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389B1 -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389B1
KR102072389B1 KR1020170175940A KR20170175940A KR102072389B1 KR 102072389 B1 KR102072389 B1 KR 102072389B1 KR 1020170175940 A KR1020170175940 A KR 1020170175940A KR 20170175940 A KR20170175940 A KR 20170175940A KR 102072389 B1 KR102072389 B1 KR 10207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weight
parts
hemostat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517A (ko
Inventor
김은진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17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3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61K31/24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having an amino or nitro group
    • A61K31/245Amino benzoic acid types, e.g. procaine, nov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혈용 성분; 유지놀(eugenol), 사이몰(thymol), 탄닌산(tannic acid), 벤조카인(benzocaine), 리도카인(lidocaine), 리솔시놀(resorci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통증 경감용 성분; 제1용매; 및 상기 제1용매와 다른 종류로 마련된 제2용매;를 포함하고, 그로 인해 출혈부위의 지혈과 출혈에 따른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지혈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HEMOSTATIC COMPOSITION FOR ANIMAL AND HEMOSTAT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집에서 기르는 애완동물을 주변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그에 발맞추어 애완동물 미용업과 같은 서비스업도 성행하는 추세이다. 반려견, 반려묘 등을 기르는 사람들 중에는 개나 고양이의 발톱 손질이나 새의 부리를 직접 손질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개나 고양이의 발톱이나 새의 부리를 직접 손질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손질을 위해 애완동물 미용업소를 찾는 경우, 손질 도중에 작업자의 실수로 애완동물의 혈관이 손상될 수 있고, 갑작스러운 출혈로 인해 손질 작업이 중단되거나 상처 부위가 감염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 신속한 치료를 통해 애완동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혈관 밖으로 과량의 혈액이 유출되는 것은 동물의 생명과도 직결될 수 있으므로 지혈이 최대한 빠르게 진행되어야 했다.
그런데,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응급 조치를 통해 신속하게 출혈부위를 지혈시켜야 하지만, 출혈에 따른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 또한 애완동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했다.
지혈과 관련한 종래기술 중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16222호에는 혈액을 흡수하는 지혈 패드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기술은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패드를 형성하여 지혈시키는 방식이며, 출혈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는 구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지혈과 통증 경감 효과를 동시에 갖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출혈부위의 신속한 지혈과 출혈에 따른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혈용 성분; 유지놀(eugenol), 사이몰(thymol), 탄닌산(tannic acid), 벤조카인(benzocaine), 리도카인(lidocaine), 리솔시놀(resorcin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통증 경감용 성분; 제1용매; 및 상기 제1용매와 다른 종류로 마련된 제2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혈용 성분은 10~50 중량부, 상기 통증 경감용 성분은 0.1~2 중량부, 상기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50~250 중량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용매는 60~70 중량부이고, 상기 제2용매는 30~4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용매는 수계 용매이고, 상기 제2용매는 알코올류 용매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수계 용매는 물 또는 증류수이고, 상기 알코올류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동물용 지혈장치는 전술한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흡수성 섬유 재질로 마련된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혈용 성분을 통해 출혈부위의 신속한 지혈이 가능하므로 지혈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용매 및 제2용매 간의 혼합비율을 최적화함에 따라,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지혈능과 통증 경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 조성물은 흡수성 섬유 재질의 패드에 함유되어 패드 형태의 지혈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분말이나 액상 형태의 지혈제에 비해 출혈부위를 지혈하는 과정이 편리하고,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별 통증 경감용 성분의 용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지혈용 성분을 첨가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제조예별 지혈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수치 앞에 사용되는 용어인 "약"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떤 실시형태에서, 용어 "약"은 1, 2, 3 또는 4 이내의 표준 편차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용어 "약"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10%, 9%, 8%, 7%, 6%, 5%, 4%, 3%, 2%, 1%, 0.5% 또는 0.1% 이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지혈용 성분, 통증 경감용 성분, 제1용매 및 제2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혈용 성분은 출혈 부위에서 발생한 혈액을 응고시킬 수 있고, 10~5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지혈용 성분의 함량은 약 10 중량부, 약 15 중량부, 약 20 중량부, 약 25 중량부, 약 30 중량부, 약 35 중량부, 약 40 중량부, 약 45 중량부 또는 약 5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혈용 성분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혈용 성분의 함량 범위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20 중량부, 약 15 중량부 내지 약 25 중량부, 약 20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약 3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 약 35 중량부 내지 약 45 중량부, 약 40 중량부 내지 약 50 중량부 또는 약 10 중량부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용 성분은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며, 제1용매 및 제2용매와 함께 혼합될 때 전체 용매 내에서 높은 용해도로 용해되고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용이하다.
만일, 지혈용 성분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혈능이 저하되어 출혈부위의 신속한 지혈이 제한될 우려가 있고, 지혈용 성분이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초과되는 함량에 비해 지혈 효과가 상승되는 정도가 미미할뿐더러 전체 용매 내에서 지혈용 성분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혈용 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혈용 성분은 황산철(ferric sulfate),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 황산알루미늄(aluminium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염화알루미늄(alumi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질산은(silver nitrate)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증 경감용 성분은 출혈에 의해 발생한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으로서, 진통제 및 마취제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경감용 성분은 0.1~2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통증 경감용 성분의 함량은 약 0.1 중량부, 약 0.5 중량부, 약 1 중량부, 약 1.5 중량부 또는 약 2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증 경감용 성분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 경감용 성분의 함량 범위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0.5 중량부, 약 0.5 중량부 내지 약 1 중량부, 약 1 중량부 내지 약 1.5 중량부, 약 1.5 중량부 내지 약 2 중량부 또는 약 0.1 중량부 내지 약 2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경감용 성분은 상기의 범위에서 통증 경감 효과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일, 통증 경감용 성분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출혈로 인한 통증의 경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통증 경감용 성분이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된 투입량에 비해 통증 경감 효과의 상승 폭이 미미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과량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증 경감용 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통증 경감용 성분은 유지놀(eugenol), 사이몰(thymol), 탄닌산(tannic acid), 벤조카인(benzocaine), 리도카인(lidocaine), 리솔시놀(resorcinol)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전술한 종류 이외의 진통제나 마취제를 통증 경감용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용매는 지혈용 성분, 통증 경감용 성분 및 제2용매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제1용매는 수계 용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또는 증류수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제1용매는 전술한 종류 이외에도 탈이온수 또는 초순수 등의 공지된 수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50~25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약 50 중량부, 약 100 중량부, 약 150 중량부, 약 200 중량부 또는 약 25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의 함량 범위는 약 50 중량부 내지 약 100 중량부, 약 100 중량부 내지 약 150 중량부, 약 150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 약 200 중량부 내지 약 250 중량부, 약 50 중량부 내지 약 150 중량부, 약 100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 또는 약 50 중량부 내지 약 25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시키며, 지혈 및 통증 경감 효과를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만일,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혈용 성분이나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여 균일한 지혈능과 통증 경감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이 2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용매 내에 용해되어야 하는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의 함량도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에 비례하게 증가되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지혈 및 통증 경감 효과와 제조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용매의 함량은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7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용매는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약 60 중량부, 약 61 중량부, 약 62 중량부, 약 63 중량부, 약 64 중량부, 약 65 중량부, 약 66 중량부, 약 67 중량부, 약 68 중량부, 약 69 중량부 또는 약 7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용매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용매의 함량 범위는 약 60 중량부 내지 약 62 중량부, 약 62 중량부 내지 약 64 중량부, 약 64 중량부 내지 약 66 중량부, 약 66 중량부 내지 약 68 중량부, 약 68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 또는 약 60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용매는 상기의 범위에서 지혈용 성분을 적절한 수준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만일, 제1용매가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혈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서 분산성이 저하되며, 층분리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지혈능의 저하를 야기할 우려가 있고, 제1용매가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 내에서 상대적으로 제2용매의 함량이 감소하여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제대로 용해되지 못하여 통증 경감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제1용매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용매는 제1용매와는 다른 종류의 용매로서, 알코올류 용매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알코올류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용매로 전술한 종류 이외의 프로판올, 메탄올, 펜타놀, 헥산올 등의 알코올류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용매의 함량은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40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용매는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약 30 중량부, 약 31 중량부, 약 32 중량부, 약 33 중량부, 약 34 중량부, 약 35 중량부, 약 36 중량부, 약 37 중량부, 약 38 중량부, 약 39 중량부 또는 약 40 중량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용매의 함량은 상기 수치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수치 중 하나 이하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용매의 함량 범위는 약 30 중량부 내지 약 32 중량부, 약 32 중량부 내지 약 34 중량부, 약 34 중량부 내지 약 36 중량부, 약 36 중량부 내지 약 38 중량부, 약 38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 또는 약 30 중량부 내지 약 40 중량부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용매는 상기의 범위에서 통증 경감용 성분을 적절한 수준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만일, 제2용매가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충분히 용해되기가 어려워 분산성이 떨어지고, 통증 경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제2용매가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 내에서 상대적으로 제1용매의 함량이 감소하여 지혈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완전하게 용해되지 못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지혈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제2용매의 함량은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은 흡수성 섬유 재질로 마련된 패드와 함께 동물용 지혈장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섬유 재질의 패드에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을 침지시켜 지혈제가 함유된 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드를 형성하는 흡수성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나일론(nylon), 레이온(rayon), 아크릴(acrylic), 솜(cotton), 울(wool) 및 견(sil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사로 형성된 직물, 편물 및 부직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적용 가능한 흡수성 섬유는 전술한 종류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지혈제 조성물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된 다른 섬유 종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흡수성 섬유는 전술한 섬유 종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사를 합사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1에 기재된 함량으로 지혈용 성분(실시예 1~3, 비교예 1~4는 염기성 황산철, 실시예 4는 황산철, 실시예 5는 황산알루미늄, 실시예 6은 황산구리, 실시예 7은 염화알루미늄, 실시예 8은 염화아연, 실시예 9는 질산은), 통증 경감용 성분(실시예 1~3, 실시예 9, 비교예 1~4는 유지놀, 실시예 4는 사이몰, 실시예 5는 탄닌산, 실시예 6은 벤조카인, 실시예 7은 리도카인, 실시예 8은 리솔시놀), 제1용매(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는 증류수) 및 제2용매(실시예 1~3, 비교예 1~4는 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4는 에탄올, 실시예 5는 부틸알코올, 실시예 6~9는 에탄올)를 유리 바이알 내에 투입하고, 마그네틱 바와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200rpm으로 충분히 교반하여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1에서 각 수치의 단위는 그람(gram)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A 20 20 20 30 25 27 30 25 30 20 20 20 20
B 2 2 2 2 2 2 2 2 2 2 2 2 2
C 70 65 60 70 70 70 70 70 70 80 75 55 50
D 30 35 40 30 30 30 30 30 30 20 25 45 50
* 표1에서 A는 지혈용 성분, B는 통증 경감용 성분, C는 제1용매, D는 제2용매
제조된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의 용해도 평가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해도를 육안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비교예별 통증 경감용 성분의 용해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즉, 도1의 각 유리 바이알들은 실시예 1(300A), 실시예 2(400A), 실시예 3(500A), 비교예 1(100A), 비교예 2(200A), 비교예 3(600A), 비교예 4(700A)의 지혈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이며, 도1은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4가지 성분 중 지혈용 성분이 혼합되기 전의 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2용매가 3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용액 상층부에는 통증 경감용 성분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하얀 고체 상태로 부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지혈용 성분을 첨가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즉, 도2의 각 유리 바이알들은 실시예 1(300B), 실시예 2(400B), 실시예 3(500B), 비교예 1(100B), 비교예 2(200B), 비교예 3(600B), 비교예 4(700B)의 지혈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이며, 도2는 전체 지혈제 조성물의 4가지 성분이 모두 혼합된 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용매가 6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용액은 지혈용 성분이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여 층분리 현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 용해도를 평가한 결과,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이 100 중량부일 때, 제1용매는 60~70 중량부이고, 제2용매는 30~4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하며, 균일상의 지혈제 조성물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물용 지혈장치의 제조
지름 52mm, 두께 0.47mm, 중량 70gsm(gram for square meter)인 원형 부직포 패드를 전술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지혈제 조성물에 침지시켜 동물용 지혈장치(지혈 패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2에서 제조예 1~9는 실시예 1~9의 지혈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지혈 패드이고, 제조예 10~13은 비교예 1~4의 지혈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지혈 패드이다.
동물용 지혈장치의 시험 및 평가 방법
in vivo 지혈능 시험
도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제조예별 지혈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방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하기 a)~d)의 순서로 각 제조예의 지혈능을 평가하였고, 평가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a) SD-rat의 꼬리 말단 3cm 부분을 절단한다.
b) 출혈을 유도한다.
c) 각 제조예별로 출혈부위에 적용한다.
d) 즉시 지혈 유무와 재출혈 여부를 확인하여 기록한다. 5초 이내 지혈이 이루어진 경우 즉시 지혈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지혈이 완료된 이후 시점부터 20분 동안 재출혈 여부를 관찰하여 지혈 유지능을 평가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제조예 10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즉시지혈 지혈 안됨 지혈 안됨 지혈 안됨 지혈 안됨
재출혈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없음 재출혈 발생 재출혈 발생 재출혈 발생 재출혈 발생
표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이 100 중량부일 때, 제1용매는 60~70 중량부이고, 제2용매는 30~4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제조된 제조예 1 내지 9는 즉시지혈능과 지혈유지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제1용매와 제2용매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된 제조예 10 내지 13은 지혈 효과가 상대적으로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지혈용 성분을 통해 출혈부위의 신속한 지혈이 가능하며, 재출혈을 방지하므로 즉시지혈능과 지혈유지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본 발명은 제1용매 및 제2용매 간의 혼합비율이 최적화됨에 따라,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에 대해 높은 용해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지혈능과 통증 경감 효과를 우수한 수준으로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애완동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지혈제 조성물은 흡수성 섬유 재질의 패드에 함유되어 패드 형태의 지혈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분말이나 액상 형태의 지혈제에 비해 출혈부위를 지혈하는 과정이 편리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염기성 황산철(ferric subsulfate)로 마련된 지혈용 성분;
    유지놀(eugenol)로 마련된 통증 경감용 성분;
    제1용매; 및 상기 제1용매와 다른 종류로 마련된 제2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지혈용 성분은 10~50 중량부, 상기 통증 경감용 성분은 0.1~2 중량부, 상기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은 50~250 중량부로 마련되고,
    상기 제1용매는 상기 지혈용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도록 수계 용매로 마련되고, 상기 제2용매는 상기 통증 경감용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도록 알코올류 용매로 마련되되,
    상기 지혈용 성분과 통증 경감용 성분이 전체 용매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지혈용 성분 20 중량부와 상기 통증 경감용 성분 2 중량부와 상기 제1용매 및 제2용매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용매는 60~70 중량부이고, 상기 제2용매는 30~4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용매는 물 또는 증류수이고,
    상기 알코올류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흡수성 섬유 재질로 마련된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지혈장치.
KR1020170175940A 2017-12-20 2017-12-20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KR10207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40A KR102072389B1 (ko) 2017-12-20 2017-12-20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940A KR102072389B1 (ko) 2017-12-20 2017-12-20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17A KR20190074517A (ko) 2019-06-28
KR102072389B1 true KR102072389B1 (ko) 2020-02-04

Family

ID=6706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940A KR102072389B1 (ko) 2017-12-20 2017-12-20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3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425A (ja) * 1993-05-28 1994-12-06 Sekisui Chem Co Ltd 注射用鎮痛止血パッチ
US5635162A (en) * 1995-02-23 1997-06-03 Ultradent Products, Inc. Hemostatic composition for treating gingival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517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345B1 (ko) 지혈제 조성물
EP1982696B1 (de) Gel zur Behandlung von Wunden
US5169846A (en) Non-aqueous micellar solutions of anthelmintic benzimidazoles, closantel, or phenothiazine, and insect growth regulators
US9821084B2 (en) Hemostasis of wound having high pressure blood flow using kaolin and bentonite
EP2842580A1 (en) Silvery antibacterial fibre, texture, and wound dress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E60214376T2 (d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huf- und klauenerkrankungen
EP2344130B1 (en) Pharmaceutical topical compositions
WO2018115453A1 (de) Wasserhaltige hydrogelzusammensetzung, umfassend elementare silberpartikel
EP2636775A1 (en) Antimicrobial fiber, fabric and wound dressing containing nano met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072389B1 (ko)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물용 지혈장치
US20120148520A1 (en) Organic Iodine Complex Durable Barrier With Antimicrobial Preparations
WO2011085356A2 (en) Povidone-iodine and sucrose wound healing dressing
CN108042840B (zh) 一种医用海绵
KR102073267B1 (ko) 겔 타입 동물용 지혈제 조성물
WO2012160217A1 (de) Funktionalisierte wundauflage
CN114767631B (zh) 一种抗菌抗炎促伤口愈合Pickering乳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2939036B2 (ja) ギプス下巻き用不織布包帯
CN102614544B (zh) 纳米银抗菌敷料的制备方法及应用
Jones et al. Psoroptic mange in cattle in south Wales
US20090005842A1 (en) Cooling System
Erkert et al. Comparison of topical lidocaine/prilocaine anesthetic cream and local infiltration of 2% lidocaine for episioplasty in mares
Ukwueze et al. Haematologic and clinical change assessment in propofol anaesthesia in combination with xylazine and ketamine in West African Dwarf goat
Azelhak et al.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 following chronic encircling hobbling wounds in a group of working Donkeys in Morocco
Wise et al. A tumour of vascular origin in a horse
FI102810B (fi) Aine eläimen ihon käsittelyy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