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67B1 -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67B1
KR102073267B1 KR1020170175937A KR20170175937A KR102073267B1 KR 102073267 B1 KR102073267 B1 KR 102073267B1 KR 1020170175937 A KR1020170175937 A KR 1020170175937A KR 20170175937 A KR20170175937 A KR 20170175937A KR 102073267 B1 KR102073267 B1 KR 102073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rts
weight
hemostatic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515A (ko
Inventor
김은진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17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31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5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Abstract

본 발명은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혈성분; 상기 지혈성분과 혼합되도록 마련된 용매; 셀룰로오스(cellulose), 셀룰로오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점도 조절용 제1성분; 및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함께 혼합되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을 포함하고, 그로 인해 점토광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며, 겔 타입의 동물용 지혈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HEMOSTATIC GEL COMPOSITION FOR ANIMAL}
본 발명은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집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을 주변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그에 발맞추어 애완동물 미용업과 같은 서비스업도 성행하는 추세이다. 반려견, 반려묘 등을 기르는 사람들 중에는 개나 고양이의 발톱 손질이나 새의 부리를 직접 손질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개나 고양이의 발톱이나 새의 부리를 직접 손질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손질을 위해 애완동물 미용업소를 찾는 경우, 손질 도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애완동물의 혈관이 손상될 수 있고, 갑작스러운 출혈로 인해 손질 작업이 중단되거나 상처 부위가 감염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신속한 치료를 통해 애완동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혈관 밖으로 과량의 혈액이 유출되는 것은 동물의 생명과도 직결될 수 있으므로 지혈이 최대한 빠르게 진행되어야 했다.
기존에 개발된 지혈제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0011호에는 규조토, 실리카 등을 포함하는 지혈 물품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실리카, 벤토나이트, 규조토 등의 점토광물을 이용한 지혈제는 점토광물 성분이 혈액을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착열에 의해 부차적인 통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점토광물은 수불용성이기 때문에 물과 혼합시에는 분산성이 좋지 않아 층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뿐더러 지혈성분이 지혈제 조성물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기가 힘들어 지혈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겔(gel) 타입의 지혈제를 개발하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토광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며, 지혈능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겔 타입의 동물용 지혈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혈성분; 상기 지혈성분과 혼합되도록 마련된 용매; 셀룰로오스(cellulose), 셀룰로오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점도 조절용 제1성분; 및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함께 혼합되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서 상기 지혈성분은 20~40 중량부, 상기 용매는 50~80 중량부이고, 상기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상기 용매 66 중량부당 4~7 중량부이고, 상기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상기 용매 66 중량부당 6~9 중량부로 마련되고, 점토광물 성분이 혈액을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는 상기 점토광물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항균제 0.1~1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제는 포비돈 아이오딘(povidone iodine), 클로로옥시레놀(chloroxyrenol), 락토페린(lactoferrin), 라이소자임(lysozyme), 키토산(Chitosan), 나이신(nisin)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는 1,000~30,000cPs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점토광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지혈제 조성물의 혈액 흡수시 점토광물 성분으로 인한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제2성분을 통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겔 타입의 제형 제조에 적합한 수준인 1,000~30,000cPs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점도 조절용 제1성분으로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므로 체내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이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며, 분산성이 우수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제형 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겔 내에서 지혈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 지혈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온에서 겔 형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액상이나 분말 형태의 지혈제에 비해 출혈부위에 도포하는 과정이 편리하며,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별 지혈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수치 앞에 사용되는 용어인 "약"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용어 "약"은 1, 2, 3 또는 4 이내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용어 "약"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10%, 9%, 8%, 7%, 6%, 5%, 4%, 3%, 2%, 1%, 0.5% 또는 0.1% 이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지혈성분, 용매, 점도 조절용 제1성분 및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혈성분은 출혈 부위에 생긴 혈액을 응고시키는 물질이며, 20~4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지혈성분의 함량은 약 20 중량부, 약 25 중량부, 약 30 중량부, 약 35 중량부 또는 약 4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혈성분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혈성분의 함량 범위는 약 20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약 25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약 30 중량부 내지 약 35 중량부, 약 35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 또는 약 2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성분은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혼합될 때, 지혈용 조성물의 제형을 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만일, 지혈성분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혈능이 저하되어 출혈부위의 신속한 지혈이 제한될 우려가 있고, 지혈성분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지혈성분과 함께 혼합되는 용매와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가 까다로워 지혈제 조성물의 제형을 겔 형태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지혈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혈성분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매는 지혈성분, 점도 조절용 제1성분 및 점도 조절용 제2성분과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용매는 물 또는 증류수와 같이 수계 용매 종류로서, 50~8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용매의 함량은 약 50 중량부, 약 55 중량부, 약 60 중량부, 약 65 중량부, 약 70 중량부, 약 75 중량부 또는 약 8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용매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의 함량 범위는 약 50 중량부 내지 약 55 중량부, 약 55 중량부 내지 약 60 중량부, 약 60 중량부 내지 약 65 중량부, 약 65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 약 70 중량부 내지 약 75 중량부, 약 75 중량부 내지 약 80 중량부 또는 약 50 중량부 내지 약 8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매는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용 조성물의 제형을 겔 형태로 유지할 수 있고, 지혈제 조성물의 지혈능과 사용상 편의성이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용매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튜브용기로부터 지혈제 조성물을 짜내는 과정에서 과도한 압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혈액과 지혈제 조성물이 충분히 섞이지 못해 지혈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용매가 8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혈제 조성물의 제형이 액상에 가까워짐에 따라, 지혈제 조성물이 출혈부위에 도포된 이후에 곧바로 흘러내려 지혈 효과가 저하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용매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지혈제 조성물이 상온에서 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고, 용매 66 중량부당 4~7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의 함량은 용매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4 중량부, 약 5 중량부, 약 6 중량부 또는 약 7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의 함량 범위는 약 4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 약 5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6 중량부 내지 약 7 중량부, 약 4 중량부 내지 약 6 중량부, 약 5 중량부 내지 약 7 중량부 또는 약 4 중량부 내지 약 7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용 조성물의 제형을 겔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지혈능을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이 용매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4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즉시지혈능이 떨어지거나 지혈된 이후에 재출혈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이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나친 고점도로 인해 혈액과 지혈제 조성물이 제대로 섞이지 못하여 지혈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셀룰로오스(cellulose), 셀룰로오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하나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종류 이외의 공지된 셀룰로오스 유도체도 사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수용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수계 용매에 대해 용해도가 매우 높으며,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이 수계 용매와 혼합될 경우에는 용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함께 혼합됨으로써,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용매 66 중량부당 6~9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의 함량은 용매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6 중량부, 약 7 중량부, 약 8 중량부 또는 약 9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의 함량 범위는 약 6 중량부 내지 약 7 중량부, 약 7 중량부 내지 약 8 중량부, 약 8 중량부 내지 약 9 중량부, 약 6 중량부 내지 약 8 중량부, 약 7 중량부 내지 약 9 중량부 또는 약 6 중량부 내지 약 9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상기의 범위에서 전제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사용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만일,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이 용매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6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져 튜브용기로부터 지혈제 조성물을 짜내는 과정에서 과도한 압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혈액과 지혈제 조성물이 충분히 섞이지 못해 지혈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이 용매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9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짐에 따라 지혈제 조성물의 제형이 액상에 가까워지며, 지혈제 조성물이 출혈부위에 도포된 이후에 곧바로 흘러내려 지혈 효과가 저하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으로,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항균제 0.1~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항균제의 함량은 약 0.1 중량부, 약 0.5 중량부, 약 1 중량부, 약 2 중량부, 약 3 중량부, 약 4 중량부, 약 5 중량부, 약 6 중량부, 약 7 중량부, 약 8 중량부, 약 9 중량부 또는 약 1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항균제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균제의 함량 범위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 중량부, 약 0.5 중량부 내지 약 2 중량부, 약 1 중량부 내지 약 4 중량부, 약 4 중량부 내지 약 7 중량부, 약 7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 또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상기의 범위에서 항균 효과를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지혈제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과 적절한 함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만일, 항균제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효과가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혈성분, 점도 조절용 제1성분, 점도 조절용 제2성분 및 용매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워져 전체 조성물의 점도를 1,000~30,000cPs으로 형성하기가 까다로운 문제가 있으므로 항균제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항균제는 포비돈 아이오딘(povidone iodine), 클로로옥시레놀(chloroxyrenol), 락토페린(lactoferrin), 라이소자임(lysozyme), 키토산(Chitosan), 나이신(nisin)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나, 항균제 종류는 전술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른 항균제 종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는 1,000~30,000cPs(centi poise)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점도 범위 1,000~30,000cPs는 브룩필드 점도계(25℃, 스핀들 64, 50rpm)로 측정된 수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가 1,000cPs 미만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제형이 액상에 가까워지므로 지혈제 조성물이 출혈부위에 도포된 이후에 곧바로 흘러내려 즉시지혈능 효과가 떨어지고, 재출혈의 우려가 있으며, 점도가 30,000cPs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튜브용기로부터 지혈제 조성물을 짜낼 때 과도한 압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혈액과 지혈제 조성물이 충분히 섞이지 못해 지혈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가 형성되도록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각 성분당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제조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1에 기재된 함량으로 지혈성분(제조예 1~4, 비교예 1~3은 염기성 황산철, 제조예5는 황산철, 제조예 6은 황산알루미늄, 제조예 7은 황산구리, 제조예 8은 염화알루미늄, 제조예 9는 염화아연, 제조예 10은 질산은), 용매(물), 점도 조절용 제1성분(제조예 1~4, 비교예 1~3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제조예 5는 셀룰로오스, 제조예 6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제조예 7~10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점도 조절용 제2성분(제조예 1~4, 비교예 1~3은 부틸렌글리콜, 제조예 5는 프로필렌글리콜, 제조예 6은 폴리에틸렌글리콜, 제조예 7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제조예 8~10은 부틸렌글리콜) 및 항균제(제조예 1~4, 비교예 1~3은 키토산, 제조예 5는 포비돈 아이오딘, 제조예 6은 클로로옥시페놀, 제조예 7은 락토페린, 제조예 8은 라이소자임, 제조예 9는 나이신, 제조예 10은 폴리라이신)를 혼합하여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하기 표1에서 점도(cPs)를 제외한 각 수치의 단위는 그람(gram)이다. 브룩필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25℃(spindle 64, 60rpm)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표1에 결과를 기재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B 4 5 6 7 6 6 6 6 6 6 2 3 8
C 9 8 7 6 7 7 7 7 7 7 11 10 5
D 1 1 1 1 1 1 1 1 1 1 1 1 1
E 66 66 66 66 66 66 66 66 66 66 66 66 66
점도 8,640 12,360 15,640 28,800 14,480 18,800 16,840 20,840 20,840 20,840 240 840 32,220
* 표1에서 A는 지혈성분, B는 점도 조절용 제1성분, C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 D는 항균제, E는 용매
한편, 표2에 기재된 함량으로 지혈성분(염기성 황산철), 용매(물), 점도 조절용 제1성분(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점도 조절용 제2성분(부틸렌글리콜) 및 항균제(키토산)를 혼합하여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하기 표2에서 점도(cPs)를 제외한 각 수치의 단위는 그람(gram)이다. 브룩필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25℃(spindle 64, 60rpm)에서의 점도를 측정하였고, 하기 표2에 결과를 기재하였다.
성분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제조예 15 제조예 16 비교예 4
A 20 20 20 20 20 20 20
B 6 6 6 6 6 6 6
C 7 7 7 7 7 7 7
D 0.1 0.5 1 2 5 10 0
E 66.9 66.5 66 65 62 57 67
점도 27,240 28,000 28,800 28,980 29,120 29,900 27,120
* 표2에서 A는 지혈성분, B는 점도 조절용 제1성분, C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 D는 항균제, E는 용매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시험 및 평가 방법
1. 점도별 in vivo 지혈능 시험
도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별 지혈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하기 a)~e)의 순서로 각 제조예 및 비교예의 지혈능을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를 하기 표3에 기재하였다.
a) SD-rat의 대퇴부 혈관을 노출한다.
b) 23G(gauge)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혈관을 직접 찌른다.
c) 출혈을 유도한다.
d) 제조예 및 비교예의 각 시료별로 출혈부위에 적용한다.
e) 즉시 지혈 유무와 재출혈 여부를 확인하여 기록한다. 5초 이내 지혈이 이루어진 경우 즉시 지혈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지혈이 완료된 이후 시점부터 20분 동안 재출혈 여부를 관찰하여 지혈 유지능을 평가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점도 8,640 12,360 15,640 28,800 14,480 18,800 16,840 20,840 20,840 20,840 240 840 32,220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3분뒤 지혈 3분뒤 지혈 지혈되지 않음
재출혈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즉시재출혈 즉시재출혈 지혈되지 않음
표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가 1,000~30,000cPs의 범위에서는 충분히 지혈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점도가 1,000cPs보다 낮은 경우에는 시료가 도포된 부위에서 흘러내려 사용하기도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지혈 효과도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점도가 3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료를 짜내기 힘들었을 뿐만 아니라, 혈액과 시료가 제대로 섞이지 않아 지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3의 결과를 통해, 전체 조성물이 100 중량부일 때, 증류수 66 중량부를 기준으로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이 특정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 최적의 지혈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즉시지혈능이 저하되거나 재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3에서 즉시재출혈은 지혈된 시점으로부터 10~15초 후에 재출혈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2. 항균력 실험
제조예 11 내지 16 및 비교예 4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방법으로 항균력을 실험하였다.
a)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Escherichia coil ATCC 25922를 준비한다.
b) 시험균액을 37 ℃에서 24시간 진탕 배양 후 균수를 측정한다. (진탕 횟수 120회/분)
c) 24시간 배양 후 측정된 균수와 대조 시료의 균수를 측정 비교한다.
d) 감소율(%) = [ (Mb - Mc) / Mb ] X 100 을 계산하여 기록한다.
Ma : 초기 균수
Mb : 24시간 배양 후 대조 시료의 균수
Mc : 24시간 배양 후 시험 시료의 균수
2-1. 항균력 실험 결과
1) 균주 1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Figure 112017127022781-pat00001
2) 균주 2 : Escherichia coil ATCC 25922
Figure 112017127022781-pat00002
표4 및 표5에 기재된 항균력 실험의 결과를 볼 때, 항균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이상이었을 때 균주 감소율 99.9%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항균제가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혈성분, 점도 조절용 제1성분, 점도 조절용 제2성분 및 용매와의 혼합 비율에 대한 문제로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가 크게 증가하여 사용상 편의성과 높은 지혈능을 모두 갖춘 지혈제 조성물을 제조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토광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지혈제 조성물의 혈액 흡수시 점토광물 성분으로 인한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제2성분을 통해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를 겔 타입의 제형 제조에 적합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점도 조절용 제1성분으로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하므로 체내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이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며, 분산성이 우수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제형 안정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겔 내에서 지혈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됨에 따라 지혈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온에서 겔 형태를 유지하므로 액상이나 분말 형태의 지혈제에 비해 출혈부위에 도포하는 과정이 편리하며, 사용상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로서,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혈성분;
    상기 지혈성분과 혼합되도록 마련된 용매;
    셀룰로오스(cellulose), 셀룰로오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점도 조절용 제1성분; 및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점도 조절용 제1성분과 함께 혼합되는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서 상기 지혈성분은 20~40 중량부, 상기 용매는 50~80 중량부이고, 상기 점도 조절용 제1성분은 상기 용매 66 중량부당 4~7 중량부이고, 상기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상기 용매 66 중량부당 6~9 중량부로 마련되고,
    점토광물 성분이 혈액을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착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는 상기 점토광물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용 제2성분은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항균제 0.1~10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제는 포비돈 아이오딘(povidone iodine), 클로로옥시레놀(chloroxyrenol), 락토페린(lactoferrin), 라이소자임(lysozyme), 키토산(Chitosan), 나이신(nisin) 및 폴리라이신(polylysi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점도는 1,000~3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KR1020170175937A 2017-12-20 2017-12-20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KR10207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37A KR102073267B1 (ko) 2017-12-20 2017-12-20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37A KR102073267B1 (ko) 2017-12-20 2017-12-20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15A KR20190074515A (ko) 2019-06-28
KR102073267B1 true KR102073267B1 (ko) 2020-02-04

Family

ID=6706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37A KR102073267B1 (ko) 2017-12-20 2017-12-20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624A1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다용도 지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4921B1 (ko) 2022-10-28 2024-01-12 김선종 반려동물용 왁스형 지혈제 조성물을 내포하는 골무형 지혈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184A (ja) * 2006-05-10 2009-10-08 プロデュイ・ダンテール・ピエール・ロラン 口腔粘膜または皮膚への包帯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ペースト
JP2016521595A (ja) * 2013-05-30 2016-07-25 メッドトレイド プロダクツ リミテッドMedtrade Products Limited 分解性止血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4972B2 (ja) * 1992-09-18 2005-11-09 レキオファーマ株式会社 病変組織異常血管の注射用止血剤
US5635162A (en) * 1995-02-23 1997-06-03 Ultradent Products, Inc. Hemostatic composition for treating gingival are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184A (ja) * 2006-05-10 2009-10-08 プロデュイ・ダンテール・ピエール・ロラン 口腔粘膜または皮膚への包帯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ペースト
JP2016521595A (ja) * 2013-05-30 2016-07-25 メッドトレイド プロダクツ リミテッドMedtrade Products Limited 分解性止血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624A1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다용도 지혈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4921B1 (ko) 2022-10-28 2024-01-12 김선종 반려동물용 왁스형 지혈제 조성물을 내포하는 골무형 지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15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67B1 (ko)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EP2854515B1 (en) Low-dust animal litter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DE60203783T2 (de) Medizinischer verband mit einer antimikrobiellen silberverbindung
AU2005220708B2 (en) Anti-infectious hydrogel compositions
EP1976537B1 (en) Hemostatic material
DE10330971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ut- oder Wundauflagen mit verkapselten, wundheilungsfördernden und/oder hautpflegenden Substanzen
EP1982696B1 (de) Gel zur Behandlung von Wunden
CA2776695C (en) Wound dressing containing hydrophobized active ingredient
BG62856B1 (bg) Полимерен състав, състав на абсорбционен материал, тяхнотополучаване и приложение
JP2009507069A (ja) 外傷を治療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
DE112013006917T5 (de) Carboxymethylcelluloseschaum zur hämostatischen Behandlung und zur Wundbehand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CN110064070A (zh) 含有机季铵盐或带硅烷端有机季铵盐抗菌水凝胶及其制备方法
DE112019006443T5 (de) Medizinischer dichtungsklebstoff zur förderung der wundheil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6693042B (zh) 一种抗菌水凝胶敷料及制备方法
DE112015003710T5 (de) Antimikrobielle Schäume mit polymerstabilisierten Silbernanopartikeln
US20110171284A1 (en) Povidone-iodine and sucrose wound healing dressing
CN112931250A (zh) 一种天然麻秆豆腐猫砂及其制备方法
CN104353105A (zh) 一种医用纳米抗菌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71681A (ko) 지혈제 조성물
DE4206850C2 (de) Polymerzusammensetzungen, Herstellgung von Polymerzusammensetzungen, insbesondere Absorptionsmaterialien und deren Verwendung
US10117857B2 (en) External medicine for diffuse plexiform neurofibroma
CZ302380B6 (cs) Suchá substance hydrogelu pro krytí ran a zpusob její prípravy
JP2006050911A (ja) 乳頭パック、乳頭保護方法および乳頭パックの塗布方法。
JP2014195448A (ja) 家畜用複合乳頭パック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家畜の乳頭を保護する方法
KR102072389B1 (ko)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