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827B1 -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827B1
KR102102827B1 KR1020190117892A KR20190117892A KR102102827B1 KR 102102827 B1 KR102102827 B1 KR 102102827B1 KR 1020190117892 A KR1020190117892 A KR 1020190117892A KR 20190117892 A KR20190117892 A KR 20190117892A KR 102102827 B1 KR102102827 B1 KR 10210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camera
beacon
surveill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Original Assignee
지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주) filed Critical 지에스(주)
Priority to KR102019011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내의 출입문 밖의 공동 이용 구역에 진입하는 사람들을 감시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감시영상을 통해 거주인과 비거주인으로 분류하며, 비거주인인 경우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며, 각각마다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송출하는 비콘; 상기 공동주택 내에서 이동하는 거주인이 휴대하는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비콘에서 송출하는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는 거주인 스마트폰;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되 복수 개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비콘 각각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감시카메라와 연동하여 상기 감시카메라 각각으로부터 감시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감시카메라 각각마다 감시카메라 카메라 아이디값을 저장하되 상기 카메라 아이디값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매칭시켜 저장하며,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정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객체화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된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을 기록시키며, 거주인 및 내방객에 대한 전화번호 테이블을 기저장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신호세기값 및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에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의 매칭여부를 판별하여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에서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경비서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APARTMENT SECURITY SYSTEM AND THE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시티의 보안과 관련하여 공동주택 내의 출입문 밖의 공동 이용 구역에 진입하는 사람들을 감시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감시영상과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거주인과 비거주인으로 분류하며, 비거주인인 경우를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APARTMENT)에서는 입구의 진입시에 비밀번호나 알에프아이디(RF ID) 카드를 이용하여 허가된 거주인만이 공동주택의 진입을 허가함으로써, 공동주택을 보안하고 있다.
이 경우, 공동주택의 주차장이나 보행도로와 같은 공동 이용 구역은 공동주택의 출입문 보안과는 달리,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 아무나 진입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공공주택의 경비소에서는 공동 이용 구역에 진입한 허가되지 않은 비거주인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없으며, 이를 판별하는 방법은 감시카메라(CCTV)를 통해 허가되지 않는 비거주인의 얼굴을 식별하여 대조하는 방법밖에 없다.
하지만, 공동주택의 경비소에서 거주인과 비거주인의 얼굴을 일일히 식별하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감시카메라의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등록된 거주인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얼굴 식별 장치를 제안해볼 수도 있으나, 이러한 얼굴 식별 장치는 아직까지도 그 정확성이 뛰어나지 못하고, 더군다나, 안면의 이목구비가 확대된 정확한 촬영이미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방식은 실질적으로 그 실용성이 매우 떨어져 기술적 해결수단으로 채택하기 어려운게 현 실정이다.
따라서, 경비소에서는 얼굴 식별 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비거주인이 공동 이용 구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비주거인이 공동 이용 구역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현 시점에서 주차장 내의 비거주인을 구별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비콘(beacon)을 이용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콘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비콘(beacon)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비콘은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이라고도 하며, 작동거리가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작동하는 엔에프씨(NFC)에 비해, 몇십미터 거리에서도 작동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쇼핑센터, 음식점, 박물관, 미술관, 영화관 및, 야구장 등을 방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에 할인 쿠폰이나 상세 설명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콘을 이용한 종래 선행문헌인 특허문헌1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165호(2019.05.24 공고)인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시스템은 고유번호를 갖는 비콘발생기, 비콘수신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는 CCTV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비콘발생기의 고유번호, RSSI, 및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관리센터를 포함하고, 스마트폰은 건물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비콘발생기의 고유번호와 RSSI를 CCTV 카메라를 통해 관리센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1에서는 스마트폰에서 비콘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를 수신하고 RSSI를 검출한 이후, 검출된 고유번호와 RSSI를 CCTV 카메라로 송신하고, CCTV 카메라가 전송된 비콘발생기의 고유번호, RSSI 및, 촬상한 영상신호를 관리센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센터에서 스마트폰을 휴대한 사람의 위치 및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센터의 관리자가 위치 및 영상정보를 통해 거주인이 쓰러지는등의 위험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1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허가된 거주인에 대한 위험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으나, 비주거자가 공동 이용 구역에 진입하였는지는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 비콘을 이용한 종래 선행문헌인 특허문헌2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3038호(2015.09.15 공고)인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 검출 기반의 네트워크 연동 시큐리티 시스템에서는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서 보안 공간의 도플러 쉬프트를 검출하면 이를 외부 침입과 같은 요주의 상황으로 추정하고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그 침입 사실을 알리면서 실내 카메라촬영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침입자를 감지함과 동시에 침입자의 영상을 확보하게 된다.
이처럼, 특허문헌2는 침입자의 감지 및 침입자의 영상을 확보함으로써, 비거주인의 침입시에 움직임을 판별하여 침입 여부를 확인하고, 영상을 통해 증거자료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2는 최초, 사람의 움직임을 판별하여 이를 침입여부로 간주하기 때문에, 거주인인데도 불구하고 칩입자로 판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비소에서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이나 보행도로와 같은 공동 이용 구역으로 도보를 통해 누군가가 진입한 경우,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비거주인으로 판별된 경우에 해당 비거주인의 위치 및 영상을 경비소에서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경우, 경비소에서는 택배기사, 소독기사 및, 거주인 지인등과 같은 방문객들이 존재하는 경우, 방문객들이 감시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 수단도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165호(2019.05.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3038호(2015.09.15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차장이나 공동주택 내부도로와 같이 아무나 출입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동 이용 영역에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에,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비거주인이 표시되도록 하여 비거주인을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 공동 이용 영역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택배기사, 소독기사 및, 거주인 지인등과 같은 방문객들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카메라 영상 내의 방문객들이 감시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며, 각각마다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송출하는 비콘; 상기 공동주택 내에서 이동하는 거주인이 휴대하는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비콘에서 송출하는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는 거주인 스마트폰;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되 복수 개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비콘 각각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감시카메라; 및, 상기 감시카메라와 연동하여 상기 감시카메라 각각으로부터 감시영상을 입력받는 감시영상저장부; 상기 감시카메라 각각마다 감시카메라 카메라 아이디값을 저장하되 상기 카메라 아이디값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카메라 아이디값 및 비콘아이디값 매칭부;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정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객체화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된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을 기록시키는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 거주인 및 내방객에 대한 전화번호 테이블을 기저장하여 구성되는 전화번호 테이블저장부; 및,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신호세기값 및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에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의 매칭여부를 판별하여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에서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진입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경비서버; 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상기 경비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경비서버에 기록된 감시영상을 입력받는 관리자단말;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경비서버는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경우,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포함된 감시영상을 상기 관리자단말로 송출하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식별태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집중적으로 감시되도록 하는 식별태그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은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경비서버로 추가 전화번호의 등록을 상기 경비서버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경비서버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추가로 저장시켜 다수의 거주인 또는 방문객을 등록시킴으로써, 상기 식별태그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는, 공동주택내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본체; 상기 카메라본체의 촬영방향으로 일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본체를 수용하여 카메라본체가 고정될 위치를 마련하는 카메라수용체; 일단이 상기 카메라수용체와 결합되고 타단이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수용체를 고정시키는 카메라브라켓; 상방과 정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측부가 볼트결합을 위해 측방으로 펼쳐진 결합판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수용체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판이 볼트결합되는 비콘수용체; 및, 일단이 상기 카메라수용체의 하부면과 볼트결합하도록 상방이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비콘의 몸체 일부가 볼트결합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비콘수용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비콘브라켓; 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구동 방법은 거주인 스마트폰에서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거주인 전용 응용프로그램 설치단계; 경비서버와 연동하는 관리자단말을 통해 상기 경비서버에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거주인의 전화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감시대상에 제외되도록 설정하는 거주인 전화번호 등록단계;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에서 감시구동을 수행하여 상기 경비서버에 촬영영상을 송출하고 비콘을 통해 신호세기값과 고유한 비콘아이디값을 송출하는 카메라 감시 및 비콘 송출단계;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에 비콘에서 발생하는 신호세기값과 고유한 비콘아이디값을 거주인 스마트폰에서 입력받는 거주인 스마트폰 신호입력단계;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송출된 촬영영상을 상기 경비서버에 저장하고, 저장된 촬영영상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며,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움직이는 사람에 대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상기 경비서버에서 생성하여 저장하는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경비서버에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과 연동을 시행하여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으로부터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는 거주인 스마트폰 및 경비서버 연동단계; 상기 경비서버에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받은 비콘아이디값과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종속된 카메라 아이디값을 비교하는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 경비서버가 상기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에서 입력받은 카메라 아이디값과 비콘아이디값이 기저장된 카메라 및 비콘 매칭테이블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카메라 아이디값과 비콘아이디값이 미일치하거나 값이 미입력되는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 상기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에서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된 경우에 경비서버가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식별태그를 형성하는 식별태그 생성단계; 및, 상기 식별태그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식별태그가 관리자단말의 모니터 화면에 감시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상기 경비서버에서 상기 관리자단말로 식별태그를 출력하고, 출력되는 감시영상에 상기 감시카메라의 카메라 아이디값과 상기 식별태그가 출력되되 상기 식별태그가 움직이는 사람을 추종하도록 출력하는 비거주인 감시영상 및 식별태그 출력단계; 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에서는 하나의 감시영상에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들이 생성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들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면, 나머지 사람영상 객체정보도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식별태그 생성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차장이나 공동주택 내부도로와 같이 아무나 출입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동 이용 영역에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에,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감시카메라 영상 내에서 비거주인이 표시되도록 하여 비거주인을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 공동 이용 영역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택배기사, 소독기사 및, 거주인 지인등과 같은 방문객들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카메라 영상 내의 방문객들이 감시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분해하여 본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시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에서 비콘신호와 감시카메라의 촬영범위를 도시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단말의 모니터 화면에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출력되는 예에 대한 예시 화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주인 스마트폰에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의 예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구동에 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단말은 전자기기로써, 컴퓨터, 노트북 및, 스마트폰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정의하며, 응응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과 같이 전자기기에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은 윈도우즈(Windows), 아이오에스(i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등과 같은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하에서 구동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시카메라를 분해하여 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시카메라가 결합된 상태에서 비콘신호와 감시카메라의 촬영범위를 도시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단말의 모니터 화면에 감시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출력되는 예에 대한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거주인 스마트폰에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의 예시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비콘(1), 거주인 스마트폰(2), 감시카메라(3) 및, 경비서버(4)를 포함하며, 관리자단말(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콘(1)은 블루투스의 비엘이(BLE : Buletooth Low Energy)를 이용한 저전력 신호 송출장치로써,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며, 각각마다 신호세기값(RSSI)과 고유한 비콘아이디값(UUID)을 송출한다. 여기서, 신호세기값 및 비콘아이디값은 후술하는 거주인 스마트폰(2)이나 관리자 스마트폰이 비콘(1)의 수신거리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거주인 스마트폰(2)이나 관리자 스마트폰으로 송출된다. 이 경우, 신호세기값은 모든 비콘(1)의 신호세기가 일률적으로 동일한 세기로 출력되도록 하며, 신호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 감쇄됨으로써, 신호 세기의 감쇄에 따라 거리정보로 변환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비콘(1)은 후술하는 감시카메라(3)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이 경우, 비콘(1)은 신호세기값의 송출거리가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에 겹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주인 스마트폰(2)은 공동주택 내에서 이동하는 거주인이 휴대하는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로써,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이 설치된다. 여기서, 거주인 스마트폰(2)은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이 활성화된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경비서버(4)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거주인 스마트폰(2)은 비콘(1)의 수신거리 이내에 진입하는 경우, 비콘(1)으로부터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게 된다. 이와 같은 거주인 스마트폰(2)은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통해 후술하는 경비서버(4)와 연동되어 비콘(1)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경비서버(4)에 전송하여 거주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감시카메라(3)는 비콘(1)과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촬영범위에만 비콘(1)의 신호가 송출되도록, 카메라본체(3a), 카메라수용체(3b), 카메라브라켓(3c), 비콘수용체(3d) 및, 비콘브라켓(3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본체(3a)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감시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카메라수용체(3b)에 의해 수용되어 보호된다. 여기서, 카메라본체(3a)는 CCTV용 카메라 또는 네트워크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움직이는 사물을 자동 추적하는 차동추적기능이 포함된 카메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카메라수용체(3b)는 카메라본체(3a)의 촬영방향으로 일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카메라본체(3a)를 수용하여 카메라본체(3a)가 고정될 위치를 마련함으로써, 카메라본체(3a)를 빗물이나 햇빛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브라켓(3c)은 일단이 카메라수용체(3b)와 결합되고 타단이 천장등의 벽면에 결합되어 카메라수용체(3b)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카메라브라켓(3c)은 카메라본체(3a)의 촬영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몸체의 일부가 회동하도록 회동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비콘수용체(3d)는 전파의 차폐를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방과 정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측부가 볼트결합을 위해 측방으로 펼쳐진 결합판(3d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결합판(3d1)이 카메라수용체(3b)의 하부면과 볼트결합 된다. 이 경우, 비콘수용체(3d)는 정면 개구방향이 감시카메라(3)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1)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정면을 제외한 사방을 차폐하여 거주인 스마트폰(2)과 연동시 다른 감시카메라(3)의 비콘(1)에서 발생되는 신호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비콘수용체(3d)는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비콘(1)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비콘(1)이 빗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비콘(1)이 햇빛에 의해 열화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비콘브라켓(3e)은 일단이 카메라수용체(3b)의 하부면과 볼트결합하도록 상방이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비콘(1)의 몸체 일부가 볼트결합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비콘수용체(3d)의 내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비콘브라켓(3e)은 비콘수용체(3d)에 비콘(1)이 수용되기 전에 비콘(1)을 카메라수용체(3b)와 일체형으로 볼트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여기서, 비콘브라켓(3e)은 비콘(1)을 카메라수용체(3b)와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카메라본체(3a)에서 이용하는 전력을 공급받아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콘(1)은 배터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터리 교체를 위한 유지관리가 필요없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감시카메라(3)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되 복수 개 각각이 복수 개의 비콘(1) 각각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감시카메라(3)는 랜통신, 광통신 또는, 동축케이블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여 후술하는 경비서버(4)와 연동하고, 경비서버(4)에 촬영한 감시영상을 송출한다. 또한, 감시카메라(3)들 각각은 영상의 촬영범위 주변에 비콘(1)이 대응하도록 설치되되,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내에서 비콘(1)의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의 신호송출범위가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 내에 존재하는 거주인 스마트폰(2)은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 주변에 설치된 비콘(1)으로부터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게 된다. 이 경우, 감시카메라(3)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비콘(1)들은 각각이 서로 간에 신호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설치위치상 비콘(1)들 각각의 신호가 겹쳐지는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콘(1)들이 발생하는 신호세기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만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입력받도록, 거주인 스마트폰(2)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신호세기값의 입력범위가 설정되어, 각기 다른 비콘(1)에서 발생하는 신호들 간의 간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콘(1)들간의 신호 간섭에 의해 후술하는 비콘아이디값 검출기능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비콘수용체(3d)와 거주인 스마트폰(2)의 신호세기값 입력범위 설정기능에 의해 신호 간섭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경비서버(4)는 경비소 또는 관리사무소에 설치되며, 감시카메라(3)와 연동하여 감시카메라(3) 각각으로부터 감시영상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경비서버(4)는 감시영상저장부(4a), 비콘아이디값 매칭부(4b),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4c), 전화번호 테이블저장부(4d) 및, 진입정보 저장부(4e)를 포함하며, 식별태그 생성부(4f) 및 거리연산부(4g)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시영상저장부(4a)는 복수 개의 감시카메라(3) 각각과 연동하여 감시카메라(3)들 각각으로부터 감시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비콘아이디값 매칭부(4b)는 감시카메라(3) 각각의 감시영상마다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저장하되 카메라 아이디값(4a1) 각각과 대응하는 비콘아이디값을 매칭시켜 카메라 및 비콘 매칭테이블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및 비콘 매칭테이블정보는 카메라 아이디값(4a1)이 "CAM #1"인 경우, "CAM #1"의 감시카메라(3)에 장착된 비콘(1)의 아이디 값 "beacon #1"을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4c)는 감시카메라(3)에서 입력된 영상정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객체화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사람영상 객체정보는 감시영상 내에서 사람의 모션에 관한 움직임이 검출되면, 모션의 중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표값을 형성하되 상기 좌표값을 감시영상의 화면좌표값을 기준으로 형성한 후 경비서버(4)에 저장되는 데이타이다. 이러한 사람영상 객체정보는 최초 생성시 생성된 좌표값들과 함께 감시영상을 제공한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기록시켜 어느 감시카메라(3)에서 생성된 값인지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생성시마다 고유한 아이디값을 생성하여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들이 서로 간에 구별되도록 저장된다. 이와 같은 사람영상 객체정보는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관리자단말(5)의 모니터 화면에 점이나 선 또는 형상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5)의 모니터 화면에 출력되는 경우에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는 후술하는 식별태그(4a2)와 혼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관리자단말(5)의 모니터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것으로 예시하기로 한다.
전화번호 테이블저장부(4d)는 거주인에 대한 전화번호 테이블을 기저장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관리자단말(5)에 의해 전화번호를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요청시에 추가 전화번호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진입정보 저장부(4e)는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내에 사람이 진입하게 되는 경우에,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면,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단하는 작업(TASK)을 하게 되는데, 먼저, 진입정보 저장부(4e)가 거주인인지를 판단하는 작업을 살펴보면, 먼저, 진입정보 저장부(4e)는 촬영범위내의 거주인이 휴대하는 거주인 스마트폰(2)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거주인 스마트폰(2)에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의 매칭여부를 판별하여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게 된다. 다음, 진입정보 저장부(4e)가 비거주인지를 판단하는 작업을 살펴보면, 경비서버(4)는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거주인 스마트폰(2)의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게 된다.
식별태그 생성부(4f)는 진입정보 저장부(4e)에 의해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포함된 감시영상을 관리자단말(5)로 송출하되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식별태그(4a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태그(4a2)는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외곽영역에 붉은색과 같은 라인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중심부 주변에 붉은색 점 또는 화살표와 같은 도형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경비서버(4)의 식별태그 생성부(4f)는 거주인이 거주인 스마트폰(2)의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통해 가족, 지인 또는, 방문객에 대한 추가 등록 요청하는 경우, 추가로 요청한 전화번호를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주인 스마트폰(2)은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통해 경비서버(4)로 추가 전화번호의 등록을 경비서버(4)로 요청하는 경우 경비서버(4)에서 추가 전화번호를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추가로 저장시켜 가족, 지인 또는, 방문객을 등록시킴으로써, 전화번호가 등록된 가족, 지인 또는, 방문객에 대한 사람영상 객제정보 생성시에 식별태그(4a2)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감시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거리연산부(4g)는 거주인 스마트폰(2)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세기값에 따라 비콘(1)의 위치에서 거주인 스마트폰(2)이 어느 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는지를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세기값의 세기에 따라 거리정보로 변환되는 예를 들면, 최초 제1지점에 설치된 비콘(1)에서 기준신호의 세기가 '1'로 출력이 설정되고, 기준신호의 감쇄량이 1미터당 1%가 감쇄된다고 가정하면,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신호세기값을 입력받았을 때, 신호세기값의 세기가 0.98로 측정된 경우, 거리연산부(4g)에서는 입력받은 신호세기값의 감쇄된 비율만큼 거리변화율을 연산함으로써, 비콘(1)에서 2m의 떨어진 거리에 거주인 스마트폰(2)이 위치했다는 것을 거리연산부(4g)의 연산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경우, 거주인 스마트폰(2)은 비콘(1)으로부터 신호세기값을 입력받는 경우 신호세기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가 입력값으로 제외되도록 필터링함으로써,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 일정영역 이내에 거주인 스마트폰(2)이 진입되는 경우에만 스마트폰이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도록 하여 복수 개의 비콘(1)들에서 송출하는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경비서버(4)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비콘(1)에서 송출하는 신호들을 통해 삼변측량 방식으로 위치좌표를 생성할 수 도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거주인 스마트폰(2)의 안테나 감도 및 내장 주파수 필터에 따라 입력받는 신호세기값의 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위치좌표의 검출이 어렵고 신호편차 조정을 위한 유지관리도 번거롭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비콘(1)들의 송신 거리가 되도록이면 중첩되지 않도록 한 개의 비콘(1)을 이용하여 거리를 연산하는 것으로 한다.
관리자단말(5)은 통신 가능한 피씨(PC)와 같은 통신단말 장치로써, 경비서버(4)와 연동하여 경비서버(4)에 기록된 감시영상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감시영상을 모니터의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관리자단말(5)은 경비서버(4)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어 식별태그(4a2)가 생성되는 경우, 경비서버(4)로부터 식별태그(4a2)를 입력받아 모니터 화면(5e)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단말(5)을 이용하는 경비소의 관리자는 식별태그(4a2)를 보고, 비거주인이 방범 영역인 공동 이용 구역내에 진입하였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5)은 경비서버(4)와 연동하여, 경비서버(4)에 녹화된 감시영상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녹화된 감시영상 내에는 식별태그(4a2)가 송출되어 모니터 화면(5e)을 통해 식별태그(4a2)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5)은 경비서버(4)와 연동하여 경비서버(4)에 기록된 전화번호 테이블을 열람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기록된 전화번호들을 편집하거나 신규 전화번호를 추가함으로써, 거주인이 거주인 진입정보에 분류되도록 수정 및 편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의 구동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거주인 전용 응용프로그램 설치단계(S1), 거주인 전화번호 등록단계(S2), 카메라 감시 및 비콘 송출단계(S3), 거주인 스마트폰 신호입력단계(S4),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S5), 거주인 스마트폰 및 경비서버 연동단계(S6),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S7),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S8), 식별태그 생성단계(S9) 및, 비거주인 감시영상 및 식별태그 출력단계(S10)를 포함한다.
먼저, 거주인 전용 응용프로그램 설치단계(S1)에서는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설치하는 단계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유알엘(URL)을 통해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의 설치에 관한 설치 프로그램을 경비서버(4) 또는 앱서버(미도시)를 통해 다운로딩한 후, 다운로딩된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거주인 스마트폰(2)에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설치한다.
다음, 거주인 전화번호 등록단계(S2)는 경비서버(4)와 연동하는 관리자단말(5)을 통해 경비서버(4)에 저장된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거주인의 전화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또한, 거주인 전화번호 등록단계(S2)에서는 거주인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테이블내 거주인의 전화번호와 함께 거주인의 주소 및 이름이 종속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주인 전화번호 등록단계(S2)는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나 경비소에서 등록된 전화번호만이 감시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사용자만이 추가적인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거주인 스마트폰(2)에 출력되는 거주인 전용 응용프로그램은 도 6와 같이 거주인의 전화번호가 거주인으로 등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되며, 추가적으로, 가족, 지인 또는, 방문객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카메라 감시 및 비콘 송출단계(S3)는 공동주택 곳곳에 설치된 감시카메라(3)에서 감시구동을 수행하여 경비서버(4)에 감시영상을 송출하고 비콘(1)을 통해 신호세기값과 고유한 비콘아이디값을 송출한다. 이 경우, 비콘(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3)가 촬영한 촬영범위내에서 신호가 송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거주인 스마트폰 신호입력단계(S4)에서는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에 비콘(1)에서 발생하는 신호세기값(RSSI)과 고유한 비콘아이디값(UUID)을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입력받게 된다.
다음,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S5)에서는 감시카메라(3)에서 송출된 감시영상을 경비서버(4)의 감시영상저장부(4a)에 저장하고, 저장된 감시영상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며,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움직이는 사람에 대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경비서버(4)의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4c)에서 생성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S5)에서는 감시카메라(3)에서 송출된 감시영상에 복수 명의 사람에 대한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복수 명 각각에 대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경비서버(4)에서 검출하게 된다. 이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에는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된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이 종속되어 저장된다.
다음, 거주인 스마트폰 및 경비서버 연동단계(S6)에서는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단계(S5)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경비서버(4)에서 거주인 스마트폰(2)과 연동을 시행하여 거주인 스마트폰(2)으로부터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는다.
다음,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S7)에서는 경비서버(4)에서 거주인 스마트폰(2)으로부터 입력받은 비콘아이디값과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종속된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S7)에서는 하나의 감시카메라(3)에 복수의 사람이 촬영되어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된 경우, 경비서버(4)에서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입력받은 신호세기값을 이용하여 감시카메라(3)와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 가운데 비콘아이디값을 제공하는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다음,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S8)에서는 경비서버(4)가 비콘아이디값 및 카메라번호 비교단계(S7)에서 입력받은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비콘아이디값이 기저장된 카메라 및 비콘 매칭테이블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진입정보 저장부(4e)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비콘아이디값이 미일치하거나 값이 미입력되는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진입정보 저장부(4e)에서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S8)에서는 하나의 감시영상에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들이 생성된 경우, 복수 개의 사람영상 객체정보들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면, 나머지 사람영상 객체정보도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식별태그(4a2) 생성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함으로써, 가족이나 친구들 같이 여러명의 사람들이 모이는 경우가 감시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여 감시 업무를 간소화시키게 된다.
다음, 식별태그 생성단계(S9)에서는 경비서버(4)가 거주인 진입정보 및 비거주인 진입정보 등록단계(S8)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한 경우에 식별태그 생성부(4f)에서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식별태그(4a2)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된 경우에는 식별태그(4a2)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감시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다음, 비거주인 감시영상 및 식별태그 출력단계(S10)에서는 식별태그 생성단계(S9)에서 생성된 식별태그(4a2)가 관리자단말(5)의 모니터 화면(5e)에 감시영상과 함께 출력되도록 경비서버(4)에서 관리자단말(5)로 식별태그(4a2)를 출력하게 되며, 이 경우, 출력되는 감시영상에는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식별태그(4a2)가 출력되되 식별태그(4a2)가 움직이는 사람을 추종하도록 출력된다. 그러면, 관리자단말(5)을 운용하는 경비소 또는 관리사무소에서는 모니터 화면(5e)에 출력되는 식별태그(4a2)를 보고, 비거주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의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보고 어느 위치에 비거주인이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 대한 경비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주차장이나 공동주택 내부도로와 같이 아무나 출입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동 이용 영역에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에, 감시카메라(3)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감시카메라(3) 영상 내에서 비거주인이 표시되도록 하여 비거주인을 집중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은 공동주택 공동 이용 영역에 설치된 감시카메라(3)의 영상을 통해 진입한 사람이 거주인인지 또는 비거주인인지를 판별하되, 택배기사, 소독기사 및, 거주인 지인등과 같은 방문객들이 존재하는 경우, 감시카메라(3) 영상 내의 방문객들이 감시대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비콘 2 : 거주인 스마트폰
2a :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 3 : 감시카메라
3a : 카메라본체 3b : 카메라수용체
3c : 카메라브라켓 3d : 비콘수용체
3e : 비콘브라켓 4 : 경비서버
4a1 : 카메라 아이디값 4a2 : 식별태그
4a : 감시영상저장부 4b : 비콘아이디값 매칭부
4c :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 4d : 전화번호 테이블저장부
4e : 진입정보 저장부 4f : 식별태그 생성부
4g : 거리연산부 5 : 관리자단말

Claims (6)

  1.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며, 각각마다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송출하는 비콘(1);
    상기 공동주택 내에서 이동하는 거주인이 휴대하는 통신 가능한 단말장치로 구성되며,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통해 상기 비콘(1)에서 송출하는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는 거주인 스마트폰(2);
    복수 개로 구성되어 공동주택 전체 시설 곳곳에 설치되되 복수 개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비콘(1) 각각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감시카메라(3);
    상기 감시카메라(3)와 연동하여 상기 감시카메라(3) 각각으로부터 감시영상을 입력받는 감시영상저장부(4a); 상기 감시카메라(3) 각각마다 감시카메라(3)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저장하되 상기 카메라 아이디값(4a1) 각각과 대응하는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카메라 아이디값 및 비콘아이디값 매칭부(4b); 상기 감시카메라(3)에서 입력된 영상정보에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객체화된 사람영상 객체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된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을 기록시키는 사람영상 객체정보 생성부(4c); 거주인 및 내방객에 대한 전화번호 테이블을 기저장하여 구성되는 전화번호 테이블저장부(4d); 및,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의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과 연동하여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으로부터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신호세기값 및 상기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는 경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에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의 매칭여부를 판별하여 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사람영상 객체정보의 생성시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의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생성되는 감시카메라(3)의 카메라 아이디값(4a1)과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에서 입력된 비콘아이디값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진입정보 저장부(4e); 를 포함하는 경비서버(4);
    상기 경비서버(4)와 연동하여 상기 경비서버(4)에 기록된 감시영상을 입력받는 관리자단말(5);
    상기 경비서버(4)는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비거주인 진입정보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경우,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포함된 감시영상을 상기 관리자단말(5)로 송출하되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에 식별태그(4a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람영상 객체정보가 집중적으로 감시되도록 하는 식별태그 생성부(4f); 를 더 포함하는 것;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은 상기 거주인전용 응용프로그램(2a)을 통해 상기 경비서버(4)로 추가 전화번호의 등록을 상기 경비서버(4)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경비서버(4)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테이블내에 추가로 저장시켜 다수의 거주인 또는 방문객을 등록시킴으로써 상기 식별태그(4a2)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
    상기 감시카메라(3)는, 공동주택내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감시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본체(3a); 상기 카메라본체(3a)의 촬영방향으로 일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본체(3a)를 수용하여 카메라본체(3a)가 고정될 위치를 마련하는 카메라수용체(3b); 일단이 상기 카메라수용체(3b)와 결합되고 타단이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수용체(3b)를 고정시키는 카메라브라켓(3c); 상방과 정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측부가 볼트결합을 위해 측방으로 펼쳐진 결합판(3d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수용체(3b)의 하부면에 상기 결합판(3d1)이 볼트결합되는 비콘수용체(3d); 및, 일단이 상기 카메라수용체(3b)의 하부면과 볼트결합하도록 상방이 절곡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비콘(1)의 몸체 일부가 볼트결합되도록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비콘수용체(3d)의 내측에 수용되는 비콘브라켓(3e); 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비콘수용체(3d)는 정면 개구방향이 감시카메라(3)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비콘(1)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상기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정면을 제외한 사방을 차폐하는 것; 및,
    상기 거주인 스마트폰(2)은 비콘(1)으로부터 신호세기값을 입력받는 경우 신호세기값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가 입력값으로 제외되도록 필터링함으로써, 감시카메라(3)의 촬영범위 일정영역 이내에 거주인 스마트폰(2)이 진입되는 경우에만 스마트폰이 신호세기값과 비콘아이디값을 입력받도록 하여 복수 개의 비콘(1)들에서 송출하는 신호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7892A 2019-09-25 2019-09-25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10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92A KR102102827B1 (ko) 2019-09-25 2019-09-25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92A KR102102827B1 (ko) 2019-09-25 2019-09-25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827B1 true KR102102827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92A KR102102827B1 (ko) 2019-09-25 2019-09-25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36B1 (ko) 2022-11-29 2023-05-02 예주산업(주)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864A (ja) * 2009-11-13 2011-06-02 Ntt Docomo Inc 同行判定装置及び同行判定方法
JP2011113255A (ja) * 2009-11-26 2011-06-09 Toyota Home Kk 地域警備システム
KR101553038B1 (ko) 2014-05-26 2015-09-1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 검출 기반의 네트워크 연동 시큐리티 시스템
KR101698500B1 (ko) *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70048006A (ko) * 2015-10-26 2017-05-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6317B1 (ko) * 2018-09-13 2019-02-11 주식회사 에버비젼 Cctv 시스템을 이용한 유저 식별 및 추적방법
KR101982165B1 (ko) 2018-11-14 2019-05-24 주식회사 투윈스컴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864A (ja) * 2009-11-13 2011-06-02 Ntt Docomo Inc 同行判定装置及び同行判定方法
JP2011113255A (ja) * 2009-11-26 2011-06-09 Toyota Home Kk 地域警備システム
KR101553038B1 (ko) 2014-05-26 2015-09-1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무선랜 도플러 쉬프트 검출 기반의 네트워크 연동 시큐리티 시스템
KR20170048006A (ko) * 2015-10-26 2017-05-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500B1 (ko) *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946317B1 (ko) * 2018-09-13 2019-02-11 주식회사 에버비젼 Cctv 시스템을 이용한 유저 식별 및 추적방법
KR101982165B1 (ko) 2018-11-14 2019-05-24 주식회사 투윈스컴 Cctv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36B1 (ko) 2022-11-29 2023-05-02 예주산업(주)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KR102543362B1 (ko) 2022-11-29 2023-06-15 예주산업(주) 단계적 출입통제를 통한 범죄 예방을 구현한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KR102543363B1 (ko) 2022-11-29 2023-06-15 예주산업(주) 영상분석을 통한 범죄 예측을 구현한 스마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5854B2 (en) Tailgating detection i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10373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proximity location
US9865144B2 (en) Video recognition i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EP3285196B1 (en) Electromagnetic persona generation based on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JP5514562B2 (ja) 位置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
US8752106B2 (en) Mesh networked video and sensor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ed sensors
US1038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US10559177B2 (en) Area and proper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7394359B2 (en) Security system with wireless RF portable monitor
US10332371B2 (en) Identification system
JP2006202062A (ja) 施設監視システム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6317B1 (ko) Cctv 시스템을 이용한 유저 식별 및 추적방법
KR101370982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KR102102827B1 (ko) 공동주택 경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80018863A1 (en) Portable phone activated video camera with phone location tracking
US20180096122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rf signals
CN106257892A (zh) 用于定位预定场所中的设备的系统和方法
JP3215372U (ja) マンションの設備改修工事現場における入室管理システム
KR101584352B1 (ko) 모듈형침입감지유니트와 이벤트촬영수단을 이용한 스마트기반 지능형 방범시스템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KR102232986B1 (ko) 적외선 온도센서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보안재해안전 시스템
KR20110013728A (ko)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
KR20110042813A (ko) 관리 대상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