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097B1 -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097B1
KR102073097B1 KR1020190088964A KR20190088964A KR102073097B1 KR 102073097 B1 KR102073097 B1 KR 102073097B1 KR 1020190088964 A KR1020190088964 A KR 1020190088964A KR 20190088964 A KR20190088964 A KR 20190088964A KR 102073097 B1 KR102073097 B1 KR 10207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safe
fire safe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시스템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세이프존에 설치되고, 소방안전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세이프박스 및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소방안전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세이프박스는, 소방안전용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IoT SAF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국의 소방안전문화는 화재안전기준의 최소한의 안전기준 수준에 불과하며, 아파트, 빌딩 외 장소(빌라, 연립, 다세대, 단독주택 등)는 주기적 안전점검 대상에서도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동적인 소방안전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자발적 소방안전지킴문화의 발전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887호, 2019.04.1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은, 세이프존에 설치되고, 소방안전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세이프박스 및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소방안전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세이프박스는, 소방안전용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입장하는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세이프존으로부터 퇴장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고정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고정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경우,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출입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세이프존에서 발생하는 소방안전상태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이프박스에는 상기 세이프박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코드가 표시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코드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관리대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관리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세이프존에 발생한 이상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이상상황에 대한 대응방안 및 상기 세이프존으로부터의 탈출경로 또는 대피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은, 잠금수단이 구비된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박스는,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가 정상일 때에는 상기 잠금수단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인증된 세이프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주기로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존의 매니저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 주기로 상기 매니저 단말에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 갱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이프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세이프박스 또는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방안전 단말에 의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관리자 계정에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계정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한 소방안전상태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대피경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세이프박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피경로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유비무화(有備無火)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유비무화가 설치된 공간은 안전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하고, 이에 따라 건물 등 관리자들이 유비무화 시스템을 설치하도록 장려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따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시스템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한 고용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프박스 스캔 및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건물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화면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무화(有備無火)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유비무화(有備無火)란 사자성어 유비무환(有備無患)의 '환'을 '화(火)'로 대체한 것으로, 준비가 되어 있으면 불이 나지 않는다, 혹은 불이 나더라도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이름이자 슬로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은 세이프박스(100), 사용자 단말(200), 서버(300), 매니저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기관 단말(6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가정이나 빌딩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물의 복도, 비상계단 등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이프박스(100)는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의 층별로, 혹은 동일한 층에서도 소정의 범위마다 하나씩 복수의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공간을 세이프존으로 칭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위치 주변의 화재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며, 화재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경보 모듈을 이용하여 화재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경보 모듈은 화재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화재경보등을 발광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건물 등에 기 설치된 화재경보기 등과 연동하여 화재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건물의 관리시스템과 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화재발생 사실을 외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이프박스(100)는 화재발생 사실을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세이프박스(10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세이프박스(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세이프박스(100)는 화재 발생사실 및 수집되는 정보를 매니저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기관 단말(600) 등에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500)은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건물 등의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0)은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세이프박스(100) 대여 및 설치를 요청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 서비스를 신청, 유지 및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는 기간제 또는 정기결제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500)에 소정의 주기로 안전검사, 인증 등의 갱신을 요청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건물 등의 안전상태 및 인증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관 단말(600)은 소방서나 병원 등에서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세이프박스(100),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300) 등으로부터 화재발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인원을 출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박스(100)는 화재 발생사실을 소정의 범위 내에 설치된 다른 세이프박스(100) 들에게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근거리 무선통신, 내부 통신망, 네트워크 통신망 및 서버(300)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이프박스(100)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같은 건물 내에 설치된 다른 세이프박스들에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세이프박스(100)는 동일한 장소 혹은 건물에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세이프박스(100)는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화재알림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재알림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이에 기반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관련 정보를 외부 단말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혹은 화재감지 및 경보모듈은 세이프박스(100)와 별도로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여러 장소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비상조명등, 피난유도등, 화재감지기, 화재경보기, 소화기, 방독면, 마스크 및 구급약품 등 다양한 화재 및 기타 재난대비용 물품들을 내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수용공간에 상기한 물품들을 내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해당 수용공간은 평소에는 잠금상태로 설정되되, 화재경보상태에는 자동으로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해당 수용공간은 비밀번호가 입력되거나, 관리자 단말(500)에 의한 요청이 있는 경우 잠금이 해제될 수 있으나, 이외의 경우에는 해당 장소의 소방안전상황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잠금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이프박스 스캔 및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에는 위치기반 QR 코드(110)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세이프박스(100)에 부착된 QR 코드(110)를 스캔함으로써 세이프박스(1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해당 세이프박스(100) 또는 해당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위치에 자신이 있다는 사실을 등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세이프박스에는 QR 코드와 함께 일련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일련번호는 지역번호와 설치연월 및 설치번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세이프박스(100) 혹은 세이프박스(100)를 포함하는 위치(예를 들어,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건물 등)에서 화재경보가 감지되는 경우, 세이프박스(100) 또는 서버(300)는 해당 위치 혹은 세이프박스(10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로 화재발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이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가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QR 코드 외에 바코드, NFC, 비콘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200)에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이프박스(100)는 NFC 스캔 혹은 비콘 단말 인식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이 비콘을 통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등록여부를 질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승인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0)을 세이프박스(100)가 배치된 위치에 입장한 것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세이프박스(100)를 탐색 및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의 GPS 정보 혹은 기타 실내측위를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컴퓨터의 일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각 장소의 안전여부 및 안전사고 발생여부(화재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세이프박스(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세이프박스(100)에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 혹은 스캔수단에 기초하여 세이프박스(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세이프박스(100)에 의하여 관리되는 장소에 입장하였다는 사실을 서버(300)에 등록하며, 서버(300) 혹은 세이프박스(100)는 해당 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안전상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실을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세이프박스(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관리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관리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관리대상 목록에 추가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관리대상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을 관리대상 목록으로부터 해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특정 세이프존에 대한 고정 관리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해당 세이프존에 대하여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와 무관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세이프 존에 입장할 수 있다. 입장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세이프 존에 설치된 세이프박스(100)에 부착된 QR 코드, 바코드, NFC 태그, 비콘 단말 등을 스캔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위치(세이프 존)에 본인의 사용자 단말(200)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위치의 관계인(건물주, 사용자, 관리인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위치의 안전인증 정보, 화재감지기 설치여부, 화재경보(화재알람, 화재방송, 긴급문자, 소방서자동신고) 시스템 구비여부, 소화기 비치여부, 소화전 유무, 스프링클러 설치여부, 피난설비(유도등, 완강기, 구조대 등) 구비여부, 제세동기 구비여부 및 각각의 설비의 위치 및 이용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세이프 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경보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세이프 존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해당 세이프 존에 대한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세이프 존에 입장하는 경우 세이프 존 입장사실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 및 표시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세이프 존에서 나가는 경우 세이프 존 퇴장사실을 알리는 알림을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정보, 사용자 단말(200)의 세이프박스(100) 재스캔을 통한 퇴장처리 및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퇴장처리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이 세이프 존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세이프박스(100)에 고정적으로 등록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세이프박스(100)를 고정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에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경우, 사용자의 위치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집에서 화재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화재발생사실에 대한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세이프 존 내에서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장소에 기반한 맞춤형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감지 및 화재경보 정보를 제공하고, 피난구 및 피난안내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 존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건물이나 고정적인 장소뿐 아니라 버스 및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의 경우에도 소정의 안전장비 혹은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대중교통에 대해 세이프 존 인증이 수행될 수 있고, 세이프 존으로 인증된 대중교통에 대한 정보 및 실시 예에 따라 실시간 위치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한 정보들과 함께,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긴급상황에 따른 행동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평시에 무인택배박스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재난대비용 물품들이 보관되지 않는 여유공간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세이프박스(100)에 보관되는 물품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세이프박스가 설치된 장소별로 추가안전용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이나 병원 등에는 공기호흡기 및 방열복 등이 구비될 수 있고, 학교 및 교육기관에는 대피용마스크와 랜턴, 의약품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구소 및 실험실 등에는 방독면등 기타 용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각각의 세이프박스에 보관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품의 개수 및 종류에 대한 정보는 물품의 출납관리, 후술하는 매니저에 의한 모니터링 및 세이프박스에 포함된 센서장치에 의한 감지결과 등에 기초하여 관리될 수 있다.
서버(300)는 세이프 존이 유동인구 및 세이프 존 내부에 동시에 머무르는 사람의 수의 통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들의 입장 및 퇴장관리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서버(300)는 통계수치와 세이프박스에 보관되는 물품의 수를 비교하여 세이프박스에 물품을 추가하거나, 세이프박스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매니저 단말(400) 또는 관리자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 존 내부의 기타 안전설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300)는 해당 안전설비가 충분한지, 혹은 추가적인 안전설비의 설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 단말(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박스(100)는 옥외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건물 내부 및 외부의 지역 보안업무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세이프박스(100)는 CO(일산화탄소) 감지기를 포함하여, 사고 및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 세이프박스(100) 및 추가 모듈로서 기능하는 소방안전 단말(700)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방안전 단말(700)은 화재감지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화재비상벨 및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세이프박스(100)는 세이프존 내의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소방안전 단말(700)이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방안전 단말(700)은 사용자 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과의 무선통신 강도의 변화를 서로 다른 소방안전 단말(700)간에 측정 및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소방안전 단말(70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는 인근의 세이프박스(100)에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집하며, 세이프박스(100)에 구비된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각의 소방안전 단말(700)에 구비된 네트워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서버(300)에 정보가 전달될 수도 있다.
서버(300)는 각각의 소방안전 단말(700)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이동여부,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측정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 설정된 관리자 계정에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 관리자 계정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가 세이프존 내의 사용자의 출입과 이동을 기록하는 것은 화재 등 위험상황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구조대가 건물 내부의 사람의 수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구조작업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단, 평소에는 이러한 정보를 상세하게 수집하는 것이 과도한 프라이버시 침해로 여겨질 수 있으므로, 서버(300)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이를 암호화한 뒤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관리자 계정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관리자 계정은 내부 관리자가 아닌 외부(예를 들어, 소방서 등)의 관리자일 수 있으며, 서버(300) 내부에는 복호화 키가 보관되지 않고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의 관리자가 임의로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고, 위험상황 발생시에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외부 관리자가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복호화 키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위험상황 발생시 외부 기관(소방서 등)에 화재발생 알림과 함께 복호화 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건물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10)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물(10)의 각 층에 세이프박스(102 내지 108))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소방안전 단말(702 내지 708)이 각 층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건물(10)의 탈출구(12), 계단(14)등 통로, 대피장소(16)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며, 위험상황 발생시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건물(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대피경로 등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위험상황 발생시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는 메시지에는 세이프존(즉, 건물(10))에 발생한 이상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이상상황에 대한 대응방안 및 상기 세이프존으로부터의 탈출경로 또는 대피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재로 인해 외부 서버(300)와의 통신이 두절되거나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0)는 소정의 주기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소방안전 관리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를 세이프박스(100) 또는 건물(10) 내부의 관리단말로 전송 및 업데이트하며, 서버(300)와의 통신이 어려운 경우, 세이프박스(100) 또는 건물 내부의 관리단말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각 세이프박스 및 소방안전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10) 내 각 위치의 위험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대피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안전한 위치로 사용자를 안내한 후 구조대에 해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구조대가 도착한 경우, 서버(300)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인근의 창문 방향으로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으며, 구조대에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건물(10)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각 사용자 단말의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한 소방안전상태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10)내부에는 복수의 세이프박스와 소방안전 단말이 설치되지만, 일반적으로 그보다 훨씬 많은 숫자의 사용자 단말들이 건물 내의 곳곳에 위치하게 되는 바,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취합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예를 들어, 연기, 온도, 움직임 등)에 기초하여 각 위치의 소방안전상태를 판단하며, 특정 위치에서 위험이 인지되는 경우 인근의 세이프박스 및 소방안전 단말의 측정정보와 이를 종합하여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특정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상황에 해당하는 센서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서버(300)는 해당 사용자 단말에 주변에서 위험상황이 인지되는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의 회신에 따라 위험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대피경로를 각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상기 세이프박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피경로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피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에 진동이나 음성 등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긴급상황에 사용자가 당황하여 대피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0)는 건물(10) 내부의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특정 대피경로에 사용자들이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서로 다른 대피경로를 생성하여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하게 대피가능한 경로가 2가지인 경우, 각 사용자 단말에 더 가까운 경로를 할당하되, 2가지 대피경로에 사용자들이 분산될 수 있도록 경로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제공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히나 이상의 인증된 세이프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설치되고, 주기적으로 관리여부가 확인되는 장소를 인증된 세이프존으로 하고, 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존이 건물인 경우, 해당 건물에 속하는 매장이나 장소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는 장소나 매장을 검색할 때 해당 장소나 매장이 안전한지, 즉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으로 인해 보호받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매장을 검색할 때, 검색된 매장들(210 내지 240) 중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는 매장(210 및 230)에는 인증마크(212)를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인증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300)는 자체 검색시스템을 마련하거나, 특정 매장이나 장소에 대한 외부의 확인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를 회신하거나,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는 등의 형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증된 장소가 안전하다고 느껴 이를 선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안전한 장소로 방문할 것을 유도함은 물론 각각의 건물주나 점주로 하여금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입할 동기를 부여하여,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는 영역을 점차 넓혀나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비무화 스탬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유비무화 스탬프 서비스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세이프존으로 인증된 장소에 입장처리될 때마다 하나씩 누적되며, 한 장소에는 하루에 한 번(혹은 다른 기준에 의한 제한이 부여될 수 있다)씩 스탬프를 찍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적되는 스탬프는 자신의 가정에 설치된 유비무화 시스템(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소방안전 시스템)의 이용료 혹은 설치비를 충당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고, 일정 포인트가 누적되면 가정용 소화기 등의 경품과 교환하거나,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는 매장에서 제품교환 혹은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라 계약이 체결된 가맹점의 경우, 별도의 포인트 시스템 대신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비무화 시스템을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할 수 있고, 매장 이용에 따른 포인트와 세이프존 방문에 따른 스탬프는 독립적으로 관리될 수도 있지만, 함께 통합하여 관리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로 하여금 세이프존 방문을 유도함은 물론, 세이프존 방문시 잊지 않고 입장처리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제공 화면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세이프 존 및 이에 위치하는 매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되, 각 매장에서 진행되는 프로모션이나 광고정보가 이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광고정보는 각 매장의 우선순위에 따라 선별적으로 혹은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정렬의 기준은 설정된 광고료뿐 아니라 각 매장의 소화기 비치여부, 소방안전장비 및 설비 설치여부 등을 포함하는 소방안전 포인트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매니저에 의하여 관리 및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각 매장의 관리자 단말에는 매장의 우선순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화기 비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화기 구매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매장의 관리자 단말에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체크리스트가 제공되며, 각 체크리스트 수행에 따른 포인트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매장의 관리자는 체크리스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촬영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 혹은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매니저 단말(400)이 이를 확인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포인트가 해당 매장에 부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이프 존 자체뿐 아니라 이에 속하는 각 매장들도 소방안전에 투자하도록 하는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을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300)는 상기 세이프존의 매니저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300)는 소정 주기로 상기 매니저 단말에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 갱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저 단말(400)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세이프박스(100)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매니저가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매니저는 유비무화 코디네이터라고도 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유비무화 시스템을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매니저는 소정의 지역 내에서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건물 등을 방문하여 세이프박스(100)의 정상작동 여부 및 구비물품 완비여부를 확인하고, 소모된 물품을 보충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수리하거나 수리요청을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매니저는 각 지역의 은퇴한 소방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라 지역별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매니저 단말(400)에는 세이프박스(100)와의 통신을 통해 세이프박스(100)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매니저 단말(400)은 검사 결과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도화면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주변에 설치된 세이프박스(100)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정보를 획득 및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800)를 표시하되, 지도 상에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위치(810 및 82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의 세이프박스(100)가 설치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관리되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의 유지보수상태가 인정되는 공간(예를 들어, 건물 등)은 인증된 세이프 존으로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지도에는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세이프 존이 표시될 수 있다.
세이프 존의 표시방법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인증여부 표시방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로 하여금 세이프 존의 방문을 유도하여 안전한 곳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건물주나 공간 관리자로 하여금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소방안전 시스템 도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세이프박스
200 : 사용자 단말
300 : 서버
400 : 매니저 단말
500 : 관리자 단말
600 : 기관 단말

Claims (10)

  1. 세이프존에 설치되고, 소방안전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 세이프박스;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소방안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상기 세이프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세이프박스 또는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소방안전 단말에 의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대한 소방안전상태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 이동여부 및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대피경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상기 세이프박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소방안전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피경로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제2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입장하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세이프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세이프존으로부터 퇴장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부터 해제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고정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고정 관리대상으로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경우,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출입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세이프존에서 발생하는 소방안전상태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박스에는 상기 세이프박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코드가 표시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코드에 저장된 링크정보에 대응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관리대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관리대상으로 등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관리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해제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세이프존에 발생한 이상상황의 종류, 발생위치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상기 이상상황에 대한 대응방안; 및
    상기 세이프존으로부터의 탈출경로 또는 대피위치를 포함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박스는,
    소방안전용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잠금수단이 구비된 개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박스는,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가 정상일 때에는 상기 잠금수단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소방안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인증된 세이프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된 세이프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소정의 주기로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을 갱신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세이프존의 매니저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 주기로 상기 매니저 단말에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세이프존의 관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세이프존에 대한 인증 갱신여부를 결정하는,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8964A 2019-02-26 2019-07-23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KR102073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02 2019-02-26
KR20190022802 2019-02-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85A Division KR20210011867A (ko) 2020-01-29 2020-01-29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097B1 true KR102073097B1 (ko) 2020-02-04

Family

ID=6957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964A KR102073097B1 (ko) 2019-02-26 2019-07-23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767A (ja) * 2003-03-07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移動通信端末のデータ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20130025500A (ko) * 2011-09-02 2013-03-12 박운학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합 정보 안내 시스템
KR20190040887A (ko) 2017-10-11 2019-04-19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767A (ja) * 2003-03-07 200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移動通信端末のデータ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20130025500A (ko) * 2011-09-02 2013-03-12 박운학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합 정보 안내 시스템
KR20190040887A (ko) 2017-10-11 2019-04-19 박영진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20180308326A1 (en) Digital smart safety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160266733A1 (en) Event and staff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S2674418T3 (es) Enrutamiento de alarma mejorada en sistema integrado de seguridad basado en información de ubicación en tiempo de real del guarda de seguridad en las instalaciones para respuesta de alarma más rápida
JP2016170794A (ja) 感染拡大防止支援システム、感染拡大防止支援サーバ、検査端末、移動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65658A1 (en) Event and staff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CN104040289A (zh) 利用区域或建筑物的占用率来进行人员流仿真
US20230351531A1 (en) Safety management and building oper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s
WO2010067205A2 (en) Facility security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20220398886A1 (en) Credentia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y access
KR20210011867A (ko)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JP3887597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
KR102073097B1 (ko) 유비무화 IoT 소방안전관리 시스템
US20230222893A1 (en) Home occupancy information system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2102827B1 (ko)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148555A (ko) 하이브리드 위치 정보와 다이나믹 qr를 이용한 다중이용시설 출입 관리 및 위치 확인 솔루션
EP3467797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verification using access control system
AU2019340238B2 (e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occupancy building
KR102529838B1 (ko) 방역스캐너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11928950B2 (en)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network (PPE-N)
JP7492374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EP4386702A1 (en) Alarm system detector geofencing
KR101142849B1 (ko) 목조 건축물의 화재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