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05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050B1
KR102072050B1 KR1020120103099A KR20120103099A KR102072050B1 KR 102072050 B1 KR102072050 B1 KR 102072050B1 KR 1020120103099 A KR1020120103099 A KR 1020120103099A KR 20120103099 A KR20120103099 A KR 20120103099A KR 102072050 B1 KR102072050 B1 KR 10207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driving voltage
region
hall sens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96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6Power supplies; Circuitry or arrangement to switch on the power source; Circuitry to check the power source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all/Mr Element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CB) 영역에서, 액추에이터 영역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공부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자동초점(AF) 및 광학적 손떨림(OIS) 기능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여 입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적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이란, 광학 부품의 일부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광경로를 바꾸어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OIS 방식을 적용하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Auto Focusing; AF) 모듈 전체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OIS 기능이 함께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OIS 카메라 모듈에서는 홀센서(hall sensor)에 의해 OIS 액추에이터의 위치가 피드백되며, x축 및 y축에 대한 보정을 위해, 2개의 홀센서가 구비된다. 따라서, 홀센서가 제공되는 액추에이터와 컨트롤러(controller)가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연결하는 경우, 종래 AF 기능만이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에 비해 핀수가 7개 증가하게 되어, 액추에이터의 설계가 어려워지고, 또한 제작 공간이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홀센서의 구동전원을 전류가 아닌 전압으로 입력하려는 시도가 있는데, 이 경우, AF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과 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압이 동시에 입력되어 별도의 패드를 생성하여야 하므로, 액추에이터의 설계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AF 기능을 구동하는 구동전압으로부터 OIS 기능 및 홀센서의 구동을 위한 구동전압을 분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PCB) 영역에서, 액추에이터 영역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자동초점(AF) 및 광학적 손떨림(OIS) 기능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여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구동전압의 분기는 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는 분기지점은, 미앤더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는 분기지점은, 인덕터가 표면실장(SMT)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AF 구동전압과 홀센서를 구동하는 OIS 구동전압을 일체로 제공하여, PCB 영역에 배치되는 패드의 수를 줄이고, 또한, OIS 구동전압을 분기하는 분기지점의 패턴을 미앤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인덕터를 표면실장하여, 홀센서에 유입되는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OIS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에서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서, 액추에이터의 구동전압 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기점에서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종래의 구동전압 제공구조를 설명하고, 종래의 구동전압 제공구조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동전압 제공구조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OIS 카메라 모듈의 액추에이터에서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종래의 OIS 카메라 모듈은, PCB 영역(10)과 액추에이터 영역(20)으로 구분되며, PCB 영역(10)에는 AF 액추에이터(21)를 구동하는 AF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AF 구동전압 제공부(11)와, OIS 액추에이터(22)를 구동하는 OIS 구동전압 제공부(12) 및 홀센서(23)를 구동하는 홀센서 구동전압 제공부(13)가 제공된다.
AF 구동전압 제공부(11) 및 OIS 구동전압 제공부(12)는 PCB 상의 패드(14, 15)를 통해 AF 액추에이터(21) 및 OIS 액추에이터(22)와 연결된다. 또한, 홀센서 구동전압 제공부(13) 역시 PCB 상의 패드(16)를 통해 홀센서(23)와 연결된다. 즉, 액추에이터 영역(20)에 구동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패드를 PCB 영역(10)에 설계하여야 하므로, PCB 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동전압 제공구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서, 액추에이터의 구동전압 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PCB 영역(30)과 액추에이터 영역(40)으로 구분되며, PCB 영역(30)에서 액추에이터 영역(40)으로 구동전압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AF 액추에이터와 OIS 액추에이터는 통합되어, 하나의 액추에이터(4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PCB 영역(30)에는 구동전압 제공부(31)가 제공되어, 액추에이터 영역(40)의 액추에이터(41)와 홀센서(42)에 구동전압을 각각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PCB 영역(30)에 설계되는 패드(32)가 하나이므로, 도 1의 종래의 제공구조에 비해, PCB 영역(30)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홀센서(42)는 x축 및 y축의 위치의 검출을 위해 2개 사용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과 무관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홀센서(42)는 액추에이터(41)에 부착되어 액추에이터(4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분리하여 도시하였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전압 제공구조에서는, PCB 영역(30)에서 액추에이터 영역(40)으로 하나의 연결선을 통해 구동전압이 제공되며, 이는 액추에이터 영역(40)에서 분기한다(점선구간 참조). 즉, 액추에이터(41) 및 홀센서(42)에 동시에 구동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홀센서(42)는 아날로그(analog) 소자로서,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우며, 이 노이즈는 OIS 제어를 어려워지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홀센서(42)에 유입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분기지점에서 미앤더(meander)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분기점에서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동전압 제공구조에서는, 액추에이터 영역(40)에서 PCB 영역(30)의 구동전압 제공부(31)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압을 홀센서(42)로 분기하는 경우, 분기되는 지점(분기지점)에서의 패턴을 미앤더 형상을 구성한다. 액추에이터 영역(40)에서 구동전압의 연결은 PCB 또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FPCB)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전압 제공구조는, 분기지점에 인덕터를 표면실장(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기지점을 미앤더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기지점에 인덕터를 SMT하는 것에 의해, AF 구동전압과 OIS 구동전압이 일체로 제공되는 구동전압에서, 홀센서(42)의 구동전압을 분기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여, 정확한 OIS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PCB 영역 31: 구동전압 제공부
32: 패드 40: 액추에이터 영역
41: 액추에이터 42: 홀센서

Claims (6)

  1. 인쇄회로기판(PCB) 영역에서, 액추에이터 영역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자동초점(AF) 및 광학적 손떨림(OIS) 기능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여 입력되고,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는 분기지점은, 미앤더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구동전압의 분기는 PCB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는 분기지점은, 인덕터가 표면실장(SMT)되는 카메라 모듈.
  5. 인쇄회로기판(PCB) 영역에서, 액추에이터 영역에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공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자동초점(AF) 및 광학적 손떨림(OIS) 기능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액추에이터 영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여 입력되고,
    상기 구동전압이 상기 홀센서로 분기하는 분기지점은, 인덕터가 표면실장(SMT)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홀센서는 하나의 패드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20103099A 2012-09-18 2012-09-18 카메라 모듈 KR10207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9A KR102072050B1 (ko) 2012-09-18 2012-09-18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9A KR102072050B1 (ko) 2012-09-18 2012-09-18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10A Division KR102193718B1 (ko) 2020-01-23 2020-01-2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6A KR20140036696A (ko) 2014-03-26
KR102072050B1 true KR102072050B1 (ko) 2020-03-02

Family

ID=5064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99A KR102072050B1 (ko) 2012-09-18 2012-09-1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62B1 (ko) 2017-05-19 2018-08-09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카메라 모듈용 액츄에이터 이동감지 소자와 그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용 유연성 회로기판
KR101886361B1 (ko) 2017-05-26 2018-08-09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액츄에이터 이동감지 소자의 슬레이브 식별정보 설정방법
KR101973095B1 (ko) 2017-05-31 2019-04-26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카메라 모듈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1776B (zh) * 2004-03-08 2013-04-01 Pentax Ricoh Imaging Co Ltd 防震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6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8926B (zh) 具3軸閉路回饋控制模組之電磁驅動鏡頭裝置
KR102059169B1 (ko) 카메라 모듈
KR102047373B1 (ko) 카메라 모듈
JP6449201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2131011B1 (ko) 카메라 모듈
KR102142710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050B1 (ko) 카메라 모듈
KR102421546B1 (ko) 서스펜션 구조를 가지는 fpcb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액추에이터
KR20100126990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0270946B2 (en) Solid state imaging devic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213657B1 (ko) 카메라 모듈
KR10219371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150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41892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33088A (ko) 카메라 모듈
KR102447562B1 (ko) 광학적 손떨림 보정 카메라 모듈 구조
JP2006221104A5 (ko)
KR102104839B1 (ko) 카메라 모듈
JP2009237144A (ja) ブレ補正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1930042B1 (ko) 카메라 모듈
JP2009151090A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KR10108204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96998B1 (ko) 카메라 모듈
KR102066430B1 (ko) 카메라 모듈
JP2007173329A (ja) プリント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