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937B1 -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 Google Patents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937B1
KR102073937B1 KR1020190081281A KR20190081281A KR102073937B1 KR 102073937 B1 KR102073937 B1 KR 102073937B1 KR 1020190081281 A KR1020190081281 A KR 1020190081281A KR 20190081281 A KR20190081281 A KR 20190081281A KR 102073937 B1 KR102073937 B1 KR 10207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terial
food
hand
grinder
han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필
Original Assignee
차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필 filed Critical 차재필
Priority to KR102019008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47J43/255Devices for grating with grating discs or dru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와 같은 바 형태로 성형된 식품을 내부에 수용해두었다가 필요한 양만큼만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가벼워 한 손으로 잡고 사용이 가능한 식품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는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바디부와, 바디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식품소재가 수용되는 수용실과, 수용실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강판과, 바디부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바디부에 설치되며 식품소재를 점진적으로 수용실의 하방으로 밀어내어 식품소재의 하부를 회전강판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food grinder of handy type}
본 발명은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와 같은 바 형태로 성형된 식품을 내부에 수용해두었다가 필요한 양만큼만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가벼워 한 손으로 잡고 사용이 가능한 식품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굵은 소금, 고춧가루, 참깨, 후추 등과 같은 다양한 양념류는 별도의 가공없이 원료 상태로 담겨지거나 후추 또는 깨 등과 같은 씨앗을 원료로 하는 양념은 향과 맛을 잘 내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양념류는 별도의 분쇄과정을 통하여 분쇄한 후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는 것이 음식조리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양념을 분쇄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 흔히 소형의 절구에 분쇄 대상물을 투입한 뒤 공이로 찧거나 빻아서 파쇄시키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분쇄 대상물이 절구의 외부로 튀어 나가는 단점과, 분쇄된 크기가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절구를 이용하여 적은 양을 분쇄하기에는 번거로운 이유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한번에 많은 양을 미리 분쇄하고 이를 용기에 담아 보관하게 되는데, 용기에 장시간 담아두고 사용하는 경우 빈번한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쉽게 변질되거나 양념의 순도(향)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므로 고유한 맛 또는 향을 잃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념을 보관하는 용기의 입구측에 양념을 분쇄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용기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양념을 가루로 분쇄하여 배출하는 다양한 용기들이 제품화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408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02호 등에는 양념을 분쇄하기 위한 용기나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굵은 소금, 통후추, 참깨 등과 같이 알맹이나 결정 형태 등의 양념만을 분쇄할 수 있을 뿐 막대 형태와 같이 길다란 형태를 갖는 식품소재들은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용기를 회전시켜 분쇄하는 수동방식이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4088호: 양념 분쇄용기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02호: 양념분쇄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굵은 소금, 통후추, 참깨 등과 같은 알맹이나 결정 형태 등의 양념을 분쇄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막대와 같이 길게 바 형태로 형성된 식품소재들을 분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막대와 같이 길게 바 형태로 형성된 식품소재들을 내부에 수용해두었다가 요리에 필요한 양만큼만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가벼워 한 손으로 잡고 사용이 가능한 식품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양념류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들까지도 가능하도록 하여 요리에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아나 어린이들도 손쉽게 건강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식품 그라인더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는 바 형상의 식품소재를 일측부터 점진적으로 갈아 가루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소재가 수용되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강판과;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식품소재를 점진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식품소재의 하부를 상기 회전강판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품소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실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식품소재를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수용실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식품소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리드스크류에 전달하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전달부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실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식품소재를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강판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출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강판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소재와 접촉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막대와 같이 길게 바 형태로 형성된 식품소재들을 분쇄할 수 있는 그라인더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 형태로 형성된 식품소재를 내부에 수용해두었다가 필요한 양만큼만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가 작고 가벼우면서도 전동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한 손으로 잡고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념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건강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들까지도 바 형태로 성형하여 식품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요리에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제나 캡슐 형태의 건강식품의 섭취를 꺼려하는 유아나 어린이, 노약자에게 즉석에서 건강식품을 가루로 만들어 다양한 음식물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식품의 용이한 섭취를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가 적용된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사용되는 식품소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10)는 한손으로 잡고 공중에서 상하좌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10)는 바 형상의 식품소재를 일측부터 점진적으로 갈아 가루를 얻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인 양념류의 식품소재, 즉 작은 알맹이 또는 결정 형태로 이루어진 굵은 소금, 통후추, 참깨 등을 분쇄하는 종래의 분쇄기와 달리 본 발명은 막대와 같은 바 형상의 식품소재로부터 가루를 얻는다.
이러한 바 형상의 식품소재는 그 자체가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거나, 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바 형상의 식품소재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은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바 형상의 식품소재(1)를 나타내고 있다.
바 형상의 식품소재는 큰 덩어리를 가공하여 바 형태로 성형하거나, 작은 입자나 가루를 바 형태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가령, 괴상의 암염을 깍거나 가공하여 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설탕을 녹인 후 몰드에 주입하여 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건강식품에 부형제를 첨가하여 바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소재는 인간 또는 동물이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식품소재의 예로 소금이나 설탕, 후추 등과 같은 양념류와, 치즈나 버터 등과 같은 유제품류, 건강보조식품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등과 같은 건강식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의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10)는 회전축(2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바디부(11)와, 바디부(11)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식품소재(1)가 수용되는 수용실(17)과, 수용실(17)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축(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강판(30)과, 바디부(11)에 결합되어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바디부(11)에 설치되며 식품소재(1)를 점진적으로 수용실(17)의 하방으로 밀어내어 식품소재(1)의 하부를 회전강판(30)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바디부(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바디부(11)는 한손으로 파지가 가능할 정도의 적절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바디부(11)는 도시된 원통형 이외에도 사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1)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의 상부와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바디부(11)의 상부에는 후술할 구동부(40)의 하우징(41)이 나사결합되고, 바디부(11)의 하부에는 후술할 캡(15)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1)의 중심에는 회전축(20)이 설치된다.
회전축(20)은 바디부(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바디부(11)의 중심에는 회전축(20)이 통과할 수 있는 센터홀이 형성된다. 회전축(20)은 센터홀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28)(29)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회전축(20)의 하부에는 단면이 사각인 사각결합부(21)가 형성되고, 사각결합부(21)의 하부에는 나사부(23)가 형성된다.
수용실(17)은 바디부(11)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용실(17)은 바디부(11)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수용실(17)이 형성된다. 4개의 수용실(17)은 회전축(20)의 주위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수용실(17)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수용실(17)에는 바 형상의 식품소재(1)가 수용된다. 수용실(17)에 수용된 식품소재(1)는 가압수단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식품소재(1)의 하단부는 수용실(17)의 바깥으로 노출되어 회전강판(30)과 접촉한다.
회전강판(30)은 수용실(17)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축(20)에 결합된다. 회전강판(30)은 수용실(17)의 하방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식품소재(1)와 하단부와 접촉하여 식품소재(1)를 갈아내는 역할을 한다. 회전강판(30)은 강도와 내구성,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회전강판(30)은 회전축(20)과 결합을 위해 중앙에 사각의 결합홀(31)이 형성된다. 회전축(20)의 하단부에 마련된 사각결합부(21)는 결합홀(31)에 삽입된다. 체결부재(25)는 회전강판(30)의 하부에서 나사부(23)에 나사결합되어 회전강판(30)을 회전축(20)에 고정시킨다.
식품소재(1)와 접촉하는 회전강판(30)의 표면에는 식품소재(1)를 갈아낼 수 있도록 그라인딩패턴이 형성된다. 그라인딩패턴은 요철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라인딩패턴은 양각된 빗살모양의 라인들로 이루어지거나, 음각된 빗살모양의 빗살모양의 라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그라인딩패턴은 통상적인 그라인더에 적용되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라인딩패턴은 식품소재의 종류 및 경도, 가루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강판(30)이 회전하면 식품소재(1)는 하부에서부터 갈려 가루가 만들어진다. 발생된 가루는 회전강판(3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강판(30)의 주위로 배출된다.
회전강판(30)에는 다수의 배출슬릿(35)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슬릿들(35)은 결합홀(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회전강판(30)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가루는 배출슬릿(35)을 통해 바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강판(30)에 배출슬릿(35)을 형성함으로서 가루의 배출이 더욱더 용이해진다.
구동부(40)는 바디부(11)에 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구동부(40)는 바디부(11)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부(40)는 일 예로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45)와,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로 이루어진다.
하우징(41)은 격벽(43)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41)은 바디부(11)의 상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상부에는 뚜껑이 설치되어 하우징(11)의 내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45)는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된다. 모터(45)로 기어드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모터(4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모터(45)의 구동축(47)은 격벽(43)을 관통하여 하우징(41)의 하부로 연장된다. 모터(45)의 구동축(47)과 회전축(20)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구동축(47)의 하부에는 제 1조인트부재(48)가 설치되고, 회전축(20)의 상부에는 제 2조인트부재(49)가 설치된다. 제 1조인트부재(48)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2조인트부재(49)는 내측에 원뿔 형상의 톱니홈이 마련된다. 제 1조인트부재(48)가 제 2조인트부재(49)의 톱니홈에 삽입되면 제 1조인트부재(48)와 제 2조인트부재(49)는 서로 맞물려 구동축의(47) 회전력이 회전축(20)으로 전달된다.
배터리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41)에는 배터리와 연결되는 충전단자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가 설치되지 않는 대신에 모터(4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연결될 수도 있다.
하우징(41)의 상부에는 모터(4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2)이 설치될 수 있다. 전원버튼(42)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전원이 모터(45)에 공급되어 모터(45)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전원버튼(42)을 한번 누르면 온상태가 되고, 전원버튼(42)을 다시 누르면 오프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전원버튼(42) 외에도 모터(45)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속도버튼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가압수단은 바디부(11)에 설치된다. 가압수단은 식품소재(1)를 점진적으로 수용실(17)의 하방으로 밀어내어 식품소재(1)의 하부를 회전강판(30)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가압수단은 탄성부재(53)가 식품소재(1)에 탄성력을 가하여 식품소재(1)를 점진적으로 회전강판(30) 방향으로 밀어낸다.
구체적으로 가압수단은 바디부(11)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51)와, 식품소재(1)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부재(55)와, 고정플레이트(51)에 지지되어 이동부재(55)를 가압하는 탄성부재(53)를 구비한다.
고정플레이트(51)는 수용실(17)의 입구에 나사결합되어 바디부(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51)는 손가락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홈(52)이 마련된다.
이동부재(55)는 식품소재(1)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동부재(55)는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방된 하부를 통해 식품소재(1)의 상부가 이동부재(5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탄성부재(53)로 용수철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51)와 이동부재(55)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3)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53)를 하방으로 밀어내다. 따라서 식품소재(1)의 하부는 항상 회전강판(30)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캡(15)은 바디부(11)의 하부에 결합된다. 캡(15)의 내주면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바디부(11)의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평상시에 캡(15)은 바디부(11)에 결합된 상태로 있다가 본 발명을 사용시에는 바디부(11)로부터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손으로 바디부(11)를 움켜잡은 상태에서 엄지로 전원버튼을 누르게 되면 회전강판(3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식품소재의 하부가 갈리면서 식품소재로부터 발생된 가루(3)가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요리시, 가령 고기를 굽는 경우 고기 위에서 본 발명을 작동시켜 고기로 적절한 양의 소금을 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요리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양념류를 가루로 만들어 즉석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품소재로 다양한 종류의 건강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들까지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나 어린이, 노약자가 건강식품을 용이한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통상적으로 건강식품은 캡슐이나 정제 형태로 제형화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맛이 좋지 않은 특성상 유아나 어린이, 노약자는 건강식품의 섭취를 꺼려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건강식품을 바 형태로 성형한 후 본 발명의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필요시 즉석에서 건강식품을 가루로 만들어 유나아 어린이 등이 좋아하는 다양한 음식물에 첨가함으로써 건강식품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회전강판의 모습을 도 5 및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강판(60)은 회전축(20)과 결합되는 센터부(61)와, 센터부(61)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식품소재(1)와 접촉하는 경사부(63)를 구비한다.
센터부(61)는 수평하게 형성된다. 센터부(61)에는 회전축(20)과 결합을 위해 중앙에 사각의 결합홀(31)이 형성된다. 경사부(63)는 센터부(61)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경사부(63)의 표면에는 식품소재(1)를 갈아낼 수 있도록 그라인딩패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식품소재(1)를 갈아내는 회전강판(6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루의 배출이 매우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압수단을 도 7에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가압수단이 적용될 경우 사용되는 식품소재의 모습을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소재(7)는 중심에 상하로 길게 관통홀(9)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가압수단은 수용실(17)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식품소재(7)를 상하로 관통하는 리드스크류(70)와, 회전축(20)의 회전력을 리드스크류(70)에 전달하여 리드스크류(70)를 회전시키는 회전전달부와, 리드스크류(70)의 회전에 의해 수용실(17)에서 이동하면서 식품소재(7)를 가압하는 이동부재(90)와, 수용실(17)의 내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8)과, 이동부재(90)에 형성되어 가이드홈(18)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돌기(95)를 구비한다.
리드스크류(70)는 수용실(17)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리드스크류(7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동부재(90)는 수용실(17)의 내부에 설치되다. 이동부재(90)는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개방된 하부를 통해 식품소재(1)의 상부가 이동부재(5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동부재(90)의 중앙에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나사홀에 리드스크류(70)가 나사결합된다.
이동부재(90)의 양측에는 슬라이딩돌기(9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딩돌기(95)는 수용실(17)의 내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18)에 결합된다.
회전전달부는 회전축(2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80)와, 리드스크류(70)에 결합되어 구동기어(80)와 치합하는 종동기어(85)로 이루어진다. 모터(45)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0)이 회전하면 리드스크류(7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이동부재(90)가 가이드홈(18)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부재(90)에 의해 식품소재(7)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강판(30)과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식품소재 11: 바디부
15: 캡 17: 수용실
20: 회전축 30: 회전강판
40: 구동부 45: 모터
53: 탄성부재 55: 이동부재

Claims (7)

  1. 바 형상의 식품소재를 일측부터 점진적으로 갈아 가루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한손으로 잡고 공중에서 상하좌우 사방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사용이 가능한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소재가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 형성된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실의 하방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식품소재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식품소재를 갈아내는 회전강판과;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며 상기 식품소재를 점진적으로 상기 수용실의 하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식품소재의 하부를 상기 회전강판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버튼을 구비하며,
    한 손으로 상기 바디부를 움켜잡은 상태에서 엄지로 상기 전원버튼을 눌러 상기 회전강판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품소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수용실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식품소재를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수용실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식품소재를 상하로 관통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리드스크류에 전달하여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전달부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실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식품소재를 가압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강판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배출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강판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품소재와 접촉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은 하나가 형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KR1020190081281A 2019-07-05 2019-07-05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KR10207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81A KR102073937B1 (ko) 2019-07-05 2019-07-05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81A KR102073937B1 (ko) 2019-07-05 2019-07-05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937B1 true KR102073937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81A KR102073937B1 (ko) 2019-07-05 2019-07-05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9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729A (ja) * 1997-03-10 1998-09-22 Satsumaya Shoten:Kk ワサビおろし装置
KR200322288Y1 (ko) * 2003-05-23 2003-08-09 권일승 다용도 식품 슬라이서
KR20110000802U (ko) 2009-07-17 2011-01-25 신종한 양념 분쇄기
KR101154088B1 (ko) 2010-03-31 2012-06-11 이기수 양념 분쇄용기
KR101474291B1 (ko) * 2013-10-30 2014-12-18 (주)바른건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93522A (ko) * 2016-02-05 2017-08-16 최재수 과채류 분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729A (ja) * 1997-03-10 1998-09-22 Satsumaya Shoten:Kk ワサビおろし装置
KR200322288Y1 (ko) * 2003-05-23 2003-08-09 권일승 다용도 식품 슬라이서
KR20110000802U (ko) 2009-07-17 2011-01-25 신종한 양념 분쇄기
KR101154088B1 (ko) 2010-03-31 2012-06-11 이기수 양념 분쇄용기
KR101474291B1 (ko) * 2013-10-30 2014-12-18 (주)바른건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093522A (ko) * 2016-02-05 2017-08-16 최재수 과채류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169B2 (en) Manually drivable apparatus for comminuting foods
TWI364268B (en) Working unit
US7367519B2 (en) Processing tool for foodstuffs
US20080237380A1 (en) Spice mill
AU2007336481B2 (en) Food processing system
US4280666A (en) Hand held granulator
JPH05261312A (ja) 粉砕装置
DE102017123689A1 (de) Elektromoto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US20190059439A1 (en) Compact system for preparing personal smokable products
US7954744B2 (en) Rolling food processor
KR102073937B1 (ko) 핸디형 식품 그라인더
GB2567482A (en) An assembly for processing food ingredients
CA2495706C (en) Rotary kitchen garlic tool
KR20100013057U (ko) 식품분쇄기
WO2005104919A1 (en) Device for grinding grain materials
CN206197833U (zh) 一种多功能食物料理机
CN220512716U (zh) 一种胡椒研磨器
KR200397272Y1 (ko) 핸드 쥬서기
CN203884615U (zh) 一种土豆泥制备装置
WO2005069926A2 (en) Food item decoration device and kit
US20210113021A1 (en) Spice or other substance grind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substance containers
CN201782633U (zh) 一种调料研磨装置
CN215346761U (zh) 一种多功能搅拌碎肉机
CN212326216U (zh) 一种食物料理器
CN2416845Y (zh) 一种佐料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