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109B1 -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109B1
KR102074109B1 KR1020197004383A KR20197004383A KR102074109B1 KR 102074109 B1 KR102074109 B1 KR 102074109B1 KR 1020197004383 A KR1020197004383 A KR 1020197004383A KR 20197004383 A KR20197004383 A KR 20197004383A KR 102074109 B1 KR102074109 B1 KR 10207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power
orientation
conten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775A (ko
Inventor
파린 파텔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2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여 있는 동안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코일들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전송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기 센서들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자기장은 영구 자석들, 코일들과 분리된 전자석들, 또는 코일들의 어레이 내의 코일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소리 센서들, 광 센서들, 정전용량성 센서들, 근접 센서들, 및 기타 센서들과 같은 센서들이 또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및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이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대한 측방향 설정위치 및 배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어 콘텐츠가 다수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걸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되는, 2017년 6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616,292호, 및 2016년 8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377,2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들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충전 표면은 표면 상에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 전력을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무선 충전 표면의 무선 충전 표면 상에 올려 놓은 동안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예컨대, 무선 충전 매트, 무선 충전 퍽, 무선 충전 스탠드, 무선 충전 테이블과 같은 무선 충전 디바이스, 또는 기타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코일들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전송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기 센서들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자기장은 영구 자석, 코일들과 분리된 전자석, 또는 코일들의 어레이 내의 코일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소리 센서들, 광 센서들, 정전용량성 센서들, 근접 센서들, 힘 센서들, 및 기타 센서들과 같은 다른 센서들이 또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 및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자기 센서들 및 기타 센서들이 휴대용 디바이스들에 대한 측방향 설정위치 및 배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판독치는 무선 충전 표면 상의 한쌍의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 배향을 결정하고, 무선 충전 표면에 대한 디바이스 쌍의 각각의 상대적인 설정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디바이스들이 이동됨에 따라 회전 배향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로부터 디바이스 식별자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식별자들은 무선 충전 표면 상의 호환가능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공유되어 디바이스들이 무선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페어링되면, 충전 표면 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은 마스터 역할 및 슬레이브 역할에 배정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에 스트리밍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 배향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상의 콘텐츠의 제시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스터 디바이스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비디오가 절반으로 분할되어 각각 각자의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화면 보호기 또는 문서와 같은 콘텐츠가 충전 표면 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늘어날 수 있다. 충전 표면 상의 각각의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 각도 배향에 대한 정보가 고려되어 콘텐츠가 적절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무선 충전 표면 및 서로에 대한 위치 및 배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연관된 예시적인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측방향 설정위치 및 회전 배향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비디오 또는 기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가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어떻게 조정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다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조정하는 데 관련된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이다.
무선 전력 시스템은 무선 충전 매트, 무선 충전 퍽, 무선 충전 스탠드, 무선 충전 테이블, 또는 기타 무선 전력 전송 장비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교류 전자기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가질 수 있다. 코일들의 어레이가 무선 충전 표면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이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여 있을 때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비 내의 컴포넌트들 및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 내의 컴포넌트들은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의 무선 충전 표면 및 서로에 대한 위치 및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 각도 배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조정 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보호기, 비디오, 이미지, 문서, 또는 기타 콘텐츠가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들에 걸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는 콘텐츠의 각자의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들이 서로 인접한 경우, 콘텐츠의 제1 절반부는 수신 디바이스들 중 제1 수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1 절반부에 인접한 콘텐츠의 제2 절반부는 수신 디바이스들 중 제2 수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가 서로에 대하여 잘못 정렬되고/되거나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예시적인 구성들에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하나의 큰 이미지 또는 다른 시각적 콘텐츠의 제1 작은 부분 및 제2 작은 부분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이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센서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은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의 설정위치 및 배향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은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에 대하여 표현하는 정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콘텐츠는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 간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두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과 전력 전송 디바이스 간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에 기초하여, 및/또는 센서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수집된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전력 시스템(무선 충전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시스템(8)은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12)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 디바이스(12)는 독립형 전력 어댑터(예컨대, 무선 충전 매트, 퍽, 스탠드, 테이블, 또는 무선 충전 표면 역할을 하는 평면 유전체 층 아래에 장착된 전력 어댑터 회로부를 포함하는 기타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케이블로 전력 어댑터 또는 다른 장비에 결합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가구, 차량, 또는 기타 시스템에 통합된 장비일 수 있거나, 또는 기타 무선 전력 전달 장비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12)가 무선 충전 표면을 구비한 무선 충전 디바이스인 예시적인 구성들이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예로서 기재될 수 있다.
시스템(8) 내의 각각의 전력 수신 디바이스(1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예컨대, 손목시계, 셀룰러 전화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기타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전력 전송 디바이스(12)는 벽 콘센트(예컨대, 교류 전압의 공급원)에 결합될 수 있고,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8)와 같은 배터리를 가질 수 있고/있거나 다른 전력 공급원을 가질 수 있다. 전력 전송 디바이스(12)는 벽 콘센트로부터의 AC 전력 또는 다른 전원을 DC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 변환기(40)와 같은 AC-DC 전력 변환기를 가질 수 있다. DC 전력은 디바이스(12) 내의 제어 회로부(42) 및 기타 회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동작 동안, 제어 회로부(42) 내의 제어기는 전력 전송 회로부(34) 및 회로부(34) 내의 코일 어레이(36)와 같은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이용하여 교류 전자기 신호들(48)을 디바이스(10)에 전송하고, 그럼으로써 무선 전력을 전달하여 디바이스(10)의 수신 회로부(46)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전송 회로부(34)는 제어 회로부(42)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턴 온 및 오프되어 코일 어레이(36) 내의 하나 이상의 코일들을 통해 AC 전류 신호들을 생성하는 스위칭 회로부(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를 가질 수 있다. AC 전류가 코일 어레이(36)를 통과함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10) 내의 전력 수신 회로부(46)의 대응하는 코일(들)(14)에 의해 수신되는 교류 전자기장들(신호들(48))이 생성된다. 교류 전자기장이 코일(14)에 의해 수신될 때, 대응하는 교류 전류 및 전압이 코일(14)에 유도된다. 회로부(46) 내의 정류기 회로부(16)는 디바이스(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코일(들)(14)로부터의 수신된 AC 신호들(무선 전력 신호들과 연관된 수신된 교류 전류 및 전압)을 DC 전압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DC 전압은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컴포넌트들, 무선 회로, 오디오 컴포넌트, 및 기타 컴포넌트들(예컨대,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 및/또는 제어 회로부(20))과 같은 디바이스(10) 내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배터리(18)와 같은 디바이스(10) 내의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 10)은 제어 회로부(42, 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42, 20)는 판독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저장장치, 플래시 드라이브 저장장치, 탈착식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유닛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를 구비한 전용 집적 회로와 같은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42, 20)는 시스템(8) 내의 바람직한 제어 및 통신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디바이스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디바이스 식별자들 및 기타 식별 정보에 관한 정보가 교환되는 구성, 콘텐츠가 시스템(8) 내의 장비 사이에 스트리밍 및 달리 전달되는 구성 등).
디바이스(12) 및/또는 디바이스(10)는 대역내 또는 대역외 통신들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 12)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 12) 간의 신호들의 무선 전송(예컨대, 안테나들을 이용, 코일들(36, 14)을 이용 등)을 허용하는 제어 회로부(42, 20) 내의 무선 송수신기 회로부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2) 및 디바이스(들)(10)는 디바이스들(10)의 디바이스(12)의 충전 표면에 대한 및/또는 서로에 대한 측방향 설정위치 및 각도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력 전송 디바이스(12)는 자석들 및 기타 컴포넌트들(44)(예컨대, 오디오 트랜스듀서들, 무선 회로부,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10)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회로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2)는 디바이스들(10)로부터 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은 디바이스(12)로부터 신호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들(10 및/또는 12)은 이 정보를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처리하여 디바이스들(10)이 어떻게 디바이스(12)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에 대하여 위치되고 배향되어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44)은 신호들을 공급하는 컴포넌트들, 예컨대, 영구 자석들, 코일 어레이(36)와 별개인 전자석들, 어레이(36) 내의 하나 이상의 코일들로 형성된 전자석들, 스피커 및 기타 오디오 트랜스듀서와 같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들, 비행시간 측정법(time-of-flight measurements)에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 내의 터치 센서에 의해 모니터될 수 있는 커패시턴스 신호들(전기장 섭동)을 생성하기 위한 메탈 스트립, 디바이스들(22) 내의 광 센서들에 의해 측정되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 및/또는 기타 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44)은 또한 신호들을 측정하는 컴포넌트들(예컨대, 마이크로폰들, 안테나들, 자기 센서들,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들, 광 센서들, 힘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은 가속도계(24)와 같은 배향 센서, 나침반(26)과 같은 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28)(예컨대, 제어 회로부(20)가 사용자에 의한 디바이스(10)의 이동으로 인한 디바이스(10)의 각도 배향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각속도 센서, 마이크로폰들(30), 안테나들, 힘 센서들, 및 컴포넌트들(44) 및 디바이스(12)와 연관된 기타 회로부로부터의 신호들을 측정하기 위한 기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22)의 센서들 및 기타 신호 측정 컴포넌트들은 또한 디바이스들(12, 10)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은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컴포넌트들, 예컨대, 디스플레이(50)(예컨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정전용량성 센서(51)(예컨대, 디스플레이(50) 내의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별개의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성 센서 버튼들, 또는 하나 이상의 기타 정전용량성 센서들), 스피커들(32), 전자석들(예컨대, 스피커(32)와 연관된 전자석들, 독립형 전자석들, 및/또는 코일(들)(14)에 의해 형성된 전자석(들)), 안테나들, 광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하우징(66)과 같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6)은 직사각형 풋프린트(위에서 봤을 때 외곽선)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66)은 금속, 플라스틱, 섬유-복합 재료, 유리, 및/또는 기타 유전체 및/또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하우징(66)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사용자에게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픽셀들(52)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기타 적합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50)는 픽셀들(52)로 형성된 픽셀 어레이에 중첩하는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를 갖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0)는 인듐 주석 산화물 또는 기타 투명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54)의 어레이를 구비한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전극들(54)은 픽셀들(52)에 중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이어 스피커 포트(56), 및 하우징(66)의 맞은 편 단부인, 스피커 포트(64)에 스피커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30)은 스피커 포트(56), 스피커 포트(64), 및/또는 마이크로폰 포트(62)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는 비활성 경계 지역 아래에 불투명 마스킹 층을 구비한 커버층을 가질 수 있다. 윈도들(60)이 불투명 마스킹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변 광 센서, 적외선 송신기 및 반사된 적외선 광을 측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적외선 검출기를 갖는 광-기반 근접 센서, 및 카메라(예컨대, 디지털 이미지 센서)와 연관될 수 있다. 메뉴 버튼(58) 및 기타 버튼들이 사용자 버튼 누르기 입력을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기타 컴포넌트들(예컨대, 도(10)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12)의 평면도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들의 어레이(66)가 충전 표면(70)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2)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0)을 표면(7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코일들(36) 및 디바이스(10) 내의 하나 이상의 중첩하는 코일들(14)의 존재로 인해, 무선 전력이 디바이스(12)와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10)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다수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 상의 시각적 콘텐츠의 재생을 조정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들(10)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디바이스(10)에 의해 측정되는 디바이스(12)로부터의 신호들을 전송하고/하거나 디바이스(12)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디바이스(10)로부터의 신호들을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2)는 컴포넌트들(72)과 같은 신호들을 방출하는 컴포넌트들(44)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72)은 표면(70)의 코너들에 위치될 수 있고, 표면(70)에 걸쳐 어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70)의 에지들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디바이스(12) 내에 기타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72)은 나침반(26)에 의해 감지되는 영구 자기장을 방출하기 위한 영구 자석들 및/또는 전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침반(26)은 또한 코일들(36)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예컨대, 이러한 코일들(36)이 전자석으로 사용될 때). 원하는 경우, 컴포넌트들(72)은 비행-시간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 측정을 실시하도록 처리되는 전자기 신호들을 방출하는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72)은 또한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들 또는 기타 광원들, 소리를 방출하는 스피커들 또는 기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들(예컨대, 초음파 톤 또는 기타 초음파 신호 등)일 수 있고, 진동을 방출하는 햅틱 디바이스들일 수 있고/있거나 디바이스들(10)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에 의한 측정을 위한 신호들을 방출하는 기타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2)는 각각의 디바이스(10) 내의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54)의 어레이를 이용하여 (프린징 전기장을 통해) 검출가능한 금속 스트립 또는 기타 수동 소자들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12)는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10)에 의해 방출된 신호들에 대한 측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감지 컴포넌트들(74)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비행-시간 측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컴포넌트들(74) 내의 안테나들이 감지하는 전자기 신호들을 방출하는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컴포넌트들(74) 내의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초음파 톤(예컨대, 포트(56) 및 포트(64)와 같은 디바이스(10)의 맞은편 단부의 각자의 스피커들을 이용한 한쌍의 고유 톤)을 방출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74)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10)로부터의 광을 측정하기 위한 광 센서들, 안테나들, 자기 센서들, 힘 센서들, 마이크로폰들, 터치 센서들, 근접 센서들, 및/또는 기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코일들(36) 및/또는 코일(14)은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들(36)은 자기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코일들(36)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자기장을 방출할 수 있다. 자기장은 코일(14)에 의해, 스피커(32) 내의 스피커 코일들과 같은 전자석들에 의해, 및/또는 기타 자기장 방출 디바이스들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코일들(36)에 의해 방출되는 신호들은 코일(14)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2)는 코일들(36)의 각각을 통해 공지된 검색 패턴으로 신호들을 시스템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코일(14)이 시스템적으로 방출된 신호들(때때로 "핑"으로 지칭됨)을 검출하는 시기를 모니터함으로써 코일들(36)의 코일 어레이 상의 코일(1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즉, 충전 표면(70) 상의 측방향 좌표 X-Y에서의 디바이스(10)의 설정위치). 코일(14), 스피커들(32), 및/또는 디바이스(10) 내의 기타 전자기 신호원은 또한 디바이스(10)의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코일 어레이(36)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자기 신호들을 방출할 수 있다. 배향은,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0) 내의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추적될 수 있다.
시스템(8) 내의 설정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임의의 적합한 좌표계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 설정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10)의 설정위치는 충전 표면(70)의 위치를 참조하는 직각 X-Y 좌표계를 이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디바이스 배향 정보는 고정축에 대한 디바이스(10)의 각회전(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예컨대, 도 3의 각(A)은 고정된 수직축(Y)에 대한 디바이스(10)의 종축(78)의 시계방향 각회전의 양을 나타내며, 고정된 수직축(Y)은 도 3 예시의 무선 충전 표면(70)의 수직한 좌우측 에지들에 정렬됨). 디바이스(12)의 충전 표면(70) 상의 각각의 디바이스(10)의 X-Y 설정위치 및 각도 배향(각도(A))에 관한 정보를 (예컨대, 병진 XY 좌표 및 각좌표 A로) 수집함으로써, 시스템(8)의 장비는 디바이스(12)(충전 표면(70))에 대한 그리고 서로에 대한 디바이스들(10)의 상대적인 설정위치 및/또는 배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정보는 디바이스들(12, 10)의 동작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 재생 동작들이 조정되어 비디오 또는 다른 시각적 콘텐츠의 상이한 부분들이 동시에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의 서로에 대한 및/또는 디바이스(12)에 대한 상이한 각자의 설정위치들 및 각도 배향들을 고려하여 콘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예컨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
도 4는 디바이스 위치를 결정하고 적합한 행위를 취하기 위하여 시스템(8)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이다.
단계(80)에서, 측방향 디바이스 설정위치들(예컨대, XY 좌표의 표면(70) 상의 위치)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42, 20)는 시스템(8)의 신호 방출 컴포넌트들 및 신호 감지 컴포넌트들(예컨대, 컴포넌트들(44),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 코일들(36), 코일(들)(14)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디바이스(10)의 측방향 설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배열에서, 제어 회로부(42)는 코일(14)이 제어 회로부(20)에 의해 인입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데 사용되는 동안 코일들(36)의 각각을 이용하여 공지된 신호("핑")를 방출한다. 핑 신호를 방출하는 코일(36)의 위치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코일(14)이 인입 신호를 검출할 때 디바이스(10)의 위치(즉, 코일(14)이 핑 신호를 보내는 코일(36)과 중첩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들(10) 및/또는 디바이스(12) 또는 기타 적합한 장비에 저장될 수 있다.
코일들(36) 중 어느 것이 디바이스(10)의 코일(14)에 의해 중첩되는지 결정함으로써 각각의 디바이스(10)의 XY 설정위치를 결정한 후에, 단계(82)에서 제어 회로부(42 및/또는 20)는 시스템(10) 내의 컴포넌트들(44) 및 기타 컴포넌트들(예컨대, 입력-출력 디바이스들(22))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10)의 각도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각도의 디바이스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의 예시들은 디바이스(12) 내의 공지된 위치에 있는 코일들(36), 영구 자석들, 및/또는 전자석들(예컨대, Y 축 또는 기준 방향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축에 정렬된 자기장을 구축하는 영구 자석들, 삼각법 동작을 지원하도록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전자석들 또는 코일들 등)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방출 및 각각의 디바이스(10) 내의 나침반을 이용하여 이러한 자기장을 검출, 디바이스(12) 내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배향을 결정(예컨대, 비행-시간 기법을 이용)하기 위하여 검출되고 처리되는 신호들을 방출, 디바이스(12)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10) 내의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초음파 신호들과 같은 음향 신호들을 방출(예컨대, 음향 삼각법을 지원), 디바이스들(10) 내의 힘 센서들 또는 기타 센서들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디바이스(12)의 진동을 방출, 디바이스들(10) 내의 디스플레이들(50) 상의 정전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들을 이용하여 금속 스트립들(76)의 위치를 검출, 디바이스들(10) 내의 광 센서들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디바이스(12) 내의 알려진 위치들로부터의 광을 방출, 및/또는 디바이스(12)를 이용하여 신호들을 방출하고 디바이스들(10)을 이용하여 이러한 신호들을 측정함으로써 디바이스들(10)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타 기술들을 포함한다. 각도의 디바이스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술들의 추가적인 예시들은 디바이스(12) 내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검출되는 신호들을 디바이스들(10)을 이용하여 방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은 스피커 코일들 및/또는 코일들(14) 또는 기타 자기장-생성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방출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들은 디바이스(12) 내의 자기 센서들 또는 디바이스(12) 내의 코일들(36)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은 디바이스(12) 내의 광 검출기들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공지의 위치들로부터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디바이스(12)는 터치 센서 전극들 또는 기타 센서 어레이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표면(70) 상의 하우징(66)의 위치들을 검출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은 초음파 톤 또는 기타 소리를 방출할 수 있고, 디바이스(12) 내의 마이크로폰들은 이러한 신호들을 측정할 수 있고/있거나 기타 신호들은 디바이스들(10)에 의해 생성되고 디바이스(12) 내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블록(82)의 동작들은 각각의 디바이스(10)의 각도 배향 및 각각의 디바이스(10)의 XY 설정위치 둘 모두를 식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상황에서, 블록(80)의 동작 동안 생성된 전자기 핑 신호들의 사용은 (예를 들어) 생략될 수 있다.
블록들(80, 82)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들(10)이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충전 표면(70)에 대하여 어디에 위치되어 있는지 명시하는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디바이스들(10) 중 제1 디바이스가 디바이스(12)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하고, 디바이스들(10) 중 제2 디바이스가 디바이스(12)에 대하여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각각의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12)에 대한 위치들 및 디바이스들(10)의 서로에 대한 위치들 둘 모두 획득될 것이다. 상대적 및/또는 절대적 XY 설정위치 및 디바이스 각도 배향에 대한 정보가 디바이스들 사이에 무선으로 교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0) 및/또는 디바이스(12)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이 정보는 다수의 디바이스들(10)과 적절한 조정 작용을 거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블록(84)).
예를 들어, 매체 재생 시나리오를 고려해 보자. 디바이스들(10) 중 하나는 마스터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추가 디바이스들(예컨대, 하나의 추가 디바이스)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바람직한 마스터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수동 입력(예컨대, 터치 입력, 음성 명령 등)을 공급할 수 있고/있거나 시스템(8) 내의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자동 프로세스가 마스터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마스터 디바이스가 비디오, 화면 보호기, 문서, 메뉴 스크린 또는 기타 운영 체제 스크린, 이미지, 또는 다른 시각적 콘텐츠를 다수의 디바이스들(10)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하는 입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시각적 콘텐츠를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때, 디바이스들(10)의 각각의 설정위치 및 배향이 고려되어 콘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예컨대, 콘텐츠가 상이한 디바이스들 상에서 상이한 각도 배향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함). 예를 들어, 비디오의 제1 부분은 제1 디바이스(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비디오의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인접한 제2 디바이스(1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의 배향이 180o 뒤집히는 경우(예컨대, 인접한 디바이스들이 상부와 상부 및 하부와 하부가 아니라, 상부와 하부로 정렬됨), 비디오의 제2 부분은 마찬가지로 180o 뒤집혀서, 사용자가 비디오를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상에서 올바르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블록(84)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들(10)과 디바이스(12)는 통신하여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를 공유하고, 어느 디바이스가 마스터이고 어느 것이 슬레이브인지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예컨대, 디바이스(12)가 초기 디바이스(10)와 같은 디바이스들(10) 중 하나를 마스터로서 디바이스(12)와 통신하도록 지명하게 함), 디바이스-투-디바이스 무선 매체 스트리밍 동작들을 지원하도록 디바이스 식별자들(예컨대, 블루투스® 식별자들, 피어-투-피어 WiFi® 식별자들, 기타 디바이스 식별자들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디바이스 식별자 등)을 교환하고, 다른 방식으로 디바이스 동작들을 조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다수의 디바이스들(10)에 걸친 콘텐츠의 표시가 어떻게 디바이스 설정위치 및 배향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의 예에서, 디바이스(10A)와 디바이스(10B)는 무선 충전 표면(70) 상에서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위치된다. 디바이스(10A)의 상부가 디바이스(10B)의 하부에, 그리고 그 반대로 정렬된다. 디바이스들(10A, 10B)의 설정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10A, 10B)이 인접해 있음을 확인하고, 디바이스(10A)는 바르게 있고 디바이스(10B)는 거꾸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A, 10B) 중에 마스터 디바이스를 설정한 후에(예컨대, 디바이스(10A)를 마스터 디바이스로 설정하고, 10B를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설정한 후에), 마스터 디바이스(10A)는 디스플레이(50A) 상에 비디오(또는 기타 콘텐츠)(90)의 제1 절반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A)는 또한 전체 비디오 또는 비디오(90)의 제2 절반부(또는 기타 콘텐츠)를 디바이스(10B)에 스트리밍하여 디바이스(10B)가 비디오의 제2 절반부(또는 기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50B)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A 및/또는 10B)은 디바이스들(10A, 10B)의 설정위치 및 배향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10B) 상의 비디오(또는 기타 콘텐츠)는 재생 동안 거꾸로 될 수 있다(디바이스(10B) 상의 비디오 또는 기타 콘텐츠가 디바이스(10A)로부터 이음새없이 연장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
도 6은 콘텐츠(90)가 서로 인접하지 않고 동일한 각도 배향을 갖지 않는 두 디바이스(디바이스들(10A, 10B))에 걸쳐 어떻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지 도시한다. 원하는 경우, 비디오는 디바이스(10A)로부터 디바이스들(10A, 10B)에 스트리밍되거나 또는 달리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의 네 코너들이 표면(70)의 네 코너들에 각각 정렬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나리오에서, 표면(70) 상의 각각의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는 스트리밍된 콘텐츠로의 윈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디오 또는 기타 콘텐츠의 제1 서브세트는 디스플레이(50A) 상에서 표면(70)에 정렬되는 배향 및 설정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비디오 또는 기타 콘텐츠의 제2 서브세트는 디스플레이(50B) 상에서 표면(70)에 정렬되는 배향 및 설정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들(10A, 10B)을 충전 표면(70)의 상이한 부분들로 이동할 수 있고/있거나 콘텐츠의 추가 부분들을 보기 위하여 추가 디바이스들을 추가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 10)에 의해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들(10) 상에 콘텐츠를 제시하는 데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이 도 7에 도시된다.
블록(100)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12)는 각각의 디바이스(10)와 통신하여 디바이스들(10)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자들을 수집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식별자들, WiFi® 디바이스 식별자들, 또는 기타 적합한 디바이스 식별자들일 수 있다.
블록(102)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12)는 마스터 역할을 디바이스들(10) 중 하나의 디바이스에 배정할 수 있고(예컨대, 디바이스(12)와 통신하는 제1 디바이스(10)), 슬레이브 역할을 디바이스들(10) 중 다른 디바이스에(또는 다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10)에) 배정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0) 상에 온-스크린 메뉴 옵션이 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들(10)의 마스터 및 슬레이브 배정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공급할 기회를 다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블록(104)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 식별자들은 디바이스(12)에 의해 디바이스들(10)의 각각에 분배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은 서로 페어링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예컨대, 블루투스® 또는 WiFi® 페어링 등을 이용). 디바이스들(10)은 블록(106)의 동작들 동안 페어링될 수 있다.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가 이전에 수집되지 않았던 경우, 디바이스(12) 및 디바이스들(10)은 디바이스들(10)의 설정위치들 및 배향들을 식별할 수 있고, 이는 도 4의 동작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다. 이어서 이 정보는 디바이스들(12, 10) 사이에서 분배될 수 있다.
블록(108)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들(10)은 조정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는 그 마스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비디오 또는 기타 매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비디오 또는 기타 매체 아이템의 다른 부분을 충전 표면(70) 상의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예컨대, 페어링된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스트리밍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분배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의 공지된 설정위치 및 배향(예컨대, 도 4의 동작들 동안 수집된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은 비디오 또는 다른 아이템의 어떤 부분들이 각각의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5 및 도 6의 예시적인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다. 원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기능,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능, 및/또는 기타 디바이스 기능들이 마찬가지로 디바이스들(10)의 공지된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에 기초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10)을 충전 표면(70) 상에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들 상의 터치 센서들에 걸쳐 터치 제스처 입력을 공급할 수 있다. 파일들 및 기타 정보는 인접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예컨대, 파일 아이콘을 인접한 수신 디바이스의 방향으로 스와이핑함으로써) 교환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10)의 디스플레이들에 걸쳐 조정 방식으로 화면 보호기, 비디오, 및 다른 시각적 콘텐츠(예컨대, 정지 이미지, 문서에 대한 텍스트 등)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설정위치 및 배향 정보의 사용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시스템(8)의 디바이스들(12, 10)의 동작들(예컨대, 도 4 및 도 7의 동작들)은 제어 회로부(42 및/또는 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동안, 이 제어 회로부(이는 때때로 프로세싱 회로부, 프로세싱 및 저장장치, 컴퓨팅 장비, 컴퓨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음)는 (예컨대, 전용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및/또는 제어 회로부(42 및/또는 20)와 같은 시스템(10) 내의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7의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때때로 프로그램 명령어들, 코드, 데이터, 명령어들, 또는 소프트웨어로 지칭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코드가 제어 회로부(42 및/또는 20) 내의 비일시적(실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컨대, 판독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저장장치, 플래시 드라이브 저장장치, 탈착식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 회로부(42 및/또는 20) 내의 프로세싱 회로들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들과 같은 프로세싱 회로부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표면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교류 전자기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를 갖는 전력 전송 회로부, 출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및 적어도 제1 배향 및 제2 배향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 상의 콘텐츠 표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석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코일 어레이와 별개인 전자석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은 소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회로부는 제1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식별자 및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회로부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무선으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제1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그리고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배향 및 제2 배향은 각각 제1 각도 배향 및 제2 각도 배향을 포함하고,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하고,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측방향 설정위치 및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측방향 설정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표면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이는 교류 전자기 신호들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를 갖는 전력 전송 회로부,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및 수집된 입력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고, 적어도 제1 배향 및 제2 배향에 기초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 상의 콘텐츠 표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컴포넌트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마이크로폰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소리를 이용하여 제1 배향을 결정하고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소리를 이용하여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들을 포함하고,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들은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 내의 코일들로부터의 자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회로부는 제1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1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2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회로부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제1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그리고 마스터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된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이는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i)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ii) 무선 충전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상대적 배향을 표현하는 정보를 식별하고, 상대적 배향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콘텐츠의 제1 부분을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콘텐츠의 제2 부분이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대적 배향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배향을 표현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명령어들은 콘텐츠의 제1 부분을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배향을 표현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2 부분이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명령어들은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 배향을 식별하기 위하여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 내의 나침반들을 이용하여 나침반 배향들을 표현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마스터 디바이스이고, 제2 휴대용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이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콘텐츠의 제1 부분을 마스터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콘텐츠의 적어도 제2 부분을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콘텐츠의 제2 부분을 슬레이브 디바이스 상에 상대적인 각도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배향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31)

  1.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각각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충전 표면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교류 전자기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를 갖는 전력 전송 회로부;
    상기 출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및
    적어도 상기 제1 배향 및 상기 제2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각각 상의 콘텐츠 표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코일 어레이와 별개인 전자석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소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제1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향 및 상기 제2 배향은 제1 각도 배향 및 제2 각도 배향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측방향 설정위치 및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측방향 설정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0.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적어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각각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충전 표면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교류 전자기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를 갖는 전력 전송 회로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 및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수집된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고;
    적어도 상기 제1 배향 및 상기 제2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각각 상의 콘텐츠 표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배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들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내의 코일들로부터의 자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제1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제2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5.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제1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놓인 제2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동작; 및
    적어도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상의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는 상기 동작은,
    상기 콘텐츠의 제1 부분을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의 제2 부분이 상기 제2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각각 무선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무선 충전 표면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서,
    교류 전자기 신호들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코일 어레이를 갖는 전력 전송 회로부; 및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집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적어도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추가적인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추가적인 디바이스 식별자를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추가적인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출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코일 어레이와 분리된 전자석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소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소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송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향 및 상기 제2 배향은 각각 제1 각도 배향 및 제2 각도 배향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상기 코일 어레이 내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제1 측방향 설정위치 및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의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제2 측방향 설정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자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
  26.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회로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회로부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 충전 표면 상에 배치된 추가적인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및
    상기 제어 회로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적어도 상기 추가적인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의 제1 배향 및 상기 추가적인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의 제2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소리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를 상기 추가적인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수신 디바이스.
KR1020197004383A 2016-08-19 2017-08-08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KR102074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7269P 2016-08-19 2016-08-19
US62/377,269 2016-08-19
US15/616,292 2017-06-07
US15/616,292 US10459677B2 (en) 2016-08-19 2017-06-07 Coordination of device operation on wireless charging surface
PCT/US2017/045915 WO2018034889A1 (en) 2016-08-19 2017-08-08 Coordination of device operation on wireless charging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775A KR20190028775A (ko) 2019-03-19
KR102074109B1 true KR102074109B1 (ko) 2020-02-05

Family

ID=6119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383A KR102074109B1 (ko) 2016-08-19 2017-08-08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59677B2 (ko)
KR (1) KR102074109B1 (ko)
CN (1) CN109565187B (ko)
WO (1) WO2018034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7963B2 (en) 2013-12-24 2023-11-14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Streaming secondary device content to devices connected to a web conference
US10880685B2 (en) * 2018-01-08 2020-12-29 Facebook, Inc. Provisioning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10110030B1 (en) * 2018-04-09 2018-10-23 Apple Inc. Wireless charging systems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devices
US11018530B2 (en) 2018-08-31 2021-05-25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controllers
EP3644475A1 (en) * 2018-10-24 2020-04-29 Koninklijke Philips N.V. A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N109256873B (zh) * 2018-11-16 2021-10-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提示方法及装置、无线充电系统
US11916405B2 (en) 2019-01-02 2024-02-27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controllers
US11350469B2 (en) * 2019-01-09 2022-05-31 Zagg Inc Tap to broadcast speaker pairing
EP3973612A1 (en) 2019-05-21 2022-03-30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primary coils and adjacent coil muting
CN112542901B (zh) * 2019-09-20 2023-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对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653249B (zh) * 2019-10-10 2023-06-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充电区域的确定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11038943B1 (en) * 2020-02-11 2021-06-15 Cedar Inc. Content output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device base on web-browser
CN111540350B (zh) * 2020-03-31 2024-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控制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611245B2 (en) 2020-08-13 2023-03-21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ly charging mobile phone via notebook touchpad
CN115622271A (zh) * 2021-07-15 2023-01-17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无线充电发射装置、方法
WO2023080373A1 (ko) * 2021-11-03 2023-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충전 장치와의 정렬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8679A1 (en) 2007-03-01 2008-10-23 Manico Joseph A Charging display system
US20120235506A1 (en) 2011-02-11 2012-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60072334A1 (en) 2014-09-05 2016-03-10 Wistron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TWI545597B (zh) 2010-08-25 2016-08-11 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多層墊片組件
KR101243587B1 (ko) 2011-02-17 2013-03-20 주식회사 팬택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CN102694408B (zh) 2011-09-27 2014-06-25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强度指示方法及被充电设备
CN103425442B (zh) * 2012-05-18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TWI505660B (zh) * 2012-06-07 2015-10-21 Au Optronics Corp 具有無線充電功能的顯示器、其操作方法、以及對應的可攜式電子裝置
US9184620B2 (en) 2012-06-28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KR102049075B1 (ko) * 2013-01-08 201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무선충전 패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472963B2 (en) * 2013-02-06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charging protocols
US20150022194A1 (en) 2013-07-18 2015-01-22 Blackberry Limited Magnetometer for aligning a portable device on a planar charging surface of an inductive charging unit
EP3042452B1 (en) * 2013-08-09 2018-10-03 Intel Corporation Coil for mobile device context-driven switching and wireless charging
US20150084837A1 (en) * 2013-09-19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Coordination of multiple mobile device displays
US9893553B2 (en) 2013-12-24 2018-02-13 Pavan Pudipeddi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wirelessly charging portable rechargeable devices based on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with seamless free positioning capability
US20150188339A1 (en) 2013-12-27 2015-07-02 Evan R. Green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oncave charging station
US9570926B2 (en) 2014-07-23 2017-02-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re-configuration of a wireless surface with a multi-coil system
US10084321B2 (en) * 2015-07-02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field distribu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8679A1 (en) 2007-03-01 2008-10-23 Manico Joseph A Charging display system
US20120235506A1 (en) 2011-02-11 2012-09-2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60072334A1 (en) 2014-09-05 2016-03-10 Wistron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52649A1 (en) 2018-02-22
US10459677B2 (en) 2019-10-29
CN109565187A (zh) 2019-04-02
KR20190028775A (ko) 2019-03-19
CN109565187B (zh) 2022-06-24
WO2018034889A1 (en)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109B1 (ko) 무선 충전 표면 상의 디바이스 동작의 조정
KR102444075B1 (ko) 전자 장치, 주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645604B2 (en) Device orientation based docking functions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CN110602201B (zh) 基于区块链的履历管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US20110319166A1 (en) Coordinating Device Interaction To Enhance User Experience
US20130033415A1 (en) Display system using at least two similar display devices and method thereof
KR20140055703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8369641B (zh) 电子设备以及用于其的托架
US9378702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dapted to switch operating modes
KR10161878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TW201342202A (zh) 利用多個屏幕聯合顯示影片的影片播放系統和相關的電腦程式產品
US9030409B2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earph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3803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지오펜스 관리 방법
US11726824B2 (en) System with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240094970A1 (en) Electronic system for producing a coordinated output using wireless localization of multip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20108279A1 (zh) 双摄像设备和移动终端
CN113269877B (zh) 获取房间布局平面图的方法和电子设备
US10506290B2 (en) Image information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device control method
KR20120063935A (ko) 데이터 교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83328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CN111427638B (zh) 显示便签数据的方法和装置
KR20170023491A (ko)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CN111158791A (zh) 配置文件更新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US20200179797A1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