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411B1 -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411B1
KR102075411B1 KR1020180041569A KR20180041569A KR102075411B1 KR 102075411 B1 KR102075411 B1 KR 102075411B1 KR 1020180041569 A KR1020180041569 A KR 1020180041569A KR 20180041569 A KR20180041569 A KR 20180041569A KR 102075411 B1 KR102075411 B1 KR 10207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older
connector
wire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51A (ko
Inventor
오승찬
Original Assignee
오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찬 filed Critical 오승찬
Priority to KR102018004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4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87Arc welding usin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2Electrode holders not supplying shielding means to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는: 용접봉을 잡아주어 작업대상물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홀더와, 용접홀더에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용접기본체와, 용접기본체에서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2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작업대상물에 연결되는 접지홀더와, 용접홀더에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일시 중지 또는 휴식을 위해 용접홀더에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전기공급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ELECTRIC ON/OFF DEVICE FOR WELDING}
본 발명은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홀더에 레버식 접촉스위치를 구비하여 온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일시 정지 또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접속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작업대상물에 용접봉이 닿아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용접봉이 닿아 감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연결 및 고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교류 아크 용접기를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아크 용접 작업시에는 용접기에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용접홀더에 용접봉을 고정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의 용접홀더는 케이블연결부가 전선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고 손잡이를 잡으면 코일스프링이 수축하며 전극고정구이 벌어지고 용접봉을 물린 후 용접을 시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용접홀더를 사용하여 용접을 할 경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용접 전극에 닿아 감전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손이 땀에 현저히 젖어 있거나, 용접봉의 피복이 불량일 때 전기 쇼크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용접 후 홀더를 바닥에 놓을 때 홀더가 음극선이 연결된 금속에 닿게 되면 작업자가 원치 않는 스파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시력의 감퇴와 제품손상을 불러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용접작업을 마쳤을 때. 용접봉을 빼놓거나 홀더를 용접보호구나 어떤 거치대에 걸어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부득이하게 용접봉을 홀더에 결합한 채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위험성이 존재한다. 기존의 기계자체에 설치된 전격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그리고, 가 용접 작업에 있어 기존의 전격방지장치는 작업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21485호(2009.10,06, 발명의 명칭: 용접봉 홀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용접홀더에 레버식 접촉스위치를 구비하여 온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일시 정지 또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접속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작업대상물에 용접봉이 닿아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용접봉이 닿아 감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는, 용접봉을 잡아주어 작업대상물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홀더; 상기 용접홀더에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용접기본체; 상기 용접기본체에서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2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작업대상물에 연결되는 접지홀더; 및 상기 용접홀더에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일시 중지 또는 휴식을 위해 상기 용접홀더에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전기공급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홀더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젖힘부재; 상기 젖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젖힘부재를 벌려주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젖힘부재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용접봉을 물어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공급차단부는, 상기 용접홀더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접촉스위치; 상기 접촉스위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온/오프 작동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에 결합되는 작동부재; 상기 접촉스위치에 마련된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1전선; 및 상기 접촉스위치에 마련된 제2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2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선은 용접기본체를 거쳐 상기 전원공급부의 다른 하나의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선은 용접기본체를 거쳐 상기 제2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누름 또는 누름해제 동작을 통해 상기 접촉스위치를 온오프시키므로 상기 용접홀더에 물린 용접봉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은 제1외피부재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제1.제2전선를 포함하는 상기 제1외피부재와 상기 제1케이블은 제2외피부재에 의해 일체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전선은 상기 용접기본체에 커넥터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용접기본체에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단자부가 형성되는 고정커넥터; 상기 고정단자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전선이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되는 접속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커넥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커넥터를 상기 고정커넥터에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스위치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재에서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접촉스위치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의 일측에서 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는, 용접홀더에 레버식 접촉스위치를 구비하여 온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일시 정지 또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접속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작업대상물에 용접봉이 닿아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용접봉이 닿아 감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외피부재와 제2외피부재를 이용하여 제1,제2전선 및 제1케이블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부를 이용하여 용접기본체에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용접홀더와 전기공급차단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손잡이부재에서 전기공급차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손잡이부재에서 전기공급차단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블과 제1,제2전선이 제1,제2외피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접촉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커넥터부의 분해 및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용접홀더와 전기공급차단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손잡이부재에서 전기공급차단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의 손잡이부재에서 전기공급차단부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블과 제1,제2전선이 제1,제2외피부재에 의해 결합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접촉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에서 커넥터부의 분해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는, 용접홀더(100), 용접기본체(200), 접지홀더(300) 및 잔기공급차단부(400)를 포함한다.
용접홀더(100)는 용접봉을 잡아주어 작업대상물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때, 용접봉과 작업대상물은 일반ㅇ적인 구성이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도록 한다.
용접홀더(100)는 용접봉을 집게 형태로 잡아주어 고정시킨 후 전기를 통전시켜 전기 저항을 통한 아크(arc)를 발생시키므로 용접봉을 녹여 작업대상물의 용접부위에 금속을 융착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용접홀더(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110)와, 손잡이부재(11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20)와, 지지부재(120)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젖힘부재(130)와, 젖힘부재(130)와 지지부재(120)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120)에 대해 젖힘부재(130)를 벌려주는 탄성부재(140)와, 지지부재(120)와 젖힘부재(130)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부재(140)를 통해 용접봉을 물어 고정하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재(110)는 중심을 기준으로 분리 가능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상호 체결된다.
손잡이부재(1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절연성을 갖는다.
지지부재(120)는 금속재로서 용접기본체(200)에서 인출되어 연결된 제1케이블(210)이 연결된다.
지지부재(120)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20)는 결합력향상부에 의해 손잡이부재(110)와의 결합을 도와줄 수 있다.
결합력향상부는 손잡이부재(110)의 내측 둘레 또는 지지부재(120)의 외측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부와, 장착돌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지지부재(120)의 외측 둘레 또는 손잡이부재(110)의 내측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돌부가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120)는 손잡이부재(110)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장착홈부를 지지부재의 외측 둘레에 형성하고, 장착돌부를 손잡이부재(110)의 내측 둘레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탄성부재(130)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도록 한다. 물론, 탄성부재(130)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재(150)에는 용접봉의 양측면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삼각형을 포함한 요철형상의 돌기가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용접기본체(200)는 용접홀더(100)에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1케이블(210)이 연결되고, 전원공급부(220)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용접기본체(200)는 컨트롤박스일 수 있다.
용접기본체(100) 내에는 기판부(230)가 형성된다.
기판부(230)에는 전원공급부(220)의 전원선, 제1케이블(210), 제2케이블(310), 제1전선(440), 제2전선(450) 등이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지홀더(300)는 용접기본체(200)에서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2케이블(310)의 단부에 구비되고, 작업대상물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접지홀더(30)는 집게 형상으로 구성되어 작업대상물의 소정 위치에 연결 설치된다. 이로써, 용접홀더(100)에 고정된 용접봉이 작업대상물에 접촉되는 순간 전기 저항에 의한 아크가 발생되면서 용접부위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용접홀더(100)를 이용하여 작업대상물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일시 휴식 또는 정지를 하고자 하는 경우, 용접봉을 작업대상물에 접속시키지 않아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실수로 용접봉을 작업대상물에 스치는 경우, 작업대상물 표면에 의도하지 않게 용접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작업대상물을 페기 처리해야 하는 분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시 정지 및 휴식 중에는 용접봉에 전기 공급을 일시 차단하는 전기공급차단부(400)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전기공급차단부(400)는 용접홀더(100)에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일시 중지 또는 휴식을 위해 용접홀더(100)에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전기공급차단부(400)는, 용접홀더(10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110)에 설치되는 접촉스위치(410)와, 접촉스위치(410)의 누름버튼(414)을 가압하여 온/오프 작동하도록 손잡이부재(110)에 결합되는 작동부재(420)와, 접촉스위치(410)에 마련된 제1연결단자(412)에 연결되는 제1전선(440)과, 접촉스위치(410)에 마련된 제2연결단자(414)에 연결되는 제2전선(440)을 포함한다.
제1전선(430)은 용접기본체(200)를 거쳐 전원공급부(220)의 다른 하나의 전선과 연결되고, 제2전선(440)은 용접기본체(200)를 거쳐 제2케이블(310)과 연결되어 작동부재(420)의 누름 또는 누름해제 동작을 통해 접촉스위치(410)를 온오프시키므로 용접홀더(100)에 물린 용접봉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부재(420)는 손잡이부재(410)에 회전부(422)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다.
누름버튼(416)에는 복귀스프링(418)이 설치되어 눌려진 작동부재(420)를 원상 복귀시키도록 작동부재(4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스프링(418)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제1전선(430)과 제2전선(440)은 제1외피부재(45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1.제2전선(430)(440)을 포함하는 제1외피부재(450)와 제1케이블(210)은 제2외피부재(460)에 의해 일체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외피부재(460)는 용접홀더(100)와 용접기본체(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기본체(200)의 진입측에서 제1외피부재(450)의 제1,제2전선(430)(440)과, 제1케이블(210)이 분리되어 용접기본체(200)에 각각 연결된다.
제1,제2전선(430)(440)은 용접기본체(200)에 커넥터부(480)를 통해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부(480)는, 용접기본체(200)에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단자부(483)가 형성되는 고정커넥터(482)와, 고정단자부(483)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부(485)가 형성되고, 제1,제2전선(430)(440)이 접속단자부(485)에 연결되는 접속커넥터(484)와, 접속커넥터(484)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커넥터(482)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접속커넥터(484)를 고정커넥터(482)에 결속하는 결속부재(48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자부(483)는 돌기 또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고정단자부(483)를 돌기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접속단자부(485)는 홀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접속단자부(485)를 홀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고정커넥터(482)와 접속커넥터(484)는 위치결정안내부(490)에 의해 결합위치가 정해지면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위치결정안내부(590)는 고정커넥터(48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제1위치안내부(492)와, 제1위치안내부(492)가 결합되도록 접속커넥터(484)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2위치안내부(4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안내부(492)는 고정커넥터(48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로 도시하도록 한다.
제2위치안내부(494)는 접속커넥터(484)의 외측면에 함몰 형성된 안내홈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고정커넥터(482)와 접속커넥터(484)를 상호 결합할 때, 제2위차안내부(494)인 안내홈이 제1위치안내부(492)인 안내돌기에 삽입됨으로써, 접속커넥터(484)는 고정커넥터(482)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스위치(410)는 착탈부(500)에 의해 손잡이부재(110)에서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착탈부(500)는, 접촉스위치(410)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510)와, 관통홀부(51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손잡이부재(110)의 일측에서 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5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재(110)는 분리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손잡이부재(110)의 내측면에는 제1케이블(210)과 접속스위치(410), 제1전선(430), 제2전선(440)을 분리하도록 격벽부(60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600)는 제1케이블(210)과 제1,제2전선(430)(440) 간에 접속으로 인한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는, 용접홀더에 레버식 접촉스위치를 구비하여 온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일시 정지 또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접속스위치를 오프시켜 전기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작업대상물에 용접봉이 닿아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용접봉이 닿아 감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외피부재와 제2외피부재를 이용하여 제1,제2전선 및 제1케이블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부를 이용하여 용접기본체에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용접홀더 110 : 손잡이부재
110 : 지지부재 120 : 젖힘부재
130 : 탄성부재 140 : 고정부재
200 : 용접기본체 210 : 제1케이블
230 : 기판부 300 : 접지홀더
310 : 제2케이블 400 : 전기공급차단부
410 : 접촉스위치 412 : 제1연결단자
414 : 제2연절단자 416 : 누름버튼
420 : 작동부재 422 : 회전부
430 : 제1전선 440 : 재2전선
450 : 제1외피부재 460 : 제2외피부재
480 : 커넥터부 482 : 고정커넥터
483 : 고정단자부 484 : 접속커넥터
485 : 접속단자부 486 : 결속부재
490 : 위치결정안내부 492 : 제1위치안내부
494 : 제2위치안내부 500 : 착탈부
510 : 관통홀부 520 : 돌기부
600 : 격벽부

Claims (8)

  1. 용접봉을 잡아주어 작업대상물에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용접홀더;
    상기 용접홀더에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는 용접기본체;
    상기 용접기본체에서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제2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고, 작업대상물에 연결되는 접지홀더; 및
    상기 용접홀더에 전기를 공급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일시 중지 또는 휴식을 위해 상기 용접홀더에 전기공급을 차단하는 전기공급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공급차단부는,
    상기 용접홀더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접촉스위치;
    상기 접촉스위치의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온/오프 작동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에 결합되는 작동부재;
    상기 접촉스위치에 마련된 제1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1전선; 및
    상기 접촉스위치에 마련된 제2연결단자에 연결되는 제2전선;을 포함하며,
    커넥터부는,
    상기 용접기본체에 설치되고, 한 쌍의 고정단자부가 형성되는 고정커넥터;
    상기 고정단자부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제2전선이 상기 접속단자부에 연결되는 접속커넥터; 및
    상기 접속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커넥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접속커넥터를 상기 고정커넥터에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커넥터와 상기 접속커넥터는 위치결정안내부에 의해 결합위치가 정해지면서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위치결정안내부는,
    상기 고정커넥터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험몰 형성되는 제1위치안내부; 및
    상기 제1위치안내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접속커넥터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또는 돌출 형성되는 제2위치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재는 분리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촉스위치, 상기 제1전선, 상기 제2전선을 상기 제1케이블과 분리하도록 격벽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홀더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에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젖힘부재;
    상기 젖힘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젖힘부재를 벌려주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젖힘부재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용접봉을 물어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은 상기 용접기본체를 거쳐 상기 전원공급부의 다른 하나의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전선은 상기 용접기본체를 거쳐 제2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누름 또는 누름해제 동작을 통해 상기 접촉스위치를 온오프시키므로 상기 용접홀더에 물린 용접봉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선과 상기 제2전선은 제1외피부재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제1.제2전선를 포함하는 상기 제1외피부재와 상기 제1케이블은 제2외피부재에 의해 일체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선은 상기 용접기본체에 커넥터부를 통해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6. 삭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위치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재에서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접촉스위치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재의 일측에서 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KR1020180041569A 2018-04-10 2018-04-10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KR10207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69A KR102075411B1 (ko) 2018-04-10 2018-04-10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569A KR102075411B1 (ko) 2018-04-10 2018-04-10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51A KR20190118351A (ko) 2019-10-18
KR102075411B1 true KR102075411B1 (ko) 2020-03-02

Family

ID=6846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569A KR102075411B1 (ko) 2018-04-10 2018-04-10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13B1 (ko) * 2021-03-25 2021-07-30 홍성숙 아크 용접봉 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2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토오치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897Y1 (ko) * 1985-03-19 1987-12-05 정형 전기 용접기의 무부하전압 차단장치
KR20100120562A (ko) * 2009-05-06 2010-11-16 주식회사 동주웰딩 토치 안전 수단을 구비하는 수동 용접용 토치의 토치 손잡이
KR20120126204A (ko) * 2011-05-11 2012-11-21 (주)이앤이코리아 아크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442Y1 (ko) * 1996-03-08 1999-06-15 최기환 용접기의 토오치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13B1 (ko) * 2021-03-25 2021-07-30 홍성숙 아크 용접봉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51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620B2 (en) Hand tool with stripping and shearing functions
KR102075411B1 (ko) 용접용 전기공급 온오프장치
JP4990025B2 (ja) 万能把持スティック
KR102017687B1 (ko) 아크 용접봉 홀더
JP2020065418A (ja) スリーブカバー
CN210378953U (zh) 一种熔断器
JP2015074553A (ja) テープ切断具
JP2013055812A (ja) 先端工具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TWM548159U (zh) 膠帶台
JP2012039750A (ja) 電線被覆剥離用工具
KR20090008306U (ko) 전기 용접기용 접지장치
US2128799A (en) Electrode holder
JP2010130767A (ja) 接地短絡器具
WO2018225499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動工具システム、及び電動工具
JP2016022576A (ja) 延長ハンドル付きの手持ち式電動工具及び手持ち式電動工具用の延長ハンドル
TWM566428U (zh) Wire processing device
CN215848324U (zh) 一种绝缘纸剪槽刀片
KR102284113B1 (ko) 아크 용접봉 홀더
CN219937810U (zh) 一种低压线路带电驳接的剥线器
KR200184378Y1 (ko) 용접봉 홀더장치
US20220055200A1 (en) Hand-held tool and sheath part for a hand-held tool
US2722588A (en) Electrode holder
KR20180127016A (ko) 전선 피복의 부분 탈피장치
KR101352268B1 (ko) 아크 용접용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