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930B1 -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930B1
KR102075930B1 KR1020190094128A KR20190094128A KR102075930B1 KR 102075930 B1 KR102075930 B1 KR 102075930B1 KR 1020190094128 A KR1020190094128 A KR 1020190094128A KR 20190094128 A KR20190094128 A KR 20190094128A KR 102075930 B1 KR102075930 B1 KR 10207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information
unit
hydraulic equipment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갑열
Original Assignee
전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갑열 filed Critical 전갑열
Priority to KR102019009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6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by using specific means
    • B21C47/3475Fluid pressure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5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높은 온도와 빠른 압연 속도 그리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진 다운 코일러(Down Coiler)의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설치된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면 설비점검과 현장 센서류 점검, 유압설비의 점검 및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등을 빠른 시간내에 하여야 하는데, 각 유압 다운 코일러마다 설치된 장비에 따라 고속데이터 로거를 설치할 수 없거나,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제조사들마다 자신들의 장비 특성에 따라 어떠한 해결책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빠르게 변화되고 발전되는 자동제어 기기인 PLC와 Software 신제품을 기존제품을 이용하는 제조사에게 빠르게 새로운 제품으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생산설비를 잘 유지, 보수하고, 보다 나은 제어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한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Optimization system for hydraulic control facility diagnosis and its operationn method}
본 발명은 유압제어설비 진단 및 그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빠르게 변화되고 발전되는 자동제어 기기인 PLC와 Software 신제품을 기존제품을 이용하는 제조사에게 빠르게 새로운 제품으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생산설비를 잘 유지, 보수하고, 보다 나은 제어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한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 다운 코일러(Down Coiler)는 열연공장 생산라인 최종단계에 설치되어 생산되는 열연제품을 코일형태로 감아 제품을 배출하는 행태로 만드는 권취 설비로, 500 내지 700℃의 고열과 1696MPM의 빠른 속도 등과 같은 취약한 작업 환경에서 가동되는 반면에 높은 정밀도와 정확성이 요구되며, 약간의 오차나 이물이 혼입시에는 바로 제품 불량으로 연결되는 품질과 직결되는 설비이다.
이러한 열연 다운 코일러는 유압설비로 가이드 롤러, 핀치롤러, 래퍼롤러 및 고속 쉐어 등의 총 8개소의 유압제어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 제어 시스템은 PLC CPU와 서보밸브 제어 시스템 및 운전용 HMI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압연 다운 코일러는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열연다운 코일러에서 단차회피제어(Quick Open Control)진단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이 도달하면 온도를 검출하는 권취온도계와, 스트립의 인입상태를 전달하고, 다음 단계로 인도하는 상부핀치롤과, 상부핀치롤의 진동으로부터 스트립선단의 인입을 검출하는 핀치롤선단검출기와, 하부핀치롤로부터 스트립의 속도를 측정하는 펄스 로직 제너레이터(Pulse Logic Generator:PLG)와, 상부핀치롤을 통과한 스트립의 인입상태를 전달하고, 다음 단계로 인도하는 제1유니트롤과, 제1유니트롤에 직접 부착되어 그 진동으로부터 스트립선단의 인입을 검출하는 제1유니트롤선단검출기와, 제1유니트롤과 맨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그 압력을 측정하는 제1유압계와, 제1유압계에 의한 제1유니트롤의 오픈 정도를 감지하는 제1유니트롤위치센서와, 제1유니트롤를 통과한 스트립의 인입상태를 전달하고, 다음 단계로 인도하는 제2유니트롤과, 제2유니트롤에 직접 부착되어 그 진동으로부터 스트립선단의 인입을 검출하는 제2유니트롤선단검출기와, 제2유니트롤과 맨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그 압력을 측정하는 제2유압계, 제2유압계에 의한 제2유니트롤의 오픈 정도를 지지하는 제2유니트롤위치센서와, 제2유니트롤를 통과한 스트립의 인입상태를 전달하고, 다음 단계로 인도하는 제3유니트롤과, 제3유니트롤에 직접 부착되어 그 진동으로부터 스트립선단의 인입을 검출하는 제3유니트롤선단검출기와, 제3유니트롤과 맨드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그 압력을 측정하는 제3유압계와, 제3유압계에 의한 제3유니트롤의 오픈 정도를 감지하는 제3유니트롤위치센서와, 제3유니트롤를 통과한 스트립을 감는 맨드릴과, 권취온도계의 온도검출신호를 트리거신호로 하여 상부핀치롤의 가속도신호, 하부핀치롤의 펄스로 직제너레이터신호, 제1유니트롤의 가속도신호, 제2유니트롤의 가속도신호, 제3유니트롤의 가속도신호, 제1유니트롤위치센서의 위치신호, 제2유니트롤위치센서의 위치신호, 제3유니트롤위치센서의 위치신호 등을 받아들이는 데이터수집부와, 데이터수집부에서 수집된 유니트롤의 가속도신호로부터 유니트롤의 선단검출시간 및 유니트롤이 오픈할 때까지 스트립의 선단의 이동시간을 구한 후, 선단검출시간 및 스트립 선단의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유니트롤의 오픈시간을 계산하는 제1 기능과, 유니트롤의 클로즈시간을 계산하는 제2 기능과, 스트립두께 및 유니트롤 오픈 바이어스양의 값을 이용하여 유니트롤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예측경로값을 계산하는 제4 기능과, 실제 측정한 유니트롤의 오픈시간, 클로즈시간 및 위치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과정으로 시간에 따른 실측경로값을 계산하는 제5기능 및 계산된 예측경로값과 실측경로값을 비교하여 단차회피제어의 양호 또는 불량을 진단하는 제6기능을 수행하는 경로계산 및 제어진단부를 구비한 열연다운 코일러에서 단차회피제어 진단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열연공장의 다운 코일러작업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제어신호를 수집하여 정상조업시는 온라인감시기능을, 사고발생시는 오프라인분석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호특성에 맞게 데이터수집주기를 달리하는 각종 신호를 선택적으로 감시하는 단계, 정상조업시는 코일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고발생시는 발생시점전후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단계, 파일로 저장된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운 코일러의 조업데이터 감시 및 분석방법이고,
특허문헌 3은 스트립을 감는 맨드릴; 스트립이 맨드릴과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맨드릴 상에 배치되는 유닛롤;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 유닛롤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및 스트립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 모드 중 하나 선택하여 유닛롤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어 모드는 위치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갭을 제어하고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압력 측정부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유닛롤과 맨드릴 사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열연다운 코일러이다.
이와 같이 다운 코일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다운 코일러는 제품의 높은 온도와 빠른 압연 속도 그리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조건에서 원할하게 제어되기 위해 유압에어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고, 이 유압제어 시스템은 현재 여러 요인에 의해 잦은 고장이 발생되고 있으며, 고장이 발생되면 설비점검과 현장 센서류 점검, 유압설비의 점검 및 교정 등을 빠른 시간내에 하여야 하고, 얼마나 빨리 원인규명 및 필요한 조치를 하느냐는 설비 가동률과 직결이 된다. 또한 정확한 원인 분석 및 규명은 안정된 제어시스템 관리로 이어져 품질저하 방지 및 품질향상에도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PLC CPU로서 고속 스캔 기능으로 데이터를 채취하는 고속 데이터 로거(Data Logger)와 같은 장치를 장착 할 수 없는 모델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 열연 다운 코일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 제어 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서보밸브와 압력전송기(Pressure Transmitter)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재 이러한 센서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설비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량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유압 라인의 진동으로 주변 설비에도 영향을 주어 주요 제어 설비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대부분의 제조사의 경우 현재 자신들의 유압설비에 설치된 PLC에 대하여 정확한 기능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고속 Scan 기능으로 Data를 채취하는 고속 데이터 로거(Data Logger)와 같은 장치를 장착할 수 없는 모델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를 알지 못하여 문제 발생 시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된지 몰라 해당 유압설비를 납품한 납품사에서 AS를 받아야 하는데 그와 같은 경우 많이 시간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0492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52549호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625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높은 온도와 빠른 압연 속도 그리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진 다운 코일러(Down Coiler)의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설치된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면 설비점검과 현장 센서류 점검, 유압설비의 점검 및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등을 빠른 시간내에 하여야 하는데, 각 유압 다운 코일러마다 설치된 장비에 따라 고속데이터 로거를 설치할 수 없거나,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제조사들마다 자신들의 장비 특성에 따라 어떠한 해결책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빠르게 변화되고 발전되는 자동제어 기기인 PLC와 Software 신제품을 기존제품을 이용하는 제조사에게 빠르게 새로운 제품으로 업그레이드(Upgrade)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생산설비를 잘 유지, 보수하고, 보다 나은 제어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한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설비로 가이드 롤러, 핀치롤러, 래퍼롤러 및 고속 쉐어를 포함하는 열연 다운 코일러의 유압설비를 제어하는 유압 제어 설비를 진단하는 시스템이 운전자가 하기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유압설비의 제어를 위한 운전 정보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HMI; 하기 전용콘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유압설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CPU; 각각의 유압설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용콘트롤러; 하기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의 신호를 변환하는 AMP; 및 유압설비에 설치된 서보밸브, 압력전송기, 압력스위치 및 온도센서 등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CPU는 고속 스캔기능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로거를 구비하여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DB화하고, 데이터로거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어 유압설비의 오류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유압제어설비 진단 시스템(100);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설비 진단 시스템(100) 각각을 제조한 복수의 제조사들의 서버로, 각각의 제조사별 유압제어설비 진단 시스템(100)의 규격정보와, 유지관리 규격정보, 센서 정보가 관리되는 복수의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설비 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상기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각각으로부터 유압설비 운용정보를 수집하는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 및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에서 상기 유압제어설비 진단 시스템(100)를 관리하면서 발생되는 관리비용과, 유압설비의 최적화 및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판매시 공정한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금융사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에서 유압설비 및 유압제어설비 회원사가 모집되고(S100), 모집된 회원사별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규격정보와 관리자 정보가 수집되고, 분류되어 저장되는 단계(S110); 상기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S120); 상기 분석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의 이상정보를 수집하고, 이상정보가 있는 경우 원격제어를 수행하고,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통보하는 단계(S13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별 회원사 서버로 해당 유압설비의 식별정보와 함께 통보하는 단계(S14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전송받은 회원사 PC나 서버로부터 운용정보를 통보한 식별번호 정보를 통해 최적화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최적화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S15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미리 설정된 기간과 규약에 따라 유압설비 관리 금액을 과금하고, 금융사 서버를 통해 유압설비 설치 회사(공장)로 청구하는 단계(S160); 및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최적화 데이터베이스화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에 대한 최적화 데이터 판매시 판매금액을 정산하고, 이를 회원사에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설비점검과 현장 센서류 점검, 유압설비의 점검 및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등을 빠른 시간내에 할 수 있으므로 고장시간을 단축시켜 가동률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열연 다운 코일러의 유지 보수함에 최신 장비를 갖추어 정확한 진단과 신뢰성 있는 데이터로 설비를 유지 관리하여 고장시간 단축과 예방정비를 할 수 있음에 따라 장비 가동을 최적화할 수 있어, 생산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의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운 코일러를 구성하는 유압 장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서보밸브 및 압력전송기 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여 설비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에 따라 생산량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 라인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주요 제어 설비에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빠르게 변화되고 발전되고 그에 따라 자동제어 기기인 PLC와 Software도 빠르게 신제품이 나오는데, 제조사의 특성상 그러한 정보를 쉽게 얻기 어려운 중소 제조사의 경우 새로운 제품으로 Upgrade하는 것에 대하여 정보 부재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었는데, 생산설비를 잘 유지, 보수하고, 보다 나은 제어설비를 갖출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설비를 유지보수 하는 입장에서 제조사의 사정에 맞춰 최신 장비를 최적의 시기에 갖추어 정확한 진단과 신뢰성 있는 Data로 설비를 유지 관리하여 고장시간 단축과 예방정비를 할 수 있다면 그만큼 회사에 기여를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조사마다의 사정에 맞춰 최대의 생산과 최고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을 구비한 열연 다운 코일러 의 전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의 제어값과 실측 데이터 처리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에서 유압제어설비 운용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을 구비한 열연 다운 코일러 의 전체시스템 구성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20)에 고속 스캔기능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로거(21)를 구비하여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DB화하고, 데이터로거(21)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분석프로그램(22)에 의해 분석되어 유압설비(60)의 오류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은 통상의 유압제어설비와 유사하게 HMI(10), CPU(20), 전용콘트롤러(30), AMP(40) 및 감지모듈(50)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CPU(20)에 따라 필요한 경우 고속의 데이터로거(21)를 더 구비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HMI(10)는 운전자가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유압설비(60)의 제어를 위한 운전 정보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한다.
CPU(20)는 전용콘트롤러(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유압설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로거(21)를 구비하여 감지모듈(50)에서 감지한 다양한 정보를 고속으로 스캔하여 수집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분석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에 분석함에 따라 유압설비(60)의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서보밸브 및 압력전송기 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여 설비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에 따라 생산량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압 라인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주요 제어 설비에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전용콘트롤러(30)는 각 유압설비(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유압설비(60)에 설치된 것으로, CPU(2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유압설비(60)를 제어한다.
AMP(40)는 감지모듈(50)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의 신호를 변환하는 것으로, 감지모듈(50)에서 감지된 신호가 데이터로거(21)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이즈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에 따라 이 감지신호를 증폭하거나, 노이즈에 강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감지모듈(50)는 유압설비(60)에 설치된 서보밸브, 압력전송기, 압력스위치 및 온도센서 등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제어설비 진단시스템에서 감지된 정보 수집 주기가 길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러 원인을 파악할 수 없다.
즉,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와 실제 데이터는 서로 다른 그래프를 그리고 있고,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는 주기가 100ms 이상일 경우 제어값과 실제 데이터 사이의 데이터 수집 주기의 차가 길어 실제 정상범위를 벗어난 시간의 실제 감지시간은 에러 발생 후 한참 후(예로서 약 50ms 이후)에 감지되어 에러의 정확한 시점 감지가 늦어 정확한 에러의 원인을 파악할 수 없거나, 잘못 파악할 ㅅ수 있었다.
이에 따라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수집 주기를 고속의 데이터로거(21)를 통해 데이터 수집 주기를 1ms ~ 6ms로 좁힌 경우(바람직하게는 5ms 이내)에는 제어신호와 실제 데이터 사이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에러 시점을 정확히 감지함에 따라 에러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70)를 구비하여 수집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서버(70)는 데이터로거(21)를 통해 수진된 정보와,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저장하여, 이후 발생될 에러 원인을 찾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과, 복수의 제1내지 제n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복수의 제1 내지 재n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 금융사 서버(500) 및 유무선 통신망(6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HMI(10)는 운전자가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유압설비(60)의 제어를 위한 운전 정보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고, CPU(20)에 고속 스캔기능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로거(21)를 구비하여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DB화하고, 데이터로거(21)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분석프로그램(22)에 의해 분석되어 유압설비(60)의 오류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CPU(20)의 성능에 따라 필요한 경우 고속의 데이터로거(21)를 더 구비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PU(20)는 전용콘트롤러(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유압설비(6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데이터로거(21)를 구비하여 감지모듈(50)에서 감지한 다양한 정보를 고속으로 스캔하여 수집하고, 분석프로그램을 구비하여 수집된 정보를 실시간에 분석하여 유압설비(60)의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서보밸브 및 압력전송기 등에 설치된 각종 센서의 상태를 진단하여 설비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며, 유압 라인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주요 제어 설비에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전용콘트롤러(30)는 각 유압설비(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유압설비(60)에 설치되며, CPU(2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유압설비(60)를 제어한다.
AMP(40)는 감지모듈(50)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의 신호를 변환하여 감지신호를 증폭하거나, 노이즈에 강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감지모듈(50)는 유압설비(60)에 설치된 서보밸브, 압력전송기, 압력스위치 및 온도센서 등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관리서버(70)는 데이터로거(21)를 통해 수진된 정보와,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된 정보를 저장하여, 이후 발생될 에러 원인을 찾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제1내지 제n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제조한 각각의 제조사의 서버로, 각각의 제조사별 유압설비의 규격정보와, 유압설비별 센서 정보 등이 관리된다. 그리고 해당 제조사 서버(200)에서 판매 설치된 유압설비 정보 역시 관리된다.
복수의 제1 내지 재n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이다.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각각으로부터 유압설비 운용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유압설비 운용정보란 산업용 기계에 장착된 유압설비에 생산, 안전, 유지보수 등을 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고, 작창한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가 분석되어 관리자 스마트폰, PC 등을 통해 생산상황, 안전조치사항, 유지보수 등의 내용을 안내해 준다. 또한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각 유압설비별 관리자가 공장, 사무실 및 외근 중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 PC 등을 통해 중요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상정보 발생 시 해당 정보를 통보한다. 그에 따라 안전분야의 정보 등 긴박한 상황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해지고, 또한 생산, 안전, 유지보수를 센서가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관리인원 절감효과도 발생되는데 이는 특히 사업장 규모가 작은 작업장이나 회사의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수집한 데이터는 유압설비 제작사(제조사) 및 관련기관에 데이터로 판매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압설비 운용서버(400)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과 복수의 제1내지 제n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로부터 안정적인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설치사와, 유압설비 제조사를 회원사로 하여 각각의 유압설비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통해 유압설비별 최적화된 운용 데이터, 장비 데이터, 부속품 데이터, 센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압설비 관리와 최적화 및 해당 데이터의 판매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500)는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에서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면서 발생되는 관리비용과, 유압설비의 최적화 및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판매시 공정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은행사나 카드사, 핀테크(카카오 페이, 삼성페이 등)와 제휴하여 해당 은행사나 카드사의 서버를 통해 금융거래를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망(600)은 유무선 인터넷통신, 데이터 통신, 이동통신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에서 유압제어설비 운용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낸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에서 유압제어설비 운용 서버의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401),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 및 제어부(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401)는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복수의 복수의 제1내지 제n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및 금융사 서버(500)와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간 통신하도록 한다.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설치한 공장과 같은 설치사와 유압설비를 제조하는 제조사 중 회원가입된 회원사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회원사 정보로는 회원사명, 회원사 연락처, 담당자 연락처, 사업장위치, 유압설비 설치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는 유압설비를 생산하는 제조사의 유압설비 규격(스펙) 정보, 유압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번호 정보, 유압설비를 설치한 설치위치, 설치회사명(공장명), 설치일, 점검일, 교체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는 제조사별 수집된 유압설비의 규격정보를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기본적으로 유압설비 중 예를 들어 열연 DC(Down Coiler)에는 Side Guide, Pinch Roll, Wraper Roll 및 고속 Shear 설비에 유압 제어설비가 설치되어 있는데 유압계통에 이상이 발생하면 Servo Valve 및 Pressure Transmitter등 각종 Seneor 방식과 종류를 분류하고, 센서의 종류, 가격, 제어설비 부속품과 센서의 가격 정보 등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에 따라 각 제조사에서 생산된 유압설비의 유압방식에 따른 성능과 가격정보 등을 수집하여 후에 가성비 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각각의 관리자(담당자)의 성함, 전화번호, PC 식별 정보, 스마트폰 정보 등이 포함된다. 물론 동일한 회사이거나, 유압설비가 모여 있는 경우에는 한 사람이 여러 대를 관리할 수도 있다.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운용 정보를 수집한다.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에서 수집된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한 운용정보를 분석한다.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검출한다. 물론 이러한 이상상황은 제품의 높은 온도와 빠른 압연 속도 그리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조건을 가진 DC(Down Coiler)의 설비를 제어하기 위해서 설치된 유압제어 시스템의 고장이나 이상에 대한 설비점검과 현장 센서류 점검, 유압설비의 점검이 포함된다.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는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에서 검출된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수집한다.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경우 해당 이상상황에 대하여 구축된 interlock 시스템을 통해 비상정지, 싸이렌, 경광등, 전원 차단 등의 조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관리자(운영자)의 PC나 스마트폰 등으로 통보한다.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를 통신부(401)를 통해 각각의 유압설비의 관리자 PC와 제조사 서버로 전송한다. 이러한 운용정보에 따라 유압설비를 설치한 회사(공장)와 제조사에서는 해당 정보를 토대로 유압설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운용하면서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에 대하여 규격별로 분석한다. 이는 회원사와는 별도로 분석하는 것으로, 회원사에 따라서는 해당 정보를 분석하기 어려운 규모(소규모, 폐업, 분석관리자 부족 등)일 수도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회원사간의 정보를 공유하는 차원이기도 한 것으로, 유사한 유압제어설비 진단방식, 성능 정보에 대하여 타사의 동일한 방식의 유압설비에 대한 성능 정보를 받아 이를 토대로 하여 자사 유압설비의 성능을 개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는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에서 분석된 정보를 회원사(특히 제조사)로 전송한다.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는 분석된 정보를 전송받은 제조사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최적의 성능을 내는 유압설비에 대하여 제조사의 규격정보와, 유압설비를 설치한 회사(공장)의 운용정보(정기적인 점검횟수, 점검방식 등), 센서의 종류, 센서 제조사, 데이터 로거 등에 대한 정보 역시 함께 수집한다.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는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에서 수집된 최적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화에 따라 후발 제조사나 기존 회원 제조사에서는 타사의 유압설비 정보를 통해 보다 개선된 유압설비를 개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는 복수의 제1 내지 제n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과 복수의 제조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이나, 이상상황 발생 시 조치에 대하여 서로 간에 미리 설정된 금액으로 과금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금은 통신부(401)를 통해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되고, 금융사 서버(500)에서 각각의 회원사로 전송된다.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는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데이터를 판매하는 것으로, 이러한 판매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 및 가격의 유압설비에 대한 판매 공정성을 위하여 판매 정보를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에 남기도록 한다.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는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에서 판매한 유압설비에 대하여 회원사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되도록 한다. 이러한 미리 설정된 비율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로 없으며, 1/N 방식 또는 제조사 기여도에 따라 차별화하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20)는 통신부(401),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 및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를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키보드, 마우스, 스피커, 프린터 등을 통해 별도의 관리자가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유압설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 핀치롤러, 래퍼롤러 및 고속 쉐어를 포함하는 열연 다운 코일러의 유압설비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유압제어 설비는 이러한 유압설비를 제어하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설비 운용을 이용한 유압설비 관리와 최적화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설비 운용을 이용한 유압설비 관리와 최적화 시스템 운용 방법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유압설비 및 유압제어 설비 회원사를 모집하고, 가입시킨다(S100).
그 다음 회원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와 유압제어 설비에 대한 관리자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저장한다(S110).
이어 유압설비와 유압제어 설비의 운용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S120).
그리고 분석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 설비 운용정보에 이상정보를 수집하고, 이상정보가 있는 경우 원격제어가 가능한 경우 원격제어를 수행하고,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통보한다(S130).
한편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유압설비별 회원사(유압설비 운용 회사(공장),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로 해당 유압설비의 식별정보와 함께 통보한다(S140). 이때, 통보 식별번호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유압설비 운용서버(400)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전송받은 회원사로부터 운용정보를 통보한 식별번호 정보를 통해 최적화된 즉, 업데이트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최적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S150).
또한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는 미리 설정된 기간과 규약에 따라 유압설비 관리 금액을 과금하고, 금융사 서버를 통해 유압설비 설치 회사(공장)로 청구한다(S160).
한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 설비에 대한 최적화 데이터 판매시에는 판매금액을 정산하고, 이를 회원사에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한다(S17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HMI 20: CPU
21: 데이터로거 22: 분석프로그램
30: 전용콘트롤러 40: AMP
50: 감지모듈 60: 유압설비
70: 관리서버
100 : 유압설비 200 :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
300 :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 400 : 유압설비 운용 서버
401 : 통신부 402 :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
403 :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
404 :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 405 :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
406 :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 407 :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
408 :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 409 :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
410 :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
411 :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
412 :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
413 :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
414 :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
415 :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
416 :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
417 :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
418 :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
419 :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 420 : 제어부
500 : 금융사 서버 600 : 유무선 통신망

Claims (2)

  1. 유압설비로 가이드 롤러, 핀치롤러, 래퍼롤러 및 고속 쉐어를 포함하는 열연 다운 코일러의 유압설비를 제어하는 유압 제어 설비를 진단하는 시스템이 운전자가 하기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와 유압설비의 제어를 위한 운전 정보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HMI; 하기 전용콘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유압설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CPU; 각각의 유압설비를 제어하는 다수의 전용콘트롤러; 하기 감지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의 신호를 변환하는 AMP; 및 유압설비에 설치된 서보밸브, 압력전송기, 압력스위치 및 온도센서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CPU는 고속 스캔기능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로거를 구비하여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집하여 DB화하고, 데이터로거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어 유압설비의 오류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각각을 제조한 복수의 제조사들의 서버로, 각각의 제조사별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의 규격정보와, 유지관리 규격정보, 센서 정보가 관리되는 복수의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각각으로부터 유압설비 운용정보를 수집하되,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복수의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복수의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및 금융사 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01)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설치한 공장을 포함하는 설치사와 유압설비를 제조하는 제조사 중 회원가입된 회원사의 회원사명, 회원사 연락처, 담당자 연락처, 사업장위치를 저장하는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와, 상기 유압설비를 생산하는 제조사의 유압설비 규격정보, 유압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번호 정보, 유압설비를 설치한 설치위치, 설치회사명, 설치일, 점검일, 교체일 정보가 포함되는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와, 제조사별 수집된 유압설비의 규격정보와, 유압방식에 따른 성능과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가성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각각의 관리자의 성함, 전화번호, PC 식별 정보, 스마트폰 정보가 저장되는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운용 정보를 수집하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에서 수집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한 운용정보를 분석하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에서 검출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수집하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경우 해당 이상상황에 대하여 구축된 interlock 시스템을 통해 비상정지, 싸이렌, 경광등, 전원 차단의 조치를 수행하도록 하는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통보하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를 상기 통신부(401)를 통해 각각의 유압설비의 관리자 PC와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여 유압설비를 설치한 회사와 제조사에서 해당 정보를 토대로 유압설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운용하면서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에 대하여 규격별로 분석하는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와, 상기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에서 분석된 정보를 회원사로 전송하는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와, 상기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에서 분석된 정보를 전송받은 제조사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정보를 수집하는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에서 수집된 최적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과 복수의 제조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이나, 이상상황 발생 시 조치에 대하여 서로 간에 미리 설정된 금액으로 과금을 수행하는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데이터를 판매하는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에서 판매한 유압설비에 대하여 회원사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하는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 및 상기 통신부(401),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 및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를 제어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 및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에서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를 관리하면서 발생되는 관리비용과, 유압설비의 최적화 및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판매시 공정한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상기 금융사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2. 청구항 1의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으로,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 복수의 유압설비 제조사 서버(200), 복수의 유압설비 관리 단말기(300) 및 금융사 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01)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설치한 공장을 포함하는 설치사와 유압설비를 제조하는 제조사 중 회원가입된 회원사의 회원사명, 회원사 연락처, 담당자 연락처, 사업장위치를 저장하는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와, 상기 유압설비를 생산하는 제조사의 유압설비 규격 정보, 유압설비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번호 정보, 유압설비를 설치한 설치위치, 설치회사명, 설치일, 점검일, 교체일 정보가 포함되는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와, 제조사별 수집된 유압설비의 규격정보와, 유압방식에 따른 성능과 가격정보를 수집하여 가성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각각의 관리자의 성함, 전화번호, PC 식별 정보, 스마트폰 정보가 저장되는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운용 정보를 수집하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에서 수집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한 운용정보를 분석하는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검출하는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와, 상기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에서 검출된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서의 이상상황을 수집하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경우 해당 이상상황에 대하여 구축된 interlock 시스템을 통해 비상정지, 싸이렌, 경광등, 전원 차단의 조치를 수행하도록 하는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에 대하여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통보하는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를 상기 통신부(401)를 통해 각각의 유압설비의 관리자 PC와 제조사 서버로 전송하여 유압설비를 설치한 회사와 제조사에서 해당 정보를 토대로 유압설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을 운용하면서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운용 정보와,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수집된 이상상황의 분석정보에 대하여 규격별로 분석하는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와, 상기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에서 분석된 정보를 회원사로 전송하는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와, 상기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에서 분석된 정보를 전송받은 제조사로부터 새롭게 업데이트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정보를 수집하는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에서 수집된 최적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와, 상기 복수의 유압제어진단 시스템(100)과 복수의 제조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간이나, 이상상황 발생 시 조치에 대하여 서로 간에 미리 설정된 금액으로 과금을 수행하는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유압설비의 최적화 데이터를 판매하는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와,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에서 판매한 유압설비에 대하여 회원사간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하는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 및 상기 통신부(401),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 유압설비 규격별 운용정보 분석부(413), 규격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4),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 및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를 제어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의 상기 통신부(401)를 통해 유압설비 및 유압제어설비 회원사가 모집되어 상기 유압설비 회원사 정보 저장부(402)에 저장되고(S100), 모집된 회원사별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규격정보가 상기 제조사별 유압설비 규격정보 수집부(403)에 수집되며, 상기 유압설비 규격정보 분류부(404)에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유압설비 관리자 데이터 저장부(405)에 관리자 정보가 수집되고 분류되어 저장되는 단계(S110)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수집부(406)에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의 운용정보를 수집되고,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되는 단계(S120);
    상기 유압설비 운용 정보 분석부(407)에서 분석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의 이상이 상기 유압설비 운용 이상 검출부(408)에서 검출되고,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수집부(409)에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의 이상이 수집되며, 이상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유압설비 원격 제어부(410)에서 원격제어가 수행되고, 상기 유압설비 이상정보 관리자 통보부(411)에서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으로 통보되는 단계(S13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의 상기 유압설비 운용정보 회원사 전송부(412)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별 회원사 서버로 해당 유압설비의 식별정보와 함께 통보하는 단계(S14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의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정보 수집부(415)는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운용정보를 전송받은 회원사 PC나 서버로부터 운용정보를 통보한 식별번호 정보를 통해 최적화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 정보가 상기 통신부(401)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수집하고,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에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S150);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의 상기 회원사 유압설비 관리 금액 과금부(417)는 미리 설정된 기간과 규약에 따라 유압설비 관리 금액을 과금하고, 상기 통신부(401)를 통해 금융사 서버(500)로 전송되어 상기 금융사 서버(500)를 통해 유압설비 설치 회사로 청구되는 단계(S160); 및
    상기 유압제어진단 시스템 운용 서버(400)의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 데이터 판매부(418)를 통해 상기 유압설비별 최적화 데이터베이스(416)에 데이터베이스화한 유압설비와 유압제어설비에 대한 최적화 데이터 판매시 상기 판매금액 회원사 정산부(419)는 판매금액을 정산하고, 회원사에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정산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190094128A 2019-08-02 2019-08-02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07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28A KR102075930B1 (ko) 2019-08-02 2019-08-02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128A KR102075930B1 (ko) 2019-08-02 2019-08-02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930B1 true KR102075930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128A KR102075930B1 (ko) 2019-08-02 2019-08-02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9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49A (ko) 2000-12-26 2002-07-04 이구택 다운코일러의 조업데이터 감시 및 분석방법
KR100340492B1 (ko) 1997-05-27 2002-11-2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다운코일러에서 단차회피제어(Quick Open Control)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595549B1 (ko) * 2015-04-22 2016-02-22 김광우 진단지식교류서비스 연계형 설비진단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597743B1 (ko) * 2015-11-12 2016-02-25 (주)경성하이테크 유압설비 제어 시스템
KR101786255B1 (ko) 2015-12-22 2017-10-18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492B1 (ko) 1997-05-27 2002-11-2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다운코일러에서 단차회피제어(Quick Open Control)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20052549A (ko) 2000-12-26 2002-07-04 이구택 다운코일러의 조업데이터 감시 및 분석방법
KR101595549B1 (ko) * 2015-04-22 2016-02-22 김광우 진단지식교류서비스 연계형 설비진단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1597743B1 (ko) * 2015-11-12 2016-02-25 (주)경성하이테크 유압설비 제어 시스템
KR101786255B1 (ko) 2015-12-22 2017-10-18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1649B (zh) 一种电源智能诊断系统及保护方法
US10732619B2 (en) Method for monitoring driving unit of car body assembly line, and device therefor
EP3085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system faults
TWI646846B (zh) 製造裝置連線維護系統及其方法
US20200027339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dictive Maintenance of a Textile Machine
CN102107224B (zh) 热轧生产中判断测厚仪和热轧板厚度异常的方法
CN110244666B (zh) 生产线监视装置、生产线监视系统、生产线监视方法
CN107541597B (zh) 连续退火机组均热炉的带钢跑偏监测与诊断方法及系统
JP7199081B2 (ja) 生産管理装置、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産管理方法
CN111522329A (zh) 一种工业机器人故障诊断方法
CN115238829B (zh) 一种热轧机的轧辊磨损程度分析方法
KR20210012200A (ko) 환경시험 장비의 성능이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27888B1 (ko) 스마트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102075930B1 (ko) 유압제어설비 진단에 따른 최적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20013005A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376976B (zh) 一种用于管道生产的品质闭环控制方法
KR102111854B1 (ko) 센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생산설비 관리 시스템
WO2019016892A1 (ja) 品質分析装置及び品質分析方法
KR101560838B1 (ko) 열간압연기의 수직 정렬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CN114693466B (zh) 一种基于大数据对制造企业运行的监控方法及监控装置
CN113551764B (zh) 振动分析设备及其方法
KR101863047B1 (ko) 실시간 로봇의 키오스크 타입 용접품질판정 장치
Shin et al. Development of smart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for tandem cold rolling mills in iron and steel manufacturing processes (ICCAS 2018)
CN106771729A (zh) 一种继电保护设备风险评估系统及方法
CN111932405A (zh) 配电状态的确定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