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154B1 -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154B1
KR101812154B1 KR1020160182634A KR20160182634A KR101812154B1 KR 101812154 B1 KR101812154 B1 KR 101812154B1 KR 1020160182634 A KR1020160182634 A KR 1020160182634A KR 20160182634 A KR20160182634 A KR 20160182634A KR 101812154 B1 KR101812154 B1 KR 10181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friction
transmission lin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to KR102016018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과 기초판에 형성된 절곡홈과 전선홈의 일치되는 부분을 따라 송전선을 쉽게 고정하여 송전선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DAMPER APPARATUS OF POWER TRANSMISSION LINE ON STEEL TOWER}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판과 기초판에 형성된 절곡홈과 전선홈의 일치되는 부분을 따라 송전선을 쉽게 고정하여 송전선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이다.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통상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m 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V의 선로일 경우는 6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 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 상호 간에 마찰을 빚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3216호(2009.10.27.)에는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3216호(2009.10.27.)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판과 기초판에 형성된 절곡홈과 전선홈의 일치되는 부분을 따라 송전선을 쉽게 고정하여 송전선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한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2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 기초판(20);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회전판(30);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40);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통되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되는 고정볼트(50); 및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 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송전선(1)과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임시고정고리(60)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로써,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기초판(2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찰방지부(100)는,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마찰방지링(110);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과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마찰방지링(120);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에 동일 자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2자석(130,140); 및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을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환형판(111); 및 상기 제1환형판(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기초판(20)의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초판(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1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환형판(121); 및 상기 제2환형판(12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판(30)의 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케이싱(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자석(130,140)은, 상기 제1,2환형판(111,121)에 매립되면서 척력에 의해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판(30)과 상기 기초판(20)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회전판과 기초판에 설치된 스프링이 늘어나도록 회전시킨 후 송전선을 일치된 절곡홈 수직부와 전선홈에 삽입한 후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회전하여 절곡홈의 절곡부에 송전선이 위치하여 쉽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송전선의 무게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풍홀로 인해 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설치 시, 임시고정고리로 상부 두 개의 송전선을 위치 고정시키고, 하부 두 개 송전선을 삽입 후 힘을 제거하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판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서 송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송전선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서 회전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서 기초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마찰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서 제1마찰방지링이 구비된 상태의 기초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에서 제2마찰방지링이 구비된 상태의 회전판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923216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23216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92321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로 대체하고, 회전판의 회전에 따른 기초판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92321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이하 "댐퍼장치"라 한다)(10)는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스프링(4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기초판(20)에는 4개의 전선홈(23)이 형성되며, 회전판(30)에는 기초판(20)과 대응되는 4개의 절곡홈(33)이 형성되어 송전선(1)을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기초판(2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전선홈(23)은 4개가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전선홈(23) 두 개는 동일 수평선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전선홈(23)의 나머지 두 개는 동일 수평선상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하 각각 2개씩의 송전선(1)을 고정하여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된다.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한 스프링(40)의 일단이 고정된다.
기초판(20)의 원판체(21)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다.
회전판(30)은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회전판(30)은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판(30)은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된다.
통풍홀(36)은 회전판(30)의 절곡홈(33)중 절국부(33-2)와 기초판(20)의 전선홈(23)이 일치될 때, 기초판(20)의 통풍홀(26)과 일치되어 바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길이 형성되어 풍격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스프링(40)의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회전판(30)과 기초판(20)은 고정볼트(50)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0)이 당기는 위치로 원위치되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1)을 고정하게 된다.
고정볼트(50)는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통되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된다.
임시고정고리(60)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임시고정고리(60)의 일단은 송전선(1)에 걸리고, 임시고정고리(60)의 타단은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의 손잡이를 각각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판(30)의 절곡홈(33) 수직부(33-1)와 기초판(20)의 전선홈(23)이 일치되고, 일치된 공간으로 송전선(1)이 삽입된다. 즉 상부의 두 개 송전선(1)이 삽입된 후 임시고정고리(60)를 걸어 임시로 고정한 후 아래쪽 두 개의 송전선(1)을 전선홈(23)과 수직부(33-1)에 삽입하고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회전판(30)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홈(33)의 절곡부(33-2)가 전선홈(23)의 위치에 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막혀 송전선(1)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간편하게 송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기초판(2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마찰방지부(100)는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기초판(20)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판(30)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한다.
상기 마찰방지부(100)는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마찰방지링(110),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과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마찰방지링(120),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에 동일 자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2자석(130,140) 및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을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전,후면을 가지며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환형판(111) 및 상기 제1환형판(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기초판(20)의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초판(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환형판(111)은 내측 둘레가 상기 복수의 통풍홀(26)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통풍홀(26)을 차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판(20)은 전면에 제1환형판(111)이 인입되는 제1인입홈(2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케이싱이(112)이 인입되는 제2인입홈(2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제1환형판(111) 및 상기 제1케이싱(112)이 상기 제1,2인입홈(20a,20b)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기초판(20)의 표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기초판(20)은 상기 제2인입홈(20b)을 이루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제1케이싱(11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기초판(2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기초판(20)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전선홈(23)으로 인입된 송전선(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회전판(30)과의 접촉에 따른 상기 기초판(20)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전,후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환형판(121) 및 상기 제2환형판(12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판(30)의 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케이싱(12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30)은 후면에 상기 제2회전판(121)이 인입되는 제3인입홈(3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케이싱(122)이 인입되는 제4인입홈(3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제2환형판(121) 및 상기 제2케이싱(122)이 상기 제3,4인입홈(30a,30b)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회전판(30)의 표면과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회전판(30)은 상기 제4인입홈(30b)을 이루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제2케이싱(122)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판(3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회전판(30)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절곡홈(33)으로 인입된 송전선(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기초판(20)과의 접촉에 따른 상기 회전판(30)의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자석(130,140)은 동일 전극이 마주하도록 상기 제1,2환형판(111,121)에 구비되면서 상기 회전판(30)과 상기 기초판(20)이 척력에 의해 최대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의, 상기 회전판(30)과 상기 기초판(20)은 상기 고정볼트(50) 및 상기 너트(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2자석(130,140)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제1,2환형판(111,121)의 표면 둘레를 따라 매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2자석(130,140)은 양단부를 갖는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2환형판(111,121)의 표면을 따라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제1케이싱(112)의 후단부 외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초판(20)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1결속판(1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제2케이싱(122)의 전단부 외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30)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결속판(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150)은 상기 제1,2결속판(113,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을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에 결속하는 한편,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으로부터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의 결속을 해제하는 결속구(151)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수단(150)은 상기 제1,2결속판(113,123)에 구비되며, 상기 결속구(151)가 나사결합되는 결속부재(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구(151) 및 상기 결속부재(152)는 볼트 및 너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152)는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제1,2결속판(113,1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은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속되면서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기초판(20)과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판(30)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마찰로 인한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1 : 송전선 10 : 댐퍼장치
20 : 기초판 21 : 원판체
22 : 중심홀 23 : 전선홈
24 : 호형홈 25 : 고정돌기
26 : 통풍홀 27 : 손잡이
30 : 회전판 31 : 원판체
32 : 중심홀 33 : 절곡홈
34 : 호형홈 35 : 고정돌기
36 : 통풍홀 37 : 손잡이
40 : 스프링 60 : 임시고정고리
100 : 마찰방지부 110 : 제1마찰방지링
111 : 제1환형판 112 : 제1케이싱
113 : 제1결속판 120 : 제2마찰방지링
121 : 제2환형판 122 : 제2케이싱
123 : 제2결속판 130 : 제1자석
140 : 제2자석 150 : 결속수단

Claims (1)

  1.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원판체(2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전선홈(2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21)의 중앙에 중심홀(2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22)을 중심으로 원판체(2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24)의 일측에 고정돌기(2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2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2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21)에 다수개의 통풍홀(26)이 형성된 기초판(20);
    기초판(20)과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이루어진 원판체(31)의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절곡홈(33)이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고, 원판체(31)의 중앙에 중심홀(32)이 전후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중심홀(32)을 중심으로 원판체(31) 내측면 상 하부에 호형홈(34)이 기초판(20)과 동일한 위치로 각각 형성되고, 호형홈(34)의 일측에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와 대칭되는 곳에 고정돌기(35)가 돌출 형성되며, 원판체(31)의 외측면에 ㄷ자형 손잡이(37) 2개가 상부에 형성되고, 원판체(31)에 다수개의 통풍홀(36)이 형성되며, 상기 절곡홈(33)은 수직부(33-1)와 일체로 절곡부(33-2)가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회전판(30);
    일단은 기초판(20)의 고정돌기(25)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판(30)의 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스프링(40);
    기초판(20)의 중심홀(22)과 회전판(30)의 중심홀(32)에 관통되어 기초판(20)과 회전판(30)이 회전 가능하게 너트(51)로 고정되는 고정볼트(50); 및
    S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초판(20)의 전선홈(23)과 회전판(30)의 절곡홈(33)의 수직부(33-1)가 일치된 상태에서 4개의 송전선(1) 중 상부 2개의 송전선(1)을 삽입할 때 송전선(1)과 손잡이(27,37)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임시고정고리(60)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로써,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기초판(20)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방지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찰방지부(100)는,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마찰방지링(110);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과 대향되도록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마찰방지링(120);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에 동일 자극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2자석(130,140); 및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을 상기 기초판(20) 및 상기 회전판(3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찰방지링(110)은,
    상기 기초판(20)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환형판(111); 및
    상기 제1환형판(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기초판(20)의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초판(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1케이싱(1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마찰방지링(120)은,
    상기 회전판(3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환형판(121); 및
    상기 제2환형판(12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회전판(30)의 전면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3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제2케이싱(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자석(130,140)은,
    상기 제1,2환형판(111,121)에 매립되면서 척력에 의해 상기 제1,2마찰방지링(110,12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회전판(30)과 상기 기초판(20)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KR1020160182634A 2016-12-29 2016-12-29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1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634A KR101812154B1 (ko) 2016-12-29 2016-12-29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634A KR101812154B1 (ko) 2016-12-29 2016-12-29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154B1 true KR101812154B1 (ko) 2017-12-28

Family

ID=6093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6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2154B1 (ko) 2016-12-29 2016-12-29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1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32B1 (ko) * 2020-05-07 2020-09-25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KR102270308B1 (ko) * 2021-01-11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배전관 간격유지장치
CN117438995A (zh) * 2023-10-24 2024-01-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高压输电导线全向抑振自供能装置
CN117977473A (zh) * 2024-04-01 2024-05-03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电缆临时支撑装置
CN118739155A (zh) * 2024-09-03 2024-10-01 山东光大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电力线路架设防磨损金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16B1 (ko) 2009-08-06 2009-10-27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16B1 (ko) 2009-08-06 2009-10-27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32B1 (ko) * 2020-05-07 2020-09-25 장림이엔지(주)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KR102270308B1 (ko) * 2021-01-11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배전관 간격유지장치
CN117438995A (zh) * 2023-10-24 2024-01-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高压输电导线全向抑振自供能装置
CN117977473A (zh) * 2024-04-01 2024-05-03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电缆临时支撑装置
CN117977473B (zh) * 2024-04-01 2024-06-04 中铁建工集团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电缆临时支撑装置
CN118739155A (zh) * 2024-09-03 2024-10-01 山东光大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电力线路架设防磨损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54B1 (ko) 송전선로 고정철탑의 댐퍼장치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923216B1 (ko)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1311453B1 (ko)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0880880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685298B1 (ko)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장치
KR20170030993A (ko) 고압 가공송전선로 복도체용 스페이서
CN211237778U (zh) 一种抗风电缆
CN113424375B (zh) 滑环组件
KR102160032B1 (ko) 배전선로의 전선간 간격유지장치
KR10051472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KR101762562B1 (ko) 회전이 가능한 전력구용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N214850407U (zh) 一种电力设备避雷装置
KR100228418B1 (ko) 스페이서 댐퍼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CN103367020A (zh) 隔离开关及其导电回路结构
KR101126617B1 (ko) 회전 스페이서
RU2730837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81531Y1 (ko) 회전체에서 밀폐된 집전장치
JP5355652B2 (ja) 回転ロッドの操作障害防止具
CN203883157U (zh) 一种用于控制引下线接地的断接卡
KR200480822Y1 (ko) 고리형 전극과 거리 걸림부를 갖춘 신형 배전망 과전압 보호기
CN111628464B (zh) 一种绝缘杆电缆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