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571B1 -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 Google Patents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571B1
KR102076571B1 KR1020190144164A KR20190144164A KR102076571B1 KR 102076571 B1 KR102076571 B1 KR 102076571B1 KR 1020190144164 A KR1020190144164 A KR 1020190144164A KR 20190144164 A KR20190144164 A KR 20190144164A KR 102076571 B1 KR102076571 B1 KR 10207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ground
connector
rotary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아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아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아전력
Priority to KR102019014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회전접지식으로 낙뢰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지표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연결되되 프레임으로서 구비되어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피뢰침이 구비되되, 지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되는 메인지브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브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메인지브와의 무게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추가 구비되는 카운터지브가 구비되는 지브; 상기 마스트의 상단 및 상기 지브의 수직부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지브회전장치; 및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고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rotatable grounding type tower crane}
본 발명은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접지식으로 낙뢰시 안전성이 개선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공사에 필요한 철근 등의 각종 기자재들을 목표지점으로 운송하기 위한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여기서, 타워크레인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 주위의 고소에 설치되어 권상, 선회 및 횡행동작을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이다.
그리고, 타워크레인의 종류는 T형 타워크레인과 러핑 지브(Luffing Jib)형 타워 크레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T형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의 주종을 이루며, 작업반경 내에 장애물이 없을 때 주로 사용되며, 러핑 지브형크레인은 지브를 상하로 움직여 작업물을 인양할 수 있다.
또한, 건설기계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95조(타워크레인의 종류)에서는 타워 크레인을 고정식 타워크레인, 상승식 타워크레인, 주행식 타워크레인의 세 가지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상세히, 고정식 타워크레인은 콘크리트 기초 또는 고정된 기초 위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이며, 상승식 타워크레인은 건축 중인 구조물 위에 설치된 크레인으로 구조물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자체의 상승장치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타원크레인이고, 주행식 타워크레인은 지면 또는 구조물에 레일을 설치하여 타워크레인 자체가 레일을 타고 이동 및 정지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이다.
한편, 타워크레인은 고소작업에 사용되므로 안전장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과부하 방지장치, 권과 방지장치, 선회제한 리미트스위치, 횡행장치 리미트스위치, 충돌 방지장치 등의 다양한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고시 제7조(제작 및 안전기준) 크레인의 제작 및 안전기준에 의하면, 옥외에 설치되는 지상높이 20m 이상의 타워, 지브 또는 갠트리 크레인 등으로서 마스트 철 구조물의 단면적이 300㎟ 이내일 때에는 피뢰침 및 도선 등을 설치하여 접지해야 하며, 300㎟ 이상이고 마스트의 연결상태가 전기적으로 연속적일 경우에는 피뢰용 접지공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피뢰침 및 접지선이 설치된 타워크레인은 선회장치가 일방향으로 수회이상 과도하게 회전되는 경우 피뢰침에 연결되어 마스트를 따라 지면으로 이어지는 접지선이 꼬임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단선되어 접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접지선의 손상 및 단선에도 불구하고 이를 확인하지 못하여 방치되면 운전실에 탑승한 작업자에 감전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47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접지식으로 낙뢰시 안전성이 개선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표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연결되되 프레임으로서 구비되어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피뢰침이 구비되되, 지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되는 메인지브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브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메인지브와의 무게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추가 구비되는 카운터지브가 구비되는 지브; 상기 마스트의 상단 및 상기 지브의 수직부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지브회전장치; 및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고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연결장치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결체는 상단이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된 상부접지선에 전선 연결되며, 하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상기 하부연결체는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며, 하단이 지표면에 접지되는 하부접지선에 전선 연결되고,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는 상기 상부연결체 및 상기 하부연결체의 확장된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체 및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 가압클램핑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체의 하부에는 단차홈이 상향으로 협관되도록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되,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는 상기 단차홈을 향하여 상향 연장 돌설되되, 외주가 상기 단차홈의 내주에 회전 면접촉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통전돌기가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단차홈의 내주 테두리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통전돌기를 감싸며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클램핑부는 상기 상부연결체의 확장된 하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되,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제1체결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가압클램핑부와, 상기 하부연결체의 확장된 상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에 제1체결나사산과 조임 체결되는 제2체결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가압클램핑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브회전장치의 반경방향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배치되며, 절곡지게 구비되어 하부에 상기 하부연결체의 외주가 관통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체의 외경을 초과하여 거치홀이 관통 형성된 수평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거치부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상부연결체의 외주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지지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안전브라켓부와, 절연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상부연결체의 외주 사이에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절연애자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평 회전되는 지브의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구비된 피뢰침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에 하부연결체가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됨에 따라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므로 작업중 낙뢰 발생시에도 운전실에 탑승한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예방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지브와 일체로 회전되되 피뢰침에 전선 연결된 상부연결체의 제2단차홈 내주와,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형성된 통전돌기의 외주가 상호 회전 면접촉되어 접지 연결되므로 지브의 과도한 일방향 회전에도 접지선의 손상 및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부연결체 및 하부연결체의 확장된 각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한쌍의 가압클램핑부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어 상부연결체 및 하부연결체 간의 회전 면접촉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가압클램핑부에 의해 상부연결체 및 하부연결체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됨과 동시에 상부연결체 및 하부연결체 사이에 가압 클램핑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발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과도한 가압 클램핑에 따른 상부연결체의 미회전이 방지되므로 작동안전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부연결체가 과도하게 회전됨에 따라 가압클램핑부의 각 체결나사산이 상호 분리되더라도 상부연결체에 절연애자를 매개로 하여 절연 연결된 안전브라켓에 의해 하부연결체 및 하부가압클램핑부가 안착 지지되므로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100)은 마스트(10), 지브(20), 지브회전장치(30), 그리고 회전접지연결장치(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10)는 지표면(g)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공형 프레임으로서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승강장치(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트(10)는 상부마스트(10a)와 하부마스트(10b)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11)의 제어상태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연장되거나 중첩되어 수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트(10)가 지면에 고정된 고정식인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지브(20)는 상기 마스트(10)의 상부에 연결되되 중공형 프레임으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브(20)에는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피뢰침(21a)이 구비되는 수직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21)는 메인지브(22) 및 카운터지브(23)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하부수직부와, 상기 메인지브(22) 및 상기 카운터지브(23)의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부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피뢰침(21a)이 상기 상부수직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상기 상부수직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뢰침(21a)의 설치 위치는 상기 지브(2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브(20)에는 상기 수직부(21)로부터 지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작업자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되는 메인지브(22)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브(22)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메인지브(22)와의 무게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추(23a)가 구비되며 윈치 등의 권상장치(23b)가 구비되는 카운터지브(2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지브(22)의 길이에 의해 권상용량이 결정되며, 상기 카운터지브(23)의 길이는 상기 메인지브(22)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브회전장치(30)는 상기 마스트(10)의 상단 및 상기 지브(20)의 수직부(21)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20)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지브회전장치(30)가 작업자에 의해 제어되면 상기 메인지브(22) 및 상기 카운터지브(23)가 수평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100)은 상기 지브(20)에 회전에 연동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메인지브(22)를 향하는 상기 메인지브(22)의 하부측 상기 수직부(2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운전실(21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전실(21b)에는 각종 타워크레인 조작부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100)의 각 제어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제어요소는 승강장치(11), 횡행장치(22a), 권상장치(23b), 지브회전장치(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되는 상부접지선(41)은 상기 지브(20)의 수직부(21)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운전실(21b)과 최대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수직부(21)의 상기 카운터지브(23)측 내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운전실(21b)에 탑승한 상태에서 낙뢰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된 상부접지선(41)이 상기 운전실(21b)과 최대 거리로 이격 배치되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100)은 상기 메인지브(22)에 연결되어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반경을 결정하도록 상기 메인지브(22)를 따라 횡행장치(22a)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트롤리(22b)와, 상기 트롤리(22b)의 하부에 와이어 연결되어 수직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후크(22c)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트롤리(22b) 및 상기 후크(22c)는 상기 횡행장치(22a) 및 상기 권상장치(23b)에 의해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100)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와 상기 메인지브(22)의 사이, 및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와 상기 카운터지브(23)의 사이에 연결되어 지지장력을 제공하는 지지와이어(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상부가 상기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되어 상기 지브(2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지브(20)의 수직부(21)를 따라 배치된 상기 상부접지선(41)에 회전식으로 통전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마스트(10)를 따라 고정 배치되되 지표면(g)에 접지되는 하부접지선(43)에 고정식으로 통전 연결되어, 상기 상부접지선(41) 및 상기 하부접지선(43) 간의 접지를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접지선(41) 및 상기 하부접지선(43)은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접지선(41)은 상단이 상기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되되 상기 수직부(21)의 상기 카운터지브(23)측 내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하단이 후술되는 상부연결체(42)에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접지선(41)은 상기 지브(2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접지선(41)이 상기 하부접지선(43)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접지선(43)은 상단이 후술되는 하부연결체(44)에 전선 연결되어 상기 마스트(10)의 내면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하단이 지표면(g)에 접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상부가 상기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된 상기 상부접지선(41)의 하부 및 하부가 지표면(g)에 접지되는 상기 하부접지선(43)의 상부 사이에 통전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는 중앙부가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는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브회전장치(30)의 반경방향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3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상기 관통홀(31)에 관통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중앙측이 상기 수직부(21)의 상기 카운터지브(23)측 내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상부접지선(41)의 하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31)을 통과하여 관통 배치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가 상기 지브회전장치(3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가 상기 관통홀(31)의 내주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브회전장치(3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31)을 통과한 상기 상부접지선(41)에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를 경유하여 연결된 상기 하부접지선(43)의 상부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길이방향 중앙측이 상기 마스트(10)의 내면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상기 피뢰침(21a)에 상기 상부접지선(41)을 경유하여 전선 연결되는 상기 상부연결체(42)와,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하면에 상면이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고 상기 하부접지선(43)을 경유하여 지표면(g)에 접지 연결되는 상기 하부연결체(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는 상호간 통전되도록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결체(42)는 상기 지브(2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단이 상기 상부접지선(41)에 전선 연결되며, 하면에 회전통전면(4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체(44)는 상면에 상기 회전통전면(42a)이 회전식으로 통전되도록 상기 회전통전면(42a)에 면접촉 형합되는 고정통전면(44a)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하부접지선(43)에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하면에 상기 회전통전면(42a)이 형성되는 상부확장부(42b)가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직경은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중앙몸체(42c)의 직경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확장부(42b)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되되 상면에 상기 고정통전면(44a)이 형성되는 하부확장부(44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확장부(44b)의 직경은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중앙몸체(42c)의 직경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은 상호 회전 면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면접촉이라 함은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가 상호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지그(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접지선(41) 및 상기 상부연결체(42)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 사이에는 도전성 그리스(45)가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그(20)의 수평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체(42)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상부연결체(42) 하면의 회전통전면(42a) 및 그에 면접촉된 상기 하부연결체(44) 상면의 고정통전면(44a) 사이에 도전성 그리스(45)가 도포되어 통전 연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회전되는 상기 지브(20)와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된 상기 상부연결체(42) 하면의 회전통전면(42a)과, 지표면(g)에 접지 연결되는 상기 하부연결체(44) 상면의 고정통전면(44a)이 상호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및 접지 연결되므로 상기 지브(20)의 과도한 일방향 회전에도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 상부접지선(41) 및 하부접지선(42)의 손상 및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하단부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상단부에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이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확장되어 상호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접지를 위한 통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의 각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표면효과(skin effect)를 증가시키기 위한 함몰홈(미도시)이 각각 상향 및 하향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확장된 각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 한쌍의 가압클램핑부(46,47)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는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는 상부가압클램핑부(46)와, 하부가압클램핑부(47)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에는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는 상부클램핑몸체(46a)가 구비되되, 하부에 제1체결나사산(46d)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상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커버부(46b)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부(46b)의 내주에는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중앙몸체(42c)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제1관통홀(46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46c)의 내주 및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중앙몸체(42c)의 외주 사이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상하방향 높이를 초과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 간의 접촉면의 반경방향 외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내주에는 체결단턱(46f)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단턱(46f)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상부측 내경은 상기 상부확장부(42b)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되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턱(46f)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하부측 내경은 후술되는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외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체결나사산(46d)은 상기 체결단턱(46f)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하부측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에는 상기 하부확장부(44b)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가 구비되되, 상부에 제1체결나사산(46d)과 조임 체결되는 제2체결나사산(47d)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6a)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확장부(44b)의 하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커버부(47b)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부(47b)의 내주에는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중앙몸체(44e)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제2관통홀(47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관통홀(47c)의 내주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중앙몸체(44e)의 외주 사이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하부확장부(44b)의 상하방향 높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내경은 상기 하부확장부(44b)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되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상부측 외주에는 상기 제2체결나사산(47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외경이 상기 체결단턱(46f)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하부측 내경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확장된 각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한쌍의 가압클램핑부(46,47)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 간의 회전 면접촉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가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나사산(46d) 및 상기 제2체결나사산(47d)이 상호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를 통해, 우천시에도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외측면을 통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가 배치된 내측으로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가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 및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 중 어느 하나의 외주에는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 및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 중 다른 하나의 외주를 고정 가압하는 볼트 등의 조임수단(미도시)이 체결되도록 연동회전방지홀(46g)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동회전방지홀(46g)이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하단측 외주에는 상기 연동회전방지홀(46g)이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 및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된 후 상기 연동회전방지홀(46g)에 상기 조임수단(미도시)이 삽입 체결되어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7a)의 외주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장기간 사용된 상태에서의 회전시에도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46) 및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 간의 결합력이 상기 연동회전방지홀(46g)에 삽입 체결된 상기 조임수단(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 간의 접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곽 테두리에는 베어링삽입부(44c)가 원주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하향 함몰 형성되되, 상기 베어링삽입부(44c)에 삽입되는 베어링(44d)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베어링삽입부(44c)가 상기 고정통전면(44a)의 외곽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확장된 하단부의 상면 및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상부 내측 사이와, 상기 하부연결체(44)의 확장된 상단부의 하면 및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하부 내측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상부확장부(42b) 상면 및 상기 상부클램핑몸체(46a)의 상부커버부(46b) 하면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연결체(44)의 하부확장부(44b) 하면 및 상기 하부클램핑몸체(46a)의 하부커버부(47b) 상면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미도시) 및 상기 제2탄성부재(미도시)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데,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미도시) 및 상기 제2탄성부재(미도시)가 가압 클램핑되는 방향과 반대방향, 즉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탄발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과도한 가압 클램핑에 따른 상기 상부연결체(42)의 미회전이 방지되므로 작동안정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체(42) 및 상기 하부연결체(44)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확장된 하단부의 상면 및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상부 내측 사이와, 상기 하부연결체(44)의 확장된 상단부의 하면 및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하부 내측 사이에 탄성부재(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과도한 가압 클램핑에 따른 상기 상부연결체(42)의 미회전이 방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체(42)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통전면(42a)에 회전 면접촉되는 상기 고정통전면(44a) 사이에는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된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통전면(42a) 및 상기 고정통전면(44a)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탄발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40)는 안전브라켓부(48)와, 절연애자(49)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전브라켓부(48)는 'ㄴ'자의 평판 형상으로 절곡지게 구비되어 하부에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외주가 관통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중앙몸체(44e) 외경을 초과하여 거치홀(48a)이 관통 형성된 수평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거치부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외주와 상기 절연애자(49)의 폭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지지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평거치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도 4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개별 구비되어 상호간 볼트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평거치부는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중앙몸체(44e) 외주를 감싸며 배치되되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외주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하부연결체(44)의 외주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연애자(49)는 절연 재질의 육면체,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며 상기 안전브라켓부(48)의 수직지지부 및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외주 사이에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연애자(49)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홈(49a) 및 복수개의 제2체결홈(49b)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제1체결홈(49a)에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1체결홀(48b)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체(42)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가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중앙몸체(42c)의 상부에 통전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상부접지선(41)에 통전 연결되고, 동부스(copper bus)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보조연결체(4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연결체(42d)에는 상기 제2체결홈(49b)에 정렬되는 복수개의 제2체결홀(42e)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체(42)의 중앙몸체(42c)에 제2체결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체결홈(49a) 및 상기 제1체결홀(48b)가 상호 정렬되고 상기 제2체결홈(49b) 및 상기 제2체결홀(42e)가 상호 정렬되어 각각에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브라켓(48)은 절연 재질의 상기 절연애자(49)를 매개로 하여 도전성 재질인 상기 상부연결체(42)에 절연되며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체(42)가 과도하게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압클램핑부(46,47)의 상기 제1체결나사산(46d) 및 상기 제2체결나사산(47d)이 상호 분리되더라도 상기 상부연결체(42)에 상기 절연애자(49)를 매개로 하여 절연 연결된 상기 안전브라켓(48)에 의해 상기 하부연결체(44) 및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가 안착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연결체(44),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47) 및 상기 하부접지선(43)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안전브라켓부가 상하방향 대칭된 상태로 반전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평거치부의 거치홀이 상기 상부연결체의 중앙몸체를 감싸며 배치되고, 수직지지부가 상기 절연애자에 절연 연결되되 상기 절연애자가 상기 하부연결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회전되는 상기 지브(20)의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구비된 피뢰침(21a)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42)의 하면에 하부연결체(44)의 상면이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어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므로 작업중 낙뢰 발생시에도 운전실(21b)에 탑승한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예방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에서 회전접지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접지연결장치(14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200)은 마스트(10), 지브(20), 지브회전장치(30), 그리고 회전접지연결장치(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140)는 상부가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된 상부접지선(41)의 하부 및 하부가 지표면에 접지되는 하부접지선(43)의 상부 사이에 통전 연결되며 상호 대향되는 중앙부가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는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140)는 상기 피뢰침에 상기 상부접지선(41)을 경유하여 전선 연결되는 상기 상부연결체(142)와,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하면에 상면이 통전 연결되고 상기 하부접지선(43)을 경유하여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상기 하부연결체(1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는 상호간 통전되도록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하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상부확장부(142b)가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확장부(142b)의 직경은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중앙몸체(142c)의 직경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확장부(142b)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되는 하부확장부(144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확장부(144b)의 직경은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중앙몸체(142c)의 직경을 초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하면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면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4g)의 탄발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하부에는 단차홈(142f,142h)이 상향으로 협관되도록 단차지게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차홈(142f,142h)은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반경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홈(142f,142h)은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단차지게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차홈(142f,142h)은 제1단차홈(142f) 및 제2단차홈(142h)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단차홈(142f) 및 제2단차홈(142h)은 단차지게 상향 다단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단차홈(142f)의 내경이 상기 제2단차홈(142h)의 내경을 초과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홈(142f) 및 상기 제2단차홈(142h) 사이에는 단턱(142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차홈(142h)은 상기 제1단차홈(142f)의 내측 상부에 함몰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부에는 상기 단차홈(142f,142h)을 향하여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제2단차홈(142h)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외경으로 통전돌기(144f)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전돌기(144f)는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부에 반경방향 중앙 내측단으로부터 상향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전돌기(144f)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단차홈(142f) 및 상기 제2단차홈(142h)의 함몰 깊이의 합보다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돌기(144f)는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전돌기(144f)의 외주가 상기 제2단차홈(142h)의 내주에 회전 면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면접촉이라 함은 상기 통전돌기(144f) 및 상기 제2단차홈(142h)이 상호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지그(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접지선(41) 및 상기 상부연결체(142)가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상기 통전돌기(144f) 및 상기 제2단차홈(142h) 사이에는 도전성 그리스(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그(20)의 수평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체(142)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도전성 그리스(미도시)가 도포되어 통전 연결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회전되는 상기 지브(20)와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된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제2단차홈(142h) 내주와,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통전돌기(144f)의 외주가 상호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및 접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지브(20)의 과도한 일방향 회전에도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140), 상부접지선(41) 및 하부접지선(42)의 손상 및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200)은 상단이 상기 단차홈(142f,142h)의 내주 테두리, 즉 상기 제1단차홈(142f)의 내주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통전돌기(144f)를 감싸며 배치되는 탄성부재(144g)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44g)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되는 가압클램핑부(146,147)에 의해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데,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44g)가 가압 클램핑되는 방향과 반대방향, 즉 상하방향 양측으로 탄발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클램핑부(146,147)의 과도한 가압 클램핑에 따른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미회전이 방지되므로 작동안정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140)는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확장된 각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 한쌍의 가압클램핑부(146,147)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클램핑부(146,147)는 동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클램핑부(146,147)는 상부가압클램핑부(146)와, 하부가압클램핑부(147)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압클램핑부(146)에는 상기 상부확장부(142b)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는 상부클램핑몸체(146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클램핑몸체(146a)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확장부(142b)의 상면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커버부(146b)가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부(146b)의 내주에는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중앙몸체(142c)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제1관통홀(146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146c)의 내주 및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중앙몸체(142c)의 외주 사이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핑몸체(146a)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상부확장부(142b) 및 상기 하부확장부(144b)의 상하방향 높이 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147)는 상기 하부확장부(144b)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는 상기 상부클램핑몸체(146a)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확장부(144b)의 하면을 감싸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는 상기 하부확장부(144b)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의 내주에는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중앙몸체(144e)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제2관통홀(147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관통홀(147c)의 내주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중앙몸체(144e)의 외주 사이는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핑몸체(146a) 및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의 대향면에는 상호 볼트 체결되기 위한 홈 및 홀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클램핑몸체(146a) 및 상기 하부클램핑몸체(147a)가 상호간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확장된 각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는 한쌍의 가압클램핑부(146,147)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어 상기 상부연결체(142)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 간의 회전 면접촉이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내구성 및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147)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각 대향면에는 베어링삽입부가 각각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삽입부에 삽입되는 베어링(144h)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체(142)의 회전시 상기 가압클램핑부(146,147)가 일체로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가압클램핑부(147) 및 상기 하부연결체(144)의 마찰력이 상기 베어링(144h)에 의해 감소되므로 작동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10: 마스트
11: 승강장치 20: 지브
21: 수직부 21a: 피뢰침
21b: 운전실 22: 메인지브
22a: 횡행장치 22b: 트롤리
22c: 후크 23: 카운터지브
23a: 균형추 23b: 권상장치
24: 지지선 30: 지브회전장치
31: 관통홀 40,140: 회전접지연결장치
41: 상부접지선 42,142: 상부연결체
42b,142b: 상부확장부 142f,142h: 단차홈
43: 하부접지선 44,144: 하부연결체
44b,144b: 하부확장부 144f: 통전돌기
144g: 탄성부재 45: 도전성 그리스
46,146: 상부가압클램핑부 47,147: 하부가압클램핑부
48: 안전브라켓부 49: 절연애자

Claims (5)

  1. 지표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연결되되 프레임으로서 구비되어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피뢰침이 구비되되, 지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되는 메인지브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브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메인지브와의 무게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추가 구비되는 카운터지브가 구비되는 지브;
    상기 마스트의 상단 및 상기 지브의 수직부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지브회전장치; 및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고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연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연결체는 상단이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된 상부접지선에 전선 연결되며, 하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상기 하부연결체는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되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며, 하단이 지표면에 접지되는 하부접지선에 전선 연결되고,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는 상기 상부연결체 및 상기 하부연결체의 확장된 대향단부 외면을 감싸며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체 및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 클램핑되는 가압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연결체의 하부에는 단차홈이 상향으로 협관되도록 단차지게 함몰 형성되되,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는 상기 단차홈을 향하여 상향 연장 돌설되되, 외주가 상기 단차홈의 내주에 회전 면접촉되는 도전성 금속 재질의 통전돌기가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단차홈의 내주 테두리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통전돌기를 감싸며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클램핑부는
    상기 상부연결체의 확장된 하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되, 상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제1체결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가압클램핑부와,
    상기 하부연결체의 확장된 상단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링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에 제1체결나사산과 조임 체결되는 제2체결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가압클램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5. 지표면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으로서 구비되며,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마스트;
    상기 마스트의 상부에 연결되되 프레임으로서 구비되어 상단에 낙뢰를 흡인하도록 피뢰침이 구비되되, 지표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선택적으로 수평 회전되는 메인지브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지브와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메인지브와의 무게균형을 이루도록 균형추가 구비되는 카운터지브가 구비되는 지브;
    상기 마스트의 상단 및 상기 지브의 수직부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브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지브회전장치; 및
    상기 피뢰침에 전선 연결되는 상부연결체와, 상기 상부연결체에 회전 면접촉되어 통전 연결되고 지표면에 접지 연결되는 하부연결체를 포함하는 회전접지연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지브회전장치의 반경방향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전접지연결장치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배치되며,
    절곡지게 구비되어 하부에 상기 하부연결체의 외주가 관통 배치되되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체의 외경을 초과하여 거치홀이 관통 형성된 수평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거치부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되되 상기 상부연결체의 외주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지지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안전브라켓부와,
    절연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상부연결체의 외주 사이에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비되는 절연애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KR1020190144164A 2019-11-12 2019-11-12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KR10207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64A KR102076571B1 (ko) 2019-11-12 2019-11-12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64A KR102076571B1 (ko) 2019-11-12 2019-11-12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571B1 true KR102076571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64A KR102076571B1 (ko) 2019-11-12 2019-11-12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5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70U (ko) * 1999-05-14 2000-12-15 전주영 전선 컨넥터
CN202265348U (zh) * 2011-08-17 2012-06-06 栾清杨 一种带有避雷装置的塔式起重机
KR101634728B1 (ko) 2014-03-12 2016-06-29 이은복 타워크레인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870U (ko) * 1999-05-14 2000-12-15 전주영 전선 컨넥터
CN202265348U (zh) * 2011-08-17 2012-06-06 栾清杨 一种带有避雷装置的塔式起重机
KR101634728B1 (ko) 2014-03-12 2016-06-29 이은복 타워크레인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712B1 (ko)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고정프레임
CA2623878A1 (en) An insulation barrier for high voltage power lin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same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2445406B1 (ko) 이동성이 개선된 배전반
KR102076571B1 (ko) 회전접지식 타워크레인
CN201390592Y (zh) 一种断路器专用吊具
KR101812154B1 (ko)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CN201199612Y (zh) 10kV配电线路绝缘横担提升器
CN205187730U (zh) 电力角钢塔用辅助提升装置
CN102381623A (zh) 一种断路器专用吊具
KR101823663B1 (ko)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구조
KR101293716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US3494584A (en) Multi-purpose fuse cut-out and insulator bracket
CN211393650U (zh) 杆上用电设备带电施工吊装设备
CN211181863U (zh) 一种电力施工用变压器吊装装置
KR20170115359A (ko) 무정전 배전공사용 완철하강 장치 및 공법
CN105449612A (zh) 一种导线绝缘支撑板装置
KR102639219B1 (ko) 링크 구조 내장 애자 장치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CN220467395U (zh) 一种安装于接触网h型钢柱上的隔离开关整体起吊装置
CN219061207U (zh) 一种稳定型的拼装式施工围挡结构
US2252001A (en) Supporting and hoisting device
JP7219933B1 (ja) 避雷装置
CN216056082U (zh) 一种建筑机电安装专用电缆架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