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905B1 -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 Google Patents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905B1
KR102072905B1 KR1020180025549A KR20180025549A KR102072905B1 KR 102072905 B1 KR102072905 B1 KR 102072905B1 KR 1020180025549 A KR1020180025549 A KR 1020180025549A KR 20180025549 A KR20180025549 A KR 20180025549A KR 102072905 B1 KR102072905 B1 KR 102072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procket
ladle
uni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260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18002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9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25J9/1035Pinion and fixed rack drivers, e.g. for rotating an upper arm support on the robot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25J9/104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comprising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용용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로서, 레이들부, 하단에 상기 레이들부가 부착되고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로워로드부, 상기 로워로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각도부 및 상기 연결각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워로드부와 소정각도를 이루게 형성하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어퍼로드부가 포함되어 열회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LADLE DEVICE FOR POURING OF MOLTEN METAL}
본 발명은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용탕에서 용해된 용융금속을 수탕 및 주탕하는 작업과정에서 용탕 및 용융금속 등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방사되는 고온의 열을 회피하여 레이들 장치 및 장비에 가해지는 열적 악영향을 감소시키고 증대된 작업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본 특개평5-115962호에 로봇과, 상기 로봇의 암에 취부되어지는 주탕기를 구비하는 주조용 자동주탕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탕기, 상기 암에 취부되어지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경동자재하게 지승되어지는 레이들과, 상기 기대에 지지되어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레이들을 연동연결시키는 연동수단으로 구성된 주조용의 자동주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1A 및 1B를 참조하면 상기 기대(7)가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로봇의 수탕작업시 레이들(9)이 로봇의 취부판으로 부터 수직방향에 위치되므로 구동수단(10) 및 서보모터 (24)가 용탕(20)에 근접되어져 직사열이 가해지게 되는 결과 용탕(20)으로부터 방사되는 고열에 의하여 구동수단(10) 및 서보모터 (24)의 기계적 수명이 단축되고 그리스, 오일 등의 윤활제의 산화작용에 의한 열화로 인하여 레이들(9,21)이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로봇암(3)의 취부판을 경동시키는 로봇암의 선단부 내지 서보모터 또한 용탕(20)으로부터 방사되는 고열에 의하여 기계적 수명이 단축되고 그리스, 오일 등의 윤활제의 산화작용에 의한 열화로 인하여 로봇암(3)이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체인(61)의 텐션조절을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기대(7)가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어 로봇의 작업반경이 협소하다.
또한 일본 특개2016-83678호에 팔의 선단부에 적어도 손목굽힘부재와 손목회전부재를 제공하고, 손목굽힘부재와 팔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손목굽힘축 둘레에 요동하고, 손목회전부재와 손목굽힘축에 대하여 직교하게 손목굽힘부재에 추지되어지는 손목회전축 둘레에 회전하고, 손목굽힘부재의 선단면에서 돌출하는 손목회전부재에는 툴 취부면이 마련되어져 이루어지는 로봇암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져 사용되어지는 주탕용 로봇핸드에 있어서, 손목굽힘부재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손목회전부재의 돌출부 주위에 취착되어져 손목회전축의 축방향의 전방에 향해 연재되어지는 통상부재와, 손목회전부재의 툴취부면에 취착되어져, 통상부재의 중공부의 내부에 손목회전축의 축방향의 전방에 향해 연재되어지는 축상부재와, 통상부재에 있어서의 손목굽힘부재의 선단면에의 취착부에서부터 손목회전축의 축방향의 전방에 이격되어져 이루어지는 선단지지부에 추지되어, 상기 통상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져 동시에, 축상부재에 연결되어져 경동조작가능해지는 레이들을 구비해 이루어지는 주탕용로봇핸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손목회전부재(16)의 툴취부면(17F)에 취착되어져, 통상부재(21)의 중공부의 내부에 손목회전축(17S)의 축방향의 전방에 향해 연재되어지는 축상부재(22)의 구성으로 레이들(23)의 경동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레이들(23)의 경동조작이 손목회전부재(16)와 연동되어지는 구성되고 따라서 손목회전부재(16)가 구비되지 못한 장비에서는 레이들(23)의 구동이 불가하다.
즉 레이들(23)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의 구성이 주탕용 로봇 핸드 자체에는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고 로봇암(10)으로부터 연동연결 되어야만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J1 내지 J6의 6개의 축을 구비하는 로봇의 경우, J6축이 레이들(23)경동조작에만 제공되어 전용됨으로서 로봇의 축이 J6인 6자유도의 로봇이 아니라 J5축으로서 실질적으로 1개 축이 감소된 5자유도의 로봇이 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로봇의 자유도가 감소하고 교시작업시에도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의 구성의 M4에서 M6까지의 모터가 로봇암(10)의 후단에 나란히 배치된 구성이나 이러한 구성은 특수사양으로서 일반적인 6축 산업용 로봇은 J6축을 구동하는 M6모터가 툴취부면(17F)의 부근에 매입되어 있어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J6축의 구동을 위한 M6모터가 로봇암10의 후단으로 후퇴되어 장치된 예는 특수사양이므로 만일 참고문헌의 주탕용 로봇핸드를 일반사양의 산업용로봇에 취부사용하는 실시예 에서는 J6축을 구동하는 M6모터가 용탕에서 방사되는 열에 의한 악영향을 받게 된다.
먼저 로워로드부 상측 단부 영역에 구동부나 기타 열에 취약한 구성요소가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작업시 열에 의하여 누적되는 악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한, 구동부가 정격온도 범위내의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용탕과 구동부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텐션이 감소하여 느슨해지는 체인을 테이크 업 하거나 유지보수작업에 의하여 체인의 교체작업시 스프로킷으로부터 체인을 용이하게 분리하는데 있다.
또한, 텐션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텐션의 미세조절후 취부판과 업다운판을 용이하게 록킹 또는 록킹해제 하는데 있다.
또한, 주탕용 레이들 장치가 로봇에 부착되는 실시예는 작업반경이 증대되도록 하는데 있다. .
또한, 하나의 로봇으로 복수의 용탕 또는 복수의 몰드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로봇의 교시작업시에도 J6축을 활용하는 교시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용탕의 온도상태, 온도변화 또는 온도조건 등 작업관련된 사항을 체크하거나 작업시의 간섭 유무 탐지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용물 주탕용 레이들(Ladle) 장치로서, 레이들부, 하단에 상기 레이들부가 부착되고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로워로드(Lower-rod)부, 상기 로워로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각도부, 및 상기 연결각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워로드부와 소정각도를 이루게 형성하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어퍼로드(Upper-rod)부가 포함되어 열회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레이들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들부를 경동시키는 구동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로드부 및 로워로드부는 중공타입 또는 노출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어퍼로드부에 형성되되, 작업시 열원으로 부터 소정의 이격거리 이상을 유지하여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이들부에 전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력전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는 상호 동종이거나 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이들부에 전달하는 복수의 동력전달부가 포함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상기 어퍼로드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상기 로워로드부에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는 체인전동구조 또는 랙피니언전동구조이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는 체인전동구조 또는 랙피니언전동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는 상호 동종 또는 이종의 전동구조로서 연동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제1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동력전달부를 거쳐 상기 레이들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동력전달부의 래크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의하여 직선왕복이동하는 제1랙바, 상기 제1랙바에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팅부, 상기 커넥팅부에 결합되어 직선왕복이동하는 제2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부에는 로워스프로킷(Lower-sprocket), 상기 연결각도부에는 연결부스프로킷 및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어퍼스프로킷(Upper-sprocket)이 각각 위치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과 연결부스프로킷에는 로워체인(Lower-chain)이 맞물림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과 상기 어퍼스프로킷에는 어퍼체인(Upper-chain)이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각도부로 이루어지는 각은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체인과 상기 어퍼체인은 상기 연결각도부 내부에서 평행이격되되 상기 로워체인과 어퍼체인의 궤도중심선이 상호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은 상호 동일 또는 상이한 규격의 더블스프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체인 및 로워체인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이 조절되되, 상기 어퍼스프로킷,연결부스프로킷 또는 로워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장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및 나사수단의 위상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로 이루어지는 선택군 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두개 이상의 방법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을 위한 취부판이 더 포함되되, 상기 취부판에는 1차부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취부판의 일측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1차부착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일체고정되고, 또한 상기 취부판에는 2차부착홀이 더 형성되어 상기 2차부착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상기 취부판이 상기 취부판의 타측면 방향으로 상기 어퍼로드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부판과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이 내입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는 상기 어퍼스프로킷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퍼로드부에 상기 취부판의 결합을 위한 취부홀이 형성되되, 상기 취부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너트가 일체화 되어 상기 복수의 취부홀에 체결되는 취부판을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간격유지너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부판에는 별도의 제1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별도의 제2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브라켓을 관통결합하는 제1텐션조절볼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볼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가 나합하여 상기 취부판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을 위한 업다운(Up-down)판이 더 포함되되 상기 연결각도부에 상기 업다운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은 상기 업다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각도부에 상기 업다운판의 결합을 위한 업다운홀이 형성되고 상기 업다운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각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측방향으로 터짐형성되는 터짐홀부,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도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터짐홀부를 관통후 상기 연결각도부의 양측면 방향을 향하여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샤프트, 고정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제1샤프트에 양측단에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축착되는 제1베어링부, 상기 제1베어링부의 고정홀에 결합된 후 상기 업다운홀을 관통하여 상기 업다운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다운판에는 별도의 제3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브라켓과 이격되되 상기 연결각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4브라켓이 포함되어, 상기 제3,4브라켓을 관통결합하는 제2텐션조절볼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가 나합하여 상기 업다운판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스프로킷은 상기 로워로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에는 상기 레이들부가 일체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워스프로킷의 회전중심에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로워로드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제2샤프트, 상기 노출되는 제2샤프트 일측단에 일체결합되고 상기 레이들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가 포함되는 레이들 브라켓, 상기 레이들부의 주연부 소정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에 끼워맞춤되는 고정요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단에 각각 축착되는 제2베어링부, 상기 제2베어링부를 내설하는 내설홈부가 포함되되 상기 로워로드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체인텐션 확인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는 부착부가 더 포함되어, 다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에 부착되거나, CNC제어기능에 의하여 다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CNC장치에 부착되거나, 로봇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에는 부가동작축이 더 포함되고, 상기 레이들부는 상기 부가동작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이송장치, 상기 CNC장치 또는 로봇에 신호를 제공하는
용탕면 검출 센서부, 용탕 온도 체크 센서부, 또는 용탕량 측정 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인스펙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스펙터부는 상하측으로 출몰하는 이니셜로드부, 상기 이니셜로드부를 구동하는 구동유닛, 상기 이니셜로드부의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감지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유압 내지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 볼스크류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또는 랙피니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이니셜로드부에 부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직립하여 소정거리 이격하게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측판, 상기 측판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도록 고정설치되는 분할판과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스펙터 로드는 상기 분할판과 막음판에 삽통되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분할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구간에서 상기 분할판에 탄발지지 되고 상기 인스펙터 로드를 리턴시키는 소정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판에는 상기 인스펙터 로드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가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음판에는 제1중공형 리니어 가이드가 고정설치 되고 상기 분할판에는 제2중공형 리니어 가이드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2 중공형 리니어 가이드의 중공에 상기 인스펙터 로드가 삽설되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이되 상기 인스펙터 로드부에 삽설된 후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단은 상기 분할판으로 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중공형 리니어 가이드의 단부에 탄발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인스펙터 로드의 허리부에 고정되는 제1리지드 커플링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며, 상기 인스펙터 로드의 상측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검출을 위한 제2리지드 커플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 고정판이 더 포함되고, 상기 리니어 가이드 고정판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가 고정되되, 상기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의 중공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가 삽설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각도부를 형성함으로서 로워로드부 상측 단부 영역에 구동부나 기타 열에 취약한 구성요소가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작업시 열에 의하여 누적되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부에 가해지는 용탕으로 부터의 열이 회피되어 구동부가 정격온도 범위내의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로워로드부 또는 어퍼로드부의 길이 또는 연결각도부의 각도를 증감시켜 용탕과 구동부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스프로킷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체인의 텐션이 조절됨으로서 텐션이 감소하여 느슨해지는 체인을 테이크 업 하거나 유지보수작업에 의하여 체인의 교체작업시 스프로킷으로부터 체인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취부홀 및 업다운홀이 장공으로 이루어져 텐션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텐션의 미세조절후 텐션조절볼트로 취부판과 업다운판을 용이하게 록킹 또는 록킹해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주탕용 레이들 장치가 로봇에 부착되는 실시예는 레이들부에서 부터 연결각도부까지 연장형성되는 로워로드의 구성 및 연결각도부로 부터 로봇의 페이스플레이트 까지 연장형성되는 어퍼로드의 구성으로 인하여 작업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하나의 로봇으로 복수의 용탕 또는 복수의 몰드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별도의 부가축으로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서 로봇의 교시작업시에도 J6축을 활용하는 교시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인스펙터부가 포함되어 용탕의 온도상태, 온도변화 또는 온도조건 등 작업관련된 사항을 체크하거나 작업시의 간섭 유무 탐지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은 종래의 기술의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따른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3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로드부에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15 내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각도부에 형성되는 텐션조절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워로드부 및 레이들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18 내지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들 장치가 로봇에 부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용탕면 검출 센서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2 내지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펙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열회피라 함은 고온의 용탕인 열원으로부터의 거리를 증대하여 이격시키거나 직사열을 회피하는 회피각을 이루게 함으로서 열원에서 방사되는 복사열 및 전도열 등에 의하여 보호대상물에 가해지는 열적 악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참조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좌표계에서 각각 xyz방향을 참조하면, 전(+x)후(-x)방향은 x방향, 좌(+y)우(-y)방향은 y방향, 상(+z)하(-z)방향은 z방향을 의미한다.
용융물은 주조공정에 있어서 용탕에서 용해된 용융금속을 의미하고 알미늄 등 금속재질에는 제한됨이 없으며 주조공정의 종류도 원심주조, 중력주조, 정밀주조, 다이캐스팅 등 제한됨이 없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레이들부(100), 로워로드부(110), 연결각도부(120) 및 어퍼로드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레이들부(100)는 레이들 몸체(1400A), 저장부(1400B), 배출구(1400C)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들부(100)의 경동방법에는 제한됨이 없으며 로워로드부(110)의 하단 측면에 경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이들부(10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하단에 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로워로드부(110)는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바 연장길이가 증대될 수록 열원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증대된다.
상기 로워로드부(110)는 내열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용 강관이나 스틸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등 재질과 형성방법에는 제한됨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틸플레이트를 단면이 'C'형상을 이루도록 절곡하여 상호 터짐된 구간이 맞대지도록 한쌍의 부재를 상호 용접 고정하였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레이들부(100)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로워로드부(110)를 로워로드몸체(260A) 및 로워케이싱(260B)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로워케이싱(260B)을 형성하되 상기 로워로드몸체(260A)의 단부에 상기 로워케이싱(260B)을 용접 또는 볼팅고정(1440E)시킨 후 상기 로워케이싱(260B)에 상기 레이들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상측 단부에는 연결각도부(120)가 형성되는 바 상기 연결각도부는 열원으로부터의 회피각을 이루게 한다.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연결각도부 케이싱(280)을 형성후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상측단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하여 로워로드부(260)와 일체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상측 단부는 열원으로부터의 직사열이 미치게 되는 영역으로서 반복작업시 상기 열원으로부터의 열적 악영향이 생길 수 있는 영역이므로 이 영역을 회피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게 한다.
따라서 연결각도부(120)를 형성함으로서 로워로드부(110) 상측 단부 영역에 구동부나 기타 열에 취약한 구성요소가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작업시 열에 의하여 누적되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어퍼로드부(130)는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바 연장 길이에 따라 열원으로 부터 이격거리가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어퍼로드부(250)를 어퍼로드몸체(250B) 및 어퍼케이싱(250A)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어퍼케이싱(250A)을 형성하되 상기 어퍼로드몸체(250B)의 단부에 상기 어퍼케이싱(250A)을 용접 또는 볼팅고정시킬 수 있다.
용접시에는 상기 어퍼케이싱(250A)에 안내홈부(250C)를 형성하여 상기 어퍼로드몸체(250B)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로드부(130)는 내열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용 강관이나 스틸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하는 등 재질과 형성방법에는 제한됨이 없다.
상기 어퍼로드부(130)와 상기 연결각도부(120)간의 결합방법은 제한됨이 없으며 용접, 볼팅고정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로드부(130)는 상기 로워로드부(110)와 이루는 각이 수직을 이루게 하여 회피각이 직각 즉 90도인 실시예를 참조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어퍼로드부(130)의 단부에 추가적인 연결각도부를 반복형성하고 다시 별도의 추가적인 어퍼로드부를 반복형성함으로서 2개 이상의 회피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레이들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들부(100)를 경동시키는 구동부(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이들부(100)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하여 동력이 제공되어 경동될 수 있고 모터에 의한 구동부 실시예의 경우 상기 레이들부(100)는 저속구동이 요구되므로 모터의 정격회전속도와 감속비를 고려하여 모터 및 감속기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는 스테핑모터, 서보모터 등 종류에 제한됨이 없으며 감속기는 웜기어방식, 베벨기어방식, 유성기어방식 등 종류에 제한됨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보모터에 유성기어 감속기가 결합된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어퍼로드부(250) 및 로워로드부(260)는 중공(270)형상인 중공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공(270)에 동력전달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배치됨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레이들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어퍼로드부(250) 및 로워로드부(260)를 노출타입으로 형성하여 동력전달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노출되도록 하여 육안확인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시에 간이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타입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어퍼로드부(250) 및 로워로드부(260)의 상하전후좌우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면이 개방되어 노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로드몸체(250B)와 어퍼케이싱(250A)이 별도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는 어퍼로드몸체(250B) 및 어퍼케이싱(250A)이 중공타입이 되고 마찬가지로 로워로드몸체(260A)와 로워케이싱(260B)이 별도로 형성되는 실시예에서는 로워로드몸체(260A) 및 로워케이싱(270B)가 중공타입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공타입과 노출타입은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워로드부(260)는 중공타입이고 어퍼로드부(250)는 노출타입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어퍼로드부(130)에 형성되되, 상기 용탕으로 부터 소정의 이격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한 실시예의 경우 모터 및 감속기가 열원으로 부터 이격되어 열에 의한 악영향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 용탕의 온도를 600 ~ 900°C 범위로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열원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주변부 온도가 감소하므로 각 현장별로 거리에 따른 열감소량과 구동부(140)의 대기온도를 측정하여 안전범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구동부(140)의 위치가 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40)의 용탕으로부터의 이격거리는 용탕 및 주변의 온도, 복사에너지 방사량, 복사열의 손실, 복사열 전달량, 용탕에 접근하는 작업횟수 등을 고려하여 열적 악영향이 모터 및 감속기에 가해지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어퍼로드부(130)에 형성됨으로서 복사열 특히 직사열이 회피되는 용탕과의 이격거리를 가지게 하고 열원과의 이격거리가 수탕 및 주탕작업시에도 상시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구동부(140)에 가해지는 상기 용탕으로 부터의 열이 회피되어 상기 구동부(140)가 정격온도 범위내의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부(110) 또는 어퍼로드부(130)의 길이 또는 상기 연결각도부(120)의 각도를 증감시켜 용탕과 구동부(140)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는 로워로드부(110)를 복수의 부재를 결합시켜 형성시킨 후 결합부재의 수량을 조절하여 길이를 변경시키거나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함으로서 열회피를 위한 소정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열로 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어야 하는 구성요소는 구동부(140)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로부터 보호될 필요성이 있는 모든 구성요소, 예를 들어, 로봇(1720)의 경우 손목관절 구동부(J5,J6)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40)의 동력을 상기 레이들부(100)에 전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력전달부(2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200)는 상호 동종이거나 이종의 동력전달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200)의 종류는 제한됨이 없으며 상호 연동연결되는 동종의 동력전달부이거나 이종의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전달 방법은 스프로킷과 체인의 맞물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대응되는 치형을 갖는 기어들간의 기어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기어결합되는 래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상기의 방법이 조합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140)의 동력을 상기 레이들부(100)에 전달하는 복수의 동력전달부가 포함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동력전달부(200A)와 제2동력전달부(2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200A)는 상기 어퍼로드부(130)에 구성되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200B)는 상기 로워로드부(110)에 구성되며, 상기 제1동력전달부(200A)는 체인전동구조 또는 랙피니언전동구조이고 상기 제2동력전달부(200B)는 체인전동구조 또는 랙피니언전동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동력전달부(200A)와 제2동력전달부(200B)는 상호 동종 또는 이종의 전동구조로서 연동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40)의 동력이 상기 제1동력전달부(200A) 및 상기 제2동력전달부(200B)를 거쳐 상기 레이들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복수의 동력전달부로서 2단으로 구성되어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동력전달부(200A)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200A)로 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동시에 상기 레이들부(10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200B)로 구성되고 상기 랙피니언에 의한 전동방식과 체인에 의한 전동방식에 의한 방법이 조합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랙피니언-체인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를 개시하면 제1동력전달부(300)는 구동부의 회전축(1020B)에 결합되는 피니언(320)과 상기 피니언(320)에 상시 기어결합되는 래크(330)와, 상기 래크(330)에 기어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340)를 포함하고, 제2동력전달부(310)는 상기 종동기어(340)와 동시회전되도록 일체형성되는 제1스프로킷(3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스프로킷(350)에 상시 맞물림되는 체인(360)과 상기 체인(360)에 맞물림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체인(360)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로킷(37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들부(100)는 상기 제2스프로킷(370)에 연동연결 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도7을 참조하여, 체인-랙피니언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를 개시하면 제1동력전달부(400)는 구동부의 회전축(1020B)에 결합되는 제1스프로킷(420)과 상기 제1스프로킷(420)에 맞물림되는 체인(430)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2스프로킷(450)을 포함하고, 제2동력전달부(410)는 상기 제2스프로킷(450)과 동시회전되도록 일체형성되는 피니언(440)을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440)에 상시 맞물림되는 래크(460)와 상기 래크(460)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림 하여 상기 래크(4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부(470)가 포함되고 상기 종동기어부(470)가 상기 레이들부(100)에 연동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부(470)는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세트일 수 있다.
기어세트로 이루어지는 종동기어부(470)는 제1기어(470A), 중간전동기어(470B), 제2기어(470C)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래크(460)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림하여 상기 래크(46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470A)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470A)에 회전가능하게 이 맞물림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전동기어(470B)및 상기 중간전동기어(470B)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림 하고 상기 레이들부(100)에 연결되는 제2기어(470C)가 포함되어 상기 레이들부(100)가 연동연결 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스트로크 하단에서 열회피를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480)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래크(460)가 스트로크 동작시 하우징(480)의 밖으로 돌출되거나 레이들부(100)방향으로 출몰되어 노출된 래크(460)가 스트로크 하단위치에서 노출됨으로서 노출된 래크(460)의 단부가 작업시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래크(460)를 짧게 형성하면 스트로크 하단 위치에서도 래크(46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간섭없는 작업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래크(460)의 스트로크 하단에서 상기 래크(460)의 치형과 간섭됨이 없도록 상기 제1기어(470A), 중간전동기어(470B), 제2기어(470C)는 오프셋(P)배치된다.
상기 래크(460)의 길이는 상기 레이들부(100)가 수탕 및 주탕작업시 요구되는 경동각도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래크(460)는 별도의 가이드 지지 로울러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달리 도8을 참조하여, 랙피니언-랙피니언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를 개시하면 제1동력전달부(500)는 구동부의 회전축(1020B)에 결합되는 피니언(520)과 상기 피니언(520)에 상시 기어결합되는 제1래크(530)와, 상기 제1래크(530)에 기어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540)를 포함하고, 제2동력전달부(510)는 상기 제1기어(540)와 동시회전되도록 일체형성되는 제2기어(550)를 포함하되 상기 제2기어(550)에 맞물림되는 제2래크(560)와 상기 제2래크(560)에 맞물림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2래크(560)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부(57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들부(100)는 상기 종동기어부(370)에 연동연결 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스트로크 하단에서 열회피를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580)을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종동기어부(570)는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세트일 수 있다.
기어세트로 이루어지는 종동기어부(570)는 제3기어(570A), 중간전동기어(570B), 제4기어(570C)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래크(560)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림하여 상기 제2래크(56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3기어(570A)를 포함하고 상기 제3기어(570A)에 회전가능하게 이 맞물림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전동기어(570B)및 상기 중간전동기어(570B)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림 하고 상기 레이들부(100)에 연결되는 제4기어(570C)가 포함되어 상기 레이들부(100)가 연동연결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래크(560)의 스트로크 하단에서 하우징(580)의 밖으로 돌출되거나 레이들부(100)방향으로 출몰되어 노출된 제2래크(560)가 스트로크 하단위치에서 노출됨으로서 노출된 제2래크(560)의 단부가 작업시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래크(560)를 짧게 형성하여 스트로크 하단 위치에서도 제2래크(56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간섭없는 작업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래크(560)의 스트로크 하단에서 상기 제2래크(560)의 치형과 간섭됨이 없도록 상기 제3기어(570A), 중간전동기어(570B), 제4기어(570C)는 오프셋(P) 배치된다.
상기 제2래크(560)의 길이는 상기 레이들부(100)가 수탕 및 주탕작업시 요구되는 경동각도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제2래크(560)는 별도의 가이드 지지 로울러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는 제1 내지 제3의 동력전달부(800,810,820)로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체인(800A)-체인(810A)-체인(820A)에 의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410,510)의 래크(460,560)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400,500)에 의하여 직선왕복이동하는 제1랙바(610), 상기 제1랙바(610)에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팅부(620), 상기 커넥팅부(620)에 결합되어 직선왕복이동하는 제2랙바(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부(620)에 의하여 상기 래크(460,560)의 길이를 전체적으로 미세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팅부(620)는 환봉형상과 같은 직선부재의 단부에 수나사부(620A)가 부가된 형상으로서 상기 제1랙바(610) 및 제2랙바(630)에 탭을 형성 후 상기 수나사부를 나합시키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650)로 록킹된다.
상기 제1랙바(610) 및 제2랙바(630)는 각각 가이드 지지 로울러(640)에 의하여 지지된다. 가이드 지지 로울러(640)의 위치는 제1랙바(610) 및 제2랙바(630)의 치형 물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체인-체인의 조합에 의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개시한다.
체인과 스프로킷의 연동에 의한 동력전달은 축간 거리가 짧고 저속으로 큰힘을 전달하는데에 적합하다.
상기 스프로킷은 복수의 체인에 의하여 동력전달 가능하게 순차 연동연결될 수 있다. .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로워로드부(110)에는 로워스프로킷(750), 상기 연결각도부(120)에는 연결부스프로킷(730), 및 상기 어퍼로드부(130)에는 어퍼스프로킷(710)이 각각 위치된다.
상기 어퍼스프로킷(710)은 구동부의 동력원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축(1020B)에 직결된다.
즉 상기 어퍼스프로킷(710)은 중앙에 구동부 모터의 회전축(1020B)이 삽입되는 홈부(760)가 마련되어 회전축(1020B)이 홈부(760)에 결합되도록 형성하거나 구동부 모터의 회전축(1020B)과 일체화 형성될 수 있다.
열적 악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로워로드부(110), 연결각도부(120)와 어퍼로드부(130)의 내부에 체인(720,740)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로킷(710,730,750)도 상기 로워로드부(110), 연결각도부(120)와 어퍼로드부(130)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부(120)와 어퍼로드부(130) 내부에 각각 위치된 체인의 접속지점인 연결각도부(120)에 연결스프로킷(730)이 형성된다.
상기 로워스프로킷(750)과 연결부스프로킷(730)에는 로워체인(740)이 맞물림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730)과 상기 어퍼스프로킷(710)에는 어퍼체인(720)이 맞물림된다.
상기 어퍼로드부(130)는 상기 연결각도부(120)로 부터 일측으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각도부(120)에 의하여 상기 어퍼로드부(130)가 상기 로워로드부(110)와 이루는 소정각도는 예각, 직각 또는 둔각 등 제한됨이 없고 열원으로부터 회피각을 이루게 하는 최적의 각도를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각도부(120)의 각도를 예각, 직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로워로드부(110)와 어퍼로드부(130)간의 사이각이 열탕의 온도에 따라 가변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서 열회피를 위한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각도부의 각도가 직각을 이룬다.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로워체인(910)과 어퍼체인(900)은 상기 연결각도부 내부에서 평행이격되되 상기 로워체인(910)과 어퍼체인(900)의 궤도중심선이 상호 예각(θ1), 직각(θ2) 또는 둔각(θ3)을 이룬다.
상기 연결각도부(120)로 상기 어퍼로드부(130)와 상기 로워로드부(110 )간의 이루어지는 각에 상응하여 형성된다.
다시말하면 평행이격된 상태로 상호 예각(θ1), 직각(θ2) 또는 둔각(θ3)을 이루는 구간을 공유하는 로워체인(910)과 어퍼체인(900)에 맞물림된 연결부스프로킷과 로워스프로킷 간의 궤도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중심선(S1), 연결부스프로킷과 어퍼스프로킷 간의 궤도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중심선(S2)이 이루는 각도는 회피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상호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각도구간에는 별도의 동력전달부를 추가적으로 부가할 수 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스프로킷(730)을 더블스프로킷(730A)으로 형성하여 동시 회전하는 각각의 스프로킷에 각각의 체인(720,740)이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더블스프로킷(730A)의 규격은 상호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더블 스프로킷(730A)이 하나의 샤프트(730B)에 이격고정되는 동일 규격의 스프로킷으로 되어 1:1로 어퍼체인의 동력이 로워체인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730B)는 양방향으로 연장형성시키고 상기 샤프트(730B)의 양단에 각각 베어링부가 축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체인 및 로워체인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열원의 고열이 체인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체인의 텐션이 감소하여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작업에 의하여 체인의 교체작업시 스프로킷으로부터 체인을 분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체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부가 요구된다.
상기 스프로킷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이 조절됨으로서 텐션이 감소하여 느슨해지는 체인을 테이크 업 하거나 유지보수작업에 의하여 체인의 교체작업시 스프로킷으로부터 체인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텐션 조절부의 실시예는 제한됨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로킷을 위치이동함으로서 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체인의 텐션은 민감하여 스프로킷의 미량의 변위로도 텐션의 조절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스프로킷에 의한 텐션조절이 미세조절 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스프로킷에 의한 텐션조절을 위하여 먼저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상호 이격된 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스프로킷을 구성하여 위치조절할 수 있다.
또는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 내의 소정지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로킷을 형성시킴으로서 위치조절할 수 있다.
또는 나사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의 조합에 의한 나사선 위상조절 후 소정지점에서 록킹되도록 함으로서 위치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실시예 중 어느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로드부에 텐션조절을 위한 나사수단을 도입하고 스프로킷의 고정을 위한 장공을 형성한 후 나사수단으로 상기 스프로킷의 위치를 미세조절하여 텐션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장공의 소정지점에서 스프로킷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공과 나사수단의 조합에 의한 실시에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어퍼체인(720)의 텐션조절은 어퍼스프로킷(1030)의 위치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어퍼체인(720)의 텐션조절은 구동부 측 어퍼스프로킷(1030)의 위치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로드부(1040)의 어퍼스프로킷(1030)의 위치조절방향 형성의 실시예도 제한됨이 없다.
어퍼체인(900)은 로워체인(910)과 회피각을 이루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어퍼체인(720)의 텐션조절은 전후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13을 참조하면, 취부판(101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취부판(1010)의 일측면 방향으로 구동부(1020)가 일체고정되고 상기 취부판(1010)의 타측면 방향으로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부착된다.
즉 상기 취부판(1010)에는 1차부착홀(1010A)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20)가 상기 취부판(1010)의 일측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1차부착홀(1010A)에 대한 체결부재(1020A)로 일체고정된다.
또한 상기 취부판(1010)에는 2차부착홀(1010B)이 더 형성되어
상기 2차부착홀(1010B)에 대한 체결부재(1010D)로 상기 취부판(1010)이 상기 취부판(1010)의 타측면 방향으로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부착된다.
체결부재의 종류는 제한됨이 없고 관통홀에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조합에 의한 결합이나 탭홀을 형성후 볼트를 나합시켜 결합하거나 리벳결합하는 등을 모두 포함한다.
취부판(1010)은 어퍼스프로킷(1030)의 위치조절을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취부판(1010)에 의하여 어퍼스프로킷(1030 )위치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퍼로드부(1040)가 어퍼케이싱(25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취부판(1010)은 상기 어퍼케이싱(250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부판(1010)과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는 관통하는 통공(1010C,1040B)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010C,1040B)으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1020B)이 내입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1020B)에는 상기 어퍼스프로킷(1030)이 고정된다.
상기 통공(1010C,1040B)은 어퍼로드부(1040)내부에 스프로킷이 내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구동부의 회전축(1020B)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통공(1010C,1040B)의 크기는 어퍼스프로킷(1030)내입시에도 간섭없는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상기 취부판의 결합을 위한 취부홀이 형성되되, 상기 취부홀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복수의 제1장공(1040A)을 형성하고 상기 취부판(1010)이 상기 제1장공(1040A)에 유동가능하게 볼팅고정(1010D)된다.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형성되는 취부홀은 상기 취부판(1010)의 위치결정과 관련된다.
상기 취부판(1010)은 상기 구동부(1020)와 일체화되고 상기 구동부(1020)에는 어퍼스프로킷(1030)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결국 취부판(1010)의 위치는 어퍼스프로킷(1030)의 위치와 관련된다.
취부홀이 복수의 홀로 형성된 경우는 취부판(1010)의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어퍼스프로킷(1030)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텐션의 미세조절이 어렵다. 홀과 홀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텐션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취부홀이 제1장공(1040A)으로 형성된 경우 취부판(1010)의 조립은 보다 미세조절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텐션의 미세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1장공(1040A)에 고정된 취부판(1010)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위험이 있다.
또한 복수의 너트가 일체화 되어 상기 복수의 취부홀(1040A)에 체결되는 취부판(1010)을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간격유지너트(10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너트(1050)는 상기 복수의 취부홀(1040A)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취부홀(1040A)에 상기 취부판(1010)을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 체결부재(1010D)를 별도로 완전분리할 필요없이 유동가능한 정도만 록킹해제 후 체결부재(1010D)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부재간(1010D)의 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취부판(101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취부홀(1040A)의 각각의 실시예에 더하여 체인의 텐션을 미세조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14를 참조하면, 상기 취부판(1010)에는 별도의 제1브라켓(1100)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로드부에도 별도의 제2브라켓(11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브라켓(1100,1110)을 관통결합하는 제1텐션조절볼트(112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브라켓(1100)은 한쌍의 제1지지판(1100B)및 제1베이스플레이트(1100A)로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도 한쌍의 제2지지판(1110B)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110A)로 구성되어 상기 제1,2 베이스플레이트(1100A,1110A)에는 관통홀(1100C,1110C)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판(1110B)은 제2베이스플레이트(1110A)를 상기 취부판(11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1지지판(1110B)은 제1베이스플레이트(1100A)를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로드부(1040)에 제1브라켓홀(1060)을 형성하고 상기 취부판(1010)에 제2브라켓홀(1070)을 형성하고, 상기 제1,2지지판(1100B,1110B)에 각각 상기 제1,2 브라켓홀(1060,1070)에 끼움고정되는 돌출형상(1100D,1110D)을 부가하였다.
그 후 상기 관통홀(1100C,1110C)을 관통하여 상기 제1텐션조절볼트(11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텐션조절볼트(1120)에는 복수의 록킹너트(1130)가 나합하여 상기 취부판(1010)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 할 수 있다.
즉 취부홀이 제1장공(1040A)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볼트와 너트의 나합구조를 이용하여 텐션의 미세조절 후 록킹 및 록킹해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텐션조절 후 록킹시 상기 취부판(1010)이 유동될 위험이 원천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취부판(1010)에는 구동부(10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1020)에는 어퍼스프로킷(1030)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취부판(1010)의 이동에 따라서 어퍼스프로킷(1030)이 이동하는 결과가 된다.
텐션조절시에는 상기 어퍼로드부(1040)와 취부판(1010)을 결합시키는 볼트(1010D)를 느슨하게 하여 제1장공(1040A)에 안내되어 이동시키며 조절한다.
따라서 스프로킷의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록 텐션이 증대되고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록 텐션이 감소한다.
어퍼체인의 텐션조절이 필요할때는 언제든지 제1장공(1040A)의 체결부재(1010D)를 느슨하게 푸는 단계, 상기 록킹너트(1130)를 느슨하게 풀어 록킹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1텐션조절볼트(1120)를 회전변위시키거나 상기 록킹너트(1130)를 회전변위시켜 텐션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어퍼체인의 텐션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너트(1130)를 조임하여 록킹하고 상기 체결부재(1010D)를 다시 조임하는 단계로 조절한다.
상기 로워체인의 텐션조절은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120)의 위치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스프로킷(1220)의 위치조절방향의 실시예는 제한됨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 로워체인의 텐션조절은 상하방향으로 이루어진다 .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의 위치조절을 위하여, 업다운판(121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업다운판(1210)에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업다운판(1210)의 업다운을 통하여 용이하게 로워체인의 텐션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업다운판(1210)은 이격시켜 대면하여 마주보도록 한쌍을 마련하여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각도부에 상기 업다운판의 결합을 위한 업다운홀이 형성되되, 상기 업다운홀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복수의 제2장공(1240A)을 형성하고 상기 업다운판(1210)이 상기 제2장공(1240A)에 유동가능하게 볼팅고정(1230B)된다.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형성되는 업다운홀(1240A)은 상기 업다운판(1210)의 위치결정과 관련된다.
상기 업다운판(1210)은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과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결국 업다운판(1210)의 위치는 연결부스프로킷(1220)의 위치와 관련된다.
업다운홀이 복수의 홀로 형성된 경우는 업다운판(1210)의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구성이 없이도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텐션의 미세조절이 어렵다. 홀과 홀사이의 거리보다 좁은 텐션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업다운홀이 제2장공(1240A)으로 형성된 경우 업다운판(1210)의 위치조절은 보다 미세조절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텐션의 미세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2장공(1240A)에 고정된 업다운판(1210)이 유동될 위험이 있다.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형성되는 상기 제2장공(1240A)은 대면하는 연결각도부(124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업다운판(1210)은 상기 연결각도부(1240) 내면의 대면하는 내측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은 상기 업다운판(1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제1샤프트(1220A)는 일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측방향으로 터짐형성되는 터짐홀부(1240B)가 포함된다.
터짐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1샤프트(1220A) 취부작업시에 상기 제1샤프트(1220A)를 상측에서 부터 하측으로 하강시키면서 상기 연결각도부(1240)내부에 상기 제1샤프트(1220A)를 용이하게 내입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샤프트(1220A)의 위치조절시에도 상측으로 간섭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내부로부터 상기 터짐홀부(1240B)를 관통 후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샤프트(1220A)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양측면에 대하여 부착되기 위한 고정홀(1230A)이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제1샤프트(1220A)에 양측단에 대하여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축착되는 제1베어링부(1230)가 포함된다.
상기 제1베어링부(1230)는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의 위치조절에 의한 텐션조절시 상기 업다운판(1210)과 일체화 상태로 상하 동시이동된다.
상기 제1베어링부(1230)의 고정홀(1230A)에 결합된 후 상기 업다운홀(1240A)을 관통하여 상기 업다운판(1210)의 체결홀(1210A)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230B)가 포함된다.
상기 업다운판(1210)의 체결홀(1210A)을 탭홀로 형성하면 연결각도부(1240)의 내부에서 너트가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상기 제1베어링부(1230)는 내열그리스 봉입 베어링이나 카본 베어링, 볼 및 롤러베어링의 내륜 및 외륜 사이의 공간에 그라파이트 콤파운드를 충진하여 고체화한 콤파운드 베어링, 세라믹 베어링 등 내열성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1230B)는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 상기 제1베어링부(1230), 상기 업다운판(1210)을 일체화시키는 구성요소가 되고 상기 체결부재(1230B)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게 된다.
텐션조절시에는 상기 체결부재(1230B)를 느슨하게 풀어주고 업다운판(1210)만 위아래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업다운판(1210)에 고정된 상기 제1베어링부(1230),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모두 함께 이동되는 구성이 된다.
즉 상기 업다운판(1210)의 업다운 이동에 따라서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상하방향으로 조절된다.
조절시에는 상기 연결각도부(1240)와 업다운판(121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1230B)를 느슨하게 하여 제2장공(1240A)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한 후에 조절한다.
따라서 스프로킷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록 상기 로워체인의 텐션이 증대되고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록 텐션이 감소한다.
텐션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다시 상기 체결부재(1230B)를 조임하여 록킹한다.
상기 업다운판(1210)은 상기 제1베어링부(1230)의 고정홀(1230A)에 결합된 체결부재(1230B)에 의하여 측면에서 조임된 구성이므로 상기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유동될 위험이 존재한다.
즉 상기 업다운판(1210)의 위치는 제2장공(1240A)에 고정되어 있어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업다운판(1210)을 록킹하고, 업다운판(1210)의 위치조절이 볼트조임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나사수단에 의한 위상조절로 연결부스프로킷(1220)이 유동될 위험을 제거하고 연결부스프로킷(1220)을 위치조절을 미세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한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상기 업다운판(1210)에는 별도의 제3브라켓(1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브라켓(1310)과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상측에 별도의 제4브라켓(1300)이 형성되어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을 관통결합하는 제2텐션조절볼트(1340)가 포함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134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1320)가 나합하여 상기 업다운판(1210)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한다.
'o'형상, 'ㅁ'형상 등 상기 브라켓의 형상은 제한됨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 내지 '井'형상에 의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대면하여 이격설치되는 상기 업다운판(1210)의 사이에 개재하여 제3브라켓(1310)이 고정되되 상기 제3브라켓(1310)은 4개의 플레이트(1310A)를 '#'형상 내지 '井'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끼움고정 후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상기 업다운판(1210)의 상측으로 부터 끼움고정한다.
상기 중앙부의 교차형상에 의하여 마련되는 공극의 규격은 상기 중앙부에 삽입되는 제2텐션조절볼트(1340)의 머리걸림이나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1340)에 나합되는 록킹너트(1320)의 걸림이 가능한 규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업다운판(1210)을 이격시켜 마주보도록 한 쌍을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3브라켓(1310)은 마주보는 상기 업다운판(1210)에 일체고정되도록 하며 업다운판(1210)과 수직을 이루게 한다.
또한 제3브라켓(1310)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전후좌우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브라켓(1300)은 별도의 이격판(1330)에 의하여 상기 제3브라켓(1310)보다 상측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의 중앙부을 관통하는 제2텐션조절볼트(1340)가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된 후 걸림고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하였다.
상기 이격판(1330)은 하측이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일체화고정되고 상측으로 연장형상되되 상기 이격판(1330)은 상호 이격시켜 대면하여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된다.
상기 이격판(1330)은 홀(1330A)을 형성시켜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볼팅고정(1330B)될 수 있다.
상기 이격판(1330)의 상측단부 부근에 상기 제4브라켓(1300)이 고정되되 상기 제4브라켓(1300)의 중앙부가 상기 연결각도부(1240)의 전후좌우방향 중앙 부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브라켓(1300)의 양측단부가 상기 이격판(13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면하여 이격설치되는 상기 이격판(1330)의 사이에 개재하여 제4브라켓(1300)이 고정되되 상기 제4브라켓(1300)은 4개의 플레이트(1300A)를 '#'형상 내지 '井'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끼움고정 후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상기 이격판(1330)의 상측 부근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고정한다.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의 중앙부에는 제2텐션조절볼트(1340)를 삽입 후 머리걸림되면 상기 체결부재(1230B)를 록킹하는 록킹너트(1320)를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1340)에 복수개 결합시켜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의 중앙부 교차형상에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업다운판(1210)을 록킹한다.
상기 제3,4브라켓(1300,1310)의 중앙부에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1340)를 삽입하는 방향은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 모두 가능하다.
로워체인의 텐션조절이 필요할때는 언제든지 상기 업다운판(1210)을 상기 연결각도부(124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230B)를 느슨하게 푸는 단계,
상기 록킹너트(1320)를 느슨하게 풀어 록킹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1340)를 회전변위시키거나 상기 록킹너트(1320)를 회전변위시켜 상기 업다운판(1210)을 업다운시켜 텐션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로워체인의 텐션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너트(1320)를 조임하여 록킹하고 상기 체결부재(1230B)를 다시 조임하는 단계로 조절한다.
상기 로워스프로킷은 상기 로워로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에는 상기 레이들부가 일체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워스프로킷과 상기 레이들부가 일체고정되는 실시예는 용접 볼팅고정 등 제한됨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워스프로킷이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들부가 브라켓을 개재하고 상기 샤프트에 축착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17을 참조하면, 상기 로워스프로킷(1450B)의 회전중심에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로워로드부(148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제2샤프트(1450A)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노출되는 제2샤프트(1450A) 일측단에 일체결합되고 상기 레이들부(1400)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1410A)가 포함되는 레이들브라켓(1410)이 포함된다.
상기 레이들브라켓(1410)의 형상은 제한됨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이들브라켓(1410)은 전면에서 보면 'ㄴ'자 형상으로 되어 일단면이 수직을 이루고 직립하는 부분에 홀(1410B)이 형성되어 상기 제2샤프트(1450A)의 일측단과 일체화 결합된다.
상기 로워스프로킷(1450B)의 회전축심은 상기 레이들부(1400)의 경동축심이 되므로 상기 레이들부(1400)의 배출구(1400C)를 고려하여 상기 레이들브라켓(1410)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방법은 키결합, 볼팅고정이나 용접 등 제한됨이 없다.
키결합의 경우 브라켓이탈방지용 와셔(1410C)를 볼팅결합(1410E)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들브라켓(1410)에는 결합돌부(1410A)가 형성된다. 결합돌부(1410A)의 단면형상은 'ㄷ'형상에서 끝단이 내측을 향하여 절곡돌출된 형상이다.
상기 레이들부(1400)의 주연부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결합돌부(1410A)에 결합되는 고정요홈부(1400D)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요홈부(1400D)가 상기 브라켓의 결합돌부(1410A)에 삽설된 후 상기 고정요홈부(1400D)를 압지하는 압지볼트(1410D)가 상기 레이들브라켓(1410)에 나합된 후 상기 압지볼트(1410D)의 단부가 상기 고정요홈부(1400D)를 압지함으로서 상기 레이들부(1400)를 일체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1450A)의 양단에 각각 축착되는 제2베어링부(14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시한다. 용용물 운반 작업시 열원으로부터 가까워 제2베어링부(1430)의 마모도가 증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샤프트(1450A)는 상기 로워로드부(1480)에 제2베어링부(1430)가 결합되기 위하여 베어링지지부(142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1420)는 판상체로 외주연이 원반형상이거나 형상에 제한됨이 없으며
또한 상기 베어링지지부(1430)는 상기 로워로드부(148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바, 상기 제2샤프트(1450A)가 상기 일측단으로 노출되는 측의 베어링지지부(1430)는 상기 제2샤프트(1450A)의 노출을 위한 통공(1420A)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1430)는 상기 로워로드부(1480)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1420D)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면하는 한쌍의 베어링지지부(1430)에 각각 6개의 관통홀(1420C)을 형성하고 상기 로워로드부(1480)에는 양측면에 각각 6개의 탭홀(1440G)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홀(1420C)에 결합되는 6개의 체결부재(1420D)로 양측면에 각각 볼팅고정된다.
제2베어링부(1430)의 유지보수 교체작업시 상기 베어링지지부(1420)의 용이한 탈거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소정위치에 빼기나사탭홀(1420E)을 형성하여 필요시 별도의 볼트를 나삽시켜 전진시킴에 따라 상기 볼트의 단부가 처음에는 전진하다가 상기 로워로드부(1480)에 밀착된 후, 상기 볼트를 더욱 회전시키게 되면 반대로 상기 베어링지지부(1420)를 밀어내어 이격시키게 됨을 이용하여 상기 베어링지지부(1420)를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지지부(1420)의 실시예는 제한됨이 없고, 예를 들어 제2베어링부(1430)를 컴파운드형 제2베어링부(1430)으로 선정하는 경우 중앙부에 컴파운드형 제2베어링부(1430)를 내설하기 위한 내설홈부(1420B)를 형성하고 상기 내설홈부(1420B)에 상기 컴파운드형 제2베어링부(1430)를 내설시킨다.
상기 제2베어링부(1430)도 상기 제1베어링부(1230)와 같이 내열성 베어링으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워로드부(1480)의 양 측면으로 상기 제2샤프트(1450A)가 상기 컴파운드형 제2베어링부(1430)를 축착 후 일측단은 연장시켜 상기 레이들부(1400)의 결합을 위하여 돌출되도록 실시하고 돌출된 상기 제2샤프트(1450A)의 일측단에 상기 레이들부(1400)를 일체화 결합하게 되면 상기 레이들부(1400)는 상기 로워로드부(1480)의 측면에서 경동되며 작동되는 실시예가 된다.
또한 상기 로워로드부(1480)가 로워케이싱(260B)과 로워로드몸체(260A)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로워케이싱(260B)은 상기 로워로드몸체(260A)에 삽입 후 볼팅고정(1440E)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워케이싱(260B)은 상호 결합되는 좌우판(1440A,1440B) 및 전후판(1440C,1440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판(1440A,1440B) 및 전후판(1440C,1440D)은 상기 로워로드몸체(260A)의 단부에 용접 또는 볼팅고정(1440E)되며 하측으로 부터 막음판(1440F)을 용접고정함으로서 열회피를 위한 케이싱을 형성 수 있다.
상기 레이들장치에는 체인텐션 확인창(12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퍼로드부(130) 또는 로워로드부(110)의 내부에 체인이 위치되는 경우 텐션 확인을 위한 별도의 창 내지 홀을 상기 어퍼로드부(130) 또는 로워로드부(110)의 측면에 각각 형성 후 점검 및 유지보수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인텐션 확인창(1250)은 수탕 및 주탕작업시 또는 불필요시에는 별도의 가림판(1250A)이 착탈자재하게 볼팅고정(1250B) 될 수 있다.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는 부착부(1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260)는 상기 어퍼로드부(13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는 다방향으로 반복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 내지 CNC제어기능에 의하여 다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CNC장치에 부착되거나 산업용, 협업용 등의 로봇에 부착될 수 있다.
다방향으로 반복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란 xyz좌표축이 이루는 공간 상에서 x,y 또는 z의 일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의미하거나, 또한 xy, yz 또는 zx의 2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 또는 xyz의 3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거나 부가동작축이 포함되어 상기 레이들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기타 상기 레이들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든 이송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레이들 장치를 CNC제어기능에 의하여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든 CNC장치를 포함한다.
이는 용융물 주탕을 위하여 전용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 액추에이터 등의 조합에 의한 장치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모터 및 제어부의 정역구동에 의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봇은 스카라 로봇, 직각좌표로봇, 산업용 다축 로봇, 협업로봇 등 제한됨이 없고 산업용 다축 로봇의 경우에도 갠트리타입, 수직다관절타입, 수평다관절타입 등 제한됨이 없다.
상기 이송장치, CNC장치 또는 로봇에의 부착은 착탈자재하게 부착될 수 있다. 착탈자재하게 부착되는 경우는 홀 내지 탭홀을 형성하여 볼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를 6축(J1~J6) 로봇에 부착하는 일실시예는, 도1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어퍼로드부(1500A)의 선단부에 부착부(1510)를 형성한다.
상기 부착부(1510)는 상기 로봇의 J6축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페이스플레이트(1520)에 면접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이되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520)에 형성되어 있는 탭홀에 볼팅고정을 위한 통공(1260A)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260A)으로 삽입되는 볼트로 볼팅고정된다.
상기 부착부(1510)의 부착면이 향하는 방향은 상하좌우 방향 등 모두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부착면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면이 향하는 방향은 용탕, 몰드와 로봇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로봇에 의한 수탕 및 주탕 작업 중 J5와 J6축이 특이점을 이루지 않도록 하는 각도를 고려하여 형성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내열성 소재 내지 열반사 소재로 상기 레이들 장치(1500) 및 로봇(153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주요부위는 열차단을 위한 차폐부를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19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주탕용 레이들 장치가 로봇의 페이스플레이스 면이 바닥을 향하여 평행을 이룬상태에서 상기 페이스플레이트(1520)의 하측방향에 레이들부가 부착되어 있는 관계로 로봇의 작업반경(Work envelope)이 협소(D1)하였고 이에 복수의 용탕(1610)이나 복수의 몰드(1620)에 대하여 작업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주탕용 레이들 장치(1500)가 로봇(1530)에 부착되는 실시예는 상기 레이들부(1500D)에서 부터 연결각도부(1500C)까지 연장형성되는 로워로드부(1500B)의 구성 및 상기 연결각도부(1500C)로 부터 로봇(1530)의 페이스플레이트(1520)까지 연장형성되는 어퍼로드부(1500A)의 구성으로 인하여 작업반경이 증대(D1+D2)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로봇(1600)으로 복수의 용탕(1610) 또는 복수의 몰드(1620)에 대하여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로봇(1600)으로 상기 로봇(1600)의 주변에 둘러 복수로 배치되는 용탕(1610)으부터 수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몰드(1620)로의 주탕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로봇(1600)의 페이스트플레이트(1520)를 회동시키는 J6축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열에 취약한(대기온도 0~45°C 이내 권장) 로봇(1530) 기구부의 각 축(J1~J6) 구동모터 등의 장비 또한 복사열 특히 직사열이 회피되는 용탕(1610)과의 이격거리를 가지게 하고 열원과의 이격거리가 수탕 및 주탕작업시에도 상시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로봇(1600) 기구부의 각 축(J1~J6) 구동모터 등의 장비에 가해지는 상기 용탕(1610)으로 부터의 열이 회피되어 로봇(1600) 기구부의 각 축(J1~J6) 구동모터 등의 장비가 정격온도 범위내의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부착부(15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보강판(1510A)으로 지지하여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20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1720)에는 부가동작축(J7)이 더 포함되고 상기 레이들부(1730)는 상기 부가동작축(J7)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축 다관절 로봇(1720)의 경우 상기 로봇(1720)은 각 구동축(J1~J6)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1720A)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1720)의 콘트롤러(1720A)에는 상기 부가동작축(J7)을 구동하기 위한 부가동작축 구동회로(1720B)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동부(1710)는 감속기 및 서보모터(1710A)를 포함하고, 상기 서보모터(1710A)가 상기 부가동작축 구동회로(1720B)에 연결되어 정역구동되는 구성이 된다.
상기 부가동작축 구동회로(1720B)는 상기 구동부(1710)에 정역회동 및 구동속도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710)는 상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레이들부(1730)를 경동시키게 된다.
상기 로봇(1720)의 손목관절 마지막 축인 J6축을 상기 구동부(1710)에 갈음하여 상기 레이들부(1730)에 연동연결하는 실시예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부가동작축(J7)으로 상기 레이들부(1730)를 제어함으로서 로봇(1720)의 교시작업시에도 J6축을 활용하는 교시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장치 또는 로봇에 신호를 제공하는 용탕면 검출 센서부(1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용융물이 용탕 내에서 차오르거나 줄어드는 과정에서 공급되나 감소되는 용탕면의 높이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장치,CNC장치 또는 로봇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탕면 검출 센서부(1800)는 광, 방사선 또는 와전류를 이용할 수 있고 수탕시 용탕면의 소정 작업높이 이하로 상기 레이들 장치가 하강될 경우 용융물에 침지되는 복수의 센서가 상호 통전됨으로 작업안전 높이로 복귀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로봇의 연속적인 수탕으로 인하여 용탕 내의 잔류 용융물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 로봇은 상기 용탕면 검출 센서부(1800)의 용탕면 검출 신호를 제공받아 감소된 융융물 높이에 대응하여 작업높이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로봇은 용탕면 높이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자동적인 정량 수탕이 가능하다.
특히 로봇은 상기 레이들부의 기울임이 소정각도를 이루게 하여 수탕시 용융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21을 참조하면, 단부에 프로브(1830)가 부착되고 용탕면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3단으로 단차지게 상호 병렬로 나란히 이격설치되는 3개 1조의 프로브로드(1840)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로워로드부(110)에 부착된다. 상기 프로브로드(1840)는 전산볼트나 스터드 볼트일 수 있다.
상기 프로브로드(1840)는 2단으로 구성되되 1차 조절부(1810)에 의하여 프로브로드(1840)의 전체적인 설치높이가 조절되고 상호 단차를 이루게 하는 미세조절은 2차 조절부(18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로브로드(1840)는 지지브라켓(1850)에 의하여 상기 로워로드부(110)에 부착되되, 먼저 상기 지지브라켓(1850)은 2개가 상호 이격하여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전면 소정 높이위치에 볼팅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라켓(1850)의 삽입홀에 상기 프로브로드(1840)가 삽설된 후 상기 프로브로드(1840)의 외면에 나삽되는 복수의 로크너트(1870)로 상기 지지브라켓(1850) 삽입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850)의 삽입홀과 상기 프로브로드(1840) 접촉면에 환상형 절연체(1860)를 개재시켜 오동작 위험을 제거한다.
상기 용탕면 검출 센서부(1800)는 상기 로워로드부(110)의 전후좌우면에 모두 부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에 부착되었다.
상기 3개1조의 프로브(1830) 중 용탕면과 가까운 어느 2개가 먼저 용탕면에 촉지시 용탕면 검출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이동장치 또는 로봇에 신호를 제공하는 용탕 온도 체크 센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온도체크방식은 용융물 침지방식이나 적외선에 의한 독출방식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수탕시 정량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이송장치, 상기 레이들 장치와 CNC장치 또는 상기 레이들 장치와 로봇에 신호를 제공하는 용탕량 측정 센서부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의 경우 상기 로봇의 페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용탕량 측정 센서부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장치 또는 로봇은 온도신호나 용탕면의 높이 검출 센서부 신호를 제공받아 용탕내부에 용융물이 아직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온도인 경우, 상기 레이들 장치가 용탕면의 소정 안전높이 이하로 하강될 경우 또는 수탕량이 부족한 경우 등 작업을 개시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작업에 적절한 조건이 형성될 때까지 작업대기 할 수 있다.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인스펙터부(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스펙터부(160)는 용탕의 온도상태, 온도변화 또는 온도조건 등 작업관련된 사항을 체크하거나 작업조건탐지를 위한 것으로 작업시의 간섭 유무 탐지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인스펙터부(160)의 부착위치는 어퍼로드부(130)의 상하좌우면 또는 로워로드부(110)의 전후좌우면 등 제한됨이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로드부(130)의 우면에 부착하였다.
상기 인스펙터부는 상하측으로 출몰하는 이니셜로드부(1910),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를 구동하는 구동유닛(1900),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의 단부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감지유닛(1920)이 포함된다.
도22를 참조하면,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는 상기 감지유닛(1920)을 전체적으로 승하강 시키면서 열로부터 회피되는 위치에 대기하다가 감지가 필요할때나 감지유닛을 보다 멀리보내야 할 경우 감지유닛(1920)의 작동을 위한 위치로 상기 감지유닛(19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인스펙터부는 용융물의 출탕시 소정의 출탕온도요구치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소정온도를 설정해두면, 상기 인스펙터부에 의하여 검출되는 온도가 소정온도에 도달시에만 작업이 개시될 수 있도록 신호를 제공하게 하거나 용탕이나 용융물이 식어서 출탕온도요구치보다 하강하게 되면 작업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구동유닛(1900)은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를 출몰시킴으로서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에 부착된 상기 감지유닛(19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유닛(1900)의 구동방식은 제한됨이 없으며 예를 들어, 유압 내지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되는 경우, 볼스크류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또는 랙피니언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또는 상기의 실시예가 조합되는 실시예의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니셜로드부(1910)의 길이는 500mm 이상으로 충분히 형성하여 열원으로부터 이격거리를 둔 상태에서 탐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유닛(1920)은 상기 이니셜로드부(2080)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6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로부터 직립하여 소정거리 이격하게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측판(2070), 상기 측판(2070)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도록 고정설치되는 분할판(2040)과 막음판(201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의 폭과 너비는 상기 복수의 측판(207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이니셜로드부(2080)가 설치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2070)은 2개이고 분할판(2040)은 1개이며 상기 측판(2070) 사이의 공간을 막음하는 막음판(2010)은 1개로 실시하는 예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니셜로드부(2080)의 단부에 수나사(2080A)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의 중앙홀(2060A)에 삽입된 후 너트(2060C)로 고정된다.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는 상기 분할판(2040)과 막음판(2010)에 삽통되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분할판(20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소정의 구간에서 상기 분할판(2040)에 탄발지지 되고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를 리턴시키는 소정의 탄성부재(2030)를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리턴은 탄성부재(2030) 없이 중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30)의 설치구간은 상기 분할판(20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임의의 구간에 배치되는바,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를 탄발지지할 수 있는 구간이다.
상기 측판(2070)에는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2070A)가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에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가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는 허리부 또는 단부에 온도센서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 종단면이 다단(2000A)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2010)에는 제1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10A)가 고정설치 내지 볼팅고정(2010B)되고 상기 분할판(2040)에는 제2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40A)가 고정설치 또는 볼팅고정(2040B)되고, 상기 제1,2 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10A,2040A)의 중공에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가 삽설되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코일스프링(2030)이되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부에 삽설된 후 상기 코일스프링(2030)의 일측단은 상기 분할판(2040)으로 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2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40A)의 단부에 탄발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허리부에 고정되는 제1리지드 커플링(2020)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며,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상측에는 상기 근접센서(2070A)의 검출을 위한 제2리지드 커플링(205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상측단부에 고정된 제2리지드 커플링(2050)의 근접여부를 검출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먼저, 이니셜로드(1910)가 하강하여 감지유닛(1920)이 하강된다. 작업하강시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가 충돌될 시에는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후퇴변위가 발생한다.
이에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030)이 압축되고 동시에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타측단부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는 결과가 되어 근접센서(2070A)에 간섭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근접센서(2070A)는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대기위치인 제1위치(1930)와 상기 제1위치에 측설되는 제1근접센서와 간섭발생시의 후퇴위치인 제2위치(1940)와 상기 제2위치에 측설되는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의 상측단부에 고정된 제2리지드커플링(2050)의 제1위치(1930) 및 제2위치(1940)를 검출함으로서 간섭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공한다.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제2위치(1940)의 간섭신호를 제공받아 작업진행을 중단 하고 상기 레이들 장치를 간섭이 없는 안전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이니셜로드(1910)는 초기위치로 상승되어 감지유닛(192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주변장치 또한 상기 간섭신호를 제공받아 작업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로 가해지던 간섭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2030)의 탄발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인스펙터 로드(2000)가 간섭전의 위치로 리턴되고 상기 제2리지드커플링(2050)은 동시에 제1위치(1930)로 리턴된다.
이에 따라 근접센서(2070A)로 부터 제공되던 간섭신호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구동유닛(1900)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와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 고정판(2075)이 더 포함되고, 상기 리니어 가이드 고정판(2075)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75A)가 고정되되, 상기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75A)의 중공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2090)가 삽설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209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에 고정된다.
상기 리니어 가이드 고정판(2075)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75A)가 고정설치 내지 볼팅고정(2075B)된다.
상기 제3중공형 리니어 가이드(2075A)의 중공에는 가이드 로드(2090)가 삽설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209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 고정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 로드(2090)가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 로드(2090)의 단부에 수나사부(2090F)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2090F)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60)의 양측홀(2060B)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이니셜로드부(2080)의 스트로크가 길어짐에 따라 이니셜로드부의 길이가 증가하여 구동시 떨림이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090)의 타측 단부는 상호 지지플레이트(2090A)를 통하여 연결고정되어 상기 이니셜로드부(2080)의 구동시 불필요한 떨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지지플레이트(2090A)는 이니셜로드부(2080) 구동시에 발생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섭퇴피부(2090C)가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고정홀(2090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로드(2090)의 끝단에 수나사부(2090E)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2090B)에 삽입 후 너트(2090D)로 고정된다.
상기 인스펙터부(1900)는 상기 레이들 장치에 일체로 용접 또는 볼팅고정되거나 유니트화하여 착탈자재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들은 본 발명의 균등물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레이들부 : 100
로워로드부 : 110
연결각도부 : 120
어퍼로드부 : 130
구동부 : 140
동력전달부 : 200
제1동력전달부 : 200A
제2동력전달부 : 200B
로워스프로킷 : 750
연결부스프로킷 : 730
어퍼스프로킷 : 710
로워체인 : 740
어퍼체인 : 720
취부판 : 1010
1차부착홀 : 1010A
2차부착홀 : 1010B
제1장공 : 1040A
간격유지너트 : 1050
취부홀 : 1040A
제1브라켓 : 1100
제2브라켓 : 1110
제1텐션조절볼트 : 1120
업다운판 : 1210
제2장공 : 1240A
업다운홀 : 1240A
터짐홀부 : 1240B
제1샤프트 : 1220A
제1베어링부 : 1230
제2장공 : 1240A
제3브라켓 : 1310
제4브라켓 : 1300
제2텐션조절볼트 : 1340
제2장공 : 1240A
상기 이격판 : 1330
제2샤프트 : 1450A
레이들브라켓 : 1410
베어링지지부 : 1430

Claims (35)

  1.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Ladle) 장치로서,
    레이들부;
    하단에 상기 레이들부가 부착되고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로워로드(Lower-rod)부;
    상기 로워로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각도부; 및
    상기 연결각도부에 결합되어 상기 로워로드부와 소정각도를 이루게 형성하되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어퍼로드(Upper-rod)부;
    가 포함되고
    상기 레이들 장치에는
    상기 레이들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이들부를 경동시키는 구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어퍼로드부에 형성되되,
    작업시 열원으로 부터 소정의 이격거리 이상을 유지하여 소정온도 이하로 유지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레이들부에 전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동력전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는 상호 동종이거나 이종이고,

    상기 로워로드부에는 로워스프로킷(Lower-sprocket),
    상기 연결각도부에는 연결부스프로킷,
    및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어퍼스프로킷(Upper-sprocket)이
    각각 위치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과 연결부스프로킷에는 로워체인(Lower-chain)이 맞물림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과 상기 어퍼스프로킷에는 어퍼체인(Upper-chain)이 맞물림되고,
    상기 어퍼체인 및 로워체인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스프로킷의 위치조절에 의하여 상기 체인의 텐션이 조절되되, 상기 어퍼스프로킷,연결부스프로킷 또는 로워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은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장공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및
    나사수단의 위상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로 이루어지는 선택군 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선택된 두개 이상의 방법이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을 위한 취부판이 더 포함되되,
    상기 취부판에는 1차부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취부판의 일측면 방향에 대하여 상기 1차부착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일체고정되고,
    또한 상기 취부판에는 2차부착홀이 더 형성되어 상기 2차부착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상기 취부판이 상기 취부판의 타측면 방향으로 상기 어퍼로드부에 부착되고,

    상기 취부판과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이 내입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는 상기 어퍼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상기 어퍼로드부에 상기 취부판의 결합을 위한 취부홀이 형성되되,
    상기 취부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1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부판에는 별도의 제1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로드부에는 별도의 제2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브라켓을 관통결합하는 제1텐션조절볼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1텐션조절볼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가 나합하여 상기 취부판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의 위치조절을 위한 업다운(Up-down)판이 더 포함되되 상기 연결각도부에 상기 업다운판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은 상기 업다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은 상기 로워로드부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에는 상기 레이들부가 일체고정되고,

    상기 연결각도부에 상기 업다운판의 결합을 위한 업다운홀이 형성되고
    상기 업다운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측방향으로 터짐형성되는 터짐홀부;
    상기 연결부스프로킷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각도부의 내부로부터 상기 터짐홀부를 관통후 상기 연결각도부의 양측면 방향을 향하여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샤프트;
    고정홀이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제1샤프트에 양측단에 외측면으로부터 각각 축착되는 제1베어링부;
    상기 제1베어링부의 고정홀에 결합된 후 상기 업다운홀을 관통하여 상기 업다운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업다운판에는
    별도의 제3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브라켓과 이격되되 상기 연결각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별도의 제4브라켓이 포함되어,
    상기 제3,4브라켓을 관통결합하는 제2텐션조절볼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2텐션조절볼트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록킹너트가 나합하여 상기 업다운판을 소정위치에서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고,
    상기 로워스프로킷의 회전중심에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로워로드부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제2샤프트;
    상기 노출되는 제2샤프트 일측단에 일체결합되고 상기 레이들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가 포함되는 레이들 브라켓;
    상기 레이들부의 주연부 소정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에 끼워맞춤되는 고정요홈부;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양측단에 각각 축착되는 제2베어링부;
    상기 제2베어링부를 내설하는 내설홈부가 포함되되 상기 로워로드부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지지부;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는 부착부가 더 포함되어,
    다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송장치에 부착되거나,
    CNC제어기능에 의하여 다방향으로 반복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CNC장치에 부착되거나,
    로봇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로봇에는 부가동작축이 더 포함되고,
    상기 레이들부는 상기 부가동작축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80025549A 2018-03-05 2018-03-05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KR102072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49A KR102072905B1 (ko) 2018-03-05 2018-03-05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49A KR102072905B1 (ko) 2018-03-05 2018-03-05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60A KR20190105260A (ko) 2019-09-17
KR102072905B1 true KR102072905B1 (ko) 2020-03-02

Family

ID=6807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49A KR102072905B1 (ko) 2018-03-05 2018-03-05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20145B (zh) * 2023-12-11 2024-05-14 江苏飞月轴瓦有限公司 一种气缸盖压制成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7544B2 (ja) * 1991-04-25 1999-08-23 旭テック株式会社 自動汲湯装置
JPH0677963U (ja) * 1993-04-05 1994-11-01 戸田精機株式会社 金属湯汲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260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92159B (zh) 一种用于雷达结构件的焊接机器人工作站系统
CN108620782B (zh) 基于视觉伺服的箱型钢结构现场全位置焊接机器人
CN104308859B (zh) 基于行车的重载精密冗余三臂机械手
US89465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tal powder welding
KR102072905B1 (ko)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KR100995149B1 (ko) 금속튜브 절단용 플라즈마 절단기
CN103418890B (zh) 用于特殊钢材野外施工焊接的管道焊接机器人
US5365890A (en) Open beam sootblower
KR100834686B1 (ko) 원자로 헤드 관통관 보수 로봇용 원격 제어 가이드 시스템
CN114425691B (zh) 一种圆柱形螺纹连接工件拧紧装置及方法
CN117102678A (zh) 热水器内胆加工用机器人环缝焊机
EP0099027A2 (en) Jig apparatus for use with industrial robots
CN212885622U (zh) 一种机器人堆焊装置
US20220289611A1 (en) Melting furnace electrode push assembly with torque limiter
CN212350731U (zh) 自动螺柱焊枪
KR102195400B1 (ko) 용융물 주탕용 레이들 장치
CN110640267A (zh) 找正平台及多功能焊机
CN213764600U (zh) 一种用于精密零件焊接中心的焊接机构
CN210731317U (zh) 找正平台及多功能焊机
CN220806026U (zh) 一种新型三轴转台系统
CN220665402U (zh) 一种电渣炉丝杆副保护装置
CN216989838U (zh) 基于传感器的钢包定位装置
CN220297153U (zh) 一种可调式机械手臂限位安装平台
CN216881631U (zh) 基于传感器的连铸自动化浇铸装置
CN216829075U (zh) 一种苛刻环境下的阀座在线焊接前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