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681B1 -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681B1
KR102072681B1 KR1020170038373A KR20170038373A KR102072681B1 KR 102072681 B1 KR102072681 B1 KR 102072681B1 KR 1020170038373 A KR1020170038373 A KR 1020170038373A KR 20170038373 A KR20170038373 A KR 20170038373A KR 102072681 B1 KR102072681 B1 KR 10207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ylinder
thread
main body
dru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183A (ko
Inventor
고대철
Original Assignee
(주)에스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비메드 filed Critical (주)에스비메드
Priority to KR102017003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6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26Semi-automatic, e.g. user activated piston is assisted by additional source of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케이스의 본체와 밀착되어 상기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다양한 규격의 피스톤을 장착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10)이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의 전후진 운동을 제어하는 본체부(110),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20), 일측은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되는 체결부(130) 및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조임부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는 조임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끝단에 돌출된 형상의 제1 결합 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1b),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제1 결합 홈(111c)과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홈(111c)과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가 삽입되는 중단 결합부(111e) 및 일단에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피스톤(210)과 나사 결합하는 피스톤 나사산(111g)가 형성된 피스톤 결합부(111h)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물을 자동으로 주입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 또는 간호사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내부로 약물을 주입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주사기를 누르는 힘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인체 내부로 투입되어야 하는 약물의 양이 매 순간마다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일정한 양의 약물이 지속적으로 인체로 투입되어야 하는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현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점성을 갖는 약물이 주사기를 통해 주입될 때, 사용자는 보다 많은 힘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주사기를 이용해 끈적끈적한 약물을 지속적으로 환자의 인체에 주입해야 하는 사용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주사기와 연결되어 약물을 일정한 양을 지속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는 주사기의 종류에 따라 외경의 크기가 다양하여 주사기의 종류마다 약물 주입 장치를 개별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외경의 크기에 대응되는 약물 주입 장치라 하더라도, 주사기의 외경을 밀착하여 압력을 가하는 지점에 이격된 틈이 발행하여 종래의 약물 투입 장치와 주사기 간의 연결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를 이용해 주사기의 약물이 환자의 인체로 주입될 때, 약물 주입 장치와 주사기의 이격됨 틈에 의해, 주사기 또는 약물 주입 장치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정확한 양의 약물이 주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주사기가 장착 가능하여 투입 약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 가능한 약물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사기 케이스의 본체와 밀착되어 상기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정확한 양의 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10)이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의 전후진 운동을 제어하는 본체부(110),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20), 일측은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되는 체결부(130) 및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조임부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는 조임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끝단에 돌출된 형상의 제1 결합 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1b),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제1 결합 홈(111c)과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홈(111c)과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가 삽입되는 중단 결합부(111e) 및 일단에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피스톤(210)과 나사 결합하는 피스톤 나사산(111g)가 형성된 피스톤 결합부(111h)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주사기가 장착 가능함으로써, 투입 약물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약물 주입 장치가 주사기 케이스의 본체와 밀착되기 때문에, 약물이 주입되는 동안, 본체의 흔들림을 감소시켜 투입 약물이 안정적으로 환자의 인체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또는 약물 주입 장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정확한 주입량의 투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결합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정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배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에 주사기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결합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정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배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측면의 분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에 주사기 케이스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타측은, 도 9 내지 도 에서의 우측을 나타내며, 일측은, 도 9 내지 도 7에서의 좌측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10)이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의 전후진 운동을 제어하는 본체부(110),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20), 일측은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되는 체결부(130) 및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조임부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는 조임부(1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11)에 체결된 피스톤(120)이 삽입되는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 및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본체(221)의 끝단에 구비된 케이스 날개(222)는 상기 삽입부(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첫째,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결합부(11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결합부(111)를 전후진 운동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결합부(111)를 지지하는 지지부(112), 상기 결합부(111)를 전후진 시키는 구동부(113), 상기 구동부(113)를 제어하는 제어부(114), 상기 제어부(114)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들을 입력받는 입력부(115) 및 상기 구동부(113)와 상기 제어부(114)와 상기 입력부(115)를 지지하는 케이스(11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11)는 피스톤(210)과 결합하여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에서 신체로 주입되는 약물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111)는 돌출부(111b), 중단 결합부(111e) 및 피스톤 결합부(111h)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1b)는 끝단에 돌출된 형상의 제1 결합 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11b)는 긴 막대 형상의 봉 형태일 수 있으며, 끝단에 상기 돌출부(111b)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 결합 돌기(111a)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1b)와 제1 결합 돌기(111a)는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제1 결합 홈(111c)과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1b)를 향하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상의 상기 제1 결합 홈(11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 홈(111c)에는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상기 돌출부(111b)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상기 돌출부(111b)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즉,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를 향하는 타단에 함입된 형상의 상기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결합 홈(111d)은 상기 중단 결합부(111e)의 타단 표면을 가로지르는 직육면체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외주에 제1 결합 나사산(111i)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최외각 표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홈과 요철로 구성되는 제1 결합 나사산(111i)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 결합 나사산(111i)는 후술되는 외측 결합부(111l)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일단에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피스톤(210)과 나사 결합하는 피스톤 나사산(111g)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피스톤 나사산(111g) 사이의 외주에 제2 결합 나사산(111j)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를 향하는 일단에 플레이트 형태의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가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어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단의 최외각 표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홈과 요철로 구성되는 피스톤 나사산(111g)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일단은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타단은 상기 피스톤(210)과 결합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상기 피스톤 나사산(111g)는 지름이 약물 주입 장치에 장착되는 주사기의 피스톤(210) 규격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일단과 타단 즉,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 사이의 최외각 표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홈과 요철로 구성되는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은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 상기 제1 결합 나사산(111i)과 연속되도록 맞닿아 후술되는 외측 결합부(111l)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111)는 외측 결합부(111l)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측 결합부(111l)는 상기 제1 결합 나사산(111i) 및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과 연속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 홀(111k)이 일단과 타단의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 결합부(111l)는 원통 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의 내측에 관통되도록 뚫려 있으며, 연속하도록 맞닿아 있는 상기 제1 결합 나사산(111i) 및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과 나사산 홀(111k)이 내부에서 연속하여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결합부(111l)의 내부에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일단부터 제2 결합 나사산(111j)까지 수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외측 결합부(111l)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를 나사 결합으로 견고히 결합시킨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는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구성과 역할이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구성과 역할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동일한 구성과 역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와 동일하게 돌출부(111b), 중단 결합부(111e') 및 피스톤 결합부(111h')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와 다르게 상기 외측 결합부(111l)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의 돌출부(1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의 돌출부(111b)와 형태 및 역할이 동일하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1')의 상기 중단 결합부(111e') 및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이하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제1 결합 홈(111c')과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1b)를 향하는 일단에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상의 상기 제1 결합 홈(11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 홈(111c')에는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상기 돌출부(111b)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상기 돌출부(111b)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즉,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를 향하는 타단에 함입된 형상의 상기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결합 홈(111d')은 상기 중단 결합부(111e)의 타단 표면에서는 동일한 폭으로 함입되다가 내측으로 진행할 수로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홈(111d')은 상기 중단 결합부(111e)의 타단 표면과 측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가 측면으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일단에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피스톤(210)과 나사 결합하는 피스톤 나사산(111g')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를 향하는 일단에 동일한 폭으로 돌출되다 다시 폭이 증가하는 형상의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가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어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결합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의 결합을 살펴 보면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 모두 일단과 타단의 폭(두께)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가 결합 후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이 결합 해제된다.
이에 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의 결합은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의 측면으로부터 이동하여 삽입되고, 결합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의 폭 중에서 증가된 폭이 상호 걸림으로써,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을 결합 방향으로 다시 한번 결합시키는 구성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결합부(111l)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제2 결합 홈(111d')만으로 견고히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기 중단 결합부(111e')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단의 최외각 표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홈과 요철로 구성되는 피스톤 나사산(111g')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일단은 상기 중단 결합부(111e')와 결합하고,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타단은 상기 피스톤(210)과 결합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의 상기 피스톤 나사산(111g')은 지름이 약물 주입 장치에 장착되는 주사기의 피스톤(210) 규격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7 내지 도 11로 돌아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결합부(111)를 지지한다.
상기 구동부(113)는 상기 결합부(111)를 전후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부(113)와 상기 지지부(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13)에 상기 결합부(111)가 직접 연결된 경우,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구동부(113)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3)는 예를 들어, 모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11)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구동부(113)를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115)는 상기 구동부(113)를 턴온 시키는 스위치, 상기 구동부(113)를 턴오프 시키는 스위치, 상기 구동부(11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113)를 제어한다. 상기 케이스(116)는 상기 지지부(112), 상기 구동부(113), 상기 제어부(114) 및 상기 입력부(115)를 지지한다.
상기 케이스(116) 중 상기 지지부(112)를 커버하고 있는 지지부 케이스(117)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34)과 체결되는 케이스 나사산(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 케이스(117)는 상기 케이스(116) 중 상기 구동부(113), 상기 제어부(114) 및 상기 입력부(115)를 지지하는 부분과 독립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부분과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 케이스(117)가 도시되어 있다.
둘째, 상기 삽입부(120)에는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된 실린더(122), 상기 실린더(122)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22)를 커버하고, 상기 실린더(1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130)의 일측의 내주면에 구비된 제1나사산(132)과 체결되는 제1보조실린더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실린더(123),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와 인접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2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부(140)의 내주면에 구비된 조임부 나사산(142)과 체결되는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실린더(125) 및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보조실린더(125)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22)는 속이 빈 원통형태이며, 상기 실린더(122)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는 상기 실린더(122)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보조실린더 나사산(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보조실린더 나사산(124)은 상기 체결부(130)의 상기 제1나사산(132)과 체결된다.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는 상기 실린더(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실린더(123)는 상기 실린더(122) 중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을 커버한다. 상기 제2보조실린더(1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조임부 나사산(142)과 체결되는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보조실린더(123)는 상기 실린더(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7)는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보조실린더(125)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27)는 적어도 두 개의 조각편(128)들을 포함한다.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타측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실린더(122)에 연결된 타측을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외면에는,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조각편(128)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돌기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각편(128)의 외면에 구비된 상기 돌기부(129) 중 상기 실린더(122) 또는 상기 제2보조실린더(123)와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높이(B)는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일측에 있는 영역의 높이(A) 보다 높다.
셋째,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삽입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130)의 일측은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130)는 속이 빈 원통형태이며, 상기 체결부(130)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부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실린더 나사산(124)과 체결되는 제1나사산(132)이 구비되어 있는 제1체결부(131) 및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케이스 나사산(118)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134)이 구비되어 있는 제2체결부(133)를 포함한다.
넷째, 상기 조임부(140)는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을 조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조임부(140)에는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조임부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을 형성하는 상기 조임부(140)의 내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과 체결되는 조임부 나사산(14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의 내경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의 내주면은,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연장부(127)와 접촉하고, 상기 연장부(127)는 적어도 두 개의 조각편(128)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외면에는,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조각편(128)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돌기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29)의 높이가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고,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의 내경이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조각편(128)들과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가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로 삽입된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가 상기 조각편(128)들에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가 흔들리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방법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첫째, 상기 삽입부(120), 상기 체결부(130), 상기 조임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주사기 케이스(220)가 상기 지지부(120)의 일측 끝단에 밀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111)는 피스톤(220)과 체결된 후, 상기 피스톤(220)과 함께,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20)과 상기 결합부(111)는 볼트와 너트의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111)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이, 상기 피스톤(222)의 중앙에 형성된 홈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111)와 상기 피스톤(222)이 체결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삽입부(120)의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로 상기 본체(221)를 관통시킨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122)의 타측 끝단은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의 날개(222)를 상기 지지부(112)의 일측에 밀착시킨다. 상기 지지부(112)의 직경은 상기 날개(22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22)에 의해 밀린 상기 날개(222)는 상기 지지부(112)에 밀착된다.
상기 본체(221)의 외경은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의 내경보다는 작은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외경을 갖는 주사기 케이스(220)가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체결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120)와 상기 본체부(110)를 체결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130)의 제1나사산(132)은 상기 제1보조실린더 나사산(124)과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130)의 제2나사산(134)은 상기 케이스 나사산(118)과 체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날개(122)는 상기 실린더(122)와 상기 지지부(112) 사이에 고정된다.
넷째, 상기 결합부(111)에 체결된 피스톤(120)이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의 상기 본체(221)를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로 통과시킨 후, 상기 조임부(140)를 상기 삽입부(130)와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21)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 및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다섯째, 상기 조임부(140)를 회전시켜, 상기 조임부 나사산(142)을 상기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에 체결시킨다. 이 경우, 상기 조임부(140)는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의 내주면이,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연장부(127)와 밀착될 때까지 회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부(129)의 높이가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고,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의 내경이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며, 상기 조각편(128)들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임부 나사산(140)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에 체결될수록, 상기 조각편(128)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의 내경은 점점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조각편(128)들과 상기 본체(221)는 더욱 밀착된다.
상기 본체(221)가 상기 조각편(128)들에 밀착될수록,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를 이용한 약물 주입시,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가 흔들림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를 이용한 약물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상기 과정들을 통해 상기 주사기 케이스(220)가 상기 약물 주입 장치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221)의 끝단에 주사바늘을 연결시키고, 상기 주사바늘을 약물 케이스에 삽입한 후, 상기 입력부(115)를 조정하여, 상기 결합부(111)를 후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21) 내부로 약물이 주입된다.
일곱째, 사용자는 상기 주사바늘을 환자의 인체에 삽입한 후, 상기 입력부(115)를 조정하여, 상기 결합부(111)를 전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210)이 전진하면서 상기 피스톤(210)이 약물을 상기 주사바늘을 통해 환자의 인체 내부로 주입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1)는 상기 구동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전진하기 때문에, 약물이 일정한 속도로 인체로 주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물 주입의 오차에 의한 의료 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 사업]
[과제고유번호] R0004047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사업명] 풀뿌리기업육성사업
[연구과제명] 장수시대 통증치료용 건강용품 육성사업
[기여율] 1/1
[주관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고령친화종합체험관)
[연구기간] 2016.07.01~2017.06.30
110: 본체부 120: 삽입부
130: 체결부 140: 조임부
210: 피스톤 220: 주사기 케이스
221: 본체 222: 날개

Claims (12)

  1. 주사기 케이스(220)의 본체(22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210)이 결합되는 결합부(111);
    상기 결합부(111)의 전후진 운동을 제어하는 본체부(110);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20);
    일측은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며, 타측은 상기 본체부(110)와 체결되는 체결부(130); 및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이 관통되는 조임부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와 체결되는 조임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1)는,
    끝단에 돌출된 형상의 제1 결합 돌기(111a)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1b);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의 제1 결합 홈(111c)과 제2 결합 홈(111d)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 홈(111c)과 상기 제1 결합 돌기(111a)가 삽입되는 중단 결합부(111e); 및
    일단에 상기 제2 결합 홈(111d)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제2 결합 돌기(111f)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피스톤(210)과 나사 결합하는 피스톤 나사산(111g)가 형성된 피스톤 결합부(111h)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 결합부(111e)는,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외주에 제1 결합 나사산(111i)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결합부(111h)는,
    상기 제2 결합 돌기(111f)와 상기 피스톤 나사산(111g) 사이의 외주에 제2 결합 나사산(111j)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1)는,
    상기 제1 결합 나사산(111i) 및 상기 제2 결합 나사산(111j)과 연속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 홀(111k)이 일단과 타단의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외측 결합부(111l)를 더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21)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 및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을 관통하여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221)의 끝단에 구비된 케이스 날개(222)는 상기 삽입부(120)와 상기 본체부(11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약물 주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결합부(111)를 지지하는 지지부(112);
    상기 결합부(111)를 전후진 시키는 구동부(113);
    상기 구동부(113)를 제어하는 제어부(114);
    상기 제어부(114)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들을 입력받는 입력부(115); 및
    상기 구동부(113)와 상기 제어부(114)와 상기 입력부(115)를 지지하는 케이스(116)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6) 중 상기 지지부(112)를 커버하고 있는 지지부 케이스(117)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과 체결되는 케이스 나사산(118)이 형성되어 있는 약물 주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삽입부 관통홀(121)이 형성된 실린더(122);
    상기 실린더(122)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122)를 커버하고, 상기 실린더(12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부(130)의 일측의 내주면에 구비된 제1나사산과 체결되는 제1보조실린더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있는 제1보조실린더(123);
    상기 제1보조실린더(123)와 인접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2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부(140)의 내주면에 구비된 조임부 나사산(142)과 체결되는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실린더(125); 및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보조실린더(125)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27)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7)는 적어도 두 개의 조각편(128)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약물 주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외면에는,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조각편(128)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돌기부(129)가 형성되어 있는 약물 주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30)는,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실린더 나사산(124)과 체결되는 제1나사산(132)이 구비되어 있는 제1체결부(131); 및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케이스 나사산(118)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134)이 구비되어 있는 제2체결부(133)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을 형성하는 상기 조임부(140)의 내주면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부(130)를 관통한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2보조실린더 나사산(126)과 체결되는 조임부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있는 약물 주입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조임부 관통홀(141)의 내경은, 상기 조임부(14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약물 주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40)의 일측의 내주면은, 상기 삽입부(12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연장부(127)와 접촉하고,
    상기 연장부(127)는 적어도 두 개의 조각편(128)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122)의 상기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각편(128)들 각각의 외면에는, 상기 조각편(128)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조각편(128)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돌기부(129)가 형성되어 있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0170038373A 2017-03-27 2017-03-27 약물 주입 장치 KR10207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73A KR102072681B1 (ko) 2017-03-27 2017-03-27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73A KR102072681B1 (ko) 2017-03-27 2017-03-27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83A KR20180109183A (ko) 2018-10-08
KR102072681B1 true KR102072681B1 (ko) 2020-02-03

Family

ID=6386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73A KR102072681B1 (ko) 2017-03-27 2017-03-27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6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81Y1 (ko) 2005-07-08 2005-09-2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메조건의 고정부의 구조
KR101525854B1 (ko) 2015-02-06 2015-06-11 (주)엠큐어 휴대용 자동 약물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48412B2 (en) * 2012-04-17 2015-12-17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1464342B1 (ko) * 2013-03-08 2014-11-25 주식회사 하이필코리아 액상 자동 주입기
KR101539664B1 (ko) * 2013-12-27 2015-07-28 (주)디앤케이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1705317B1 (ko) * 2014-07-11 2017-02-09 주식회사 현대메디텍 주사기 결합식 자동약액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81Y1 (ko) 2005-07-08 2005-09-2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메조건의 고정부의 구조
KR101525854B1 (ko) 2015-02-06 2015-06-11 (주)엠큐어 휴대용 자동 약물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83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131B2 (en) Apparatuses for securing components of a drug delivery system during transport and methods of using same
US6312413B1 (en) Cylinder ampoule
US10335202B2 (en) Lockable pedicle fastener
US7905867B2 (en) Pen-type injector
US9108007B2 (en) Spindle and bearing combination and drug delivery device
CN102395396A (zh) 笔式针和针帽组件
KR101986953B1 (ko) 정량 반복주사기
JP2020500630A (ja) 注射デバイスに取り付けるためのデータ収集デバイス
KR101868317B1 (ko) 정량 반복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약물의 주입용량 설정방법
EP3278828B1 (en) Injection pen
WO2015048803A3 (en) Stabilized pen injector
EP2058021A2 (de) Verabreichungsvorrichtung mit Anzeigetrommel
WO2021191095A1 (de) Autoinjektor mit ausschüttdetektion
CN107754057B (zh) 药物注入装置
KR20180108773A (ko) 안전 바늘
JPWO2009051124A1 (ja) ガスケット及びその利用
KR102072681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1510680B1 (ko) 주사액 정량 주사용 스토퍼를 갖는 주사기
JP4933816B2 (ja) プランジャー及びその利用
EP3278826B1 (en) Locking structure for injection pen
EP3226941B1 (en) Syringe plunger system with self-locking threaded geometry
WO2016174720A1 (ja) 骨接合具
US20200171245A1 (en) Cap Hub Interface for Intradermal Injection Device
EP3673937B1 (en) Apparatuses for securing components of a drug delivery system during transport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473945B1 (ko) 주사기용 어댑터 세트 및 그를 포함한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