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05B1 -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405B1
KR102076405B1 KR1020180043703A KR20180043703A KR102076405B1 KR 102076405 B1 KR102076405 B1 KR 102076405B1 KR 1020180043703 A KR1020180043703 A KR 1020180043703A KR 20180043703 A KR20180043703 A KR 20180043703A KR 102076405 B1 KR102076405 B1 KR 102076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erminal
track
internet address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0478A (ko
Inventor
김철회
Original Assignee
김철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회 filed Critical 김철회
Priority to KR102018004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4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 각각의 상기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가 인쇄되는 이미지판; 상기 이미지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셀과 전기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거치대에 안치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압전셀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신호에 따라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단말을 포함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SYSTEM FOR PLAYING AND SHARING VIDEOS WITH}
본 실시예는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로서, 사용자들 사이의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재생이 가능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을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은 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데, 동일한 동영상을 다른 시점에서 다시 보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인터넷주소를 즐겨찾기로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동영상을 재시청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이러한 동영상재생 및 즐겨찾기 추가의 과정은 일정 수준 이상의 조작 능력을 가진 사용자에게는 문제가 없으나, 유아와 같이 조작 능력이 미숙한 사용자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들은 동영상 재생을 위해 특정 인터넷주소를 입력하는 조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그리고, 해당 인터넷주소가 즐겨찾기로 저장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유아들은 즐겨찾기를 찾아서 해당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시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유아들의 입장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이 너무 작아 그 화면에 대한 조작이 쉽지 않으며, 또한, 이동통신단말의 기능이 너무 많아 그러한 기능 중에 필요한 기능을 찾아 조작하는 것이 쉽지 않다.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는 단말로서 좀더 넓은 화면을 가지고 있는 태블릿(tablet)이라는 기기가 있기는 하나, 이 또한, 기능이 너무 많아 유아들이 그러한 기능 중에 필요한 기능을 찾아 조작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편, 동영상에 대한 정보는 공유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주소가 전달되어야 하는데, 인터넷주소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전달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익한 동영상을 그룹핑하고 그 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동영상을 그룹핑하기 위해서는 즐겨찾기를 그룹으로 묶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즐겨찾기그룹은 그 생성 자체도 어렵고, 각 즐겨찾기의 순서를 조정하고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아 그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공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단말과 연결되는 별도의 인쇄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동영상이 저장된 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복수의 트랙을 그룹핑하여 파일로 저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다른 사용자가 유익한 동영상을 저장한 인터넷주소들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파일에 포함된 트랙들을 이용하여 인터넷주소에 저장된 동영상을 손쉽게 재생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트랙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적절한 시점에서 유아들의 단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화면잠금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 각각의 상기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가 인쇄되는 이미지판; 상기 이미지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셀과 전기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거치대에 안치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압전셀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신호에 따라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단말을 포함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상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상위위치셀, 및 하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하위위치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위위치셀신호 및 상기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하위위치셀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트랙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 상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상위위치셀, 및 하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하위위치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복수의 상위위치셀 중 일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위위치셀신호 및 상기 복수의 하위위치셀 중 일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하위위치셀신호를 조합하여 제1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상기 제1트랙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랙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트랙에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하되, 상기 트랙들은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된 트랙과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지 않은 트랙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2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복수의 상기 트랙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3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을 확인된 서버주소로 업로드시킬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4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서버주소에서 상기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로드하고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확인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단말은, 제4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을 로드하고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5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트랙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6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잠금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과 연결되는 별도의 인쇄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고, 동영상이 저장된 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복수의 트랙을 그룹핑하여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다른 사용자가 유익한 동영상을 저장한 인터넷주소들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파일에 포함된 트랙들을 이용하여 인터넷주소에 저장된 동영상을 손쉽게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적절한 시점에서 유아들의 단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판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판의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이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넷주소를 저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들이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재생시스템(100)은 단말(110), 거치대(120) 및 이미지판(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무선전화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일 수 있다. 혹은 단말(110)은 태블릿일 수도 있다.
단말(110)은 전면에 장착되는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이러한 표시패널을 통해 정지이미지, 동영상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110)은 표시패널과 함께 장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이러한 터치패널을 통해 사용자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110)은 통신칩을 내장하고 있으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110)은 일반적으로 무선전화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통신방식-예를 들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110)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통신을 이하에서는 인터넷통신이라고 호칭한다.
단말(110)은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주변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거치대(120)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단말(110)이 주변기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을 이하에서는 주변기기통신이라고 호칭한다.
단말(110)은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으면서 신호를 인식하고, 정보를 처리하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를 AP(application processor)로 부르기도 한다.
거치대(120)는 단말(11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안착홈에 배치될 때, 바닥면과 일정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거치대(120)는 주변기기통신을 통해 단말(11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거치대(120)는 바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미지판(130)이 삽입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미지판(130)은 상단의 일부가 거치대(120)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판(130)에는 복수의 버튼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버튼이미지를 눌러서 단말(110)을 조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을 통해 단말(110)에 대한 조작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예를 들어, 유아-도 쉽게 단말(11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판(130)의 내부에는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판(130)의 버튼이미지는 이러한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미지판(130)의 버튼이미지를 누르면 그 내부에 위치하는 압전셀에 압력이 가해지고 압전셀에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신호는 이미지판(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선을 통해 거치대(120)로 전달되고, 거치대(120)는 전기신호를 셀신호로 변환하여 주변기기통신을 통해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이러한 셀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판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판의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판(130)의 내부에는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판(130)의 상면에는 각각의 압전셀(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B1~B7, C1~C9, N1~N34)가 인쇄될 수 있다.
이미지판(130)의 겉면은 종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종이판을 누르는 것과 같이 이미지판(130)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이미지(B1~B7, C1~C9, N1~N34)를 누르게 되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압전셀(300)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압전셀(300)에서 전기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신호는 압전셀(300)과 연결된 전기선(310)을 통해 거치대로 전달될 수 있다. 각각의 압전셀(300)은 서로 다른 전기선(310)을 통해 거치대와 연결될 수 있는데, 거치대는 전기신호가 수신되는 전기선(310)의 위치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압전셀(3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미지판(130)은 4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부분(210)은 거치대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부분(210)으로 연장되는 전기선(310)의 일부분은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부분(220)에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버튼이미지(B1~B7)가 인쇄될 수 있다. 기능버튼이미지(B1~B7)에는 버튼형상과 더불어 각 기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상징문양 혹은 설명문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3부분(230)에는 상위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상위위치버튼이미지(C1~C9)가 인쇄될 수 있다. 상위위치버튼이미지(C1~C9)에는 숫자만 인쇄되거나 숫자와 더불어 상위위치의 단위-예를 들어, 장, 편, 챕터 등-가 함께 인쇄될 수 있다.
제4부분(240)에는 하위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하위위치버튼이미지(N1~N34)가 인쇄될 수 있다. 하위위치버튼이미지(N1~N34)에는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압전셀(300) 중에서 기능버튼이미지(B1~B7)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압전셀(300)을 기능셀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압전셀(300) 중에서 상위위치버튼이미지(C1~C9)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압전셀(300)을 상위위치셀이라 부르고, 하위위치버튼이미지(N1~N3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압전셀(300)을 하위위치셀이라 부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판(130)의 내부에는 다수의 압전셀(300)이 배치되고, 압전셀(300)은 전기선(310)을 통해 거치대(120)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120)는 신호처리부(422) 및 신호송신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422)는 압전셀(300)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처리하고, 전기신호가 발생된 압전셀(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422)는 전기신호를 셀신호로 변환하는데, 셀신호는 전기신호가 발생된 압전셀(3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송신부(424)는 셀신호를 주변기기통신을 통해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110)은 신호수신부(412), 제어부(414), 메모리(416) 및 통신부(4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412)는 주변기기통신을 통해 거치대(120)로부터 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14)는 단말(110)에서의 제반 구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14)는 셀신호를 확인하여 압력이 가해진 압전셀(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이 가해진 압전셀(300)이 기능셀인지, 상위위치셀인지, 하위위치셀인지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단말(110)이 수행하는 기능 중에 구체적인 구성이 제시되지 않는 것은 제어부(4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메모리(416)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418)는 인터넷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18)는 인터넷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다운로드-스트리밍형태의 다운로드를 포함함-하여 단말(110)에서 재생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통신부(418)는 메모리(416)에 저장된 파일을 인터넷주소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재생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인터넷주소에 있는 동영상을 손쉽게 재생시키고 다른 사용자에게 손쉽게 공유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재생시스템이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판(130)이 하측으로 배치되고, 이미지판(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거치대를 통해 단말(110)이 이미지판(1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노트북 배치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앞쪽으로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그 아래로 키보드에 대응되는 조작기구로서 이미지판(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판(130)은 그래픽 디자인적인 요소를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판(130)에서 버튼이미지(B1~B8, C1~C4..., N1~N3...)는 아이콘, 이모티콘, 그림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이미지(B1~B8, C1~C4..., N1~N3...)는 종이와 같은 인쇄물 위에 인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 이미지판(130)의 내부에 다수의 압전셀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전셀이 다른 판에 삽입될 수 있다. 압전셀과 버튼이미지(B1~B8, C1~C4..., N1~N3...)의 배치 위치만 맞으면 작동에 문제가 되지 않는데, 압전셀이 삽입되는 판과 이미지판(130)의 외곽을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배치 위치는 쉽게 맞출 수 있다.
압전셀이 삽입되는 압전셀판과 이미지판(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이미지판(130)의 그래픽적인 요소가 더 다양하게 적용되고 또한 이미지판(130)의 교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그래픽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압전셀판과 이미지판(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압전셀판만 거치대에 삽입되고, 이미지판(130)은 거치대에 삽입되지 않으면서 압전셀판과 스프링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판(130)에는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가 인쇄되고 그 하부에는 복수의 기능셀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판(130)에는 복수의 상위위치버튼이미지(C1~C4...)가 인쇄되고 그 하부에는 복수의 상위위치셀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판(130)에는 복수의 하위위치버튼이미지(N1~N3...)가 인쇄되고 그 하부에는 복수의 하위위치셀이 배치될 수 있다.
단말(110)은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인터넷주소들을 트랙들에 저장시켜 놓을 수 있는데, 사용자는 각각의 트랙을 지시하여 해당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손쉽게 재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위위치셀신호 및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하위위치셀신호를 조합하여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바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위위치셀신호가 제1섹션을 지시하고, 하위위치셀신호가 제1파트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110)은 제1-1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위위치셀신호가 제2섹션을 지시하고, 하위위치셀신호가 제2파트를 지시하는 경우, 단말(110)은 제2-1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상위위치셀이 C(C는 자연수)개이고, 하위위치셀이 N(N은 자연수)개인 경우, 트랙의 개수는 C * N개일 수 있다. 일 예로, C가 9이고 N이 34인 경우 트랙의 개수는 9 * 34 = 306개일 수 있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1기능버튼이미지(B1)는 인터넷주소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버튼이미지(B1)에 대응되는 제1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제1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인터넷주소가 저장되는 트랙의 위치는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위위치셀신호 및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하위위치셀신호의 조합에 따라 확인될 수 있다.
제1기능셀에 대한 셀신호가 수신되고 후속되는 상위위치셀신호 및 하위위치셀신호를 통해 인터넷주소가 저장될 트랙이 확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단말(110)은 제1기능셀에 대한 셀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110)은 트랙들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터넷주소가 이미 저장된 트랙은 회색으로 표시하고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지 않은 트랙은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트랙에 대한 지정은 단말(11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말(110)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버튼이미지(B1)에 대응되는 제1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제1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인터넷주소가 저장되는 트랙의 위치는 단말(110)의 터치패널에 대한 사용자조작을 인식하여 지정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1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하나의 트랙을 터치하면, 단말(110)은 사용자가 터치한 트랙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트랙에 인터넷주소를 저장시킬 수 있다.
나만의 앨범과 같이 사용자는 트랙들을 모아서 하나의 파일을 만들 수 있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2기능버튼이미지(B2)는 복수의 트랙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2기능버튼이미지(B2)에 대응되는 제2기능셀로부터 셀신호를 인식하면, 복수의 트랙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일을 DB(database)파일로 부를 수도 있다.
단말(110)은 제2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트랙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트랙을 선택할 수 있다. 혹은 단말(110)은 제2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현재 저장된 트랙들 전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선택된 트랙들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파일에는 트랙정보가 저장되는데, 여기서, 트랙정보는 인터넷주소와 트랙을 매칭시킨 정보이다.
복수의 트랙을 묶은 파일은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3기능버튼이미지(B3)는 파일을 확인된 인터넷주소-동영상이 저장된 인터넷주소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서버주소라 함-로 업로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4기능버튼이미지(B4)는 파일이 업로드된 서버주소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을 로드하여 파일에 포함된 트랙정보를 단말(110)에 적용시킬 수 있다.
단말(110)은 제3기능버튼이미지(B3)에 대응되는 제3기능셀의 셀신호가 인식되면, 파일을 확인된 서버주소로 업로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확인된 서버주소는 사용자입력으로부터 확인된 서버주소일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서버주소일 수 있다. 서버주소는 예를 들어, 게시판주소일 수도 있고, 블로그주소일 수도 있다.
단말(110)은 제4기능버튼이미지(B4)에 대응되는 제4기능셀의 셀신호가 인식되면, 파일을 로드하고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트랙정보를 단말(110)에 적용시킬 수 있다. 단말(110)은 제4기능셀의 셀신호가 인식되면, 파일이 업로드된 서버주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로드하고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트랙정보를 단말(110)에 적용시킬 수 있다.
A라는 사용자가 파일을 만들어서 게시판에 올리면 B라는 사용자가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A라는 사용자와 동일한 조건으로 동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5기능버튼이미지(B5)는 파일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5기능버튼이미지(B5)에 대응되는 제5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조작신호-예를 들어, 터치패널에 대한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트랙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6기능버튼이미지(B6)는 볼륨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7기능버튼이미지(B7)는 볼륨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6기능버튼이미지(B6)에 대응되는 제6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재생 중인 동영상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제7기능버튼이미지(B7)에 대응되는 제7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재생 중인 동영상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복수의 기능버튼이미지(B1~B8) 중 제8기능버튼이미지(B8)는 단말(110)의 화면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8기능버튼이미지(B8)에 대응되는 제8기능셀의 셀신호를 인식하면, 단말(110)을 화면잠금상태로 진입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넷주소를 저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특정 인터넷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시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게 할 수 있다(S600).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혹은 동영상이 재생된 후에, 단말이 인터넷주소의 저장을 지시하는 기능셀로부터 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602).
그리고, 단말은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셀신호를 이용하여 트랙의 섹션을 지정하고(S604),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셀신호를 이용하여 트랙의 파트를 지정할 수 있다(S606).
그리고, 단말은 섹션과 파트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트랙에 인터넷주소를 저장시킬 수 있다(S608).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셀신호를 이용하여 트랙의 섹션을 확인하고(S700),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셀신호를 이용하여 트랙의 파트를 확인할 수 있다(S702).
그리고, 단말은 섹션과 파트에 의해 지정된 하나의 트랙을 확인하고 해당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S704).
그리고, 단말은 확인된 인터넷주소에 접속하여 해당 인터넷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S706).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들이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단말(100a)은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특정 인터넷주소에 있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S800).
그리고, 제1단말(100a)은 해당 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할 수 있다(S802).
그리고, 제1단말(100a)은 인터넷주소를 저장하는 복수의 트랙을 묶어서 파일-예를 들어, DB파일-로 저장하고(S804),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S806).
제2단말(100b)은 인터넷을 통해 제1단말(100a)이 공유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제2단말(100b)에 적용시킬 수 있다(S808).
그리고, 제2단말(100b)은 상위위치셀과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셀신호에 따라 트랙을 확인하고 해당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S810).
그리고, 제2단말(100b)은 해당 인터넷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S812).
이상에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이 손쉽게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과 연결되는 별도의 인쇄물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고, 동영상이 저장된 인터넷주소를 특정 트랙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넷주소에 매칭되는 복수의 트랙을 그룹핑하여 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파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다른 사용자가 유익한 동영상을 저장한 인터넷주소들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고, 파일에 포함된 트랙들을 이용하여 인터넷주소에 저장된 동영상을 손쉽게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트랙들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적절한 시점에서 유아들의 단말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
    각각의 상기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가 인쇄되는 이미지판;
    상기 이미지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셀과 전기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거치대에 안치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압전셀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신호에 따라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 상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상위위치셀, 및 하위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하위위치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복수의 상위위치셀 중 일 상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상위위치셀신호 및 상기 복수의 하위위치셀 중 일 하위위치셀로부터 수신되는 하위위치셀신호를 조합하여 제1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상기 제1트랙에 저장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하되, 상기 트랙들은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된 트랙과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지 않은 트랙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2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복수의 상기 트랙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3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을 확인된 서버주소로 업로드시키는 동영상재생시스템.
  5.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
    각각의 상기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가 인쇄되는 이미지판;
    상기 이미지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셀과 전기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거치대에 안치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압전셀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신호에 따라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랙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트랙에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화면에 트랙들을 표시하되, 상기 트랙들은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된 트랙과 상기 인터넷주소가 저장되지 않은 트랙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6. 압력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다수의 압전셀;
    각각의 상기 압전셀에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이미지가 인쇄되는 이미지판;
    상기 이미지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압전셀과 전기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대; 및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단말이고, 상기 거치대에 안치되고, 상기 거치대로부터 상기 압전셀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셀신호에 따라 트랙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트랙에 저장된 인터넷주소의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압전셀은, 기능을 지시하는 복수의 기능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제1인터넷주소에 포함된 제1동영상을 재생하고 있는 중에, 제1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트랙들을 화면에 표시하고, 선택된 트랙에 상기 제1인터넷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단말은, 제2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복수의 상기 트랙을 묶어서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3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을 확인된 서버주소로 업로드시키는 동영상재생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주소에서 상기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로드하고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확인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4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을 로드하고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확인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5기능셀의 상기 셀신호를 인식하면, 상기 파일에 저장된 트랙정보-상기 트랙정보는 각 트랙에 매칭되어 저장된 상기 인터넷주소를 포함함-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트랙정보를 수정하는 동영상재생시스템.
  11. 삭제
KR1020180043703A 2018-04-16 2018-04-16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KR102076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03A KR102076405B1 (ko) 2018-04-16 2018-04-16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03A KR102076405B1 (ko) 2018-04-16 2018-04-16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78A KR20190120478A (ko) 2019-10-24
KR102076405B1 true KR102076405B1 (ko) 2020-02-11

Family

ID=6842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03A KR102076405B1 (ko) 2018-04-16 2018-04-16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4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049B2 (en) * 1997-08-05 2002-06-11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data terminal and cradle
KR20020019843A (ko) * 2000-09-07 2002-03-13 이승현 마우스 패드형 입력장치
KR20160001087A (ko) * 2014-06-26 2016-01-06 최재용 숫자와 특수버튼 조합을 통한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478A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6443B2 (ja) 録音方法、再生方法、装置、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US925077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functions using display buttons
US9753628B2 (en) Playback system,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control method
US20050070348A1 (en) Hand-held communic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slidable keypads
KR20100017452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서비스 전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장치
US20240149148A1 (en) Game Controller with Play-on-Any-Screen Feature
KR20200040912A (ko) 잠금 스크린 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798697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laying a video from a website
CN101882366A (zh) 主机设备和附件的遥控信号学习和处理
US7158757B2 (en) Modular computer
US20100095041A1 (en) Multimedia Mobile Device Station and Charger with Built In Accessories
CN112073664A (zh) 一种视频通话方法和显示设备
KR20040087422A (ko) 기능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기능 조작의 가이드 방법
CN102256171A (zh) 电视系统及电视使用状态的分享方法
WO2024097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ich content browsing multitasking on device operating systems with multitasking limitations
JP2014075094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2076405B1 (ko) 동영상을 재생하고 공유하는 시스템
US20090036161A1 (en) Multimedia device for integrating a mobile phone
US20140056571A1 (en)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Optical Reader System
US9781504B2 (en) Voice signal return type earphone for smart device
CN104681049A (zh) 提示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CN105611349A (zh) 一种播放终端遥控器的生成方法及移动终端
CN205249345U (zh) 摄像模组及移动终端
KR20090006460A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