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093B1 -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093B1
KR102073093B1 KR1020180079919A KR20180079919A KR102073093B1 KR 102073093 B1 KR102073093 B1 KR 102073093B1 KR 1020180079919 A KR1020180079919 A KR 1020180079919A KR 20180079919 A KR20180079919 A KR 20180079919A KR 102073093 B1 KR102073093 B1 KR 10207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foot pressure
measuring devic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324A (ko
Inventor
김유신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0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에 가해지는 압력 및 신체의 균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 측정장치,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하여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족압 측정장치, 상기 체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체형정보 및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족압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체형 측정장치와 상기 족압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측정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제어장치는,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시 상기 체형 측정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Body Balance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에 가해지는 압력 및 신체의 균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여러 피트니스 센터 및 체형교정, 건강관리 센터에서 잘못된 보행 및 생활 습관으로 인한 체형 불균형을 위해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전에 족압 및 체형분석에 대한 사전, 사후 평가가 필요하지만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는 보급형 장비는 거울과 스캐너를 활용하여 측정하는 기술로 전문가가 아닌 측정자가 스스로의 체형 상태를 파악하기엔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압전센서를 사용하는 고가의 장비의 경우 족압의 크기를 수치적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객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나, 반복적으로 압전센서에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 부품 피로도에 의한 고장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은 압전센서를 활용하지 않고 측정자의 발바닥을 스캐너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이는 발바닥의 명암에 따라 족압분포를 생성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복잡해지고 이에 따른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압전센서를 활용하지 않고 족압분포를 따로 생성하는 시스템의 복잡성에 따는 비용 절감이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57261(2018년05월30일)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사용자가 서있는 경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가시적으로 족압 확인이 가능하고 동시에 신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신체 영상을 기반으로 신체의 균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족압 및 체형 측정 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 측정장치,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하여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족압 측정장치, 상기 체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체형정보 및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족압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체형 측정장치와 상기 족압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측정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제어장치는,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시 상기 체형 측정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족압 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 형태로 탄성 변형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가 상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발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확인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위치확인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탄성 변형된 상기 발판부를 촬영하여 발판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족압촬영부 및 상기 발판부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에 걸리는 압력에 따른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족압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는, 격자패턴이 형성된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족압영상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양발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발판부 이미지의 변형 격자 패턴에 따라 상기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족압정보는, 상기 변형 격자 패턴의 변형값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형 측정장치는, 중심선이 구비되는 격자패턴으로 구성되는 배경부, 상기 사용자의 정수리가 상기 중심선에 맞춰진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상기 격자패턴이 포함되는 신체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는 카메라 이송부 및 상기 신체이미지에 포함되는 격자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의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형정보 생성부는, 상기 신체 이미지에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상기 사용자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되는 격자점을 추출하는 격자점 추출모듈, 상기 격자점의 좌측 격자점과 우측 격자점의 기울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는 균형도 생성모듈 및 상기 신체 이미지에 상기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체형정보와 상기 족압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체형정보와 상기 족압정보를 사용자 별로 디스플레하는 정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서있는 경우, 사용자가 서있는 경우, 족압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발에 가해지는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가시적으로 족압을 확인 가능하고 동시에 신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신체 영상을 기반으로 신체의 균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 전문가도 족압의 분포와 신체의 균형에 대한 판단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족압을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 있는 족압 측정장치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올라서게 되면 족압 측정부 발판모듈의 아랫면이 튀어나온 정도에 따라 압력이 가해진 지점을 사진 및 실시간 영상을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가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족압 측정장치 발판부의 아랫면의 격자점이 늘어난 정도에 따라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대한 등고선 역할을 함으로써 가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의 족압 측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의 족압 측정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족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의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의 족압 측정장치(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의 족압 측정장치(20)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족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은 사용자(2)가 서있는 경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가시적으로 족압 확인이 가능하고 동시에 신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신체 영상을 기반으로 신체의 균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은 사용자(2)가 서있는 경우, 사용자(2)가 서있는 경우, 족압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발에 가해지는 압력 측정이 가능하여 가시적으로 족압을 확인 가능하고 동시에 신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신체 영상을 기반으로 신체의 균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비 전문가도 족압의 분포와 신체의 균형에 대한 판단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에서 족압을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2)가 서 있는 족압 측정장치(20)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2)가 올라서게 되면 족압 측정장치(20) 발판모듈(210)의 아랫면이 튀어나온 정도에 따라 압력이 가해진 지점을 사진 및 실시간 영상을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가시성이 뛰어나다.
특히, 족압 측정장치(20) 발판부(210)의 아랫면의 격자점이 늘어난 정도에 따라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대한 등고선 역할을 함으로써 가시성이 높다.
도 1과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은 사용자(2)의 전신을 촬영하는 체형 측정장치(10), 사용자(2)의 발바닥을 촬영하는 족압 측정장치(20), 체형 측정장치(10)와 족압 측정장치(20)가 생성한 체형정보와 족압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장치(30) 및 측정 제어장치(40)를 포함한다.
체형 측정장치(10)는 사용자(2)의 전신을 촬영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체형 측정장치(10)는 배경부(110), 카메라부(120), 이송부(130) 및 체형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배경부(110)는 중심선이 구비되는 격자패턴으로 구성된다. 배경부(110)는 중앙에 상하로 이어지는 중심선이 구비되는 격자패턴으로 구성된다.
카메라부(120)는 상기 사용자(2)의 정수리가 상기 중심선에 맞춰진 상태로 상기 사용자(2)의 전신을 촬영하여 상기 격자패턴이 포함되는 신체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부(120)는 예컨대, 일반 카메라 및 뎁스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130)는 상기 카메라부(1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부(130)는 일측에 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카메라부(120)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된다.
체형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신체이미지에 포함되는 격자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2)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의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체형정보 생성부(140)는 격자점 추출모듈(142), 균형도 생성모듈(144) 및 체형정보 생성모듈(146)을 포함한다.
격자점 추출모듈(142)은 상기 신체 이미지에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상기 사용자(2)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되는 격자점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격자점 추출모듈(142)은 예컨대, 상기 신체 이미지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사용자(2)의 어깨의 좌우 양 끝단에 매칭되는 어깨 격자점(512, 514)을 추출한다.
균형도 생성모듈(144)은 상기 격자점의 좌측 격자점과 우측 격자점의 기울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균형도 생성모듈(144)은 예컨대, 어깨에 매칭되는 어깨 격자점(512, 514) 중 좌측 격자점(512)과 우측 격자점(514)의 기울기선(516)을 추출하여 사용자(2)의 어깨에 대한 균형도 정보를 생성한다.
체형정보 생성모듈(146)은 상기 신체 이미지에 상기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체형정보 생성모듈(146)은 예컨대, 신체 이미지에 어깨에 대한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한다.
도 5를 보면, 체형정보를 나타낸 도면으로, 격자점 추출모듈(142)은 상기 신체 이미지에서 중심선을 기준으로 사용자(2)의 어깨의 좌우 양 끝단에 매칭되는 어깨 격자점(512, 514), 허리의 좌우 양 끝단에 매칭되는 허리 격자점(522, 524), 골반 좌우 양 끝단에 매칭되는 골반 격자점(532, 534)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균형도 생성모듈(144)은 어깨 격자점(512, 514) 중 어깨 좌측 격자점(512)과 어깨 우측 격자점(514)의 어깨 기울기선(516), 허리 격자점(522, 524) 중 허리 좌측 격자점(522)과 허리 우측 격자점(524)의 허리 기울기선(526), 골반 격자점(532, 534) 중 골반 좌측 격자점(522)과 골반 우측 격자점(524)의 골반 기울기선(536)을 추출하여 사용자(2)의 어깨, 허리, 골반 각각에 대한 균형도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체형정보 생성모듈(146)은 상기 신체 이미지에 어깨 균형도 정보, 허리 균형도 정보, 골반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형정보에 따라 비 전문가도 신체의 균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여기서는 체형정보가 3가지(어깨, 허리, 골반)의 균형도 정보를 다 포함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가지 이상의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보면, 족압 측정장치(20)는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하여 족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족압 측정장치(20)는 발판부(210), 몸체부(220), 사용자 위치확인부(230), 족압촬영부(240) 및 족압영상 생성부(250)를 포함한다.
발판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방향으로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 형태로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발판부(210)는 격자패턴이 형성된 탄성재질로 구성된다.
몸체부(220)는 상기 발판부(210)가 상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몸체부(220)는 상기 발판부(210)에 사용자(2)가 올라서는 경우, 발판부(210)가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사용자 위치확인부(230)는 상기 발판부(210)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2)의 양발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위치확인부(230)는 상기 사용자(2)의 양발이 발판부(210)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센서모듈(미도시)을 통해 센싱하여 안착확인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안착확인정보는 사용자(2)의 양발이 발판부(210)에 안착되는 경우 생성되므로, 사용자(2)의 양발 중 한 발이라도 발판부(210)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족압촬영부(240)는 상기 몸체부(2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위치확인부(230)를 통해 상기 사용자(2)의 양발이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탄성 변형된 상기 발판부(210)를 촬영하여 발판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족압영상 생성부(250)는 상기 발판부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2)의 양발에 걸리는 압력에 따른 족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족압영상 생성부(250)는 상기 사용자(2) 양발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발판부 이미지의 변형 격자 패턴에 따라 상기 족압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족압정보는 상기 변형 격자 패턴의 변형값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로 표시된다.
도 6을 보면, 족압정보를 나타낸 도면으로, 족압영상 생성부(250)는 탄성 변형된 발판부 이미지의 변형 격자 패턴의 변형값 예컨대, 변형값이 0 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인 제1 등고선(612)으로 표시된다. 또한, 변형값이 1내지 3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인 제2 등고선(614)으로 표시되고, 변형값이 4 내지 6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인 제3 등고선(616)으로 표시되며 변형값이 7 내지 10인 경우, 이에 내응되는 등고선 형태인 제4 등고선(618)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변형값이 클수록 사용자(2)의 양발에 걸리는 압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족압정보에 따라 비 전문가도 가시적으로 족압을 확인 가능하다.
정보 제공장치(30)는 상기 체형 측정장치(10)를 통해 생성된 체형정보 및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족압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제공장치(30)는 정보 입력부(310), 저장부(320) 및 정보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부(310)는 상기 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사용자(2)는 정보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정보 입력부(310)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2)의 나이, 성별, 휴대폰 번호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320)는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체형정보와 상기 족압정보를 누적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320)는 예컨대, 사용자 A에 대한 체형정보와 족압정보를 매칭하여 측정 날짜별로 누적 저장하고, 사용자 B에 대한 체형정보와 족압정보를 매칭하여 측정 날짜별로 누적 저장한다.
측정 제어장치(40)는 상기 체형 측정장치와 상기 족압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측정 제어장치(40)는 사용자(2)의 양발이 족압 측정장치(2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체형 측정장치(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측정 제어장치(40)는 족압 측정장치(20)를 통해 상기 사용자(2)의 발바닥을 촬영시 상기 체형 측정장치(10)를 구동하여 상기 사용자(1)의 전신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측정 제어장치(40)는 사용자(2)의 양발이 족압 측정장치(20)에 안착되는지 여부를 족압 측정장치(20)의 사용자 위치확인부(230)에서 수신한 안착확인정보에 따라 확인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1)은 사용자(2)가 족압 측정장치(20)에 올라서는 경우, 족압 측정장치(20)에 사용자(2)의 양발이 안착되는지 여부에 따라 측정 제어장치(40)의 제어에 따라 체형 측정장치(10)가 동시에 작동된다. 여기서, 족압 측정장치(20)는 사용자(2)의 발바닥을 촬영하여 족압정보를 생성하고, 동시에 작동된 체형 측정장치(10)는 사용자(2)의 전신을 촬영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한다. 이 후, 정보 제공장치(30)는 체형 측정장치(10)를 통해 생성된 체형정보 및 족압 측정장치(20)를 통해 생성된 족압정보를 사용자 별로 각각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10: 체형 측정장치
20: 족압 측정장치
30: 정보 제공장치
40: 측정 제어장치
110: 배경부
120: 카메라부
130: 이송부
140: 체형정보 생성부
142: 격자점 추출모듈
144: 균형도 생성모듈
146: 체형정보 생성모듈
210: 발판부
220: 몸체부
230: 사용자 위치확인부
240: 족압촬영부
250: 족압영상 생성부
310: 정보 입력부
320: 저장부
330: 정보 표시부

Claims (8)

  1.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 측정장치;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을 촬영하여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족압 측정장치;
    상기 체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체형정보 및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생성된 족압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체형 측정장치와 상기 족압 측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측정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족압 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격자패턴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된 격자패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발판부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족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제어장치는,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상기 족압 측정장치에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체형 측정장치와 상기 족압 측정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체형정보 및 상기 족압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족압 측정장치는,
    상기 발판부가 상면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발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안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 위치확인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 위치확인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양발이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탄성 변형된 상기 발판부를 촬영하여 발판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족압촬영부; 및
    상기 발판부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양발에 걸리는 압력에 따른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족압정보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족압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양발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발판부 이미지의 변형 격자 패턴에 따라 상기 족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족압정보는,
    상기 변형 격자 패턴의 변형값에 대응되는 등고선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형 측정장치는,
    중심선이 구비되는 격자패턴으로 구성되는 배경부;
    상기 사용자의 정수리가 상기 중심선에 맞춰진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상기 격자패턴이 포함되는 신체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시키는 카메라 이송부; 및
    상기 신체이미지에 포함되는 격자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의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형정보 생성부는,
    상기 신체 이미지에서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상기 사용자의 어깨, 골반, 허리 중 하나 이상에 매칭되는 격자점을 추출하는 격자점 추출모듈;
    상기 격자점의 좌측 격자점과 우측 격자점의 기울기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균형도 정보를 생성하는 균형도 생성모듈; 및
    상기 신체 이미지에 상기 균형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체형정보를 생성하는 체형정보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별로 상기 체형정보와 상기 족압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체형정보와 상기 족압정보를 사용자 별로 디스플레하는 정보표시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KR1020180079919A 2018-07-10 2018-07-10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KR102073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19A KR102073093B1 (ko) 2018-07-10 2018-07-10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919A KR102073093B1 (ko) 2018-07-10 2018-07-10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24A KR20200006324A (ko) 2020-01-20
KR102073093B1 true KR102073093B1 (ko) 2020-03-02

Family

ID=6936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919A KR102073093B1 (ko) 2018-07-10 2018-07-10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282B1 (ko) * 2020-07-10 2022-05-13 손태석 신체 밸런스 측정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 능력 측정을 정보 획득 시스템
KR102471315B1 (ko) * 2020-10-26 2022-11-29 (주)신라시스템 신체상태 측정 및 분석장치
KR102599721B1 (ko) * 2021-07-19 2023-11-07 손태석 사용자 신체 밸런스 운동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JP7285304B1 (ja) * 2021-12-06 2023-06-01 東友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スキャナー及びその耐荷重構造
TWI804088B (zh) 2021-12-06 2023-06-01 東友科技股份有限公司 掃描儀及其承重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794Y1 (ko) 2004-06-24 2004-10-27 이선미 족적 및 골격계 변위측정 시스템
US20060103852A1 (en) * 2003-02-11 2006-05-18 Bjorn Klaveness Measurement of a 3d surface of an object during pressure exposure
KR101033198B1 (ko) 2009-04-30 2011-05-06 (주)더힘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
JP5001580B2 (ja) 2006-05-24 2012-08-15 アニマ株式会社 身体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9463A (ko) * 2005-05-20 2006-11-24 이종찬 족부 및 체형의 변위 측정 장치
KR20100122419A (ko) * 2009-05-12 2010-11-22 강철권 발의 3차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926236B1 (ko) 2016-11-22 2018-12-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저가형 족부압력분포 스캐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3852A1 (en) * 2003-02-11 2006-05-18 Bjorn Klaveness Measurement of a 3d surface of an object during pressure exposure
KR200365794Y1 (ko) 2004-06-24 2004-10-27 이선미 족적 및 골격계 변위측정 시스템
JP5001580B2 (ja) 2006-05-24 2012-08-15 アニマ株式会社 身体測定装置
KR101033198B1 (ko) 2009-04-30 2011-05-06 (주)더힘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24A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093B1 (ko) 신체 균형 측정 시스템
US20130141607A1 (en) Video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886511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JP2008146583A (ja) 姿勢検知装置および挙動検知装置
KR20200046637A (ko) 체형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380017B1 (ko) 족부 형상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7205134A (ja) 体調検出装置、体調検出方法及び体調検出プログラム
JP2008148237A (ja) 姿勢検知装置
KR20160075884A (ko) 스켈레톤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켈레톤 트래킹 시스템
JP5928676B2 (ja) 作業療法訓練支援装置
KR20190095231A (ko)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KR101839106B1 (ko) 체형분석시스템
JPWO2020059716A1 (ja) サイズ測定システム
JP7343237B2 (ja) 追跡方法
JP6617246B1 (ja) 運動器機能向上支援装置、運動器機能向上支援システム及び運動器機能向上の支援方法
US95018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lothes proposing method
KR102538942B1 (ko) 발레바를 이용한 홈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JP7201850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48190A (ko) 영상처리를 이용한 자세교정 시스템
JP4953935B2 (ja) 体型誘導システム
JP7398646B2 (ja) 疲労推定システム、疲労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95047B1 (ko) 영상을 이용한 무게중심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90290183A1 (en) Recovery evaluat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692493B1 (ko) 얼굴 사진 기반 3차원 얼굴 입체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2085650A1 (ja) インソールデータ生成システム及びインソールデータ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