, 제3 파냄유닛(25') 및 상기 제5 파냄유닛이 상기 제1 파냄유닛(23') 및 상기 제2 파냄유닛(24')와 대칭형으로 위치되도록 회동 제1-2 회동모드로 유동되는 제1 회동 모드 및 제1 파냄유닛(23') 및 상기 제2 파냄유닛(24')가 단부가 내측을 향하도록 제2-1 회동 모드로 유동되며, 제3 파냄유닛(25') 및 상기 제5 파냄유닛이 상기 제1 파냄유닛(23') 및 상기 제2 파냄유닛(24')와 대칭형으로 위치되도록 회동 제2-2 회동모드로 유동되는 제2 회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굴착몸체(22')의 양측으로부터 바닥부의 내부 잔존물을 상기 굴착몸체(22') 측으로 모아주는 서포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모듈은, 상기 굴착몸체(22')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제1 서포트 바디부(26')와, 상기 제1 서포트 바디부(26')로부터 유동되어 바닥부의 토양을 상기 굴착몸체(22') 측으로 모아주는 제1 서포트 유동부(27')를 포함하는 제1 서포트 모듈(25')과, 상기 굴착몸체(22')의 타측에 구비되어 유동되는 제2 서포트 바디부(29')와, 상기 제2 서포트 바디부(29')로부터 유동되어 바닥부의 토양을 상기 굴착몸체(22') 측으로 모아주는 제2 서포트 유동부(30')를 포함하는 제2 서포트 모듈(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서포트 모듈(25') 및 상기 제2 서포트 모듈(28')은,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이 바닥부 삽입된 이후에 동작된다.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상기 제1 파냄유닛(23')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서브 파냄유닛(31')와,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상기 제4 파냄유닛(26')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서브 파냄유닛(3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 파냄유닛은(31')은, 상기 제1 서포트 모듈(25')이 바닥부의 토양을 모아주는 동작이 수행된 후에,상기 제1 서포트 모듈(25')과 상기 제1 파냄유닛(23') 사이를 굴착하며, 상기 제2 서브 파냄유닛(32')은, 상기 제2 서포트 모듈(28')이 바닥부의 토양을 모아주는 동작이 수행된 후에,상기 제2 서포트 모듈(28')과 상기 제4 파냄유닛(26') 사이를 파냄가공한다. 상기 제1 서브 파냄유닛은(31')은, 굴착 이후 상기 제1 서포트 모듈(25') 및 상기 제1 파냄유닛(23') 중 어느 한 곳으로 유동하여 가압힘을 발생시키며, 굴착 이후 상기 제2 서포트 모듈(28') 및 상기 제4 파냄유닛(26') 중 어느 한 곳으로 유동하여 가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서포트 유동부(27')는, 2 차적으로 상기 제1 파냄유닛(23') 측을 향하여 바닥부의 토양을 가압하는 제1 가압체(27a')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서포트 유동부(30')는, 2 차적으로 상기 제4 파냄유닛(26') 측을 향하여 바닥부의 토양을 가압하는 제2 가압체(30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압체(27a')의 내측면에는 패턴형의 제1 돌출부(T1')와 제1 함입부(D1')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서포트 유동부(27')는 상기 제1 서포트 바디부(26') 상에서 상하 방향 유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가압체(27a')의 내측면으로 바닥부 토양에 일정 부피의 잔존물을 걸러내며, 상기 제2 가압체(30a')의 내측면에는 패턴형의 제2 돌출부(T2')와 제2 함입부(D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서포트 유동부(30')는 상기 제2 서포트 바디부(29') 상에서 상하 방향 유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가압체(30a')의 내측면으로 바닥부 토양에 일정 부피의 잔존물을 걸러낸다. 상기 하부 제1 영역부에 구비되어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연동형 고정모듈(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형 고정모듈(33')은, 상기 제1 영역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체(34')와, 상기 제1 고정체(34')와 연동수단(35')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부에 구비되는 제2 고정체(36')와, 상기 제1 고정체(34')와 연동수단(35')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1 영역부에 구비되는 제3 고정체(37')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형 고정모듈(33')은, 상기 제2 고정체(36')는 상기 제1 영역부에 결속된 채 상기 제1 고정체(34')로부터 상방 유동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상기 제1 영역부에 가하고, 상기 제3 고정체(37')는 상기 제1 영역부에 결속된 채 상기 제1 고정체(34')로부터 하방 유동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상기 제1 영역부에 가하는 제1 가동모드로 동작되거나, 상기 제2 고정체(36')는 상기 제1 영역부에 결속된 채 상기 제1 고정체(34')로부터 하방 유동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상기 제1 영역부에 가하고, 상기 제3 고정체(37')는 상기 제1 영역부에 결속된 채 상기 제1 고정체(34')로부터 상방 유동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상기 제1 영역부에 가하는 제2 가동모드로 동작된다.
상기 제1 고정체(34')와 상기 제2 고정체(36')는 제1 결속체(38')로 결속되며, 상기 제1 고정체(34')와 상기 제3 고정체(37')는 제2 결속체(39')로 결속되며, 상기 제1 결속체(38')는, 상기 제1 고정체(34')와 상기 제2 고정체 사이에 걸리는 가압힘을 측정하여 제1 가압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결속체(39')는, 상기 제1 고정체(34')와 상기 제3 고정체 사이에 걸리는 가압힘을 측정하여 제2 가압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 결속체(38')는 상기 제1 가압힘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값에 따라 대응하는 각각의 색상으로 발광되며, 상기 제2 결속체(39')는 상기 제2 가압힘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값에 따라 대응하는 각각의 색상으로 발광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강선공급부재
30’, 50 : 펼침부재
70‘ : 가공부재
90‘ : 이송부재

Claims (8)

  1. 볼트 제조장치로서,
    권선된 강선을 공급하기 위한 강선공급부재(10‘);
    상기 강선공급부재(10')로부터 공급된 강선을 펼치기 위한 펼침부재(30’, 50’);
    상기 펼침부재(30‘, 50’)로부터 공급되는 강선을 볼트로 가공하는 가공부재(70‘);
    상기 가공부재(70’)에 의해 가공된 볼트를 이송하는 이송부재(90‘);
    상기 이송부재(90’)로부터 이송되는 볼트를 저장하는 저장부재(130');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의 외측 일방에 장착되는 제1 장착체(110)와,
    상기 가공부재(70')의 하부몸체(70a) 외측 타방에 장착되는 제2 장착체(120)와,
    상기 제1 장착체(11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체(111)와,
    상기 제2 장착체(12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유동 가능하도록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 구동체(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보조 구동체(112)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1 구동체(11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보조 구동체(113)와,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결속바(113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보조 구동체(122)와,
    상기 제3 보조 구동체(122)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2 구동체(121)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보조 구동체(123)와,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에서 진퇴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 결속바(1231)와,
    상기 제3 결속바(1221)는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2 결속바(11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는 상기 제3 결속바(122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 사이에 진입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바(1121) 내지 상기 제4 결속바(1231)는 상호 간에 결속되어 상기 가공부재(70')의 몸체를 고정시키는 볼트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바(1121)는 길이방향 상의 하부에 제1 장착부(T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는 길이방향 상의 하부에 제2 장착부(T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결속바(1221)는 길이방향 상의 상부에 상기 제1 장착부(T1)의 장착을 위한 제1 장작홈(H1)이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4 결속바(1231)는 길이방향 상의 상부에 상기 제2 장착부(T2)의 장착을 위한 제2 장작홈(H2)이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 구동체(112) 및 상기 제3 보조 구동체(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장착부(T1)가 상기 제1 장착홈(H1)들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속바(1121)와 상기 제3 결속바(1221)에 대한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며,
    상기 제2 보조 구동체(113) 및 상기 제4 보조 구동체(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장착부(T2)가 상기 제2 장착홈(H2)들 중 어느 한 곳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속바(1131)와 상기 제4 결속바(1231)에 대한 당김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볼트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체(110)와 상기 제2 장착체(120)는,
    상기 제1 결속바(1121) 내지 상기 제4 결속바(1231)의 결속상태에서,
    각기 상기 제1 장착체(110)와 상기 제2 장착체(120)를 당기도록 동작하여 담김힘을 보강하는 볼트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속바(1221)의 길이방향상의 하부에는 제3 장착부(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결속바(1131)의 길비방향상의 상부에는 상기 제3 장착부(T3)의 장착을 위한 제3 장착홈(H3)이 구비되는 볼트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선공급부재(10')에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 다리(LP')의 제1 영역부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공급부재(10')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회전식 파냄모듈(20')을 포함하며,
    상기 파냄모듈(20')은,
    상기 제1 영역부을 수용하는 수용본체(21')와,
    상기 수용본체(21')하부에 구비되며 바닥부를 굴착하기 위한 다수의 파냄유닛들이 구비되는 굴착몸체(22')를 포함하는 볼트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냄유닛은,
    제1 파냄유닛(23')와,
    상기 제1 파냄유닛(23')와 이웃하는 제2 파냄유닛(24')와,
    상기 제2 파냄유닛(24')와 이웃하는 제3 파냄유닛(25')와,
    상기 제3 파냄유닛(25')와 이웃하는 제4 파냄유닛(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는 굴착을 수행하여 바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간에 일정하게 유동되는 볼트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냄유닛은,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일정각도로 가변 유동되는 가변 유동모드와,
    상기 굴착몸체(22')에서 전후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전후 유동모드로 동작되는 볼트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냄유닛은,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이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위 상기 가변 유동모드 상태에서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파냄유닛(23') 내지 상기 제4 파냄유닛(26')는 바닥부에 대한 굴착을 수행하여 바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 유동모드로 동작되어 바닥부에 대한 지지 고정힘을 발생시키는 볼트 제조장치.
KR1020190123742A 2019-10-07 2019-10-07 볼트 제조장치 KR10207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42A KR102076582B1 (ko) 2019-10-07 2019-10-07 볼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42A KR102076582B1 (ko) 2019-10-07 2019-10-07 볼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582B1 true KR102076582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42A KR102076582B1 (ko) 2019-10-07 2019-10-07 볼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50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절곡 장치
KR102182149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승하강 장치
KR102242049B1 (ko)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승하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857A (ko) * 1999-08-23 2001-03-15 임주영 장볼트의 자동 성형장치
KR200310293Y1 (ko) * 2003-01-15 2003-04-21 유 길 고 볼트 제조용 전조기
KR101023596B1 (ko) 2009-03-13 2011-03-21 정재엽 판스프링고정용 유자형 볼트제조시스템
KR101962685B1 (ko) *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KR101972339B1 (ko) * 2018-08-30 2019-04-25 양희태 볼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857A (ko) * 1999-08-23 2001-03-15 임주영 장볼트의 자동 성형장치
KR200310293Y1 (ko) * 2003-01-15 2003-04-21 유 길 고 볼트 제조용 전조기
KR101023596B1 (ko) 2009-03-13 2011-03-21 정재엽 판스프링고정용 유자형 볼트제조시스템
KR101962685B1 (ko) *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KR101972339B1 (ko) * 2018-08-30 2019-04-25 양희태 볼트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150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절곡 장치
KR102182149B1 (ko) * 2020-06-29 2020-11-23 남윤태 승하강 장치
KR102254116B1 (ko) * 2020-06-29 2021-05-20 남윤태 절곡 장치
KR102242049B1 (ko) * 2020-11-13 2021-04-19 남윤태 승하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582B1 (ko) 볼트 제조장치
KR101972339B1 (ko) 볼트 제조장치
RU2523336C2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RU2529095C2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0097470A1 (en) A device for removing irregularities in or enlarging an underground duct
US9162270B2 (en) Method for modif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of a leveling machine, level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WO2020052015A1 (zh) 用于运锚机的钢带输送装置及运锚机
US20180236527A1 (en) Portable, Compact and Automated Cage Making Machine
CN104227770B (zh) 用于以双管切割模式切割管材的自动锯切割机的进给单元
US3506142A (en) Bundle unscrambler for bar feeders
US5299674A (en) Conveyor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 mobile belt support structure
US2999405A (en) Apparatus for radially compressing articles
ES2411130T3 (es) Aparato de transporte de bloques anulares, y método de reparación para cuba de altos hornos
EP0011096B1 (en) Line pipe forming apparatus
US2780271A (en) Apparatus for mechanically expanding large diameter pipe
CN110586483B (zh) 一种管材自动化分拣系统
CN109648017B (zh) 公路工程滚焊机制作钢筋笼工法
WO2010057277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sion of conveyors
KR101925560B1 (ko) 분기배관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배관 제조방법
KR101097381B1 (ko) 기설관 내의 라이닝관 형성을 위한 제관방법 및 장치
RU2717517C1 (ru) Трубоформ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пираль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рубы,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пиральной трубы
CN114030817A (zh) 一种平稳运行的皮带机支架
KR101287933B1 (ko) 자립형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지주 제조장치
CN211392689U (zh) 矿车取料装置
CN210024608U (zh) 简易送料治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