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772B1 -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772B1
KR102071772B1 KR1020170151879A KR20170151879A KR102071772B1 KR 102071772 B1 KR102071772 B1 KR 102071772B1 KR 1020170151879 A KR1020170151879 A KR 1020170151879A KR 20170151879 A KR20170151879 A KR 20170151879A KR 102071772 B1 KR102071772 B1 KR 10207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ear view
mirror
vehic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498A (ko
Inventor
레티스 앤드류
레힐 그라함
스코트-콜린스 칼럼
헤르만 안드레아스
쉬미러 아르네
데이비드 필드 시몬
샤렛 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6198759.9A external-priority patent/EP3321132B1/en
Priority claimed from US15/607,894 external-priority patent/US10744947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800,413 external-priority patent/US20180126910A1/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80054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는 차량에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 어셈블리,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 및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작동 메커니즘은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고정 부분 및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부분을 포함하며, 작동 메커니즘은 가동 부분이 하나 이상의 축에서 고정 부분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이하의 명세서는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의 헤드 섹션(head section)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헤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섹션 및 하우징 섹션의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된 리드 섹션(lid section)을 포함하는 케이싱 수단, 하우징 섹션과 리드 섹션 사이에 형성된 중공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 주행 방향에 대해 차량의 제1 측방 또는 후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리어 뷰 수단, 및 주행 방향에 대해 차량의 제2 측방 또는 후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한다. 리어 뷰 디바이스는 차량에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 및 관절 어셈블리(articulation assembly)를 통해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절 어셈블리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에 단단하게 부착된 고정 부분 및 가동 헤드 어셈블리에 단단하게 부착된 가동 부분을 가질 수 있고, 관절 어셈블리는 관절 축의 방향 벡터가 서로 독립적인 두 관절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포드(pod)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미러 또는 리어 뷰 수단은 차량의 외부에 고정된 사이드 뷰 미러로 사용될 때 및 내부 리어 뷰 미러로서 차량의 내부에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된다. 리어 뷰 수단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상이한 어셈블리 부분을 필요로 하며 제조가 복잡하고 비싼 많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 환경에 노출될 때, 리어 뷰 수단은 어셈블리 내부로 먼지나 부스러기가 들어가기 쉽다. 또한, 리어 뷰 수단이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개선된 보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리어 뷰 수단은 운전자의 사각 지대를 보기 위해 운전자가 원하는 넓은 각도의 시야를 포함하는 완전하고 광대한 시야를 제공하지 못한다.
유럽 특허 No. 2 492 145 B1은 미러 헤드와 미러 베이스를 갖는 외부 리어 뷰 미러를 기술하며, 이는 바디 프레임, 바디 캡 및 미러 베이스 커버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바디 요소로 커버되고, 미러 글래스는 미러 헤드에 대해 견고하게 설치된다. 미러 헤드는 미러 베이스 상에 놓이고, 미러 헤드의 바디 커버는 바디 프레임과 바디 캡의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미러 베이스는 미러 베이스 커버를 구비하고, 바디 캡은 미러 베이스 및 미러 베이스 커버의 통과를 위해 설계된 개구를 갖는다. 미러 베이스는 전기식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를 지지하는(carries) 미러 캐리어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 요소에 연결된다.
차량용 다른 외부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는 차량 상에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미러 베이스 또는 풋, 및 미러 풋 상에 배치되는 미러 헤드와 미러 헤드 내에 수용되고 그에 대해 조정 가능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배치된 미러 글래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리어 뷰 미러는 유럽 특허 No. 2 492 144 B1에 기술된다. 미러 헤드와 차량 상의 미러 풋의 배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가 제공된다. 관절부는 총 2개의 관절 축을 포함하며,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두 관절 축은 서로 연관, 공동(jointly) 및/또는 독립적으로 미러 헤드를 작동 위치로부터 스윙인 위치(swung-in position)로 및 그 반대로 회전시키기 위해 연관된다. 관절 축은 또한 미러 헤드를 이동 방향으로 및 그에 대향하여 스윙인(swing-in)하고,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자의 착석 위치 및 높이에 따라 미러 헤드를 조정하여 미러 글래스의 위치를 개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미러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두 관절 축 중 제1 관절 축에 연관되는 제1 조정 드라이브 및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두 관절 축 중 제2 관절 축에 연관되는 제2 조정 드라이브를 갖는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단순한 형태의 개념의 발췌를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이나 필수 특징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일 양상에서, 소형이며 제조가 용이한 리어 뷰 디바이스(rear view device)용 헤드 섹션(head section)이 제공된다. 이는 제2 리어 뷰 수단이 리드 섹션(lid section) 상에 배치되고, 리드 섹션 및 제2 리어 뷰 수단은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리드 섹션은 반사 요소 형태의 제2 리어 뷰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 내의 영역에서 크롬계 반사 코팅으로 코팅된 중합체 기판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용 헤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섹션 및 하우징 섹션의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측에 배치된 리드 섹션을 포함하는 케이싱 수단, 하우징 섹션과 리드 섹션 사이에 형성된 중공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 주행 방향에 대해 차량의 제1 측방 또는 후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리어 뷰 수단, 및 주행 방향에 대해 차량의 제2 측방 또는 후방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하며, 제2 리어 뷰 수단은 리드 섹션 상에 배치되고, 리드 섹션과 제2 리어 뷰 수단은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리드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 내의 영역에서 크롬계 반사 코팅으로 코팅된 중합체 기판을 포함하고 제2 리어 뷰 수단은 반사 요소이다.
리드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을 제공하는 코팅된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에 추가하여 베젤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 기판은 베젤 섹션 내에서 또한 코팅될 수 있다.
베젤 섹션 내의 코팅은 크롬계 반사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섹션 내의 코팅은 색 및 반사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내의 코팅과 상이할 수 있다.
하우징 섹션 및 상기 리드 섹션이 헤드 섹션의 중공 영역을 중공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하거나, 또는 하우징 섹션, 리드 섹션 및 제1 리어 뷰 수단이 헤드 섹션의 중공 영역을 중공 영역의 전체 둘레에 걸쳐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은 하우징이 없이 중공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은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결합부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은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은 하우징 섹션에 대해 고정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윈도우(light window)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유닛은 중공 영역 내에 배치된 조명 유닛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 및 라이트 윈도우를 통해 광을 방출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다.
하우징 섹션은 제1 하우징 부 및 제2 하우징 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 부는 중공 영역에 바로 인접하고 본질적으로 불투명 또는 비반투명(non-translucent)인 색을 갖는 플라스틱 부분이고, 제1 하우징 부는 라이트 윈도우 영역 내의 개구를 포함한다.
하우징 섹션의 제2 하우징 부는 제2 하우징 부가 제1 하우징 부의 중공 영역과 반대측의 표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플라스틱 부분일 수 있으며, 라이트 윈도우 영역에서 본질적으로 반투명 또는 투명하다.
제1 리어 뷰 수단에는 리세스(recess) 및 상기 리세스 내로 연장되는 제2 리어 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는 제1 리어 뷰 수단의 차량과 반대 방향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는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삼각형일 수 있다.
리드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을 지지하는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의 표면은 편평, 곡선 및 볼록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의 표면은 편평, 곡선 및 볼록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은 코팅, 크롬계 반사 코팅, 반사 요소, 디스플레이 수단, 스크린, LED 스크린 및 LCD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의 표면 곡률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의 표면 곡률과 다를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중 적어도 하나는 기울어질 수 있다.
리드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과, 베젤 섹션 및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의 반사 표면은 단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섹션은 베젤 섹션과,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제1 그루브(groo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리드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과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사이에 제2 그루브 또는 림(ri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섹션은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은 제1 리어 뷰 수단에 비해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스팟터 미러(spotter mirror)일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은 제2 리어 뷰 수단에 대해 및 제2 리어 뷰 수단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중 적어도 하나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축이거나 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경사 각은 -30° 내지 4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리드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및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을 포함하는 다기능 백킹 플레이트(multi-function backing plate)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을 수용하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보다 두껍다.
다기능 백킹 플레이트는 제1 및 2 리어 뷰 수단 섹션 사이에 제공되는 숄더(shoulder)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크롬과 도펀트 물질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펀트 물질은 육방 밀집(close-packed) 전이 금속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합금은 1차 체심 입방 구조 상태가 2차 오메가 육방 밀집 상태와 공존하는 결정 구조를 갖는다.
합금은 크롬과 도펀트 물질의 이성분 합금일 수 있다.
이성분 합금 내의 도펀트 물질의 원자 퍼센트는 약 1.9 원자 % 내지 약 5.8 원자 %의 범위일 수 있다.
도펀트 물질은 육방 밀집 전이 금속 지르코늄, 티타늄, 코발트, 하프늄, 루비듐, 이트륨 및 오스뮴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삭제
합금은 이성분 합금일 수 있으며 도펀트 물질은 지르코늄이고, 이성분 합금 내의 지르코늄의 원자 퍼센트는 약 4.5 원자 % 내지 약 5.8 원자 %의 범위이다.
합금은 이성분 합금일 수 있으며 도펀트 물질은 티타늄일 수 있고, 이성분 합금 내의 티타늄의 원자 퍼센트는 약 1.9 원자 % 내지 약 5.8 원자 %의 범위일 수 있다.
합금은 이성분 합금일 수 있으며 도펀트 물질은 코발트일 수 있고, 이성분 합금 내의 코발트의 원자 퍼센트는 약 1.9 원자 % 내지 약 5.7 원자 %의 범위일 수 있다.
코팅은 200nm 이하, 100nm 이하, 40nm 내지 80nm의 범위, 50nm 내지 70nm의 범위 및 약 60nm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에 대해 상승되고 이와 중첩될 수 있다.
헤드 섹션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이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에 대해 상승되고 이와 중첩되도록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사이에 제공되는 경사진 숄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이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에 대해 상승되고 이와 중첩되도록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사이에 제공되는 경사진 숄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섹션은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 사이에 배치되고 차량의 운전자를 향해 배향된 전이 표면(transition surface), 및 전이 표면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차량의 운전자를 향해 배향되어 차량의 사각 지대에서 물체가 감지될 때 차량의 운전자를 향하여 광을 방출하는 사각 지대 표시기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표시를 제공하는 사각 지대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이 표면은 제1 리어 뷰 수단과 연속하는 제1 가장자리 및 제2 리어 뷰 수단과 연속하는 제2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 표면, 제2 리어 뷰 표면 및 전이 표면은 리드 섹션에 의해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표면은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사이의 불연속 단차, 림 및 불연속성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이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각 지대 표시기는 전이 표면 뒤에 위치한 광원 및 전이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사각 지대에서 물체가 감지될 때 표시기가 광원에 의해 조명된다.
헤드 섹션은 사각 지대 표시기로서 전이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표시기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또는 제2 리어 뷰 수단 표면 중 하나 상에 위치하는 심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어 뷰 수단의 표면은 600 mm의 최소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의 표면은 200-500 mm 범위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리어 뷰 수단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편평할 수 있다.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는 헤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은 적어도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외부를 향해 중공 영역을 단단히 밀봉한다. 중공 영역이 외부를 향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적어도 거의 둘러싸인다는 사실로 인하여, 중공 영역은 먼지 및 습기의 침투에 대해 보호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을 자체 밀봉 없이 중공 영역 내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헤드 섹션의 소형 설계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유닛에는 그 자체의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 섹션과 리드 섹션 사이의 중공 영역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이 하우징이 없이 중공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이 결합부에서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특히 언더컷을 형성하여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된다.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이 언더컷을 형성할 때, 두 구성요소의 고정된 연결을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이, 예를 들면, 클립을 사용하여,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에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부를 섹션으로만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는 둘레를 둘러싸도록 설계된다.
리어 뷰 수단을 하우징 섹션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리드 섹션 및/또는 하우징 섹션이 적어도 플라스틱 멤브레인과 같은 가요성의 유연한 물질로부터 생성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리어 뷰 수단이 하우징 섹션에 대해 고정될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헤드 섹션을 조정하여 리어 뷰 수단을 설정할 수 있다.
리어 뷰 수단은 리드 섹션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분리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드 섹션은 예를 들면 리드 섹션 상에 반사 코팅을 스프레이함으로써 예를 들면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의 일 실시예에서, 리드 섹션 및 리어 뷰 수단이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는 헤드 섹션의 구성요소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드 섹션을 디스크 형태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리드 섹션이 클램프 형으로 설계되고, 특히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하는 편평부, 및 편평부에 대해 횡단 또는 비스듬히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할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에, 리드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섹션을 갖는 클램프와 같이 하우징 섹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장자리 섹션은 여기에서 내부로부터 하우징 섹션에 인접할 수 있거나, 외부로부터 하우징 섹션을 붙잡는다.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은 임의의 필요한 물질로 생성될 수 있다. 리드 섹션 및 리어 뷰 수단이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포함할 때, 즉 리어 뷰 수단이 리드 섹션의 일부일 때, 리드 섹션이 다중 부품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편평부가 제1 리드부, 특히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하고, 가장자리부가 제2 리드부, 특히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할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다중 부품 구성요소는 이중 부품 플라스틱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리드 섹션이 여러 기능을 가질 때, 추가의 플라스틱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가장자리 섹션이 편평부와 같은 다른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가장자리 섹션은 단단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자 유닛은 예를 들면 조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에 의해 생성된 헤드 섹션으로부터의 광은 라이트 윈도우를 통해 바깥쪽으로 관통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전자 유닛은 차량을 바로 둘러싸는 영역에 대해 반복적으로 번쩍이는 광 또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섹션은 제1 하우징 부, 특히 중공 영역 바로 위에 놓여 있고 특히 본질적으로 불투명 및/또는 비반투명 색을 갖는 플라스틱 부분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는 라이트 윈도우 영역에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제1 하우징 구성요소가 불투명하고 반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매력적인 외관이 달성될 수 있다. 개구부가 제1 하우징 부에 제공되므로, 전자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바깥쪽으로 침투할 수 있다.
먼지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후자의 발명의 실시예가 추가로 개발됨에 따라, 광섬유 및/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광학 요소가 하우징 섹션의 제1 하우징 부의 개구 내 및/또는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 시일(seal)은 하우징 섹션의 제1 하우징 부와 광학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배치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광학 요소와 하우징 섹션의 개구 사이에 하우징 시일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공 영역은 외부를 향해 단단히 밀봉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유닛에 별도의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다.
하우징 시일의 제공에 대한 보완 또는 대안으로서, 제2 하우징 부, 특히 플라스틱 부분이 제1 하우징 부의 중공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표면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적어도 라이트 윈도우 영역에서 반투명 및/또는 본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라이트 윈도우 영역에서 광섬유 및/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광학 요소로서 설계된다.
제2 하우징 부가 제1 하우징 부에 인접하며, 특히 외부로부터 제1 하우징 부 내에 제공되는 개구를 커버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하우징 시일이 필요하지 않다. 제2 하우징 부가 반투명 및/또는 투명하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조명 유닛으로 설계된 전자 유닛으로부터의 광이 헤드 섹션의 중공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침투할 수 있다.
리어 뷰 수단은 반사 수단 및/또는 스크린, 특히 LED 또는 LCD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수단이 스크린을 포함할 때, 스크린은 리드 섹션의 편평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섹션이, 적어도 LED 또는 LCD 스크린이 배치되는 부분 내에서, 투명 및/또는 반투명 방식으로 배치되고, 리드 섹션의 편평부의 스크린이 중공 영역을 향하는 측 상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전자 유닛은 리어 뷰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 시설(setting fac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리어 뷰 디바이스를 단순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설정 시설은 리드 섹션의 편평부의 중공 영역을 향하는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설정 시설이 리어 뷰 수단에 대해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을 갖는 설정 유닛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 및/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특정 작동 위치에서 적어도 거의 전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지향성 또는 지향되는 광이 방출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 수단은 코일형 와이어 벌브(coiled wire bulb), LED 또는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선은 차량의 운전자 및/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특정 작동 위치에서 적어도 거의 전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리어 뷰 수단은 규정을 준수하는 위치로 쉽게 조정된다.
광을 방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우징 섹션 및/또는 리드 섹션, 특히 가장자리부는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광선이 적어도 거의 방해 받지 않고 외부로 관통할 수 있는 투명 및/또는 반투명 영역을 포함할 때 유리하다.
이는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광이 리어 뷰 디바이스 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관통하여 하우징의 중공 내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지각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투명 및/또는 반투명 영역은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투명 및/또는 반투명 영역이 특히 전체에 걸쳐 리세스를 포함하고 및/또는 유리, 특히 그을린 유리(smoked glass)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반투명 및/또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때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조명 수단으로부터 방출된 광선은 차량의 운전자 및/또는 제어 유닛에 의해 특정 작동 위치에서 적어도 거의 전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번들링될(bundled) 수 있다. 또한, 설정 유닛이 조명 수단에 기능적으로 할당될 수 있거나 또는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요소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해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된 광선이 적어도 번들링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헤드 섹션을 갖는, 특히 상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차량용 내부 또는 외부 미러와 같은 리어 뷰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최종적으로, 목적은 상술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리어 뷰 디바이스 및/또는 특히 상술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섹션을 갖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 본 발명에 따른 리어 뷰 디바이스 및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많은 점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드 섹션 및 하우징 섹션이 중공 영역을 거의 전적으로 밀봉하는 방식으로 둘러싼다는 사실로 인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하우징 없이 중공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헤드 섹션 및 리어 뷰 디바이스는 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차량에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 관절 어셈블리--관절 어셈블리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고정 부분 및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되는 가동 부분을 포함--, 및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 또는 가동 헤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고, 관절 어셈블리는 두 관절 축을 포함하며,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베이스 어셈블리는 헤드 어셈블리의 하부 케이싱 요소에 대해 구형 시트(spherical seat)를 제공하는 풋, 및 케이싱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구형 시트를 제공하는 프레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수단은 고정 부분에 부착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의 비 이동 영역 내에 위치하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는 카메라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가동 헤드 어셈블리의 비 이동 영역 내에 위치하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는 카메라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글래스 요소 및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글래스 요소를 통해 리어 뷰 이미지를 획득하고 렌즈를 통해 미러 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하부 케이싱 요소, 상부 케이싱 요소, 및 제거 가능 카세트 베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거 가능 카세트 베젤은 하부 케이싱 요소에 힌지식으로(hingedly)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결합부 및 상부 케이싱 요소에 들어맞도록 구성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은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부착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상부 크래들과 하부 크래들 사이의 조인트 부착물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 상에 인가되는 하향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여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이 관절 어셈블리의 측면을 둘러싸고 커버할 수 있다.
관절 어셈블리는 선외(outboard) 주행 조건, 표준 주행 조건, 주차 조건, 및 그것들 간의 위치(positions) 사이에서 리어 뷰 디바이스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차량에 배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 관절 어셈블리--관절 어셈블리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고정 부분 및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부분을 포함--, 하부 케이싱 요소, 상부 케이싱 요소, 및 제거 가능 카세트 베젤을 포함하며, 제거 가능 카세트 베젤은 하부 케이싱 요소에 힌지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결합부 및 상부 케이싱 요소에 들어맞도록 구성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관절 어셈블리는 두 관절 축을 포함하며,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 및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의 비 이동 영역 내에 위치하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는 카메라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 및 가동 헤드 어셈블리의 비 이동 영역 내에 위치하며 카메라 유닛을 수용하는 카메라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글래스 요소 및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는 글래스 요소를 통해 리어 뷰 이미지를 획득하고 렌즈를 통해 미러 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은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부착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상부 크래들과 하부 크래들 사이의 조인트 부착물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 상에 인가되는 하향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여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이 관절 어셈블리의 측면을 둘러싸고 커버할 수 있다.
관절 어셈블리는 선외 주행 조건, 표준 주행 조건, 주차 조건, 및 그것들 사이의 위치 사이에서 리어 뷰 디바이스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는 차량에 배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 관절 어셈블리--관절 어셈블리는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에 부착된 고정 부분 및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된 가동 부분을 포함--, 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상부 크래들 및 하부 크래들은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부착됨--, 및 상부 크래들과 하부 크래들 사이의 조인트 부착물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며,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 상에 인가되는 하향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관절 어셈블리는 두 관절 축을 포함하고,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관절 어셈블리는 선외 주행 조건, 표준 주행 조건, 주차 조건, 및 그것들 사이의 위치 사이에서 리어 뷰 디바이스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공지의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를 더 개발하여 기능 및 효율을 향상함과 동시에 크기와 비용을 줄이는 것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목적이다.
이 목적은 헤드 어셈블리의 케이싱, 특히 하부 케이싱 요소에 대해 구형 시트를 제공하는 베이스 어셈블리의 풋(foot) 및 케이싱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구형 시트를 제공하며, 고정 부분 또는 고정 부분의 일부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프레임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베이스 어셈블리는 차량에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부는 관절 어셈블리용 제어 시스템을 가지거나(carrying), 부착부는 차량의 내부로부터 풋의 내부로 케이블을 안내하거나, 또는 부착부는 그 구형 시트 그 대향 단부에서 풋을 폐쇄한다.
베이스 어셈블리는 관절 어셈블리의 고정 부분 또는 프레임 수단의 고정부를 부착하기 위한 캐리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캐리어부는 베이스 어셈블리의 구형 시트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캐리어부는 풋의 내부로부터 케이블 출구를 통해 헤드 어셈블리 내로 케이블을 안내한다.
캐리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부 내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캐리어부는 나사 또는 클립 연결 및/또는 삽입소켓(bayonet) 부착부에 의해 고정부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수단은 관절 어셈블리의 고정 부분을,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및/또는 클립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는 특히 링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프레임 수단이 케이싱의 하부 케이싱 요소에 대한 제1 구형 시트 및 상부 케이싱 요소에 대한 제2 구형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수단의 제1 및 제2 구형 시트가 고정부의 대향 단부에, 또는 관절 수단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지지부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연장부에 의해 제공된다.
제1 구형 시트는 관절 수단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연장부 및 관절 수단의 가동 부분을 향하는 제2 연장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 및 제1 및 제2 연장부가 관절 수단의 가동 부분을 향하는 림을 제공하는 컷아웃을 갖는 부분 링을 형성한다.
고정 수단에는 케이블 출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수단의 케이블 출구는 캐리어부의 케이블 출구와 정렬되거나, 고정 수단의 케이블 출구는 관절 수단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고정 수단의 측면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고정 수단의 케이블 출구를 나오는 케이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드 어셈블리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연결된다.
하부 케이싱 요소는 풋의 구형 시트와 협력하는 제1 구형 시트 및/또는 프레임 수단의 제1 구형 시트와 협력하는 제2 구형 시트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싱 요소의 제1 및 제2 구형 시트는 하부 케이싱 요소의 베이스부에 의해 제공된다.
하부 케이싱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고정된 부착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는 하부 케이싱 요소의 베이스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부착부 및 프레임은 관절 어셈블리의 고정 및 가동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의 대향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가 가동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착부 및 가동 부분이 클립, 플러그 및/또는 스냅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부착부에는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 링이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분 링이 지지부 및 제1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제공되는 부분 링에 의해 결정되는 컷아웃에 의해 제공된다.
유닛은 부착부에 부착되는 특히 미러 요소 형태의 반사 요소에 대한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하부 케이싱 요소는 상부 케이싱 요소 또는 카메라를 지지할 수 있으며, 베젤은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요소에 부착될 수 있고 베젤은 바람직하게는 반사 요소를 둘러싼다.
또한, 가동 미러 헤드로 인해 및 일관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는 베이스 어셈블리 내에 또는 미러 헤드 내의 고정된 구성요소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내의 위치는 더 큰 충격 보호를 제공한다. 고정된 구성요소의 헤드 내에 위치하여, 카메라는 글래스를 통해 보거나 및/또는 하부 케이싱 요소의 렌즈를 통해 미러 아래를 보도록 지향되며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요소에 부착되어, 베젤은 다양한 요구되는 합법적인 글래스 유형을 가질(carry) 수 있고 미러 헤드 구성요소의 정렬 및 헤드 어셈블리 유지를 제어하는 최종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베젤은 라이트, 경고 또는 가열 요소와 같은 다수의 기능 또는 특징을 하우징할 수 있다.
관절 어셈블리는 고정된 케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추가 브래킷 및 하부 케이싱 요소에 장착된 크래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내측/외측 및 상향/하향 회전 이동을 허용하여 추가적인 서포트를 제공한다. 특히, 회전 하향 하중이 미러 헤드에 가해질 수 있으며, 케이스 프레임 링이 내측 및 외측 멈춤부(stop)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관절 어셈블리는 전체 이동 범위를 사용하여 미러 헤드를 또한 접힘 주차 조건, 즉 자동차가 주차될 때 미러의 접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관절 어셈블리는 단일 2축 액추에이터이거나 미러 회전축을 따라 독립적으로 위치된 2개의 단일 액추에이터의 조합일 수 있으며, 지능형 또는 비지능형이다. 별도의 메모리 모듈이 또한 통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특히 외부 리어 뷰 미러의 미러 헤드의 형태의,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의 헤드 어셈블리가 관절 수단을 이용하여 내측/외측 및 상향/하향으로 관절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특히, 관절 수단은 공통 조인트 지점을 갖는 서로 수직인 두 개의 관절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부분들 사이에 제공되는 구형 시트를 갖는 구형 조인트 주위의 글래스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이는 현재 최종 사용자 기능의 유지를 보장하면서 미러 크기를 현저히 줄여 크기를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 또한, 그 구형 시트와 함께 내부 메커니즘의 고유한 레이아웃은 패키징 및 성능을 개선한다.
관절 어셈블리는 또한 구형 시트를 사용하여, 특히 관절 어셈블리와 헤드 어셈블리의 케이싱 사이의 프레임 수단의 배치로 인하여 충격에 대해 지지되고 보호될 수있다. 케이싱은 다수의 케이싱 요소로 조립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량 분배를 개선하며 차량의 전체 하우징 정면 영역을 감소시켜 이는 다시 에어로 성능(aero performance)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 더 높은 연료 효율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상의 리어 뷰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두 관절 축에 대해 단일 피봇 포인트를 갖는 피봇 시스템은 동적 미러 성능 및 미러 충격 지지를 제공하면서 미러 조정 움직임을 허용한다.
전술한 요약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예시를 위해, 본 설명의 특정 예가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 및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설명과 부합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구현을 설명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장점 및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세부 사항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 범위, 도면 및 이하에 주어진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리어 뷰 디바이스용 헤드 섹션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중공 영역 내에 배치된 전자 유닛을 갖는 헤드 섹션의 제2 실시예의 개략적인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2개의 하우징 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섹션을 갖는 헤드 섹션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을 갖는 리드 섹션을 포함하는 제4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하는 제5 실시예의 리드 섹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하는 제6 실시예의 리드 섹션에 의해 제공되는 다기능 백킹 플레이트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헤드 섹션의 제7 실시예의 리어 뷰 수단 및 리드 섹션의 일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리어 뷰 디바이스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2개의 다른 측면에서 보았을 때 프레임 수단이 부착된 도 1의 베이스 어셈블리의 2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관절 어셈블리 및 하부 케이싱 요소가 부착된 관절 어셈블리의 도 9a와 같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하부 케이싱 요소를 갖는 도 1의 베이스 어셈블리 및 관절 어셈블리가 부착된 하부 케이싱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프레임 수단, 관절 어셈블리 및 케이싱의 일부가 부착된 베이스 어셈블리의 2개의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도어-투-도어(door-to-door) 미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섹션에 수직인 단면에서 동일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리어 뷰 디바이스의 제1 해결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은 하우징이 없는 본 발명의 양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미러 풋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리어 뷰 디바이스의 다른 해결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의 차량용 외부 리어 뷰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부분 절개된 측면도에서 도 22의 외부 리어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부분 절개된 측면도에서 도 24의 외부 리어 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부분 절개된 정면도에서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차량용 외부 리어뷰 장치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베이스 어셈블리 내에 위치된 카메라의 정면도 및 도 6a에 도시된 6b-6b 선을 따른 각각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위치한 카메라를 갖는 헤드 어셈블리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a는 카세트 베젤의 부착 방법을 도시한 헤드 어셈블리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b 및 도 33c는 카세트 베젤의 2가지 가능한 부착 유형을 갖는 헤드 어셈블리의 전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d는 카세트 베젤이 부착된 헤드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a는 헤드 어셈블리 내의 관절 어셈블리에 대한 지지 메커니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b 및 34c는 도 9a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단일 2축 관절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되는 다양한 헤드 조건을 나타내는 헤드 어셈블리의 탑다운(topdown) 단면도이다.
도 36a 및 도 36b는 2개의 단일 액추에이터의 관절 어셈블리를 갖는 헤드 어셈블리의 탑다운 단면도 및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좌측에 주행 위치의 미러 헤드 및 우측에 접힘 위치에 있는 미러 헤드를 갖는 고정된 글래스 미러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 도 38b 및 도 38c는 공통의 어셈블리로서의 방향 전환 지시등(side turn indicator) 모듈과 사각 지대 모니터 모듈을 조합한 고정된 글래스 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증가된 수평축 운동 및 감소된 수직 운동을 허용하는 상이한 길이의 모터 잭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 특징 및 구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들 요소의 상대적 크기 및 묘사는 명확성, 설명 및 편의를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도록 돕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장치 및/또는 방법의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등가물이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제안될 것이다. 또한, 명료성 및 간결성을 높이기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용어 "리어뷰(rearview)"는 본 명세서에서 운전자의 시야에 있지 않은 주변 지역의 시야, 즉, 시야 방향의 반대, 왼쪽, 오른쪽, 아래 및 위 방향으로 정의되지만, 운전자의 시야 방향 내의 방향 및/또는 임의의 방향의 조합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운전자" 및 "차량의 운전자"는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면, 방향, 속도 및/또는 고도와 같은 차량의 주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사람과 관련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통제하는 사람을 위해 지정된 위치, 예를 들면 좌석에 있는 사람이지만,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임의의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도 또한 관련될 수 있다.
용어 "개체"는 본 명세서에서 차량이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를 수집하고 및/또는 이 신호를 기초로 어떤 종류의 동작을 유도하는 모든 생물학적 및 비생물학적 생물 형태, 물질 및/또는 기계와 관련된다. 이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 예를 들면, 기계, 전자기계, 전자, 전자기, 광학, 화학 또는 생물학적 디바이스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디바이스, 예를 들면, 컴퓨터, 로봇, 인공 지능을 포함할 수 있지만, 동물 및/또는 식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a)"와 같은 단수 용어의 사용은 항목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위(top)", "아래(bottom)", "좌측", "우측", "상부(upper)", "하부(lower)", "아래로(down)", "위로(up)", "측면" 등의 관계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명료함을 위해 설명에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징들 중 임의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거나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모든 추가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이 설명 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되었다.
다음 설명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No. 2 492 144 B1, 유럽 특허 No. 2 492 145 B1, 또는 유럽 특허출원 No. 16198759에 기술된 것과 같은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리어 뷰 디바이스용 헤드 섹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헤드 섹션은 하우징 섹션 및 리드 섹션을 갖는 케이싱 수단, 적어도 하나의 전자 유닛 및 하나의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한다. 하우징 섹션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미국 특허출원 No. 15/000,754를 참조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면은 리어 뷰 디바이스용 헤드 섹션을 나타내며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가 할당된다. 2는, 예를 들면, 내부 또는 외부 미러의 미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섹션(2)은 하우징 섹션(4) 및 리드 섹션(6)을 포함한다.
도 1-3은 접힌 작동 위치에 있는 헤드 섹션(2)을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하우징 섹션(4)은 본질적으로 주행 방향(8)을 향하고, 리드 섹션(6)은 본질적으로 주행 방향(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도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 유닛(10)은 하우징 섹션(4)과 리드 섹션(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 섹션(4)과 리드 섹션(6) 사이의 중공 영역(1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어 뷰 수단(14)은 리드 섹션(6)의 중공 영역(1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 배치되고, 리드 섹션(6)과 리어 뷰 수단(14)은 결합된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리드 섹션(6) 및 하우징 섹션(4)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중공 영역(12)을 둘러싸고 외부를 향해 이를 적어도 거의 완벽하게 밀봉한다. 이는 전자 유닛(10)이 하우징 없이 중공 영역(12) 내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리드 섹션(6)이 편평부(16) 및 편평부(16)에 대해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두 가장자리부(18)를 포함하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드 섹션(6)은 이중 부품 사출 성형 요소로 설계된 다중 부품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편평부(16)는 제1 리드부로부터 형성되고 두 가장자리부(18)는 제2 리드부로부터 형성된다. 두 가장자리부(18)는 외부로부터 하우징 섹션(4)을 붙잡으며, 결합부(20)에서 하우징 섹션(4)과 중첩된다. 여기에서, 가장자리부(18)는 밀봉 수단(22)의 역할을 하는 리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밀봉 수단(22)은 추가로 O 링(24)으로 설계된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리드 섹션(6)과 하우징 섹션(4)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 수단(22) 및 밀봉 요소 또는 O 링(24)이 도 2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 도 3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 도 4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 도 5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 도 6의 제6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도 7의 제7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섹션(2)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 유닛(10)은 중공 영역(12) 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유닛(10)은 인쇄 회로 기판(26) 및 램프(28)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 기판(26)을 중공 영역(12) 내에 부착하기 위하여, 유지 디바이스(28)가 제공되고, 이는 또한 하우징 섹션(4) 상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 섹션은 불투명 및 비반투명인 제1 하우징 부(30)로 구성된다.
램프(28)로부터의 광이 중공 영역(12)으로부터 외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 섹션(4)의 제1 하우징 부(30)는 개구(32)를 포함한다. 개구(32)는 인쇄 회로 기판(26) 및 램프(28)를 포함하고, 조명 유닛(36)의 일부로 설계되는 전자 유닛(10)으로부터의 광이 외부로 관통할 수 있게 하는 라이트 윈도우(34)의 일부이다. 매력적인 광 방출을 달성하기 위해, 개구(32)에 배치되는 광학 요소(38)가 제공된다. 광학 요소(38)는 광섬유 및/또는 광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습기 및 먼지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요소(38)와 하우징 섹션(4)의 제1 하우징 부(30) 사이에 하우징 시일(40)이 배치된다.
도 3은 헤드 섹션(2)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하우징 섹션(4)은 제1 하우징 부(30)의 중공 영역(12)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부(42)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42)는 적어도 라이트 윈도우(34)의 영역 내에서 투명 및/또는 반투명 영역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42)가 제공되므로, 도 2에 따른 하우징 시일(40)이 필요하지 않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 섹션(100)은 베젤 섹션(120) 및 리드 섹션(100) 상에 배치된 제1 리어 뷰 수단(300)과 제2 리어 뷰 수단(400) 사이에서 연장되는 림 섹션(180)을 포함한다.
제2 리어 뷰 수단(400)은 제1 리어 뷰 수단(300)보다 더 넓은 시야를 갖는 소위 스팟터(spotter)이다. 제1 리어 뷰 수단(300)은 크롬 또는 실버층으로 코팅된 미러 글래스 형태의 반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임의의 다른 공지된 리어 뷰 수단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400)은 리드 섹션(100) 상에 직접 도포된 크롬계 코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리드 섹션(100)은 베젤 섹션(120) 및 제2 리어 뷰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크롬계 반사 코팅이 도포된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갖는 중합체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미국 특허출원 No. 15/439,188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된다.
림(180)에는 사각 지대 표시기가 고정된 투명한 표면이 미국 특허 No. 8,779,911 B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된다.
베젤 섹션(120)의 더 자세한 사항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젤 섹션(120', 120")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섹션에 리드 섹션(100', 100")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언더컷(130', 130")이 제공되어 헤드 섹션의 내부가 미국 특허출원 No. 15/000,754의 교시에 따라 외부와 밀봉된다.
이 예에서, 리드 섹션은, 베젤 섹션에 추가하여, 크롬계 반사 코팅으로 코팅되어 제2 리어 뷰 수단(400)을 형성하는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결합된 단일 부품 구성요소는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 160")을 지칭한다. 각 섹션(160', 160")은 평평하거나 굽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 160")은 평평하며 경사져 있다.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 160")과 각 베젤 섹션(120', 120") 사이에, 제1 그루브(200', 2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예를 여전히 참조하여, 리드 섹션에는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140', 140")이 또한 제공될 수 있어, 다기능 백킹 플레이트를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리드 섹션(100)이 하우징 섹션에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두 리어 뷰 수단 모두가 전체 헤드 섹션과 함께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제1 리어 뷰 수단은 제2 리어 뷰 수단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즉, 하우징, 리드, 및 하나 이상의 리어 뷰 수단을 포함하는 전체 미러 어셈블리가 내측, 외측,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하우징 섹션은 헤드 섹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섹션은 미국 특허출원 No. 15/000,754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라이트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다기능 백킹 플레이트인 리드 섹션을 이용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제1 및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 160", 140', 140")에 서로 및/또는 베젤(120', 120")에 대해 상이한 곡률 및/또는 상이한 경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두 리어 뷰 수단 섹션(140', 160') 사이에 단차(210')가 제공되어 제1 리어 뷰 수단(300')을 제공하는 반사 요소가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해 제2 리어 뷰 수단 표면(140')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베젤 섹션(120")과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 사이뿐만 아니라, 베젤 섹션(120")과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140") 사이에 그루브(200")가 있다. 또한, 제2 그루브(230")가 두 리어 뷰 수단 섹션(140" 및 160") 사이에 제공된다.
두 리어 뷰 수단(300, 300', 400, 400') 사이에 림(180), 단차(210') 또는 그루브(230")가 제공되는지의 여부와 독립적으로, 일 양상에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리어 뷰 수단(300)에 리세스(320)가 제공되어 그 안쪽으로 제2 리어 뷰 수단(400)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제2 리어 뷰 수단(400)에는 크롬계 반사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리드 섹션(100)을 그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뿐 아니라, 그 베젤 섹션 및/또는 그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까지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및/또는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의 코팅과 비교하여 베젤 섹션 내의 코팅에 대해 다른 색상이 선택될 수 있다.
림(180), 그루브(200'), 그루브(220") 및/또는 그루브(230")는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코팅이 있으면, 베젤 섹션 내 및/또는 리어 뷰 수단 섹션 내의 것과 다를 수 있다.
리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형태로 사출 성형된 중합체 기판을 포함한다. 리드 섹션은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을 갖도록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어 뷰 수단의 전체 영역으로 연장되지 않는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드 섹션(100"')은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160")을 제공하는 연장부를 갖는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연장부는 예를 들면 접착제층(310"')을 통해 제1 리어 뷰 수단(300"')의 반사 요소에 부착되기에 충분하다. 대안으로, 리어 뷰 디바이스의 헤드 섹션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기 위하여 제1 리어 뷰 수단이 리드 섹션에 고정되도록 부착될 필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단순한 리드 섹션(100, 100', 100" 또는 100"')으로 부품의 수와 리어 뷰 디바이스의 헤드 섹션 조립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헤드 섹션이 더 소형으로 된다. 또한 밀봉된 헤드 섹션을 제공하여 헤드 섹션 내에 제공되는 임의의 전자 유닛에 관해 요구되는 부품을 줄이고, 특히 전자 유닛의 하우징을 생략할 수 있어 유리하다.
상술한 헤드 섹션이 베이스 어셈블리(10), 프레임 수단(20), 관절 어셈블리(30) 및 케이싱(40)을 갖는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의 가동 헤드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부분은 도 8-12b를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될 것이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의 가동 헤드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No. 16198759.9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된다. 이 출원은 특히 외부 리어 뷰 미러의 미러 헤드 형태의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의 가동 헤드 어셈블리에 속하는 헤드 섹션이 관절 수단, 특히 구형 조인트를 둘러싸는 글래스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구형 시트와 함께 안쪽/바깥쪽 및 위쪽/아래쪽으로 관절 움직임을 할 수 있어 공통 조인트 지점을 갖는 서로 수직인 두 관절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최종 사용자 기능의 유지를 보장하면서 미러 크기를 현저히 줄여 크기를 최대 30%까지 줄일 수 있다. 또한, 그 구형 시트와 함께 내부 메커니즘의 고유한 레이아웃은 패키징 및 성능을 개선한다.
유럽 특허 출원 No. 16198759.9에 따르면, 관절 어셈블리는 구형 시트를 이용하여 특히 관절 어셈블리와 헤드 어셈블리의 케이싱 사이의 프레임 수단의 배치로 인한 충격에 대해 지지되고 보호된다. 케이싱은 다수의 케이싱 요소로부터 결합되며, 그 중 하나는 관절 어셈블리의 가동 부분에 고정되고, 중량 분배를 개선하며 차량의 전체 하우징 정면 영역을 감소시켜 이는 다시 에어로 성능(aero performance)을 개선하고, 이에 따라 더 높은 연료 효율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방 시야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두 관절 축에 대해 단일 피봇 포인트를 갖는 피봇 시스템은 동적 미러 성능 및 미러 충격 지지를 제공하면서 미러 조정 움직임을 허용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풋(1200)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구형 시트(1300)가 제공되고 이로부터 샤프트형 캐리어부(1400)가 연장되며, 캐리어부(1400)에는 케이블 출구(1500)가 제공된다. 풋(1200)은 구형 시트(1300)에 대향하는 그 단부에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논의되는 부착부(1100)에 의해 폐쇄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사용 중에 부착부(1100)를 통해 차량(미도시)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9a 및 도 9b는 베이스 어셈블리(1000)에 단단히 고정된 프레임 수단(2000)을 도시한다. 프레임 수단(2000)은 대략 링 형상의 지지부(2100), 연장부(2200a, 2200b 및 2500a)에 의해 제공되는 두 구형 시트(2200 및 2500) 및 도 9a 및 도 9b의 하부 구형 시트(2200)가 풋(12)의 구형 시트(13)와 마주보도록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캐리어부(1400)가 삽입되는 고정부(2300)에 의해 제공된다. 연장부(2200a, 2200b 및 2500a)는 고정부(2300)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두 하부 연장부(2200a, 2200b)가 하부 구형 시트(2200)를 제공하고 상부 구형 시트(2500)는 상부 연장부(2500a)에 의해 제공된다.
고정부(2300)에는 캐리어부(1400)의 케이블 출구(1500)와 정렬된 케이블 출구(2400)가 제공된다. 베이스 어셈블리(1000)로의 프레임 수단(2000)의 부착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미도시)가 고정부(2300) 및 캐리어부(1400)에 의해 제공되는 나사 구멍(27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을 지지부(2100)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관절 수단(3000)이 프레임 수단(2000)에 부착될 수 있다. 각 배치는 클립 연결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분(3200)은 가동 부분(3400)이 프레임 수단(20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절 어셈블리(3000)의 가동 부분(34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연장부(2200a, 2200b)는 지지부(2100)의 하부와 함께 부분 링을 제공하여 구형 시트(2200)를 제공하며, 림(2800)은 관절 어셈블리(3000)의 가동 부분(3400)을 마주보는 단부에서 컷아웃에 의해 제공된다. 가동 부분(3400)에는 케이싱(4000)의 부착을 위해 리세스 형태의 부착 수단(3500)이 제공된다. 도 10b는 케이싱(4000)의 하부 케이싱 요소(4200)가 부착된 도 10a의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낸다. 가동 부분(3400)과 함께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는 관절 어셈블리(3000)의 가동 부분(3400)에 고정 방식으로 부착된 부착부(4400)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부착부(4400)는 도 11a에 나타난 부착부 보스(attachment boss)(4500)가 형성되며, 부착부 보스(4500)는 부착 리세스(350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부분 링(4400a)이 가동 부분(340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 하부 케이싱 요소(4200)와 가동 부분(3400) 사이의 연결에 개선된 동력 전달로 인한 힘을 추가한다.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분 링(2100, 2200a, 2200b) 및 부분 링(4400a)은 서로 상보적으로 구형 시트(2200)의 절충을 이끌어 한편으로는 가동 부분(3400)과 함께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부드러운 움직임과 다른 한편으로는 가동 부분(3400)으로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강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는 풋(1200)과 프레임 수단(2000), 특히 프레임 수단의 하부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부(4600)가 제공된다. 베이스부(4600)에는 풋(1200)의 구형 시트(1300)와 협력하는 하부 구형 시트(4700) 및 프레임 수단(2000)의 최하부 구형 시트(2200)와 협력하는 상부 구형 시트(4800)가 제공된다. 따라서, 전체 구조는 프레임 수단(2000)에 의해 내부 구형 부분이 제공되고 고정된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풋(1200)에 의해 외부 구형 부분이 제공되는 한편,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의해 부분 구가 제공되는 세 부분 구의 구조이며, 가운데에 배치되어 내측/외측 및 상향/하향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 관절 축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부착부(4400)에는 도시되지 않은 미러 글래스가 부착되며 이는 관절 어셈블리(3000)를 통해 움직여 리어 뷰 미러의 법적 시야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도 11a는 베이스 어셈블리(1000)에 대한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상대적 배치의 더 자세한 사항을 제공한다.
도 11b는 도 11a의 서브어셈블리를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캐리어부(1400)와 하부 케이싱(4200)의 부착부(4400) 사이에 부착된 가동 부분(3400) 및 고정 부분(3200)과 함께 도시한다. 관절 어셈블리(3000)는 또한 미도시의 구동 수단, 특히 두 관절 축 주위로 가동 부분(3400)을 이동하기 위한 두 모터 및 도 12a 및 도 12b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구동 수단을 위한 제어 시스템(3600)을 포함한다.
도 12a의 사시도는 베이스 어셈블리(1000), 관절 어셈블리(3000) 및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내며, 또한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부착된 케이싱(4000)의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카메라(5000)를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2a의 서브어셈블리를 반대측으로부터, 여전히 헤드 어셈블리(6000)를 완성하는 미도시의 추가 케이싱 요소를 통해 폐쇄되는 케이싱(4000) 없이 나타낸다. 그러나, 도 12b는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추가하여 상부 및 하부 케이싱 요소(4100, 4200)에 부착된 베젤(4900)을 나타낸다. 베젤(4900)은 완전히 조립된 본 발명의 외부 리어 뷰 미러의 도시하지 않은 미러 글래스를 둘러싼다.
더 추가적으로, 관절 어셈블리(3000)의 제어 시스템(3600)은 부착부(1100)에 의해 지지된다. 부착부(1100)가 풋(1200)에 고정될 때, 제어 시스템(3600)은 풋(1200) 내부에 완전히 배치된다. 풋(1200) 내에는 또한 케이블 출구(1500)에서 베이스 어셈블리(1000)를 빠져나가며 또한 프레임 수단(2000)의 케이블 출구(2400)를 통해 통과함으로써 헤드 어셈블리(6000)의 내부에 도달하여 카메라(5000) 및 헤드 어셈블리(6000) 내에 배치된 조명 유닛 등과 같은 다른 미도시 유닛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배치된다.
헤드 어셈블리(6000) 또는 오히려 전체 미러 헤드가 관절 어셈블리(3000) 특히 가동 부분(3400)을 이용하여 관절 연결될 수 있다. 가동 부분(3400)은 제어 시스템(3600)의 일부일 수 있는 구동 시스템에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3600)은 또한 가동 부분(3400)의 위치를 기억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부착부(4400)를 통해 미러 글래스가 부착된다.
지지부(2100)는 고정 부분(3200) 위로 클립된 액추에이터 링의 형태로 제공되어 충격 상황에서 개선된 지지를 제공한다. 그 상부 구형 시트(2500)로 인하여, 프레임 어셈블리(2000)는 상부 케이싱 요소(4100)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보장하고 이는 또한 미도시의 내부 구형 시트에 의해 제공된다.
가동 상부 및 하부 케이싱 요소(4100, 4200)에 대해 구형 시트(2200, 2500)를 제공하는 연장부(2200a, 2200b, 및 2500a)를 갖는 지지부(2100)의 배치는 동적 및 충돌 상황 동안 3방향 모두에서 지지 및 강성을 제공한다. 결과는 고객에게 고유한 외부 리어 뷰 미러 무게와 항공기 및 차량 연료 효율 이익을 제공하는 더 작은 미러 시스템이다.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의 다른 가동 헤드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No. 2 492 145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된다. 이 특허는 미러 헤드 및 미러 베이스를 갖는 외부 리어 뷰 미러를 참조한다. 미러 헤드 및 미러 베이스를 갖는 외부 리어 뷰 미러는 바디 프레임, 바디 캡 및 미러 베이스 커버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바디 요소에 의해 커버되며, 미러 글래스는 미러 헤드에 대해 견고하게 설치된다. 미러 헤드는 미러 베이스 상에 놓이며, 미러 헤드의 바디 커버는 여러 조각의 바디 프레임 및 바디 캡으로 구성된다. 미러 베이스에는 미러 베이스 커버가 구비되고 바디 캡은 미러 베이스 및 미러 베이스 커버의 통로로 설계된 개구를 갖는다. 미러 베이스는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가 적어도 하나의 바디 요소에 연결된 전기식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를 운반하는(carries) 미러 캐리어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들 부분은 도 13-21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3은 차량 좌표의 x-z 평면을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며, x는 차량의 종축을 나타낸다. 헤드 섹션 또는 리어 뷰 수단(501)은 서포트(5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502)를 포함한다. 따라서 헤드(510)는 축(508)에 대해 회전 가능하여, 헤드가 차량의 방향에서 주차 위치로 힌지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3의 경우, 경사 이동을 위한 전기 구동이 제공된다. 베이스(502)와 서포트(503)는 플라스틱 덮개로 덮인다. 미러 베이스 영역 내에서, 미러 풋 커버(505)가 기술적 설계를 가리며, 미러 서포트(503)는 하우징 캡(506) 및 하우징 프레임(507)에 의해 가려진다. 차량의 외형(504)에 대한 기계적 연결은 자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도 13의 종단면이 미러 풋의 축을 통해 연장되므로,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는 보이지 않는다.
도 14는 도 13의 미러 헤드를 y 축을 따른 단면으로 도시한다. 좌측에는, 미러 헤드(510)가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축(508)이 보일 수 있다. 미러 서포트(503)는 하우징 프레임(507) 및 하우징 캡(506)에 단단히 고정되며, 미러 베이스에 대한 그 움직임 동안, 그 거울 풋 커버와 함께 이들 하우징 요소를 지지한다. 상용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가 미러 서포트 상에 장착된다. 이 드라이브, 예를 들면, EP 2017127에서 알려진 드라이브는, 하프-쉘 형상 하우징 및 이와 함께 변위될 수 있는 턴테이블(512)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미러 글래스(511)를 연결하기 위한 평면 접촉면을 갖는다. 미러 글래스(511)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서포트 플레이트(516) 내에 유지되거나 회전 테이블(512)을 통해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두 조정 요소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 상에 설치된다. 글래스 서포트 플레이트(516) 상에 글래스를 설치하는 것은 파쇄 보호를 이유로 제공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발명적 해결책의 양상의 도면을 나타낸다. 미러 글래스(511)는 글래스와 하우징 사이의 갭이 없이 미러 헤드 내에 직접 설치된다. 미러 글래스(511)는 하우징 요소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미러 글래스(511)는 미러 글래스 서포트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커버될 필요가 없다. 단순히 접착제 필름을 적용함에 의해 파쇄 보호가 또한 헤드에 보장될 수 있다. 미러 헤드(510)는 미러(502) 상에 안착된다. 미러 헤드를 덮는 케이스는 랙(507)과 하우징 캡(506)으로 구성된 멀티 파트이거나 단일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미러(502)에는 미러 베이스(505)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미러 베이스(505)는 주변광, 위치등, 경고 또는 지시기로서의 조명 렌즈가 집적될 수 있는 리세스(513)를 포함한다.
이동의 결과로, 개구(514)는 미러 풋 커버(505)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미러 헤드(510)는 미러 베이스에 대해 이동하여 미러 헤드의 변위 이동에 따라 개구(514)가 변경되어야 한다. 튀는 물이 개구(514)를 통해 미러 헤드 내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멤브레인으로 미러 풋 커버 주위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제공된다.
도 16 및 도 17은 하우징 커버가 없는 미러 하우징 구성을 나타낸다. 미러 베이스(502)는 미러 서포트(503')에 통합적으로 연결된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는 미러 서포트(503') 상에 단단하게 설치된다. 이 예에서,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는 또한 반구 하우징 및 평평한 턴테이블(512)을 갖는 상용 드라이브이다. 이 회전 테이블(512)은 반구 하우징에 대해 드라이브에 의해 회전된다. 미러 글래스(511)를 운반하는 미러 글래스 캐리어(516)는 회전 테이블(512) 상에 장착된다. 일 예에서, 미러 글래스 캐리어(516)는 평평한 플레이트만이 아니라, 그에 연결된 마운트(518)를 갖는 플레이트로 설계된다. 서포트(518)는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턴테이블(512)과 미러 글래스(511)를 갖는 미러 글래스 평면 사이의 거리를 넘는다.
도 18은 마운트(518)가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턴테이블(512)과 미러 글래스(511) 사이에 병렬 구성을 갖지 않음을 도시한다. 턴테이블(512)은 미러 표면에 대해 예각 α만큼 경사져 있다. 이를 위해, 홀더는 단면이 다른 각도로 절단된 중공 실린더로 설계된다.
미러 글래스 캐리어(516)는 미러 글래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클립(517)을 갖는다. 이들 클립(517)은 하우징 커버(506) 내의 대응부들에 의해 수용되어 하우징 캡(506) 및/또는 하우징 프레임(507)과 같은 미러 헤드의 하우징 커버 요소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커버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설계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하우징 커버는 클립으로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미러 글래스 캐리어(516) 및 턴테이블(512)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가 구동되고 조정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면,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의 턴테이블(512)이 그 반구 하우징 및 미러 서포트(503')에 대해 회전한다. 회전 테이블(512)과 함께, 미러 글래스 서포트(516), 미러 글래스(511) 및 하우징 커버(506)로 구성된 전체 구조가, 미러 서포트(503')에 대해 및 이에 따라 미러 베이스(502)에 대해 회전한다.
도 19 및 도 20은 미러 서포트(503')를 갖는 미러 풋(502)을 일체형 구성요소로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러 풋(502)은 미러 서포트(503')와 함께 일체로 금속 주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섬유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기타 특수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물질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미러 서포트 및 미러 풋 또한 다수의 부품으로 제조되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요소(502')는 차량에 대한 기계적 연결 기능을 하지만, 사용될 경우에는 미러 풋(502)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미러 베이스(502)와 미러 서포트(503') 사이에서 움직임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만이 중요하다.
이 경우, 미러 베이스(502)는 중공 실린더로 설계되어 전기 연결이 수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미러 풋은 하나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서, 미러 풋(502)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중공 실린더(502)를 차량에 고정된 고정 요소(502')와 연결하는 잠금 해제선(532)을 갖는다. 잠금 해제선(532)은 응급 상황을 위해 제공되며 충격의 경우 이 지점에서 미러가 떨어지도록 허용한다. 미러 풋 어셈블리가 사용 중에는 견고한 것으로 고려되며 잠금 해제선은 사용하기 위한 이동의 가능성으로 보이지 않는다.
미러 풋(502)은 예를 들면 삼각형 플레이트(530)로 설계된 미러 캐리어(503') 내로 개방된다. 캐리어 플레이트(530)는 웨브(web)(531)를 가지며, 웨브(531)는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돔으로서 제공된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반구형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 캐리어 플레이트(530)는 중앙 리세스(533)를 갖는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반구형 하우징은 이 리세스(533)에 위치하여 웨브(531) 사이의 공간(534) 내로 연장된다. 그러나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를 강하게 고정하려면 클리핑, 프레싱, 용접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미러 베이스 및 미러 풋 커버에 대해 전체 미러 헤드를 조정함에 의한 미러 글래스의 조정은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2개의 모터를 상이한 거리로 편향시키고 이에 따라 미러 서포트(516) 및 미러 글래스(511)와 함께 회전 테이블(512)을 이동시킴으로써 발생한다.
도 16은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회전 축을 A와 B로 나타낸다. B축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은 대략 수평으로 위치를 제어하고, A축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은 미러 헤드를 수직으로 차량 가까이로 또는 차량으로부터 이동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대칭으로 수행된다. 상용의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는 편향이 제한되어 있고 주차 위치에서 미러 헤드를 차량의 외형에 더 가깝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8에 따른 미러 글래스 캐리어 플레이트(516)는 각도 α로 고정(keyed)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미러 헤드의 외부 가장자리는 병렬 구성을 갖는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의 조정 경로에서 가능한 각도보다 큰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 21은 미러 조정의 대안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는 그 표면(512)과 함께 표면(512)이 하우징 캡(506)의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515)의 회전 테이블(512)은 직접 또는 연결 플레이트(517)를 통해 미러 글래스(511)에 단단히 연결된 하우징 캡 상에 맞물린다.
외부 리어뷰 미러의 전기적 연결은 중공 미러 베이스(502)를 통해 실행된다.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용 전기 케이블이 외부로 나와 드라이브에 직접 연결된다. 가열 가능한 미러 글래스가 사용될 때, 미러 글래스의 접촉은 직접적으로 또는 글래스 조정 모터(515)를 통해 달성되거나, 또는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별도의 접촉이 각각 자신의 전기 공급 라인과 함께 마련된다.
차량용 외부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의 다른 예는 차량 상에 배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미러 베이스 또는 풋, 미러 풋에 배치된 미러 헤드 및 미러 헤드에 수용되고 이에 대해 견고하게 배치되고 조정 불가능하게 고정된 미러 글래스를 포함한다. 이는 유럽 특허 No. 2 492 144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모든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조로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가 미러 헤드와 차량의 미러 풋의 배열 사이에 제공되며, 이 관절부는 총 2개의 관절 축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며, 두 관절 축은 서로 연관되거나, 공동이거나 및/또는 독립적이다. 이는 적어도 미러 헤드를 작동 위치로부터 스윙인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시키고, 적어도 미러 헤드를 운동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스윙인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자의 착석 위치 및 높이에 따라 미러 헤드를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미러 글래스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두 관절 축 중 제1 관절 축에 연결된 제1 조정 드라이브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두 관절 축 중 제2 관절 축에 연결된 제2 조정 드라이브가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22를 참조하면, 차량용 리어 뷰 장치(601)는 차량측 배치를 위해 제공된 베이스(602) 및 그 위에 배치된 헤드(603)와, 헤드(603)에 수용되고 그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식으로 배치된 관찰 수단(604)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 조인트(605, 606, 607)가 헤드(603)와 베이스(602)의 차량측 사이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관절 조인트(605, 606, 607)는 총 2개의 관절 축(608, 609)을 포함하며, 공간 내에서 두 관절 축의 위치를 정의하는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이다.
두 조인트 축(608, 609)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 공동이거나 및/또는 독립적이다. 적어도 미러 헤드(603)의 작동 위치로부터 접힘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회전 운동, 화살표 F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적어도 미러 헤드(603)의 내측 및 반대 접힘, 및,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자의 좌석 위치 및 신체 크기에 따라 적어도 관찰 수단(604)의 개별 조정 위치의 설정.
제1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는 두 관절 축(608, 609) 중 제1 관절 축(608)에 할당되고, 제2 전동 조정 드라이브(611)는 두 관절 축(608, 609) 중 제2 관절 축(609)에 할당된다. 외부 리어 뷰 장치(601)는, 전체적으로, 차량 내부로부터, 예를 들면, 사이드 윈도우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또는 거울 처리된 표면으로서의 관찰 수단(604)을 포함하고, 운전석으로부터 도로 방향을 포함하는 차량 환경의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후방 광원에 의한 눈부심을 피하기 위해, 관찰 수단(604)은 미러 글래스일 수 있고 미러 글래스의 전기색채적 디밍(electrochromic dimming)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러 글래스(604)는 전기색채적 디밍 가능 미러 글래스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조인트 축(608) 및 제2 조인트 축(609)은 도 26 내지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인트 축(608) 및 제2 조인트 축(609)은 도 28 내지 3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직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리어 뷰 장치(601)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1 관절 축(608) 및 제2 관절 축(609)이 도 22 내지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감는 방향(wind-wise)일 수 있다. 두 관절 축(608, 609) 중 하나는 도 24, 25,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차량 측면 상의 리어 뷰 장치(601)의 배치의 경우, 리어뷰 장치(601)는 본질적으로 대략 수직이다.
다른 예에서, 두 관절 축(608, 609) 중 하나는 도 24, 25,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리어 뷰 장치(601)가 차량 측면 상에 배치될 때 실질적으로 대략 수평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이동 또는 회전 중에, 공간 내의 제2 관절 축(609)의 위치를 제1 관절 축(608)을 중심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조인트 축(608, 609)의 다양한 가능한 위치를 만족하기 위하여, 2개의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 611)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원한다면, 제1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 및 제2 전동 조정 드라이브(611)에 대한 제어 명령은 두 조인트 축(608) 주위로 회전 및/또는 조정에 의해 후자를 외측으로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612)에 의해 생성된다. 조정 축과 동일한 가상 축(615, 616)의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회전 축에 의한 회전 및/또는 조정이 실행된다.
제1 관절 축(608)을 포함하는 관절 조인트(606)는 차량 측면 상의 미러 베이스(602)의 배치를 위해 제공된다. 또한, 이들 외부 리어뷰 장치(601)의 경우, 제2 관절 축(609)을 포함하는 미러 헤드(603)와 미러 풋(602) 사이에 관절 조인트(607)가 제공된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리어뷰 미러 장치(601)의 경우, 제1 관절 축(608) 및 제2 관절 축(609)을 모두 포함하는 관절 조인트(605)가 차량 측면 상의 미러 풋(602)의 배치를 위해 제공된다. 다른 예에서, 제1 관절 축(608) 및 제2 관절 축(609)을 모두 포함하는 관절 조인트(605)는 리어뷰 장치(601)의 미러 헤드(603)와 미러 풋(602) 사이에 제공된다.
리어뷰 장치(601)의 구성에 따라, 두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 611)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2, 24, 26 및 2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가 제1 관절 축(608)에 할당된다.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관절 조인트(605)가 볼 조인트(61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두 관절 축(608, 609) 모두가 관절 조인트(605)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후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점이 있다. 제1 전동 조정 드라이브(610)가 제1 관절 축(608)에 할당되고, 제2 관절 축(609)에 연관된 제2 전동 조정 드라이브(611)가 차량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이들 양자의 사실로부터 추가적인 이점이 발생한다.
볼 조인트(613)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 측면 상에 미러 베이스(602)를 배치하기 위해, 또는 도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러 헤드(603)와 미러 베이스(602) 사이의 관절 조인트(605)를 제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8에서, 미러 베이스(602)는 차량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견고한 차량측면 배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리어뷰 장치(601)는, 예를 들면, 미러 헤드(603) 내에 반복 플래시 라이트(614)를 수용할 수 있다. 구성에 따라, 리어 뷰 미러 장치(60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차량 표면(618)로부터 도어 브레이스(617) 상에 장착될 수 있다(도 22 내지 도 25 및 도 28 내지 도 30). 리어 뷰 어셈블리(601)는 베이스 상의 헤드(603)의 스탠딩 또는 매달린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리어뷰 장치는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헤드(603)는 관찰 수단(604)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고, 관찰 수단(604)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을 둘러쌀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 더하여, 곡률 반경의 바람직한 치수는 곡면 미러 또는 리어 뷰 수단과 실질적으로 편평한 미러 또는 리어 뷰 수단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곡면 미러는 0mm와 1,300mm 사이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편평한 미러는 전체적으로 편평하거나 또는 상당히 큰 곡률 반경을 가지고 약간 만곡될 수 있다. 또한, 편평한 미러는 사용자에게 1 대 1 비의 배율을 제공하는 미러를 포함한다. 즉, 관찰된 이미지는 2% 정도의 왜곡 정도로 실제 이미지와 동일한 치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곡면 미러는 편평한 미러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거나, 편평한 미러가 곡면 미러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두 미러 양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양자가 함께 및 서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하나의 미러, 예를 들면 곡면 미러의, 다른 미러, 예를 들면 편평한 미러의 각도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는 외측으로, 내측으로,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40도 내지 -40도 사이에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에 따르면, 용어 외측으로는 차량의 도어로부터 미러를 기울이는 것을 지칭하며, 내측으로는 차량의 도어를 향해 미러를 기울이는 것을 지칭하고, 상향으로는 미러를 하늘 쪽으로 기울이는 것을 지칭하며, 하향으로는 미러를 도로 표면 쪽으로 기울이는 것을 지칭한다.
리어뷰 디바이스는 또한 상이한 조명 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1a 및 도 31b를 참조하면, 헤드 어셈블리(6000)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카메라(62)를 고정하기 위한 비 이동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카메라(62)는 헤드가 구동될 때 움직이지 않는 단단한 비 이동 영역 내에 위치된다. 도 31a 및 도 31b는 베이스 프레임(65) 상에 고정된 미러 베이스 어셈블리(61) 내에 위치하는 카메라(62)를 카메라 커넥터(66)와 함께 도시한다. 카메라(62)는 베이스 캡(63)에 의해 커버되며 베이스 어셈블리는 베이스 커버(64)에 의해 커버되고 개스킷(67)을 통해 차량(미도시)에 고정된다. 도 31b는 도 31a의 6b-6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카메라(62)는 리어 뷰 수단의 미러 베이스 어셈블리(61) 내에 고정된다.
다른 예에서, 카메라는 헤드 어셈블리(60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73)는 베이스 어셈블리(77)에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72) 상에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72)에는, 상부 크래들(71a) 및 하부 크래들(71b)을 통해 연결된 미러 헤드를 움직이는 관절 어셈블리(70)가 부착된다. 상부 케이싱 요소(76a)는 상부 크래들(71a)에 연결되고, 하부 케이싱 요소(76b)는 하부 크래들(71b)에 연결된다. 헤드 어셈블리는 최종적으로 미러 글래스(80)를 지지하는 베젤(75)을 통해 고정된다.
카메라(73)는 카메라 크래들(74)에 의해 고정되며 글래스(80)를 통해 베젤(75) 내의 개구를 통해 보거나 및/또는 하부 케이싱 요소(76b) 내에 설치된 렌즈(78)를 통해 미러 아래로 보도록 지향된다. 도 31a 및 도 31b의 구성에서와 같이, 도 32의 카메라는 헤드가 구동될 때 움직이지 않는 단단한 비 이동 영역 내에 고정된다. 카메라(73)는 헤드 어셈블리(6000)의 케이스 프레임 내로 패키징된다. 이는 카메라(73)에 다수의 상이한 시야를 제공하며, 특히, 적어도 차량의 후면, 차량의 측면, 차량의 정면 또는 미러 또는 차량 아래의 영상을 생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73)는 글래스(80)를 통해 차량의 뒤 및 렌즈(78)를 통해서 미러 아래를 보도록 지향된다.
도 33a, 도 33b, 도 33c, 및 도 33d를 참조하면, 이 출원 전반에 걸쳐 기술된 헤드 어셈블리(6000)와 함께 카세트 베젤(81a, 81b, 및 81c)이 사용될 수 있다. 글래스, 베젤, 또는 껍질(scalp)을 부착하지 않고 헤드 유닛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추후에 구성하고 조정할 수 있다. 도 33a, 도 33b 및 도 3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베젤 (81a, 81b, 81c)이 부착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이 있다. 상이한 글래스(80) 유형이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어셈블리에 부착될 수 있고, 최종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여 헤드 어셈블리 유지 및 미러 헤드의 정렬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대체 가능한 글래스 유형은 표준 글래스 또는 EC 글래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대체 가능한 베젤 유형은 표준 베젤 또는 조명 요소와 기능을 포함하는 베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세트 베젤(81a, 81b, 81c)은 단일의 분할할 수 없는 부품이며, 이들은 먼저 하부 케이싱 요소(84a, 84b, 84c) 위로 및/또는 하부 크래들(86a, 86b, 86c)과 조합하여 각각 부분적으로 래칭된다. 하부 케이싱 요소(84a, 84b, 84c)에 래칭되면, 카세트 베젤(81a, 81b, 81c)은 거의 힌지로 부착된 것처럼 하부 케이싱 요소(84a, 84b, 84c)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카세트 베젤(81a, 81b, 81c)은 상부 케이싱 요소(83a, 83b, 83c)에 또한 고정되도록 상부 크래들(85a, 85b, 85c) 내로 기울어진다. 도 33d는 카세트 베젤(81a, 81b, 81c)이 하부 케이싱 요소(84a, 84b, 84c)에 부착되고 상부 케이싱 요소(83a, 83b, 83c)에 부착되기 위해 기울어지기 전을 가장 잘 도시한다.
도 33a, 도 33b 및 도 33c를 다시 참조하면, 하부 케이싱 요소(84a, 84b, 84c)에 부착되는 베젤(81a, 81b, 81c)의 연결부는 적어도 3가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3a에서와 같이, 테이퍼형 정사각형 수-암 부착부, 도 33b에서와 같이, 연장된 서포트 영역을 갖는 테이퍼형 정사각형 수-암 부착부, 및 도 33c에서와 같이, 연장된 서포트 영역을 갖는 만곡된 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케이싱 요소(83a, 83b, 83c)에 부착되는 베젤(81a, 81b, 81c)의 연결부는, 도 33a에서와 같이, 상부 크래들(85a)을 통해 연장되는 테이퍼형 돌출부, 도 33b에서와 같이, 상부 크래들(85b) 내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된 직사각형 돌출부, 또는 상부 크래들(85c)을 통해 연장되는 직사각형 돌출부와 같은 적어도 3가지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다른 구성도 또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4a, 도 34b 및 도 34c는 헤드 어셈블리 내부의 관절 어셈블리에 대한 서포트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관절 어셈블리(90)가 움직이는 미러 헤드와 고정된 베이스 사이의 기계적 고정점이므로, 이는 미러 헤드에 가해지는 하향 하중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이 예에서 관절 어셈블리(90)의 구성은 도 8 내지 도 12b에서 도시된 예와 반대되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이 예의 관절 어셈블리(90)의 움직이는 부분은 도면의 좌측에 나타난 더 큰 직경을 갖는 구형 부분이며, 관절 어셈블리(90)의 움직이지 않는 부분은 도면의 우측에 나타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 부분이다. 도 34a, 도 34b 및 도 3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절 어셈블리(90)를 관절 어셈블리(90)의 각 대향 측면 상에 하나씩 있는 두 개의 긴(elongated) 구멍 링으로 포갠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93) 상에 장착된 브래킷에 의해 추가적인 서포트가 제공된다. 관절 어셈블리(90)에 장착된 상부 크래들(91)과 미러 헤드에 장착된 하부 크래들(92)은 구멍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내측/외측 및 상향/하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 긴 구멍 케이스 프레임 링은 잠금 메커니즘을 생성하고 내부 및 외부 멈춤부(stop)를 제공한다.
도 34b는 도 34a의 9b-9b 선을 따라 하부 크래들(92)에 대한 상부 크래들(91)의 부착과 베이스 프레임(93)의 구멍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크래들(91) 및 하부 크래들(92)은 미러가 내부 또는 외부로 움직이게 작동될 때 베이스 프레임(93)의 구멍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함께 움직인다. 도 34c를 참조하면, 도 34a의 9c-9c 선을 따라 하부 크래들(92)에 상부 크래들(91)이 부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가 도시된다. 미러가 작동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움직일 때, 상부 크래들(91)과 하부 크래들(92)은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93)의 구멍 내에서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93)은 관절 어셈블리(90)를 커버하고, 하향 또는 다른 유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관절 어셈블리(90)를 둘러싸는 역할을 하는 고정된 면이다.
도 35는 단일 2축 관절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되는 다양한 헤드 조건을 도시하는 헤드 어셈블리의 탑다운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미러 헤드 어셈블리(700)의 주차 접힘 위치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각도 작동 범위를 이용하도록 지향된 단일 2축 글래스 액추에이터로 주행 조건으로 미러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관절 어셈블리(701)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36a 및 도 36b는 집적 메모리 회로 또는 별도의 메모리 모듈(706)에 의해 제어되는 미러 헤드 회전축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된 2개의 단축 액추에이터(704 및 705)를 갖는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36b를 참조하면, 도 36a의 11b-11b 선을 따른 단면도가 2개의 독립적인 단축 액추에이터(704, 705)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두 독립적인 액추에이터는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미러를 내측/외측 및 상향/하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의 전반에 걸쳐 기술된 관절 어셈블리에서와 같이, 2개의 독립적인 단축 액추에이터(704, 705)는 또한 선외 주행 조건, 표준 주행 조건, 주차 조건, 및 이들 사이의 조건 사이에서 미러의 조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37은 좌측의 주행 위치에 있는 미러 헤드와 우측의 접힘 위치에 있는 미러 헤드를 갖는 고정된 글래스 미러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접힘' 위치/각도는 글래스 액추에이터 내에 통합된 메모리 센서(미도시)를 이용함으로써 고객 맞춤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전 설정된 미러 위치는 여러 설정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공칭 헤드 각도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전 설정된 미러 각도는 조립 지점에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개별 사전 설정 메모리 기능은 모든 사용자에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사이드 뷰 미러의 접힘 기능의 다양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최종 고객은 파워(power) 접힘 멈춤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각 개별 운전자의 선호 위치를 설정하는 데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내의 메모리 위치 지정 기능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되며 한 번 주차된 미러의 위치가 각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설정될 수 있도록 맞춤형 미러 접힘 및 주차 위치를 설정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8a, 도 38b 및 도 38c는 공통 어셈블리로 결합된 방향 전환 지시등 모듈 및 사각 지대 모니터 모듈을 갖는 고정된 글래스 미러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지시등(Side turn indicator)(STI) 및 사각 지대 모니터(Blind Spot Monitor)(BSM)가 두 개의 별도의 조명 모듈이 되는 것과 반대로 단일 조명 모듈로 제공된다. 미러에는 글래스(800) 및 베젤(801)이 제공된다. 또한 도 38a에는 글래스(800) 내에 제공되는 사각 지대 모니터(802) 및 베젤(801) 측면의 방향 전환 지시등(803)에 대한 지시등 또는 라이트의 외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된 글래스 미러 어셈블리와 함께 STI 모듈에 대한 BSM 모듈의 관계가 이제 고정되며 이는 두 모듈이 하나의 공통 어셈블리가 될 수 있게 한다.
도 38b 및 도 38c는 결합된 STI 및 BSM 모듈의 상세를 도시한다. STI 및 BSM 모듈은 하나의 더 작은 모듈 어셈블리로 결합되며, 케이스 하부 구성요소 내로 통합될 수 있다. 두 모듈의 결합은 동일한 또는 별도의 PCB/광원으로 이들을 제어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더 낮은 제조비용, 더 적은 부품 및 시스템 및 성능 이점을 제공하는 더 단순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38b 및 도 38c를 참조하면, 결합된 STI 및 BSM 모듈(804)의 내부 구성요소가 도시되며 결합된 모듈의 BSM 부분과 STI 부분 사이에 연결 리브(rib)(805)가 제공된다. 결합된 모듈의 내부 및 연결을 베젤(801) 및 글래스(800)와 함께 도시하는 추가의 단면도가 도 38c에 제공된다.
도 39 및 도 40은 증가된 수평 축 이동 및 감소된 수직 축 이동을 허용하는 상이한 길이의 모터 잭을 갖는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모터 잭(900A, 900B)이 다른 길이로 제공되어 동일한 패키징 공간 내에서 증가된 수평 축 이동 및 감소된 수직 축 이동을 허용한다.
통상의 글래스 액추에이터의 일 축 상에서만 증가된 회전 또는 이동은 고정된 글래스 미러에 대한 파워 접힘 움직임의 충족을 허용한다. 연장된 수평 이동, 달리 말하자면, 미러의 내측/외측 움직임은 미러 내에 접힘 및 주차 기능을 충족하기 위하여 추가의 전용 접힘 액추에이터 유닛을 가질 필요 없이 단일 액추에이터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일 액추에이터를 갖는, 즉 주차 위치로 미러를 위치시키기 위한 전용 액추에이터의 필요를 제거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이점은 접힘 및 주차 기능을 위해 통상 사용되는 더 시끄러운 파워 접힘 액추에이터를 대체하고, 더 작은 고정 글래스 미러가 자동차에 더 작은 미러를 허용하도록 크기가 줄어들고 CO2를 감소하도록 차량 항력 값을 줄이며, 제조 비용을 줄이는 이점을 포함한다. 미러의 더 긴 수평 이동은 시장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완전한 이동인 추가적인 이동 각도를 대략 허용하며, 예를 들면, 14 추가 각도가 가능하다.
도 40은 연장된 수평 글래스 작동 및 감소된 수직 글래스 작동을 제공하는 단일 액추에이터의 상세도를 제공한다. 축 A-A 및 축 G-G를 따른 단면도는 미러 작동을 위해 연장 및 감소된 이동 각도를 나타낸다.
다양한 기능 및 디바이스가 특히 카메라를 포함한 리어뷰 디바이스의 도움을 받아 통합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정상 또는 극한 상황 동안 리어뷰 디바이스의 기능을 향상, 확장 및/또는 유지하기 위한 기능 및 장치가 특히 유용하다. 이는 가열 및/또는 냉각 수단, 와이퍼, 액체 및/또는 기체 스프레이와 같은 세정 수단, 리어뷰 디바이스 또는 그 부품,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카메라 시스템 및/또는 예를 들면, 렌즈, 필터, 광원, 변형 가능한 미러, 센서와 같은 적응형 광학 장치 및/또는 미러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수단, 및/또는 다른 물체, 예를 들면, 차량의 부품 및/또는 차량 주위의 다른 물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액추에이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예를 들면, 렌즈, 미러, 센서 변형 가능한 미러 및/또는 필터와 같은 적응형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요소를 교환하는, 예를 들면 필터 휠과 같은 회전 휠 및/또는 선형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뷰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통합 및/또는 제어되는 기능 및 장치의 대표적인 예는 또한 조명 디바이스, 예를 들면 외부 광 모듈, 내부 광 모듈, 전조등, 백라이트, 안개등, 브레이크등, 가속등, 턴 시그널, 로고 램프, 퍼들 라이트, 플래시 라이트, 네비게이션 라이트, 포지션 라이트, 비상등, 스포트라이트, 그린 라이트, 레드 라이트, 경고등, 턴 시그널 라이트 모듈, 어프로치 라이트, 서치 라이트, 정보 라이트, 디스플레이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광 모듈을 포함한다.
리어뷰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통합 및/또는 제어되는 기능 및 디바이스에 대한 다른 예는, 예를 들면, 피로 검출 시스템, 마이크로슬립 검출 시스템, 거리 및/또는 속도 결정 시스템, 예를 들면 LIDAR(광 검출 및 측정) 시스템, 사각 지대 표시 시스템, 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 내비게이션 보조 시스템, 추적 보조 시스템, 인간-기계 상호작용 시스템, 기계-기계 상호작용 시스템, 사고 회피 보조 시스템과 같은 비상 및 예방 보조 시스템, 대책(counter-measure) 보조 시스템, 브레이크 보조 시스템, 조향 보조 시스템, 가속 보조 시스템, 예를 들면 시트 배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탈출 보조 시스템, 방향 표시기, 사각 지대 표시기, 접근 시스템, 강력한 브레이크 시스템, 비상 제동 시스템, 충전 상태 표시기, 예를 들면, 스포츠 모드 시스템, 이코노미 모드 시스템, 자율 주행 모드 시스템, 슬립 모드 시스템 및 도난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모드 시스템, 차량 잠김 표시 시스템, 차량 도난 표시기, 경고 신호 시스템, 온도 표시 시스템, 기상 표시 시스템, 교통 신호 시스템, 연료 상태 시스템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등 기능을 충족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리어뷰 디바이스의 예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2108488, 2012년 9월 11일 출원, "차량용 리어뷰 어셈블리"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후방 시야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디바이스를 위한 광 가이던스 유닛은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2104529, 2012년 5월 25일 출원, "광 가이던스 유닛"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리어뷰 디바이스를 위한 조명 디바이스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2107833, 2012년 8월 24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및 리어뷰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후방-시야 유닛을 위한 조명 디바이스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2107834, 2012년 8월 24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및 후방-시야 유닛"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리어뷰 디바이스의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럽 특허 No. 2738043, 2012년 12월 3일 출원,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차량 조명 유닛을 위한 광학 광 가이드는 유럽 특허 No. 2947378, 2014년 5월 22일 출원, "차량 조명 유닛을 위한 광학 광 가이드"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차량의 리어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럽 특허 출원 No. 2944866, 2014년 5월 12일 출원, "광학 유닛,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리어 뷰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국제 특허 출원 No. 2015/173695, 2015년 5월 7일 출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리어 뷰 디바이스 및 차량"에 개시되며, 이는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차량의 리어뷰 디바이스 내의 조명 디바이스용 특히 차량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용 광 가이드 디바이스는 유럽 특허 출원 No. 3045944, 2015년 1월 19일 출원, "광 가이드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더 추가로 조명 디바이스용, 특히 차량용 광 가이드 디바이스 또는 차량의 리어뷰 디바이스 내의 지시등 디바이스는 미국 특허 출원 No. 15/000,733, 2016년 1월 19일 출원, "광 가이드 디바이스"의 부분 계속 출원인 미국 특허 출원 No. 15/228,566, 2016년 8월 4일 출원, "광 가이드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특히 차량의 리어뷰 디바이스용 조명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은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5104163, 2015년 3월 19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국제 특허 출원 No. 2016/147154, 2016년 3월 18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및 조명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개시되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선된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는 유럽 특허 출원 No. 3139711, 2015년 9월 3일 출원, "전자 디바이스 및 리어 뷰 디바이스"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미국 특허 출원 No. 15/256,532, 2016년 9월 3일 출원, "전자 디바이스 및 리어 뷰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리어뷰 디바이스용 조명 디바이스 또는 차량의 풋웰 디바이스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5115555, 2015년 9월 9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리어 뷰 디바이스, 풋웰 디바이스 및 차량"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외부 리어 뷰 디바이스의 라이트 어셈블리용 라이트 모듈은 유럽 특허 출원 No. 3138734, 2015년 9월 3일 출원, "라이트 모듈, 라이트 어셈블리 및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에 개시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로고 램프 및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 구성요소용, 특히 차량의 리어뷰 디바이스용 조명 디바이스는 독일 유틸리티 특허 출원 No. 202015104894, 2015년 9월 15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차량 구성요소 및 차량"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유럽 특허 출원 No. 3144183, 2016년 9월 13일 출원, "조명 디바이스, 차량 구성요소 및 차량"에 개시되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은 특히 그 중에서도(a.o.) 다양한 센서 및 광원뿐만 아니라 하우징 부품을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금속, 유리,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질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물질 또는 물질 표면의 특성을 변화 또는 변경하기 위해 하기 기술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 2016년 5월 3일 출원, "카메라용 세정 시스템"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5/281,780, 2016년 9월 30일 출원, "카메라 및 렌즈 와이핑 시스템을 갖는 텔레스코핑 리어뷰 어셈블리"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는 예를 들면,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1053999, 2011년 9월 28일 출원, "물체의 광학 검출용 검출 시스템 및/또는 운전자 보조용 공간 영역 및/또는 검출용 라이트 필드 센서로서 배열된 광학 센서를 갖는 차량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미국 특허 출원 No. 09/771,140, 2001년 1월 26일 출원, 현재 미국특허 No. 6,703,925, "이동수단, 특히 차량용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개시된 것과 같은 예를 들면 CCD 또는 CMOS 또는 라이트 필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영역은,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No. 8,031,224, 2014년 9월 9일 출원,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카메라 시스템의 센서 디바이스"에 기술된 것과 같은 테스트 빔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목적을 위해 예약될 수 있다.
광학 요소는 임의의 유형의 유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물질로 성형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유리는 여기에서 액체 상태로 가열될 때 유리 전이를 나타내는 비결정성 무정형 고체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면 중합체 유리, 금속 유리, 실리카 유리의 그룹을 포함하지만, 유리 전이를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 및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1103200, 2011년 5월 31일 출원, "윈도우의 특정 위치에서 언커플링 구조를 갖는 차량의 외부 미러 배열 내에서 방향 지시등용 라이트 컨덕터로 사용하기 위한 라이트 윈도우, 및 성형 코팅을 가지며 언커플링 구조가 제공되는 광학 필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글래스는 편평형, 쐐기형, 직사각형, 원통형, 구형, 원뿔형, 타원형 및/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고, 상이한 요구 및 렌즈 유형에 따른 형상을 가진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카메라 모듈은 미국 특허 출원 No. 15/281,780,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3/090,127, 2011년 4월 19일 출원, 현재 미국 특허 No. 9,238,434, "리어 뷰 미러 시뮬레이션"에 기술된 바와 같은 주변 이미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광각 또는 어안 렌즈와 같은 렌즈,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1053999, 2011년 9월 28일 출원, "물체의 광학 검출용 검출 시스템 및/또는 운전자 보조용 공간 영역 및/또는 검출용 라이트 필드 센서로서 배열된 광학 센서를 갖는 차량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프레넬 렌즈 또는 마이크로 렌즈, 및 미국 특허 No. 8,740,427, 2010년 9월 8일 출원, "리어 뷰 디바이스용 광학 라이트 커플링"에 기술된 바와 같은 TIR(total internal reflection) 렌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유형의 광학 요소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No. 09/771,140에 개시된 것과 같은 광섬유, 특히 섬유 번들의 형태 및 바람직하게는 광학 헤드를 갖는 섬유 번들의 형태이다. 이러한 광학 요소를 제조하는 데 상이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국 특허 8,460,060, 2009년 1월 30일 출원, "유리 기판 상에 복잡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에 개시된 것과 같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광학 요소는 투명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No. 8,031,224,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3/242,829, 2011년 9월 23일 출원, "차량용 카메라 배열 및 도어 핸들"에 기술된 바와 같고,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그러나, 광학 요소는 또한 반투명할 수 있으며,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No. 09/771,140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3/090,127에 개시된 바와 같다. 더 추가로, 광학 요소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No. 8,031,224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반사 방지 코팅, 미국 특허 No. 9,181,616, 2012년 1월 24일 출원, "크롬계 반사 코팅"에 기술된 바와 같은 크롬계 반사 코팅, 및 예를 들면 중합체 기판에 대해서 미국 특허 출원 No. 14/936,024, 2015년 11월 9일 출원, "코팅된 중합체 기판"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5/124,310, 2015년 2월 20일 출원, "플라스틱 기판을 위한 장식적 코팅"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른 코팅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코팅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상이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요소는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긁힘 방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광학 요소는 광학 요소의 특정 위치에서 언커플링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광학 필름, 예를 들면 압출 필름 및 성형 코팅이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110320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분광 및 응력 제어용 코팅은 미국 특허 출원 No. 15/124,310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예를 들면 그레이 필터 또는 편광 필터와 같은 상이한 필터가 광학 요소 내로 통합될 수 있고, 미국 특허 출원 No. 14/809,509, 2015년 7월 27일 출원, "광 세기 조정용 장치"에 기술되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전기색채 기판, 폴리머 전해질 및 기타 전도체 전도성 매체가 유럽 특허 출원 No. 08103179.1, 2008년 3월 31일 출원, "전기색채 기판 제조 공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색채 물품", 유럽 특허 No. 2202826, 2008년 12월 23일 출원, "폴리머 전해질 및 함유 디바이스", 미국 특허 No. 7,999,992, 2005년 1월 7일 출원, "전도성 매체" 및 미국 특허 No. 8,537,451, 2008년 3월 26일 출원, "전기색채 기판 제조 공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기색채 물품"의 설명에 기반하여 광학 요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에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No. 14/809,509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 세기 조정을 위한 장치 및 미국 특허 출원 No. 09/771,140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 레벨 증강 튜브가 또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유럽 특허 출원 No. 08103179.1, 유럽 특허 No. 2202826, 미국 특허 No. 7,999,992 및 미국 특허 No. 8,537,451에서 사용되는 전기색채 기판 및 디바이스와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6126.3, 2016년 4월 4일 출원, "이미징 시스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광을 전송 또는 반사하는 트랜스플렉터가 또한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에 적응된 커버가 상이한 액추에이터, 드라이브 및/또는 유연성 트랙을 사용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독일 출원 No. 102016108247.3 및 미국 특허 출원 No. 15/281,780에 기술되고,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더 추가로, 카메라 모듈은 또한 외부를 향하고 환경에 노출되는 광학 요소를 세정하는 세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요소는, 예를 들면, 와이퍼, 브러시, 립, 노즐, 팬 및 유사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럽 특허 출원 No. 14165197.6, 2014년 4월 17일, "차량용 광학 시스템, 세정 디바이스 및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미국 특허 출원 No. 15/281,780,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 유럽 특허 출원 No. 13163677.1, 2013년 4월 15일 출원, "렌즈 와이퍼", 유럽 특허 출원 No. 15173201.3, 2015년 6월 22일 출원, "가요성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렌즈 세정" 및 유럽 특허 No. 1673260, 2003년 10월 14일 출원, "세정 디바이스"에 기술된 바와 같고,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세정 디바이스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임의의 패브릭, 엘라스토머(elastomeric), 스폰지, 브러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 아암,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핑 클로스, 와이핑 티슈 및 그 조합을 포함하는 특수한 와이퍼 요소는 유럽 특허 출원 No. 14165197.6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와이퍼 요소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출원 No. 130164250.6, 2013년 4월 18일 출원, "와이퍼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세정액을 수용하는 저장조는 유럽 특허 출원 No. 14165197.6에 기술된 바와 같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이러한 저장조는 카메라 모듈에 부착되거나 통합되어 카메라 모듈의 광학 요소에 세정액을 공급한다.
카메라 모듈의 기능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오물 또는 다른 흐릿함을 검출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미국 특허 No. 8,395,514, 2008년 6월 24일 출원, "광학 시스템 및 차량 내의 광학 시스템 흐릿함을 검출하는 방법", 유럽 특허 No. 1328141, 1월 12일 출원, "가요성 물질로부터 컨덕터를 갖는 어셈블리 및 이러한 어셈블리 제조 방법", 및 미국 특허 No. 8,031,224에 기술되고,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광원이 또한 카메라 모듈 내로 설치되거나 통합되어 주변 물체의 가시성을 증가시키고, 거리 및 방향을 측정하고, 먼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컨대 미국 특허 No. 8,031,224, 2016년, 2017년 3월 13일 출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No. 62/470,658, "라이트 에미팅 미러 베젤" 및 미국 특허 출원 No. 09/771,140에 기술된 바와 같고,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가열 코일, 렌즈 홀더 또는 베젤 내로 통합되는 가열 디바이스와 같은 상이한 가열 수단, 또는 다른 가열 요소가 광학 요소 표면의 응결과 결빙을 방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8247.3, 미국 특허 출원 No. 62/470,658, 및 2016년 4월 22일 출원된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7545.0, "카메라 렌즈용 가열 디바이스"에 기술된 바와 같고,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미국 특허 출원 No. 13/090,127에 기술된 바와 같은, 기상 효과 및 세제, 솔벤트 및 고압 세정제로 세척 공정의 영향에 대한 방수 밀봉이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다른 예에서,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7545.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플라스틱 및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몸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도성 물질은 플라스틱 물질 내에 분산되어 전도성 매스를 형성하여 전원, 바람직하게는 DC 전원이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통해 몸체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몸체를 가열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유럽 특허 No. 1328141 및 2002년 1월 12일 출원된 미국 특허 No. 7,083,311, "가요성 물질의 컨덕터, 이러한 가요성 컨덕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및 이러한 컨덕터의 제조 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컨덕터 트랙이 카메라 모듈의 플라스틱 부분 내로 내장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카메라 모듈은 2009년 9월 29일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No. 09171683.7, "자기 지속 리어 뷰 미러"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전력 하베스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0년 1월 14일 출원된 미국 특허 No. 8,487,633, "차량의 전기 소비자를 위한 고장 탐지 시스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전기 소비자를 위한 고장 탐지 시스템이 카메라 모듈의 고장을 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고정장치, 예를 들면 2009년 3월 27일 출원된 유럽 특허 No. 2233360, "리어 뷰 미러에서 스냅 핏 연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스냅 핏 연결이 카메라 모듈을 차량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미국 특허 출원 No. 13/090,127,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6106126.3, 독일 특허 출원 No. 102011053999, 7월 16일 출원된 유럽 특허 No. 2146325, "차량 내에서 이미지 파일을 수신, 처리 및 저장하는 레코딩 디바이스 및 방법", 및 2008년 7월 16일 출원된 미국 특허 No. 8,849,104, "차량 내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 및 처리하는 레코딩 디바이스 및 방법"에 기술된 계산 유닛과 같은 상이한 제어 수단 및 분석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2015년 8월 19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No. 14/830,406, US 20150358590으로 공개된 "차량용 리어 뷰 디바이스"에 따른 HDR (high dynamical range)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넓은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에 변화가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된다.
2 헤드 섹션
4 하우징 섹션
6 리드 섹션
8 주행 방향
10 전자 유닛
12 중공 영역
14 리어 뷰 수단
16 편평부
18 가장자리부
20 결합부
22 밀봉 수단
24 O 링
26 인쇄 회로 기판
28 램프
30 제1 하우징 부
32 개구
34 라이트 윈도우
36 조명 유닛
38 광학 요소
40 하우징 시일
42 제2 하우징 부
61 베이스 어셈블리
62 카메라
63 베이스 캡
64 베이스 커버
65 베이스 프레임
66 카메라 커넥터
67 개스킷
70 관절 어셈블리
71a 상부 크래들
71b 하부 크래들
72 베이스 프레임
73 카메라
74 카메라 크래들
75 베젤
76a 상부 케이싱 요소
76b 하부 케이싱 요소
77 베이스 어셈블리
78 렌즈
80 글래스
81a 카세트 베젤
81b 카세트 베젤
81c 카세트 베젤
83a 상부 케이싱 요소
83b 상부 케이싱 요소
83c 상부 케이싱 요소
84a 하부 케이싱 요소
84b 하부 케이싱 요소
84a 하부 케이싱 요소
85a 상부 크래들
85b 상부 크래들
85c 상부 크래들
86a 하부 크래들
86b 하부 크래들
86c 하부 크래들
90 관절 어셈블리
91 상부 크래들
92 하부 크래들
93 베이스 프레임
94 회전 볼 조인트
95 회전 중심
100 리드 섹션
100' 리드 섹션
100" 리드 섹션
100"' 리드 섹션
120 베젤 섹션
120' 베젤 섹션
120" 베젤 섹션
130' 언더컷
130" 언더컷
140'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140"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140"' 제1 리어 뷰 수단 섹션
160'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160"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160"' 제2 리어 뷰 수단 섹션
180 림 섹션
200" 그루브
210' 단차
220" 그루브
230" 그루브
300 제1 리어 뷰 수단
300' 리어 뷰 수단
300"' 리어 뷰 수단
400 제2 리어 뷰 수단
400' 리어 뷰 수단
501 리어 뷰 수단
502 베이스
502' 고정 요소
503 미러 서포트
503' 미러 서포트
504 외형
505 풋 커버
506 하우징 캡
507 하우징 프레임
508 회전축
510 미러 헤드
511 미러 글래스
512 회전 테이블
514 개구
515 글래스 조정 드라이브
516 미러 글래스 캐리어 플레이트
517 연결 플레이트
518 마운트
530 삼각 플레이트
531 웨브
532 잠금 해제선
533 중앙 리세스
534 공간
601 리어 뷰 장치
602 베이스
603 헤드
604 관찰 수단
605 관절 조인트
606 관절 조인트
607 관절 조인트
608 제1 조인트 축
609 제2 조인트 축
610 제1 전동 조정 드라이브
611 제2 전동 조정 드라이브
612 제어 디바이스
613 볼 조인트
614 플래시 라이트
615 가상 축
616 가상 축
617 도어 브레이스
618 차량 표면
700 헤드 어셈블리
701 관절 어셈블리
702 베젤
703 글래스
704 액추에이터
705 액추에이터
706 메모리 모듈
707 회전 볼 조인트
708 케이스 프레임
709 하부 케이싱 요소
800 미러 글래스
801 미러 베젤
802 사각 지대 모니터
803 방향 전환 지시등
804 BSM-SDI 모듈
805 연결 리브
900A 모터 잭
900B 모터 잭
1000 베이스 어셈블리
1100 부착부
1200 풋
1300 구형 시트
1400 캐리어부
1500 케이블 출구
2000 프레임 수단
2100 지지부
2200 구형 시트
2200a 연장부
2200b 연장부
2300 고정부
2400 케이블 출구
2500 구형 시트
2500a 연장부
2600 숄더
2700 나사 구멍
2800 림
3000 관절 어셈블리
3200 고정 부분
3400 가동 부분
3500 부착 수단
3600 제어 시스템
4000 케이싱
4100 상부 케이싱 요소
4200 하부 케이싱 요소
4400 부착부
4400a 부분 링
4400b 컷아웃
4500 부착부 보스
4600 베이스부
4700 구형 시트
4800 구형 시트
4900 베젤
5000 카메라
6000 헤드 어셈블리

Claims (24)

  1.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배치를 위해 제공된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
    관절 어셈블리(3000)를 통해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에 부착된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 -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는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에 견고하게 부착된 고정 부분(fixed part)(3200)과 상기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에 견고하게 부착된 가동 부분(3400)을 포함함 -; 및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는 2 개의 관절 축 - 상기 관절 축의 방향 벡터는 서로 독립적임 -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풋(1200)과 프레임 수단(20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상기 풋(1200)은 상기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의 케이싱(4000)의 하부 케이싱 요소(4200)를 위해 제1 구형 시트(1300)를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케이싱(4000)을 위해 제2 구형 시트(2200) 및 제3 구형 시트(25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고정 부분(3200)에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 부분(3200)에 포함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상기 차량에 부착을 위해 부착부(1100)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부(1100)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제어 시스템(3600) 또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용 제어 시스템(3600)을 가지는(carrying) 제1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로부터 상기 풋(1200)의 내부로 케이블을 안내하는 제2 상태, 및
    상기 제1 구형 시트(1300)의 대향 단부에서 상기 풋(1200)을 폐쇄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갖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 및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의 고정부(fixation part)(2300)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을 위한 캐리어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제1 구형 시트(1300)로부터 연장되거나,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풋(1200)의 내부로부터 케이블 출구(1500)를 통해 상기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로 케이블을 안내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고정부(23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캐리어부(1400)는 (i) 나사 또는 클립 연결 및 (ii) 삽입소켓(bayonet) 부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고정부(2300)에 부착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지지부(21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100)는,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지지하거나,
    클립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지지하거나,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동시에 클립 또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상기 고정 부분(3200)을 지지하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대한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 및 상기 케이싱(4000)의 상부 케이싱 요소(4100)에 대한 상기 제3 구형 시트(25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의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 및 상기 제3 구형 시트(2500)가 고정부(2300)의 양쪽 끝단에 각각 배치되거나,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으로부터 반대쪽으로 향하는 지지부(21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연장부(2200a, 2200b, 2500a)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제1 연장부(2200a) 및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가동 부분(3400)을 향하는 제2 연장부(2200b)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지지부(2100) 및 상기 제1 연장부(2200a) 및 상기 제2 연장부(2200b)가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가동 부분(3400)을 향하는 림(rim)(2800)을 제공하는 컷아웃(cut out)을 갖는 링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00)는 케이블 출구(2400)가 제공되고,
    상기 고정부(2300)의 상기 케이블 출구(2400)가 상기 캐리어부(1400)의 상기 케이블 출구(1500)와 정렬되는 상태,
    상기 고정부(2300)의 상기 케이블 출구(2400)가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고정 부분(3200)으로부터 반대쪽으로 향하는 상기 고정부(23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상태, 및
    (i)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5000)와, (ii) 상기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고정부(2300)의 상기 케이블 출구(2400)를 나오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는 상기 풋(1200)의 상기 제1 구형 시트(1300)와 협력하는 제4 구형 시트(4700) 및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의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와 협력하는 제5 구형 시트(480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상기 제4 구형 시트(4700) 및 상기 제5 구형 시트(4800)는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베이스부(4600)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가동 부분(3400)에 고정된 부착 부분(4400)을 가지고,
    상기 부착 부분(4400)이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의 베이스부(460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상태,
    상기 부착 부분(4400)과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고정 부분(3200) 및 상기 가동 부분(3400)에 의해 제공되는 유닛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는 상태,
    상기 부착 부분(4400)이 상기 가동 부분(34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태, 및
    상기 부착 부분(4400) 및 상기 가동 부분(3400)이, 클립, 플러그 및 스냅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4400)은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상기 가동 부분(3400)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 링(4400a)이 제공되고,
    상기 부분 링(4400a)은 지지부(2100) 및 제1 연장부(2200a) 및 제2 연장부(2200b)에 의해 제공되는 부분 링에 의해 결정되는 컷-아웃(4400b)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부착 부분(4400)에 부착되는 미러 요소 형태의 반사 요소에 대한 액추에이터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가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카메라(500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거나,
    베젤(4900)이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부착되고 상기 베젤(4900)이 반사 요소를 둘러싸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는,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 및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의 고정부(fixation part)(2300) 중 적어도 하나의 부착을 위한 캐리어부(140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고정 베이스 어셈블리(1000)의 제1 구형 시트(130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풋(1200)의 내부로부터 케이블 출구(1500)를 통해 상기 가동 헤드 어셈블리(6000)로 케이블을 안내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1400)는, 상기 고정부(23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부(1400)는 (i) 나사 또는 클립 연결 및 (ii) 삽입소켓(bayonet) 부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고정부(2300)에 부착되는 것인,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은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대한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 및 상기 케이싱(4000)의 상부 케이싱 요소(4100)에 대한 상기 제3 구형 시트(25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수단(2000)의 상기 제2 구형 시트(2200) 및 상기 제3 구형 시트(2500)가 고정부(2300)의 양쪽 끝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관절 어셈블리(3000)의 고정 부분(3200)으로부터 반대쪽으로 향하는 지지부(21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연장부(2200a, 2200b, 2500a)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는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카메라(500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베젤(4900)은 상부 케이싱 요소(4100) 및 상기 하부 케이싱 요소(4200)에 부착되고 상기 베젤(4900)이 반사 요소를 둘러싸는, 차량용 외부 후방 시야 디바이스.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70151879A 2016-11-14 2017-11-14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 KR102071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8759.9A EP3321132B1 (en) 2016-11-14 2016-11-14 External rear 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EP16198759.9 2016-11-14
US15/603,751 2017-05-24
US15/603,751 US10759345B2 (en) 2016-11-14 2017-05-24 External rear 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US15/607,894 2017-05-30
US15/607,894 US10744947B2 (en) 2012-01-24 2017-05-30 Head section for a rear view device
US15/800,413 US20180126910A1 (en) 2012-01-24 2017-11-01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US15/800,413 2017-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98A KR20180054498A (ko) 2018-05-24
KR102071772B1 true KR102071772B1 (ko) 2020-01-30

Family

ID=6215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879A KR102071772B1 (ko) 2016-11-14 2017-11-14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04382B2 (ko)
KR (1) KR102071772B1 (ko)
CN (1) CN1080687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3847B (zh) * 2018-11-15 2023-05-30 法可赛阿达斯独资有限公司 机动车辆摄像头壳体及其制造方法
JP6945182B2 (ja) * 2019-01-29 2021-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光用レンズ及び移動体
US11872940B2 (en) * 2021-01-20 2024-01-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ody mounted side view mirror assemblies with off-roading and vehicle security featur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998A (ja) * 2001-11-27 2003-06-03 Murakami Corp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
KR100603686B1 (ko) * 2005-02-24 2006-07-20 썬텍 주식회사 발광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백미러
US20120127745A1 (en) * 2010-11-22 2012-05-24 Smr Patents S.A.R.L. Covering of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JP2013112298A (ja) * 2011-11-30 2013-06-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US20130188237A1 (en) * 2003-05-20 2013-07-25 Donnelly Corporation Extended field of view exterior mirror element for vehicle
JP2014069699A (ja) * 2012-09-28 2014-04-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イドミラー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224930A1 (en) * 2014-02-12 2015-08-1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7874Y2 (ko) * 1971-08-28 1974-10-17
NL1012087C2 (nl) * 1999-05-18 2000-11-21 Iku Holding Montfoort Bv Aandrijfsysteem.
DE10022448A1 (de) * 2000-05-09 2001-11-15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eise für Kraftfahrzeuge
JP3854499B2 (ja) * 2001-12-03 2006-12-0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カメラ内蔵型アウター用バックミラー
JP2004009806A (ja) * 2002-06-04 2004-01-1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US8915601B2 (en) * 2010-02-10 2014-12-2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EP2639112B1 (de) * 2012-03-14 2014-10-01 Magna Auteca AG Gruppe von Außenspiegeln mit unterschiedlichen Funktionen
CN102729901B (zh) * 2012-06-28 2014-08-27 江苏飞拓车镜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
NL2012333B1 (en) * 2014-02-28 2015-10-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Mirror adjustment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for a motor vehicle.
CN204354919U (zh) * 2015-01-05 2015-05-27 重庆交通大学 汽车外后视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998A (ja) * 2001-11-27 2003-06-03 Murakami Corp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
US20130188237A1 (en) * 2003-05-20 2013-07-25 Donnelly Corporation Extended field of view exterior mirror element for vehicle
KR100603686B1 (ko) * 2005-02-24 2006-07-20 썬텍 주식회사 발광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백미러
US20120127745A1 (en) * 2010-11-22 2012-05-24 Smr Patents S.A.R.L. Covering of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JP2013112298A (ja) * 2011-11-30 2013-06-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4069699A (ja) * 2012-09-28 2014-04-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イドミラー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224930A1 (en) * 2014-02-12 2015-08-1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68700A (zh) 2018-05-25
CN108068700B (zh) 2022-01-28
JP6704382B2 (ja) 2020-06-03
KR20180054498A (ko) 2018-05-24
JP2018108805A (ja)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4947B2 (en) Head section for a rear view device
US10661714B2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and method
US20210370835A1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US10759345B2 (en) External rear 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JP7216180B2 (ja) 可動ヘッド組立体を備えた後方観察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102071772B1 (ko) 가동 헤드 어셈블리를 갖는 리어뷰 디바이스
EP3835131B1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US20240001848A1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10723268B2 (en) Rear view device with multi-piece backing plate
US20210213882A1 (en) Camera cradle assembly for rear view device
US11220217B2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109927631B (zh) 具有可移动头部组件的后视装置
US11890989B2 (en) External rearview device, external rearview device kit and vehicle
EP3406488B1 (en) External rear 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US20200398755A1 (en) External rearview device, external rearview device kit and vehicle
US20240034239A1 (en)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EP3409537B1 (en) Head section for a rear view device
US11518310B2 (en) Lighting device, rear-view device and motor vehicle
US10508788B2 (en) Multifunction lamp unit and rear view devic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