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82B1 -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 Google Patents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82B1
KR102074382B1 KR1020180044742A KR20180044742A KR102074382B1 KR 102074382 B1 KR102074382 B1 KR 102074382B1 KR 1020180044742 A KR1020180044742 A KR 1020180044742A KR 20180044742 A KR20180044742 A KR 20180044742A KR 102074382 B1 KR102074382 B1 KR 10207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isturizing
plow
adjusting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891A (ko
Inventor
김종규
최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웅
Priority to KR102018004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보습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한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복수의 술부재;,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보습;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한쪽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습의 뒤쪽에 설치되어 지면을 수평으로 눌러 보습 포인트가 계속 땅을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는 바닥쇠; 상기 프레임과 바닥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쇠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는 경심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심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로막대와, 상기 가로막대와 각각의 바닥쇠에 양쪽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막대와, 상기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가로막대의 각도를 조정하여 유지하는 각도조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Plow with Controlling Structure of Plowing Depth}
본 발명은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습의 경심 깊이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쟁기는 논이나 밭을 가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이며, 흙을 파는 넓은 날인 보습, 고랑의 뒤엎는 볏, 보습의 뒤쪽 옆면에 설치되고 갈아 엎을 때 발생하는 측면 압력을 흡수하는 지측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다수개의 쟁기를 일체로 연결하고 트랙터 등의 주행장치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견인식 쟁기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1066047호, 제10-0389714호, 제10-037541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7674호, 제10-2014-0058776호, 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5239호, 제20-1991-0003051호, 제20-1983-0001958호 등에는 견인식 쟁기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쟁기의 경우에는 땅의 토질 및 심고자 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보습이 땅에 파고드는 깊이인 경심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쟁기는 조절된 보습의 경심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경우, 쟁기질에 의해 일으켜진 흙덩이를 부수어 바닥을 평평하게 고르는데 사용되는 케이지 롤러(Cage Roller)를 연결 설치하고, 케이지 롤러가 땅에 접하는 것에 의하여 보습의 경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그런데, 케이지 롤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습의 경심을 조절할 때에 케이지 롤러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작동을 구현하여야 하지만, 케이지 롤러의 승강 작동에 구조적인 제한이 있어 자유롭지 않으며, 케이지 롤러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매번 연결핀을 분리하고 체결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케이지 롤러의 제조원가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보습 부위에 볏귀 또는 수평판을 설치하여 보습의 경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보습의 경심을 조절하기 위해 경사조절구조를 견인식 쟁기에 설치하기도 한다.
종래의 견인식 쟁기에 설치되는 경사조절구조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습의 경사각을 조절하기에도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바닥쇠 조정를 개별로 일일이 하여야 하고, 작업 중에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중지하고 조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6047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89714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7541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보습을 각도조정부재의 길이 조정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동시에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한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중 작업지의 조건(무른땅, 마른띵, 토질 등)에 알맞게 언제든지 운전석에서 각도조정부재의 길이 조정을 통해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복수의 술부재;,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보습;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한쪽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습의 뒤쪽에 설치되어 지면을 수평으로 눌러 보습 포인트가 계속 땅을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는 바닥쇠; 상기 프레임과 바닥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쇠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는 경심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심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로막대와, 상기 가로막대와 각각의 바닥쇠에 양쪽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막대와, 상기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가로막대의 각도를 조정하여 유지하는 각도조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막대에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를 상기 프레임쪽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돌출하는 경사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끝부분을 상기 경사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가로막대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조정부재는 왕복실린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각도조정구멍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막대,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턴버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지지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막대의 중앙부분에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연결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각도조정부재의 양쪽 끝부분을 상기 지지브래킷 및 연결브래킷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쇠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쇠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을 통하여 상기 술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쇠에는 본체의 중앙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상으로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편의 반대쪽 끝부분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보강편을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쇠의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편의 상기 바닥쇠쪽에 연결되는 끝부분을 대략 "L"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수평부 끝부분에 상기 각도조절장치의 세로막대 하단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세로막대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길이조정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로막대와 바닥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세로막대는 턴버클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의하면,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각도조정부재 길이를 변경시킴에 따라 가로막대가 상기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세로막대가 상기 바닥쇠를 승강시키게 되므로, 상기 보습의 하단과 바닥쇠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심을 작업지의 조건에 알맞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각도조정부재를 왕복실린더로 구성하면, 작업 중에서 운전석에서 간단하게 작동버튼이나 작동레버의 조작을 통해 왕복실린더의 길이 조절에 의하여 경심을 작업지의 조건(무른 땅, 마른 땅, 토질 등)에 맞추어 원하는 깊이로 언제든지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특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의하면,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각도조정부재의 길이를 변경시킴에 따라 상기 가로막대에 연결된 복수의 가로막대의 높이가 함께 승강되므로, 간단하게 동시에 복수의 보습의 경심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의하면, 상기 세로막대의 상기 바닥쇠와 연결되는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습의 경심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원하는 대로 경심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케이지 롤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있어서,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있어서, 바닥쇠의 높이를 최고로 높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에 있어서, 바닥쇠의 높이를 최저로 낮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쇠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복수의 술부재(20)와, 보습(30)과, 바닥쇠(40)와, 경심조절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술부재(20)는 상기 프레임(10)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술부재(20)는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10)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보습(30)은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습(30)의 위쪽에 볏부재(3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보습(30)의 뒤쪽으로 지측판(36)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측판(36)은 상기 술부재(20)의 양쪽에 배치하여 한쌍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보습(30)은 흙을 파는 역할을 수행하고, 볏부재(34)는 고랑을 뒤엎는 역할을 수행하고, 지측판(36)은 갈아 엎을 때 생기는 측압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술부재(20)와 보습(30)을 2열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제1프레임(12)과 제2프레임(16)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제1프레임(12)과 제2프레임(16)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4)은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쇠(40)는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 한쪽이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바닥쇠(40)는 보습(30)의 뒤쪽에 설치되어 지면을 수평으로 눌러 보습 포인트가 계속 땅을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쇠(40)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쇠(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48)을 통하여 상기 술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바닥쇠(40)에는 본체(42)의 중앙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상으로 고정브래킷(44)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편(48)의 반대쪽 끝부분을 상기 고정브래킷(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연결편(48)의 양쪽 끝부분에는 핀구멍(49)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44)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4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연결편(48)의 반대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핀구멍(49)과 상기 고정브래킷(44)에 형성되는 핀구멍(45)을 관통하여 연결핀을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 본체(42)는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지면과 평면으로 접촉하도록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쇠(40)는 상기 연결편(48)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보강편(50)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강편(5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쇠(40)의 고정브래킷(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강편(50)의 양쪽 끝부분에는 핀구멍(52), (5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래킷(44)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핀구멍(4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보강편(50)에 형성되는 핀구멍(53)과 상기 고정브래킷(44)에 형성되는 핀구멍(46)을 관통하여 연결핀을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편(48)과 보강편(50)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바닥쇠(40)를 설치하면, 상기 연결편(48)과 보강편(50)이 상기 술부재(20)에 고정된 끝부분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 저면은 항상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면과의 높이가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쇠(40) 본체(42)의 저면 전체가 동시에 지면과 접하며 땅속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보습(30)이 땅속으로 삽입되는 깊이인 경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경심조절장치(60)는 상기 프레임(10)과 바닥쇠(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경심조절장치(60)는 상기 바닥쇠(40)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경심조절장치(60)는 가로막대(62)와, 복수의 세로막대(80)와, 각도조정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막대(62)는 상기 프레임(10)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로막대(62)에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64)를 상기 프레임(10)쪽으로 돌출시켜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에는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돌출하는 경사브래킷(94)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재(64)의 끝부분을 상기 경사브래킷(9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가로막대(62)가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간격유지부재(64)의 끝부분에 핀구멍(65)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브래킷(94)에도 핀구멍(95)을 형성하고, 상기 핀구멍(65)과 핀구멍(95)을 관통하여 연결핀을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간격유지부재(64)와 경사브래킷(94)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세로막대(80)는 상단 끝부분을 상기 가로막대(6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세로막대(80)의 상단 끝부분에도 핀구멍(8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세로막대(80)는 상기 술부재(2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기 가로막대(62)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세로막대(80)의 하단 끝부분은 각각 상기 바닥쇠(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세로막대(80)의 하단 끝부분을 상기 바닥쇠(40)의 고정브래킷(4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편(50)의 상기 바닥쇠(40)쪽에 연결되는 끝부분을 대략 "L"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보강편(50)의 수평부 끝부분에 상기 경심조절장치(60)의 세로막대(80) 하단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조정부재(70)는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가로막대(62)의 각도를 조정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정부재(70)는 왕복실린더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왕복실린더를 이용하여 각도조정부재(70)를 구성하면, 왕복실린더를 전후진 작동함에 따라 연결되는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조정부재(74)를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턴버클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턴버클을 이용하여 각도조정부재(74)를 구성하면, 턴버클을 작동함에 따라 연결되는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도조정부재(78)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각도조정구멍(77)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막대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조정부재(78)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쪽에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7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정구멍(77)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막대를 이용하여 각도조정부재(78)를 구성하면, 상기 가로막대(62)쪽에 연결되는 각도조정구멍(77)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체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 중앙부분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지지브래킷(92)을 설치한다.
또, 상기 가로막대(62)의 중앙부분에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연결브래킷(66)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정부재(70), (74), (78)의 양쪽 끝부분을 상기 지지브래킷(92) 및 연결브래킷(66)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결브래킷(66)에도 핀구멍(67)을 형성하여 상기 각도조정부재(70), (74), (78)의 하단부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심조절장치(60)의 세로막대(80)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길이조정구멍(83)을 형성하여 상기 가로막대(62)와 바닥쇠(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심조절장치(60)의 세로막대는 턴버클(86)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턴버클(86)을 이용하여 세로막대를 구성하면, 턴버클(86)을 작동함에 따라 세로막대의 길이를 변경하여 상기 가로막대(62)와 바닥쇠(4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쇠(40)에는 본체(42)의 선단부분에 경사지게 세워지는 형상으로 제1 고정브래킷(44‘)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고정브래킷(44‘)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본체(42)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상으로 제2 고정브래킷(44“)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브래킷(44‘)은 상기 술부재(2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44“)은 세로막대(80)의 하단부에 있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길이조정구멍(83)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경심의 깊이를 깊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심조절장치(60) 각도조정부재(7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작동시켜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정부재(70)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가로막대(62)에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쪽으로 잡아당겨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64)가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에 연결된 핀구멍(6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로막대(62)가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막대(62)가 위쪽으로 회전하면, 세로막대(80)가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에 위쪽으로 상승시키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편(48)과 보강편(50)이 상기 술부재(20)에 고정된 끝부분을 중심으로 함께 위쪽으로 회전(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는 저면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5에는 상기와 같이 작동하여 바닥쇠(40)의 본체(42)가 지면으로부터 최고로 높은 위치(D)까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보습(30)의 하단 끝부분부터 바닥쇠(40) 본체(42)의 저면까지의 높이(D)가 경심의 깊이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경심의 깊이를 얕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심조절장치(60) 각도조정부재(7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작동시켜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정부재(70)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가로막대(62)에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쪽으로부터 멀어지게 미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64)가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에 연결된 핀구멍(6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로막대(62)가 상기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막대(62)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세로막대(80)가 아래쪽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에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는 힘을 작용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편(48)과 보강편(50)이 상기 술부재(20)에 고정된 끝부분을 중심으로 함께 아래쪽으로 회전(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는 저면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도 6에는 상기와 같이 작동하여 바닥쇠(40)의 본체(42)가 지면으로부터 최저로 낮아지는 위치(d)까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도조정부재(70), (74), (78)의 길이를 길게하거나 짧게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보습(30)의 하단과 바닥쇠(40)의 본체(42) 저면 사이의 높이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보습(30)의 경심을 용이하게 원하는 깊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가로막대(62)에 연결된 복수의 바닥쇠(40)의 본체(42) 높이가 동시에 함께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막대(80)의 상기 바닥쇠(40)와 연결되는 길이를 변경하면, 상기 바닥쇠(40)의 본체(42)의 높이가 변경되고, 상기 보습(30)의 경심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프레임(10)의 제1프레임(12)쪽에 설치된 술부재(20) 및 보습(30)에만 대응하여 경심조절장치(60)와 바닥쇠(40)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2프레임(16)쪽에 설치된 술부재와 보습에도 대응하여 경심조절장치(60)와 바닥쇠(4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는 3열 이상으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열마다 경심조절장치(60)와 바닥쇠(4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프레임, 12 - 제1프레임, 14 - 연결프레임, 16 - 제2프레임
20 - 술부재, 30 - 보습, 34 - 볏부재, 36 - 지측판, 40 - 바닥쇠
42 - 본체, 44 - 고정브래킷, 44' - 제1 고정브래킷, 44" - 제2 고정브래킷
45,46 - 핀구멍, 48 - 연결편, 49 - 핀구멍
50 - 보강편, 52,53 - 핀구멍, 60 - 경심조절장치, 62 - 가로막대
64 - 간격유지부재, 65 - 핀구멍, 66 - 연결브래킷, 67 - 핀구멍
70,74,78 - 각도조정부재, 77 - 각도조정구멍, 79 - 핀구멍
80 - 세로막대, 82 - 핀구멍, 83 - 길이조정구멍, 92 - 지지브래킷
94 - 경사브래킷, 95 - 핀구멍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복수의 술부재;,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보습;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한쪽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습의 뒤쪽에 설치되어 지면을 수평으로 눌러 보습 포인트가 계속 땅을 파고들지 못하도록 하는 바닥쇠;
    상기 프레임과 바닥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쇠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정하는 경심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심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로막대와, 상기 가로막대와 각각의 바닥쇠에 양쪽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막대와, 상기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가로막대의 각도를 조정하여 유지하는 각도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지지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막대의 중앙부분에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연결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각도조정부재의 양쪽 끝부분을 상기 지지브래킷 및 연결브래킷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쇠는 본체의 중앙부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상으로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고,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는 연결편을 통하여 상기 술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보강편을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술부재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반대쪽 끝부분은 상기 바닥쇠의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강편 또는 바닥쇠 고정브래킷에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세로막대 하단 끝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세로막대의 하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길이조정구멍을 이용하거나 상기 경심조절장치의 세로막대는 턴버클을 이용하여 상기 세로막대와 바닥쇠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KR1020180044742A 2018-04-18 2018-04-18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KR10207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42A KR102074382B1 (ko) 2018-04-18 2018-04-18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42A KR102074382B1 (ko) 2018-04-18 2018-04-18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91A KR20190121891A (ko) 2019-10-29
KR102074382B1 true KR102074382B1 (ko) 2020-03-18

Family

ID=6842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42A KR102074382B1 (ko) 2018-04-18 2018-04-18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6002A (ko) 2022-11-23 2024-05-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작업 차량용 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5Y1 (ko) 2006-01-13 2006-04-05 정길동 하우스용 심경 플라우
KR101398587B1 (ko) * 2010-08-17 2014-05-28 박기혁 트랙터용 쟁기의 높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62U (ko) * 1998-04-06 1999-11-05 서영춘 트랙터의 로타리쟁기에 부착된 보조쟁기
KR100375418B1 (ko) 2000-09-16 2003-03-17 성준태 쟁기틀의 보습 심경압 조절장치
KR100389714B1 (ko) 2000-11-07 2003-07-04 김종규 트랙터용 쟁기
KR20110031564A (ko) * 2009-09-21 2011-03-29 주식회사 세웅 트랙터용 다련 쟁기
KR101066047B1 (ko) 2010-11-09 2011-09-20 유한회사 웅진기계 농기계용 쟁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5Y1 (ko) 2006-01-13 2006-04-05 정길동 하우스용 심경 플라우
KR101398587B1 (ko) * 2010-08-17 2014-05-28 박기혁 트랙터용 쟁기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91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404A (en) Multiple unit turf aerator
KR102074382B1 (ko)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KR102032390B1 (ko) 다관절 링크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농기구
KR101056401B1 (ko) 트랙터용 쟁기장치
JP5678932B2 (ja) 畝成形装置
KR20150043619A (ko) 두둑형성용 배토기
JP3624211B2 (ja) 水田除草機
WO2003024193A1 (en) Subsoil tool
KR101174808B1 (ko) 트랙터용 써레
KR101398587B1 (ko) 트랙터용 쟁기의 높이 조절장치
JP6352093B2 (ja) 畦成形装置
KR102418204B1 (ko)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JP2004081173A (ja) 圃場用整地均平作業機
CN211267588U (zh) 一种农用平地机旋转式耕幅变位装置
KR20110082739A (ko) 승용농기계를 이용한 농경지 평탄화 장치
JP4046220B2 (ja) 農作業機
KR101781081B1 (ko) 폭조절이 가능한 감자파종기용 배토기
KR101661463B1 (ko) 자율 승강식 로터베이터를 갖는 파종기
KR102481492B1 (ko) 견인식 운동장 제초 및 평탄화 장치
CN205847882U (zh) 一种工作深度可调的中耕机
CN220830649U (zh) 犁地深松一体机
KR102651690B1 (ko) 트랙터용 써레
KR200445186Y1 (ko) 트랙터용 써레
CN217742154U (zh) 一种用于草莓大棚耕整作业的平垄机
KR20120007572U (ko) 쟁기날 높이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