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84B1 -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84B1
KR102071684B1 KR1020197013406A KR20197013406A KR102071684B1 KR 102071684 B1 KR102071684 B1 KR 102071684B1 KR 1020197013406 A KR1020197013406 A KR 1020197013406A KR 20197013406 A KR20197013406 A KR 20197013406A KR 102071684 B1 KR102071684 B1 KR 10207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ar
light
user
earbu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296A (ko
Inventor
애쉴리 엔. 솔즈버리
트래비스 제이. 맥퀸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5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이어버드(ear bud)가 제공된다. 이어버드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및 이어버드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이어버드에는 센서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회로는 근접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는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주 본체부(main body portion) 및 주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스템부(stem portion)를 구비한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근접 센서들은 주 본체 상의 센서들 및 스템 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들은 하우징을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광 기반 센서들일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WIRELESS EAR BUDS WITH PROXIMITY SENSORS}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2016년 9월 20일자로 출원된 특허 출원 제15/270,445호, 및 2015년 9월 28일자로 출원된 가특허 출원 제62/233,84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버드(ear bud)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기, 컴퓨터 및 다른 전자 장비는 미디어 재생 동작 및 전화 통화 동안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종종 전화 통화 및 미디어 재생을 핸들링하기 위해 이들 디바이스 내의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사용한다. 때때로 이어버드는, 이어버드가 전자 디바이스에 플러그인되게 하는 코드를 갖는다.
무선 이어버드는 유선 이어버드보다 더 많은 유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만, 사용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가 주머니 내에 위치되는지, 테이블 상에 놓여 있는지, 또는 사용자의 귀 내에 있는지가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오디오 신호는 때때로 잘못 지향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무선 이어버드와 같은 개선된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이어버드가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셀룰러 전화기, 손목시계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와 이어버드 사이에 무선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무선 링크는 이어버드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서 오디오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셀룰러 전화 통화 또는 미디어 재생 동작들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 셀룰러 전화 통화 또는 미디어 재생 동작들과 연관된 오디오는 무선 링크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이어버드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어버드의 상태는 모니터링될 수 있고 이어버드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할 때 대응하는 조치들이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로 셀룰러 전화 통화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귀 내에 이어버드를 배치하는 경우, 전화 통화는 이어버드로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 통화 또는 미디어 재생 동작 동안 귀에서 이어버드를 제거하는 경우, 통화 또는 미디어 재생 동작에 대한 오디오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스피커로 라우팅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사용 동안, 이어버드는 케이스 또는 주머니 내에 보관될 수 있거나, 테이블 상부에 놓일 수 있거나,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귀 내에 놓일 수 있다. 이어버드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 및 이어버드의 동작을 제어할 때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이어버드에는 센서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회로는 근접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는 각각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주 본체부(main body portion) 및 주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세장형 스템부(stem portion)를 가질 수 있다. 근접 센서들은 주 본체 상의 센서들 및 스템 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들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 및 대응하는 광 검출기를 각각 갖는 광 기반 센서들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적외선 광은 이어버드의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다. 각 이어버드의 주 본체 상의 2개의 근접 센서 및 각 이어버드의 스템 상의 2개의 근접 센서가 있을 수 있거나, 다른 개수의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전자 장비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이어버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귀 내에 위치된 예시적인 이어버드의 측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버드의 하우징 벽 구조물들의 부분들 및 연관된 광 기반 근접 센서들의 측단면도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교정하고 동작시키는 것에 관련된 예시적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버드의 현재 상태를 결정하는 것에 관련된 예시적 동작들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호스트 디바이스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회로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이어버드와 같은 무선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그리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배열에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호스트 전자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무선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전화기, 컴퓨터 또는 손목시계와 같은 무선 호스트의 사용은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웨어러블 무선 전자 디바이스가 무선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이어버드의 사용은 단지 예시적이다.
무선 전자 디바이스 호스트가 이어버드와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호스트 전자 디바이스(10)는 셀룰러 전화기일 수 있거나, 컴퓨터일 수 있거나, 손목시계 디바이스 또는 다른 웨어러블 장비일 수 있거나, 내장 시스템(예를 들어, 비행기 또는 차량 내의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거나, 홈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가 시계, 컴퓨터 또는 셀룰러 전화기인 예시적인 구성은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제어 회로(16)를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16)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프로세싱 회로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 내의 프로세싱 회로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전력 관리 유닛, 오디오 칩,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등에 기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입출력 회로(18)를 가질 수 있다. 입출력 회로(18)는 무선 링크(26)를 통해 이어버드(24) 또는 다른 무선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20)(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24)는 디바이스(10)의 회로(20)와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30)를 가질 수 있다. 이어버드(24)는 또한 무선 회로(30)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10)와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임의의 적절한 휴대용 및/또는 웨어러블 장비일 수 있다. 무선 웨어러블 디바이스(24)가 이어버드인 구성은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예로서 설명된다.
입출력 디바이스들(22)과 같은 디바이스(10)의 입출력 회로는 데이터가 디바이스(1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은 버튼, 조이스틱, 스크롤링 휠, 터치 패드, 키 패드, 키보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톤 생성기, 진동기(예를 들어, 압전 진동 컴포넌트 등), 카메라, 센서, 발광 다이오드 및 다른 상태 표시기, 데이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을 통해 커맨드를 공급함으로써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의 출력 자원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로부터 상태 정보 및 다른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이러한 입출력 디바이스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어버드(24)에 통합될 수 있다.
각각의 이어버드(24)는 제어 회로(28)(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16)와 같은 제어 회로), 무선 통신 회로(30)(예를 들어, 링크(26)를 통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센서(32)를 가질 수 있고, 스피커(34), 마이크로폰(36) 및 가속도계(38)와 같은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스피커(34)는 사용자의 귀에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36)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가속도계(38)는 이어버드(24)가 이동하거나 정지할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버드(24) 상의 제어 회로(28) 및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16)는 각각 이어버드(24) 및 디바이스(10) 상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동작 동안, 제어 회로(28 및/또는 16)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센서 데이터, 사용자 입력 및 다른 입력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검출된 조건에 응답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회로(28, 16)는, 사용자가 이어버드(24) 중 하나를 사용자의 귀 내에 배치했다고 결정되는 경우, 착신 셀룰러 전화 통화와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핸들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28 및/또는 16)는 또한 공통 호스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0))와 쌍을 이루는 한 쌍의 이어버드(24) 사이의 조정 동작, 핸드셰이킹 동작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이어버드(24)로부터 스테레오 재생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이어버드(24) 중 하나를 1차 이어버드로 그리고 이어버드(24) 중 하나를 2차 이어버드로 지정함으로써 핸들링될 수 있다. 1차 이어버드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기능할 수 있는 한편, 디바이스(10)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기능한다. 디바이스(10)와 1차 이어버드 사이의 무선 링크는 1차 이어버드에 스테레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차 이어버드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스테레오 콘텐츠의 2개의 채널 중 하나를 2차 이어버드로 송신할 수 있다(또는 이러한 채널은 디바이스(10)로부터 2차 이어버드로 송신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신호(예를 들어, 전화 통화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정보)는 1차 이어버드의 마이크로폰(36)을 사용하여 캡처되고 디바이스(10)에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센서들(32)은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센서, 터치 센서, 힘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계(예를 들어, 가속도계(38) 참조), 자이로스코프 및 배향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센서(예를 들어, 위치 센서, 배향 센서),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 센서 및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32) 내의 근접 센서들은 광을 방출 및/또는 검출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로서) 커패시턴스 센서에 의한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근접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용량성 근접 센서일 수 있다. 근접 센서들은 이어버드(24)에 대한 사용자의 귀의 일부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용량성 버튼으로서 근접 센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이어버드(24)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어버드(24)의 일부를 잡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이어버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24)는 하우징(40)과 같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유리, 사파이어 또는 다른 결정질 재료, 섬유유리 및 탄소-섬유 복합 재료와 같은 섬유-기반 복합재, 목재 및 면과 같은 천연 재료, 다른 적절한 재료 및/또는 이러한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된 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0)은 오디오 포트(42)를 수용하는 주 본체(40-1)와 같은 주 부분 및 주 본체부(40-1)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스템(40-2) 또는 다른 세장형 부분과 같은 스템부를 가질 수 있다. 동작 동안, 사용자는 스템(40-2)을 잡을 수 있고, 스템(40-2)을 유지하면서 주 부분(40-1) 및 오디오 포트(42)를 귀에 삽입할 수 있다.
오디오 포트(42)와 같은 오디오 포트는 마이크로폰에 대한 음향을 수집하기 위해 및/또는 사용자에게 음향(예를 들어, 전화 통화, 미디어 재생, 가청 경보 등과 연관된 오디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오디오 포트(42)는 스피커(34)(도 1)로부터의 음향이 사용자에게 제시되게 하는 스피커 포트일 수 있다. 음향은 또한 추가적인 오디오 포트를 통과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6)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천공이 하우징(40)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근접 센서 데이터, 가속도계 데이터 또는 다른 모션 센서 데이터), 무선 통신 회로 상태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는 각각의 이어버드(24)의 현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 데이터는 하우징(4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들에 위치된 근접 센서들을 사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도 3은 이어버드(24)가 4개의 근접 센서(S1, S2, S3, S4)를 갖는 예시적인 구성의 이어버드(24)의 측면도이다. 센서들(S1, S2)은 하우징(40)의 주 본체부(40-1)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센서들(S3, S4)은 스템(40-2)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장착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하우징(40) 상에 4개의 근접 센서가 존재한다. 원하는 경우, 더 많은 근접 센서 또는 더 적은 근접 센서가 이어버드(24)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센서들(S1, S2, S3, S4)은 외부 물체가 인근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반사된 광, 커패시턴스 측정치들, 또는 다른 측정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동안, 미가공(raw) 센서 신호(예를 들어, 반사된 광 신호, 커패시턴스 신호 등)는 미리결정된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미가공 신호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센서 출력은 양(positive)일 것이다(즉, 외부 물체가 센서 근방에 있음). 미가공 신호가 센서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센서 출력은 음(negative)일 것이다(즉, 어떠한 외부 물체도 센서 근방에 없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24)는 사용자의 귀(귀(50))에 삽입되어, 스피커 포트(42)는 외이도(ear canal)(48)와 정렬될 수 있다. 귀(50)는 외이(46), 이주(tragus)(45) 및 대이주(antitragus)(44)와 같은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근접 센서들(S1, S2)과 같은 근접 센서들은 이어버드(24)가 귀(50)에 삽입되는 경우 양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S1)는 이주 센서일 수 있고 센서(S2)는 외이 센서일 수 있거나, 또는 센서들(S1 및/또는 S2)과 같은 센서들은 귀(50)의 다른 부분들에 인접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센서들(S3, S4)은 귀(50)로부터 떨어져 위치될 수 있어서, 센서들(S3, S4)은 이어버드(24)가 귀(50)에 삽입될 때 음의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들(S1, S2, S3, S4)의 상태는 이어버드(24)에 대한 가능한 사용 시나리오들 사이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분석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어버드가 보호용 케이스 내에 있는 것, 이어버드가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 있는 것, 사용자가 이어버드를 귀(50)에 삽입할 때 이어버드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잡혀 있는 것, 이어버드(24)가 귀(50) 내에 있는 것 등). 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어버드(24) 및 전자 디바이스(10)에 의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배열로, 이어버드(24) 내의 근접 센서들은 광 기반 근접 센서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버드(24)의 하우징(40) 내에 장착된 예시적인 광 기반 근접 센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기반 근접 센서(60)는 기판(62)과 같은 기판을 가질 수 있다. 기판(62)은 강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기판(62)은 섬유유리-충전 에폭시 또는 다른 강성 인쇄 회로 기판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음), 또는 가요성 인쇄 회로일 수 있다(예를 들어, 기판(62)은 폴리이미드의 가요성 층 또는 다른 가요성 중합체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음). 근접 센서 신호들을 핸들링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이 기판(6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는 광원(64) 및 광 검출기들(66)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64)은 (예를 들어, 사용자를 산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가시 스펙트럼 밖의 광(70)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 검출기(66)는 광트랜지스터 또는 광다이오드에 기초한 광검출기(photodetector)일 수 있고, 광(70)의 파장에 민감할 수 있다. 귀(50) 또는 외부 물체(74)와 같은 다른 외부 물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주머니의 내부, 테이블 상부 등)의 부재 시, 광(70)은 자유 공간으로 이동할 것이고 검출기(66)를 향하여 반사되지 않을 것이다. 그 결과, 센서(60)의 출력은 음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귀(50) 또는 다른 외부 물체(74)의 존재 시, 외부 물체(74)로부터의 반사된 광(72)이 검출기(66)에 의해 검출될 것이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의 센서(60)의 출력은 양이 될 것이다. 광(70)(및 반사된 광(72))은 가시 광, 적외선 광, 넓은 스펙트럼 광, 좁은 스펙트럼 광(예를 들어, 20 nm 또는 5 nm 미만의 스펙트럼 폭을 갖는 광)일 수 있거나, 자외선 광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광일 수 있다.
센서(60)는 하우징 벽(40)의 일부분 뒤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하우징 벽(40)의 부분들(40D)은 하우징 벽(40)의 부분들(40W)과 상이하다. 부분들(40D)은 광(70)을 흡수할 수 있고, 따라서 반사된 신호(72)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근접 센서(60)의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외선-투명 재료들이 하우징(40) 내의 창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들(40W)은 적외선-투명 재료들(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 등)일 수 있거나, 적외선 광 투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미세천공들(예를 들어, 75 마이크로미터 미만, 50 마이크로미터 초과, 1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직경들, 또는 다른 적절한 크기들을 갖는 레이저-천공된 개구들)을 포함하는 하우징(40)의 부분들일 수 있거나, 광(70)의 투과, 및 반사된 광(72)의 투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재료 또는 구조물들일 수 있다.
광(70)의 일부는 광원(64)에 의해 방출될 때 산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경우, 구조물(68)과 같은 선택적 광 차단 구조물이 센서(60)에 통합될 수 있다. 구조물(68)은 불투명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불투명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68)은 하우징(40)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기판(62) 상의 성형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거나, 접착제 또는 다른 적절한 장착 배열들을 사용하여 기판(62)에 부착되는 부재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광 차단 구조물일 수 있다. 투명 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가 광원(64)과 하우징(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하우징(40)과 광 검출기(66)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센서(60)의 회로와 하우징(40)의 내부 표면 사이에 어떠한 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도 포함하지 않는 도 5의 예시적인 구성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센서(60)에 대한 광 투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40)의 일부분이 국부적으로 박형화된 예시적인 구성의 하우징(40) 및 센서(60)의 측단면도이다. 하우징(40)은 센서(60)와 정렬되지 않는 이어버드(24)의 영역들에서 D2의 두께를 갖는다. 센서(60)와 정렬되는 하우징(40)의 부분들에서, 하우징(40)은 국부적으로 박형화되어 D2보다 작은 두께(D1)를 갖는다. D2의 값은 450 마이크로미터이거나, 300 마이크로미터 초과, 700 마이크로미터 초과, 2 mm 미만이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두께일 수 있다. D1의 값은 150 마이크로미터이거나, 100 마이크로미터 초과, 4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두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중합체(76)(예를 들어, 적외선-투명 중합체) 또는 다른 구조물들이 기판(62)과 하우징(40)의 박형화된 부분(40T)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60)를 이어버드(24)에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장착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40) 내의 입자들 또는 다른 물질들에 의해 광(70)의 일부가 검출기(66) 내로 산란될 수 있다. 센서(60)에 의해 생성된 근접 검출기 신호로부터의 이러한 잡음의 근원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이어버드(24)의 사용 동안 또는 제조 동안에 교정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버드(24)에서의 근접 센서 데이터의 교정 및 사용에 관련된 예시적인 단계들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교정 동작들(단계(80)) 동안, 외부 물체에 의해 검출기(66)를 향해 다시 반사되기보다는 하우징(40)에 의해 검출기(66)를 향해 다시 산란되고 있는 광(70)의 양이 확인될 수 있다. 특히, 투과되기보다는 산란되는 광(70)의 양이 단계(82)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64)은 외부 물체의 부재 시 구형파(square wave) 또는 다른 적절한 변조 신호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광원(64)이 켜질 때, 검출기(66)는 하우징(40)으로부터의 산란된 광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광원(64)이 꺼질 때, 검출기(66)는 백그라운드 신호를 측정할 것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센서(60)에서의 산란된 광의 양(예를 들어, 투과된 광(70)의 양의 일부)이 결정되고, 교정 데이터로서 사용되기 위해 제어 회로(30)에 저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단계(84) 참조).
단계(86)에서, 단계(80)의 교정 동작들이 수행된 후, 이어버드(24)는 근접 센서들(S1, S2, S3, S4) 및 이어버드(24) 내의 다른 센서들 및 회로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버드(24)를 보호용 충전 케이스(예를 들어, 배터리 재충전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템(40-2) 또는 이어버드(24)의 다른 부분들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와 정합하는 커넥터를 갖는 케이스)에 보관할 수 있고, 가방 또는 의류의 주머니에 이어버드(24)를 보관할 수 있고, 이어버드(24)가 테이블 상부와 같은 표면 상에 놓이게 할 수 있고, 본체(40-1) 및/또는 스템(40-2)으로 이어버드(24)를 들고 잡을 수 있고, 이어버드(24)를 귀(50)에 삽입할 수 있고, 귀(50)에서 이어버드(24)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가능한 사용 시나리오들 각각에서, 상이한 세트의 센서들이 차단될 가능성 및 대응하는 상이한 세트의 센서들이 차단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센서들이 차단 및 차단되지 않는 시간량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상이한 시나리오들에서 달라질 것이다.
센서들은 귀(50)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케이스 또는 의류의 주머니의 일부분에 의해, 다른 안착 표면의 테이블 표면 등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S1, S2)이 양이고 센서들(S3, S4)이 음인 경우, 이어버드(24) 및 디바이스(10)는 이어버드(24)가 귀(50)에 삽입되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즉, 센서들(S1, S2)은 이제 귀(50)에 인접하게 놓여 있고, 센서들(S3, S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어버드(24)의 스템을 놓아 주었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센서들(S1, S2, S3, S4)이 모두 음인 경우, 이어버드(24)는 주머니의 내부와 같은 밀폐된 영역에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다.
가속도계(38)로부터의 가속도계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마이크로폰(36)으로부터의 정보)가 사용되어, 사용 시나리오들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로서, 가속도계(38)가 이어버드(24)가 이동이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이어버드(24)는 테이블 또는 다른 이동하지 않는 표면 상에 놓여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다. 가속도계(38)가 이어버드(24)가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이어버드(24)는 테이블 상에 놓여 있지 않다고 가정될 수 있다. 시계 데이터(예를 들어, 시간 정보, 날짜 정보 등)가 센서 데이터, 통신 상태 데이터(예를 들어, 착신 셀룰러 전화가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 및 다른 정보가 함께 사용되어, 이어버드(24) 및 디바이스(10)에 의해 어떤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88)에서, 도 1의 이어버드(24) 및/또는 디바이스(10)는 이어버드(24)의 검출된 상태에 기초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10)로의 착신 셀룰러 전화 통화에 응답하여 이어버드(24) 중 하나를 귀(50)에 방금 배치했다고 결정되는 경우, 오디오 재생은 디바이스(10)로부터 그 이어버드로 전달될 수 있다. 원격 무선 링크(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내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한 셀룰러 전화 링크)가 디바이스(10)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로컬 무선 링크(도 1의 링크(26))가 디바이스(10)와 이어버드(24) 사이에 설정되어 이어버드(24)가 오디오를 송신 및 수신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서 착신 통화가 수신될 때 이어버드(24)가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 위치되어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착신 통화는 디바이스(10)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또 다른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셀룰러 전화 통화를 핸들링하기 위해 귀(50) 내의 이어버드(24)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버드(24)와 디바이스(10) 사이의 로컬 무선 링크(링크(26))가 사용되어 디바이스(10)와 이어버드(24) 사이에서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오디오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원격 네트워크 장비와 셀룰러 전화 링크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 통화 중에 이어버드(24)를 귀(50)에서 제거하는 경우, 디바이스(10)의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는 사용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더 이상 이어버드(24)를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전화 통화가 지속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센서(S1)의 출력은 양이면서 센서들(S3, S4)은 음일 수 있는데, 이는 이어버드(24)가 귀(50) 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미디어 재생 동안, 오디오는 디바이스(10)로부터 이어버드(24)로 스트리밍되고 이어버드(24) 내의 스피커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센서들(S3, S4)은 터치 버튼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랙을 전진시키기 위해, 현재 재생중인 트랙을 일시정지하기 위해, 또는 다른 식으로 미디어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이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순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비사용된 근접 센서들은 입력 디바이스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이한 사용 상태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제어 회로(28) 및/또는 제어 회로(16)는 이어버드(24) 내의 근접 센서들 및/또는 이어버드(24) 및 디바이스(10)의 센서들 및 다른 회로 각각으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상이한 상태들에서의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상태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회로(28) 및/또는 제어 회로(16)는 센서들(S1, S2, S3, S4) 및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센서들의 출력 및 이어버드(24) 및 디바이스(10) 내의 동작 상태 정보의 소스들을 분석함으로써 도 1 시스템(예를 들어, 이어버드(24) 및/또는 디바이스(10))의 현재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96)에서, 이어버드(24)는 귀(50) 내에 있지 않다. 이어버드(24)가 사용자의 귀 외부에 있는 동안, 센서들(S1, S2, S3, S4)의 상태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S3 및 S4가 음이면서 S1 및 S2가 양이 아닌 한, 이어버드(24)는 사용자의 귀 외부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다(즉, 상태(96)). 따라서 S1, S2, S3 및 S4의 모니터링은 계속될 수 있다.
센서들(S1, S2)로부터의 양의 출력 및 센서들(S3, S4)로부터의 음의 출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어버드(24)가 도 3에 도시된 유형의 구성으로 귀(50) 내에 배치되었고 사용자는 스템(40-2)을 놓아 주었다고 잠정적으로 결론내려질 수 있다. 따라서 동작들은 라인(11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92)(귀(50) 내로의 이어버드(24)의 전이를 나타내는 상태)로 전이할 수 있다. 상태(92) 동안, 센서들(S1, S2, S3, S4)의 상태는, 센서들(S1, S2)의 양의 상태 및 센서들(S3, S4)의 음의 상태가 임계 시간량(시간(T2)) 동안 지속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T2의 값은 0.5초이거나, 0.3초 초과, 1초 미만, 또는 다른 적절한 시간 길이일수 있다. 센서들(S1, S2, S3, S4)의 출력들 중 임의의 것이 상태(92) 동안 변화하는 경우, 이어버드(24)는 귀(50) 내에 있지 않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고 동작들은 라인(112)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96)으로 다시 전이될 수 있다.
시간(T2) 동안 센서들(S1, S2)이 양을 유지하고 센서들(S3, S4)이 음을 유지하는 경우, 이어버드(24)는 귀(50) 내에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고 동작들은 라인(102)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90)로 전이될 수 있다. 상태(90)의 동작들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센서(S1)(이주 센서) 또는 센서(S2)(외이 센서)는 모니터링될 수 있고 센서들(S3, S4)의 상태는 무시될 수 있다. 이어버드(24)가 귀(50) 내에 배치된 후, 사용자는, 센서들(S3, S4)이 (예를 들어, 머리카락, 모자, 또는 다른 장애물의 존재로 인해) 양의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들(S3, S4)의 출력은 이어버드(24)의 사용 동안 이어버드(24)의 상태를 반드시 대표하는 것은 아니며, 이어버드(24)의 현재 동작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센서들을 모니터링할 때 무시될 수 있다. 센서들(S1, S2)과 같은 센서들은 사용자의 귀에 바로 인접하게 있고 따라서 이어버드(24)가 사용자의 귀 내에 있는지 여부를 대욱 대표하게 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센서(S1)는 모니터링될 수 있고 센서(S2)는 센서들(S3, S4)과 함께 무시될 수 있다(예를 들어, 센서(S1)는 이어버드(24)가 귀(50) 내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더욱 대표하는 것이므로). 원하는 경우, 상태(90) 동안 다른 센서 모니터링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S2는 모니터링되지만 S1은 모니터링되지 않는 방식들, S1 및 S2가 모니터링되는 방식들, S1 및 S2가 둘 다 모니터링되지만 동일하지 않게 가중되고/되거나 상이한 시간-의존적 필터들을 사용하여 필터링되는 방식들 등). 도 8의 상태(90)의 배열은 예시이다.
상태(90) 동안 센서(S1)는 모니터링되면서 센서들(S2, S3, S4)의 출력들은 무시되고 있는 시나리오에서, 양에서 음으로의 센서(S1)의 출력의 상태에서의 임의의 전이는 이어버드(24)가 잠재적으로 귀(50)에서 제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동작들은 라인(104)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98)로 전이할 수 있다.
상태(98)의 동작들 동안, 이어버드(24)는 귀(50) 외부로 전이되고 있다고 여겨진다. 단계(98)의 동작들 동안에 S1 센서 출력이 시간(T1)에 도달하기 전에 양으로 복귀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들은 라인(106)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90)로 다시 전이될 수 있다(즉, 이어버드(24)가 여전히 귀(50) 내에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다). T1의 값은 0.25초이거나, 1초 미만, 0.1초 초과, 또는 다른 적절한 양일 수 있다. T1의 값은 T2의 값보다 작을 수 있거나 T2의 값보다 클 수 있다. 센서(S1)의 출력이 미리결정된 임계 시간량(예를 들어, 시간(T1) 초과) 동안 음을 유지하는 경우, 이어버드(24)는 귀(50) 외부에 있다고 결론내려질 수 있고 동작들은 상태(96)로 전이될 수 있다.
도 8의 모니터링 동작들 및 분석 동작들로부터의 정보는, 단계(88)(도 7)의 동작들 동안 어떤 조치를 취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른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가속도계 출력), 셀룰러 전화 통화 상태 정보(착신 통화 존재, 현재 통화 활성 등), 및/또는 다른 통신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가, 어떤 조치를 취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들(S1, S2, S3, S4)로부터의 근접 센서 출력 정보의 사용자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하우징 내의 스피커, 하우징 내의 외이 센서, 하우징 내의 이주 센서, 및 하우징의 이동을 나타내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내의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버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이 및 이주 센서들은 광 기반 근접 센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이 및 이주 센서들은 각각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고, 각각 광 검출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벽을 포함하고, 외이 및 이주 센서들 내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들은 벽을 통과하는 적외선 광을 방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이어버드는 현재 동작 상태를 갖고, 무선 이어버드는 적어도 외이 및 이주 센서들로부터의 출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동작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가속도계로부터의 출력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동작 상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이 및 이주 센서들은 각자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고, 제1 부분은 적외선-투명 부분들을 가지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들로부터의 적외선 광은 적외선-투명 부분들을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투명 부분들은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외이 센서는 귀의 외이에서 반사된 적외선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갖고, 무선 이어버드는 제2 부분 내의 적외선 광 기반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제어 회로가 사용하는 무선 회로,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주 본체부 및 주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템부를 갖는 하우징, 주 본체부 내의 스피커, 제1 근접 센서가 귀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주 본체부 상의 제1 근접 센서, 및 스템부 상의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이어버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 본체부가 귀 내에 있을 때, 제1 근접 센서는 제1 근접 센서가 귀에 인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양의 출력을 생성하고, 제2 근접 센서는 어떠한 외부 물체도 제2 근접 센서에 인접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음의 출력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근접 센서는 광 기반 근접 센서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근접 센서는 광 기반 근접 센서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은 각각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들은 하우징을 통과하는 적외선 광을 생성하며, 이어버드는 하우징 내의 가속도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 본체부 및 주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템부를 갖는 하우징, 주 본체부 내의 스피커, 및 하우징 상의 적어도 2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이어버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들은 주 본체부 상의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 및 스템부 상의 제3 및 제4 근접 센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들은 주 본체부 상의 적어도 제1 근접 센서 및 스템부 상의 적어도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이어버드는 가속도계, 및 주 본체부가 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로부터의 출력들을 분석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이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가속도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제1 근접 센서가 귀가 제1 근접 센서에 인접해 있음을 나타내는 양의 출력을 가지면서, 적어도 제2 센서가 어떠한 외부 물체도 제2 센서에 인접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음의 출력을 가질 때, 제어 회로는 주 본체부가 귀에 삽입되었다고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근접 센서들은 각각 하우징을 통과하는 적외선 광을 방출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고, 각각 광 검출기를 갖는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2)

  1. 무선 이어 버드로서,
    주 본체부(main body portion) 및 상기 주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템부(stem portion)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주 본체부 내의 스피커;
    제1 센서 출력을 생성하는 상기 주 본체부 내의 제1 센서;
    제2 센서 출력을 생성하는 상기 스템부 내의 제2 센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 출력을 사용해 사용자의 귀에 상기 이어 버드가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센서 출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센서 출력을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 버드.
  2. 제1항에 있어서,
    제3 센서 출력을 생성하는 상기 주 본체부 내의 제3 센서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3. 제2항에 있어서,
    제4 센서 출력을 생성하는 상기 스템부 내의 제4 센서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4 센서 출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3 센서 출력을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 버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3 및 제4 센서 출력을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귀에 상기 이어 버드가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무선 이어 버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이주(tragus)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서는 외이(concha)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주 및 외이 센서들은 광 기반 근접 센서들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주 및 외이 센서들은 각각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 및 광 검출기를 구비하는, 무선 이어 버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벽을 포함하고,
    상기 이주 및 외이 센서들 내의 상기 적외선 LED들은 상기 벽을 통과하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무선 이어 버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11. 이어 버드로서,
    제어 회로;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는데 상기 제어 회로가 사용하는 무선 회로;
    사용자의 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부분 내의 스피커;
    상기 제1 부분 내의 제1 근접 센서;
    상기 제2 부분 내의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근접 센서가 덮히고(cover) 상기 제2 근접 센서가 덮히지 않게(uncover) 되었을 때 상기 이어 버드가 사용자의 귀 내에 위치되었다고 결정하는, 이어 버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근접 센서는 광-기반 근접 센서들인, 이어 버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근접 센서는 각각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적외선을 생성하는 적외선 LED를 포함하는, 이어 버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부분은 세장형 스템을 포함하는, 이어 버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센서는 제1 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는 제2 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출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1 출력을 사용해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어 버드.
  16. 무선 이어 버드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의 스피커;
    제1 광-기반 센서 - 상기 제1 광-기반 센서는 상기 제1 광-기반 센서가 덮혔는지 덮히지 않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1 출력을 생성함 - ;
    제2 광-기반 센서 - 상기 제2 광-기반 센서는 상기 제2 광-기반 센서가 덮혔는지 덮히지 않게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2 출력을 생성함 - ; 및
    제어 회로 -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광-기반 센서가 덮히고 상기 제2 광-기반 센서가 덮히지 않게 되었을 때 상기 이어 버드가 사용자의 귀 내에 위치되었다고 결정함 -
    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출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1 출력을 사용해서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상기 이어 버드가 제거되었다고 결정하는, 무선 이어 버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주 본체부와 스템부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반 센서는 상기 주 본체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기반 센서는 상기 스템부 내에 위치하는, 무선 이어 버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반 센서는 이주(tragus) 센서와 외이(concha) 센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 버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귀를 향해 있고(face), 상기 제2 광-기반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face away), 무선 이어 버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이어 버드.
KR1020197013406A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KR102071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33848P 2015-09-28 2015-09-28
US62/233,848 2015-09-28
US15/270,445 US10117012B2 (en) 2015-09-28 2016-09-20 Wireless ear buds with proximity sensors
US15/270,445 2016-09-20
PCT/US2016/052767 WO2017058590A1 (en) 2015-09-28 2016-09-21 Wireless ear buds with proximity senso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167A Division KR101978903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360A Division KR102189171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296A KR20190053296A (ko) 2019-05-17
KR102071684B1 true KR102071684B1 (ko) 2020-01-31

Family

ID=584076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406A KR102071684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KR1020187008167A KR101978903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KR1020207002360A KR102189171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167A KR101978903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KR1020207002360A KR102189171B1 (ko) 2015-09-28 2016-09-21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117012B2 (ko)
EP (2) EP3799442A1 (ko)
JP (2) JP6766137B2 (ko)
KR (3) KR102071684B1 (ko)
CN (2) CN108141657B (ko)
HK (1) HK1253214A1 (ko)
WO (1) WO20170585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24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4287A1 (en) 2014-04-21 2015-10-29 Uqmartyne Management Llc Wireless earphone
DE102015219310B4 (de) * 2015-10-06 2019-11-21 Sivantos Pte. Ltd. Hörgerät mit einem Ohrstück
US20170325718A1 (en) * 2016-05-12 2017-11-16 Bragi GmbH Neuropathic Diagnosis and Monitoring Using Earpiece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349259B2 (en) * 2016-09-23 2019-07-09 Apple Inc.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455313B2 (en) * 2016-10-31 2019-10-22 Bragi GmbH Wireless earpiece with force feedback
JP2020520198A (ja) * 2017-05-16 2020-07-02 ジーエヌ ヒアリング エー/エスGN Hearing A/S 音生成物体の装着者の耳の間の距離を決定する方法と、耳装着音生成物体
KR102275040B1 (ko) * 2017-05-19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류소모 제어방법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10257602B2 (en) 2017-08-07 2019-04-09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infrared technology
US10334347B2 (en) * 2017-08-08 2019-06-25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capacitive technology
US11307661B2 (en) 2017-09-25 2022-04-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ctuators for producing haptic and audio output along a device housing
US11323803B2 (en) 2018-02-23 2022-05-03 Sony Corporation Earphone, earphone system, and method in earphone system
US10728646B2 (en) * 2018-03-22 2020-07-28 Apple Inc. Earbud devices with capacitive sensors
US10771884B2 (en) * 2018-04-05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herent self-mixing proximity sensors
CN108847012A (zh) * 2018-04-26 2018-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0413134B (zh) * 2018-04-26 2023-03-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佩戴状态检测方法及相关设备
US11029442B2 (en) * 2018-04-27 2021-06-08 Apple Inc. Self-mixing optical proximity sensors for electronic devices
CN208434085U (zh) * 2018-06-05 2019-01-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
US10757491B1 (en) 2018-06-11 2020-08-25 Apple Inc. Wearable interactive audio device
CN108848429A (zh) * 2018-06-15 2018-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收发设备的配对连接方法和无线收发设备
USD879075S1 (en) 2018-07-11 2020-03-24 Google Llc Earbud stand assembly
US20200077176A1 (en) * 2018-08-29 2020-03-05 Soniphi Llc Earbuds With Capacitive Touch Modality
US10924868B2 (en) 2018-08-29 2021-02-16 Soniphi Llc Earbuds with scalar coil
JP7128360B2 (ja) * 2018-08-29 2022-08-30 ソニフィ エルエルシー 向上した特徴を有するイヤホン
US20200075272A1 (en) 2018-08-29 2020-03-05 Soniphi Llc Earbud With Rotary Switch
US11334032B2 (en) 2018-08-30 2022-05-17 Apple Inc. Electronic watch with barometric vent
US11070904B2 (en) 2018-09-21 2021-07-20 Apple Inc. Force-activated earphone
US11463797B2 (en) * 2018-09-21 2022-10-04 Apple Inc. Force-activated earphone
US10908428B2 (en) * 2018-09-25 2021-02-02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ple-device system with multiple power and data configurations
EP3855757B1 (en) * 2018-09-25 2023-03-22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Earphon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wearing detection and touch operation
US11561144B1 (en) 2018-09-27 2023-01-2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fluid-based pressure sensing
US11025084B2 (en) * 2018-10-23 2021-06-01 Google Llc Dynamic adjustment of charging voltage supplied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US10631363B1 (en) 2018-10-23 2020-04-21 Google Llc Two stage role switch for fully wireless earbuds
US11191024B2 (en) 2018-11-08 2021-11-30 Google Llc Method for power-saving for wirelessly paired devices
CN113170261B (zh) 2018-11-27 2022-06-07 谷歌有限责任公司 自动切换活动麦克风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462551B1 (en) * 2018-12-06 2019-10-29 Bose Corporation Wearable audio device with head on/off state detection
US11202334B2 (en) 2018-12-12 2021-12-14 Google Llc Detecting conditions to trigger role switch
CN113196800B (zh) 2018-12-13 2023-06-23 谷歌有限责任公司 无线头戴式耳机的混合麦克风
US10491981B1 (en) * 2018-12-14 2019-11-26 Apple Inc. Acoustic in ear detection for a hearable device
JP7070997B2 (ja) * 2019-03-11 2022-05-1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イヤホン、イヤホンの制御装置、およびイヤホンの制御方法
CN114399015A (zh) 2019-04-17 2022-04-26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JP7290459B2 (ja) * 2019-05-16 2023-06-13 ローム株式会社 ステレオイヤホン及び判定装置
US11422638B2 (en) 2019-07-08 2022-08-23 Apple Inc. Input devices that use self-mixing interferometry to determine movement within an enclosure
US10827246B1 (en) * 2019-07-23 2020-11-03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CN110278509A (zh) * 2019-07-26 2019-09-24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CN110381407A (zh) * 2019-07-29 2019-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及其佩戴检测系统及方法
CN110418236A (zh) * 2019-08-16 2019-11-05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佩戴检测装置、方法及tws耳机
CN110418237B (zh) * 2019-08-20 2020-11-10 深圳市科奈信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中光学传感器的校准方法及蓝牙耳机
US11409365B2 (en) * 2019-09-06 2022-08-09 Apple Inc. Self-mixing interferometry-based gesture input system including a wearable or handheld device
KR20210034200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통신 링크 관리 방법
US11419546B2 (en) 2019-09-24 2022-08-23 Apple Inc. Wearable self-mixing interferometry device used to sense physiological conditions
CN110677764A (zh) * 2019-10-29 2020-01-1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tws耳机及其入耳检测方法
US11310322B2 (en) 2019-11-21 2022-04-1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a chassis and container in an asset tracking system
CN111106821B (zh) * 2019-12-04 2023-12-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控制方法及穿戴设备
CN111314813B (zh) * 2019-12-31 2022-06-21 歌尔科技有限公司 无线耳机及其出入盒检测方法以及存储介质
KR20210100928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착용 감지 방법
KR20210101689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 운용 방법
CN111356054A (zh) * 2020-03-13 2020-06-30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耳机的音频播放的控制方法及系统
US11228853B2 (en) 2020-04-22 2022-01-18 Bose Corporation Correct donning of a behind-the-ear hearing assistance device using an accelerometer
KR20220011019A (ko) * 2020-07-20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향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42513B1 (ko) * 2020-07-23 2021-12-23 (주)실리콘인사이드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US20230408308A1 (en) * 2020-10-01 2023-12-21 Sony Group Corporatio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02019276D0 (en) 2020-12-08 2021-01-20 Ams Int Ag Wireless earbuds
KR20220098629A (ko) * 2021-01-04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와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74129B1 (ko) * 2021-02-25 2022-12-05 (주)아이센 무선 이어폰용 착용센서 및 그 구동 방법
WO2022196332A1 (ja) * 2021-03-18 2022-09-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CN114143652A (zh) * 2021-11-26 2022-03-04 歌尔科技有限公司 Tws耳机佩戴状态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9724A1 (en) * 2012-04-19 2013-10-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uto detection of headphone orientation
JP2014146978A (ja) * 2013-01-29 2014-08-14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音出力装置および音信号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5997A (ja) * 1995-01-18 1996-07-30 Sony Corp 音響再生装置
JPH11220788A (ja) * 1998-01-29 1999-08-10 Satoshi Ito 押しボタン付き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US6738485B1 (en) * 1999-05-10 2004-05-18 Peter V. Boes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ltra short range communication
JP2002009918A (ja) * 2000-06-22 2002-01-11 Sony Corp 送受話装置および受話装置
DE102004019353B3 (de) 2004-04-21 2005-09-1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gerät mit einer Bedieneinrichtung
WO2008039921A2 (en) * 2006-09-27 2008-04-03 Huntington Medical Research Institutes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DK1931168T3 (da) * 2006-12-04 2012-05-14 Sennheiser Comm As Headset med svingelige dele
US8652040B2 (en) * 2006-12-19 2014-02-18 Valencell, Inc. Telemetric apparatus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US7805171B2 (en) 2007-03-06 2010-09-28 Motorola Mobility, Inc. Ear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8259984B2 (en) * 2007-06-29 2012-09-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eadset with on-ear detection
US8655004B2 (en) * 2007-10-16 2014-02-18 Apple Inc. Sports monitoring system for headphones, earbuds and/or headsets
US20090245532A1 (en) * 2008-03-26 2009-10-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eadset
US8700111B2 (en) * 2009-02-25 2014-04-15 Valencell, Inc. Light-guiding devices and monitoring devices incorporating same
JP2012079082A (ja) * 2010-10-01 2012-04-19 Sony Corp 入力装置
US9237393B2 (en) 2010-11-05 2016-01-12 Sony Corporation Headset with accelerometers to determine direction and movements of user head and method
JP2014143451A (ja) * 2011-05-10 2014-08-07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ステレオヘッドホン装置
US20130114823A1 (en) 2011-11-04 2013-05-09 Nokia Corporation Headset With Proximity Determination
US8805452B2 (en) 2012-01-25 2014-08-12 Plantronics, Inc. Conductive ear flange for extending the range of a sensor in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468763Y1 (ko) * 2012-02-07 2013-09-02 성국신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US20130322646A1 (en) 2012-06-05 2013-12-05 Motorola Mobility, Inc. Mintiurization Rotational Switch Actuation
US9648409B2 (en) 2012-07-12 2017-05-09 Apple Inc. Earphones with ear presence sensors
US9344792B2 (en) 2012-11-29 2016-05-17 Apple Inc. Ear presence detection in noise cancelling earphones
CN104085109B (zh) 2014-07-03 2016-05-04 青岛金石塞岛投资咨询服务有限公司 手绘输入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US9491880B2 (en) 2014-08-12 2016-11-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ircuit assembly for compact acoustic device
CN104185109A (zh) * 2014-09-01 2014-12-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系统及耳机及电子装置及控制方法
CN104469588B (zh) * 2014-11-28 2019-04-16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以及可穿戴设备
US10003881B2 (en) 2015-09-30 2018-06-19 Apple Inc. Earbuds with capacitive touch sensor
US10291975B2 (en) 2016-09-06 2019-05-14 Apple Inc. Wireless ear bu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9724A1 (en) * 2012-04-19 2013-10-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Auto detection of headphone orientation
JP2014146978A (ja) * 2013-01-29 2014-08-14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音出力装置および音信号生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324A1 (en) * 2020-02-10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 wearable device
US11425484B2 (en) 2020-02-10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2178A1 (en) 2018-07-04
KR102189171B1 (ko) 2020-12-09
US10117012B2 (en) 2018-10-30
CN111510809A (zh) 2020-08-07
EP3799442A1 (en) 2021-03-31
EP3342178B1 (en) 2020-11-25
CN111510809B (zh) 2022-05-13
JP2018534844A (ja) 2018-11-22
JP2020202586A (ja) 2020-12-17
CN108141657B (zh) 2020-04-17
US11109136B2 (en) 2021-08-31
JP7001779B2 (ja) 2022-01-20
KR20180042384A (ko) 2018-04-25
US20190058937A1 (en) 2019-02-21
KR20200011607A (ko) 2020-02-03
US20230247341A1 (en) 2023-08-03
KR101978903B1 (ko) 2019-05-15
KR20190053296A (ko) 2019-05-17
JP6766137B2 (ja) 2020-10-07
CN108141657A (zh) 2018-06-08
US20170094389A1 (en) 2017-03-30
US11711643B2 (en) 2023-07-25
HK1253214A1 (zh) 2019-06-14
WO2017058590A1 (en) 2017-04-06
US20210281941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684B1 (ko) 근접 센서를 갖는 무선 이어버드
KR102101115B1 (ko) 무선 이어 버드
US10524040B2 (en) Headphones with orientation sensors
US10412478B2 (en) Reproduction of ambient environmental sound for acoustic transparency of ear canal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652644B2 (en) Ear tip designed to enable in-ear detect with pressure change in acoustic volume
CN108810693B (zh) 一种可穿戴设备及其设备控制装置、方法
US20190098390A1 (en) Earbuds With Capacitive Sensors
US8788077B2 (en) Designer control devices
US9344792B2 (en) Ear presence detection in noise cancelling earphones
EP3627854B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nd hearing system comprising two hear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