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672B1 - 조명식 도로 표지판 - Google Patents

조명식 도로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672B1
KR102071672B1 KR1020190047227A KR20190047227A KR102071672B1 KR 102071672 B1 KR102071672 B1 KR 102071672B1 KR 1020190047227 A KR1020190047227 A KR 1020190047227A KR 20190047227 A KR20190047227 A KR 20190047227A KR 102071672 B1 KR102071672 B1 KR 10207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eight
light emitting
displa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흥이지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흥이지, 유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흥이지
Priority to KR102019004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Abstract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주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명식 도로 표지판{ROAD SIGN BOARD}
본 발명은 조명식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주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판은 이정표로서 운전자에게는 차량의 안전 운행, 보행자에게는 정확한 도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로의 기점, 종점, 중간 경과지,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을 이용하여 진행방향 및 안내 표시를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표지판을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도로에 따라 소정의 색상이 착색된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에 도로의 방향 즉 교차로의 형상을 표지하는 방향 표시(20)와 지명을 표지하기 위한 지명 표시(30)가 백색의 반사지(Reflective Sheet)를 통해 부착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의 방향 정보와 지명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운전자에게 도로의 방향 정보와 지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부착된 반사지는 유리구슬을 수지 필름의 내부에 봉입한 일반 반사지와, 수지 필름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시켜 유리구슬이 공기층에 노출되도록 한 고휘도(HighIntensity) 반사지와, 미세한 입방체 입자를 이용한 초고휘도(Super High Intensity) 반사지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반사지는 설치지점의 주변환경, 내구성, 시인성, 판독성, 경제성, 반사성능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되 일반적으로 교통량이 많거나 고속주행이 가능한 도로에서는 반사지의 밝기가 큰 것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휘도가 높은 반사지 일수록 가격이 상승되어 도로 표지판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지는 그 특성상 광원이 있어야만 전달하고자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인 도로표지판은 도로의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설치되어 차량 전조등의 광원이 반사지에 입사하지 못하면 시인성이 저하되어 야간의 경우 운전자가 표지판을 거의 볼 수 없었으며, 우천에 의한 결로, 안개 등의 악천후시 시인성 저하 및 재귀반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사지를 이용하여 표지판을 제조하는 경우 반사지를 접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바탕색상의 반사지를 부착하는 경우만 허용되며 이 경우 윗 부분과 아래 부분을 5mm 이상 겹치도록 해야만 하고, 조각난 반사지는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자원의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조명식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표지판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표시부만 환하게 조명되고 그 주변은 빛의 투과를 어렵게 하는 어두운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써 표시부를 보다 밝은 상태로 부각시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표지판의 시인성 증대로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식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도로변에 세워지는 지주에 고정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로의 기점, 종점, 중간 경과지,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 및 안내 표시를 하는 조명표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명표지판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사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투광패널과, 상기 투광패널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시시트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투광패널에 부착되는 고휘도 반사지와, 상기 프레임에 내삽되어, 상기 투광패널로 빛을 측광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PCB로 이루어지는 발광수단과, 상기 투광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시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표시시트의 개구부 측으로 조사하는 도광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시트에는 상기 발광수단에서 조사하는 빛을 표시시트 측으로 굴절 반사시키기 위한 굴절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굴절반사부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삼각프리즘패턴, 단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돗드프리즘패턴, 단면이 다각형의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피라미드프리즘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리즘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메틸파라벤 1.0중량%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와, PEBAX(Polyether-block-amide) 4.5중량%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4.5중량%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1.5중량%와, 과붕산나트륨은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스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표지판은 조명표지판의 전방에서 투입되어 기판에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기판의 젼면에 부착되게 구성되고, 상기 조명표지판의 테두리 및 나사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씰링재가 개재되는데, 씰링재는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압축 성형한 후 그 둘레면을 그물망사로 막아 일정치수가 되게 가공된 BWS(Bentonite Water Stop)로 제조되되, 씰링재는 소디움 벤토나이트에 클로로프렌 고무 7.5중량%와,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2.5중량%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2.5중량%를 더 혼합하여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도광시트에 형성된 굴절반사부를 통해 조명표지판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표시부만 환하게 조명되고 그 주변은 빛의 투과를 어렵게 하는 어두운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써 표시부를 보다 밝은 상태로 부각시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표지판의 시인성 증대로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사지를 이용하여 도로의 방향과 지명이 표시되는 도로 표지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명표지판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조명포지판의 결합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도광시트에 형성된 굴절반사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100)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도로변에 세워지는 지주(10)에 고정되는 기판(200)과, 상기 기판(200)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로의 기점, 종점, 중간 경과지,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 및 안내 표시를 하는 조명표지판(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200)은 금속 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만들어지며, 지주(10)로 부터 연장되는 브라켓(15)에 미도시된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표지판(300)은 상기 기판(200)의 표면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부착된다. 즉, 표시부를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에 따라 조명표지판(300)을 형성하여 기판(100)의 표면에 부착 결합되게 구성된다.
좀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표지판(300)은 상기 기판(200)의 표면에 부착되는 사각의 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임(310)은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한 쌍의 가로 프레임(311)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312)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하나의 사각의 프레임(31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10)에는 후술하는 발광수단(350) 및 상기 발광수단(35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이 내설될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케이블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0)의 내부에는 투광패널(32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310)이 상기 투광패널(320)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하나의 사각 프레임(3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광패널(320)은 유리, 아크릴 등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술하는 발광수단(350)에서 발산되는 빛을 관통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투광패널(320)은 유리보다는 가볍고 파손의 위험이 적은 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광패널(320)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331)가 형성되는 표시시트(33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표시시트(330)는 불투과성 시트지로 구성되어 접착제를 통해 투광패널(320) 전면에 부착되며,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이 천공되어 개구부(331)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시트(330)는 투광패널(320)이 개구부(331)가 형성된 부분만 노출되고 나머지 영역은 표시시트(330)에 의해 전부 덮이도록 투광패널(320)에 접합된다. 이런 접합에 의해, 후술하는 발광수단(350)에서 발산되는 빛은 이 개구부(331)를 통해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31)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투광패널(320)에 부착되는 고휘도 반사지(340)가 구성된다. 즉, 상기 고휘도 반사지(340)는 외부의 광원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이상의 반사 성능을 가지는 반사 시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0)에 내삽되어, 상기 투광패널(320)로 빛을 측광 조사하는 발광소자(351) 및 상기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PCB(352)로 이루어지는 발광수단(3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350)이 프레임(310)에 구비됨에 따라 측면조사방식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51)는 LED로 이루어져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350)의 전원으로는 어떠한 형태의 전원도 사용될 수 있지만, 도로변에 설치되는 표지판의 특성상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20)가 발광수단(350)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광패널(320)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시트(3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35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표시시트의 개구부(330) 측으로 조사하는 도광시트(36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시트는 상기 투광패널(350)의 후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시트의 개구부(331)의 후측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시트의 개구부(331)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310) 내측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측면에서 발광되는 발광수단(350)의 빛은 상기 도광시트(360)에 의해 전방으로 발광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표시시트의 개구부(331)만 발광되고, 표시시트의 개구부(331)가 구비되지 않는 부분은 발광되지 않아 표지판의 식별성을 높여 시인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시트(360)에는 상기 발광수단(350)에서 조사하는 빛을 표시시트(330) 측으로 굴절 반사시키기 위한 굴절반사부(3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굴절반사부(361)는 도광시트(360)의 측면에서 내부로 입사되는 빛을 상기 표시시트의 개구부(331)를 향해 굴절 반사시키 위해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굴절반사부(361)는 단면이 삼각형이나 반구형 또는 다각형의 피라미드형 등 여러 프리즘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좀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서는 상기 굴절반사부(361)가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시트(360) 전면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요입된 상태로 형성된 삼각프리즘패턴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a 및 도 8b에서는 상기 굴절반사부(361)가 단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360)의 전면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요입된 상태로 형성된 돗드프리즘패턴 형태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9a 및 도 9b에서는 상기 굴절반사부(361)가 단면이 다각형의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360)의 전면에 돌출되거나 또는 요입된 상태로 형성된 피라미드프리즘패턴 형태의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시트(360)의 측면에서 내부로 입사되는 불빛이 도광시트의 내부를 직진으로 통과하게 될 때에는 반사량이 매우 적은 상태이므로 표시시트(330)의 개구부(331)로 투과가 어려운 상태가 되는 반면에, 상기 도광시트(360)의 측면에서 입사되어 굴절반사부(361)에서 집중적으로 굴절 반사되는데, 이때 상기 굴절반사부(361)에서 굴절 반사되는 불빛은 도광시트(36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시트의 개구부(331) 부분을 향해 집중적으로 굴절 반사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굴절반사부(361)에서 굴절 반사된 빛이 표시시트(330)에 형성된 개구부(331)를 통해 집중 출력되어 개구부(331)는 매우 밝은 상태로 조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310)을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조할 경우, 투광패널(320)과 접촉되는 프레임의 대응부위가 고정구조체를 뛰어 넘어 자체 접착기능도 함께 구현되게 하여 고정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특수한 수지조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수지조성물은 메틸파라벤 1.0중량%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와, PEBAX(Polyether-block-amide) 4.5중량%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4.5중량%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1.5중량%와, 과붕산나트륨은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스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틸파라벤은 방부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초기에 넓은 접착면적을 가지면서 피착제와의 친화력을 증대시켜 결합부재(20)로 성형되었을 때 스티키성을 유지시켜 접착력을 보지(保持)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을 형성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보하여 인장력을 유지시키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접착력을 일부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은 액상의 고성능 분산제로서 조색성 및 점도안정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에서는 성형시 비균일 분산에 따른 핀홀 생성, 주름 발생, 줄무늬 생성을 억제하고, 연신불량을 막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Glutaral Concentrate)는 독성을 제거하고 조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과붕산나트륨은 도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과 결합하여 화학적 반응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조성물이 완전하게 고화된 채 부착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기 위해 첨가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강도와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구현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310)는 단순한 고정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결과 함께 접착성, 즉 스티키성을 발현시켜 프레임(310)과 투광패널(320) 사이의 계면에서의 접착성도 나타나게 되므로 고정안정성이 더욱 더 증가되게 되며, 체결부위에서의 수밀성도 높아져 방수기능도 자연스럽게 구현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표지판은 조명표지판(300)의 전방에서 투입되어 기판(200)에 체결되는 나사(S)를 통해 기판의 젼면에 부착되게 구성되고, 상기 조명표지판(300)의 테두리 및 나사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씰링재(400)가 개재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씰링재(400)는 BWS(Bentonite Water Stop, 벤토나이트 수팽창 지수재)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BWS는 물과 접촉하였을 때 체적의 16배에 달하는 고팽창성을 지닌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압축 성형한 후 그 둘레면을 그물망사로 막아 일정치수가 되게 가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BWS는 독특한 수화팽창 능력 때문에 계면에서의 씰링성을 강화시키게 되는데, 예컨대 물과 접촉하는 순간 급속히 팽창하면서 완벽한 씰링성을 유지하게 된다.
나아가, 수화팽창에 의해 1차적인 지수(止水) 기능을 수행하면서 계면에 생긴 균열이나 공극이 있을 경우 균열과 공극까지 채워지면서 씰링하는 자체 보수(Self-Sealing) 기능까지 구현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씰링재(400)는 성형되는 소디움 벤토나이트는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않으면서 점결시키는 점결성이 있으므로 연성과 내구성 및 압축변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소디움 벤토나이트에 클로로프렌 고무 7.5중량%와,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2.5중량%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2.5중량%를 더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클로로프렌 고무는 친수성 고분자로 성형성을 좋게 하면서 압축시 변형력을 좋게 하고, 탄성력이 있어 변형시 끊어짐을 방지하여 완벽한 씰링 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C4H4O4)은 입자간 엉김현상을 방지하고 분산안정성을 부여하며, 인장력과 굴곡강도를 향상시켜 압축 변형을 쉽게 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폴리아미드아민은 내열, 내한성을 유지하면서 지수기능을 강화시키는데 유리한 작용을 하므로 첨가한다.
또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을 형성하고 조명을 도로 표지판의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의 표시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도광시트에 형성된 굴절반사부를 통해 조명표지판에서 안내하고자 하는 표시부만 환하게 조명되고 그 주변은 빛의 투과를 어렵게 하는 어두운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써 표시부를 보다 밝은 상태로 부각시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표지판의 시인성 증대로 교통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식 도로 표지판은 기존 설치된 기판에 본 발명의 조명표지판만을 설치하면 조명식 도로 표지판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식 도로 표지판을 설치할 때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 기판 300: 조명표지판
310: 프레임 320: 투광패널
330: 표시시트 331: 개구부
340: 고휘도 반사지 350: 발광수단
360: 도광시트 400: 씰링재

Claims (4)

  1. 도로변에 세워지는 지주에 고정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로의 기점, 종점, 중간 경과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용도에 따라 문자, 기호 및 도형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진행 방향 및 안내 표시를 하는 조명표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명표지판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사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투광패널과,
    상기 투광패널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표시시트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투광패널에 부착되는 고휘도 반사지와,
    상기 프레임에 내삽되어, 상기 투광패널로 빛을 측광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PCB로 이루어지는 발광수단과,
    상기 투광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표시시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표시시트의 개구부 측으로 조사하는 도광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메틸파라벤 1.0중량%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와, PEBAX(Polyether-block-amide) 4.5중량%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5.5중량%와, 폴리카르복시산소다염 4.5중량%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1.5중량%와, 과붕산나트륨은 2.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스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시트에는 상기 발광수단에서 조사하는 빛을 표시시트 측으로 굴절 반사시키기 위한 굴절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굴절반사부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삼각프리즘패턴, 단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돗드프리즘패턴, 단면이 다각형의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광시트의 이면에서 돌출되거나 요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피라미드프리즘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리즘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표지판은 조명표지판의 전방에서 투입되어 기판에 체결되는 나사를 통해 기판의 젼면에 부착되게 구성되고,
    상기 조명표지판의 테두리 및 나사가 체결되는 부분에는 씰링재가 개재되는데,
    씰링재는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압축 성형한 후 그 둘레면을 그물망사로 막아 일정치수가 되게 가공된 BWS(Bentonite Water Stop)로 제조되되,
    씰링재는 소디움 벤토나이트에 클로로프렌 고무 7.5중량%와, 트랜스-1,2-에틸렌 디카르복실산 2.5중량%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2.5중량%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2.5중량%를 더 혼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식 도로 표지판.
KR1020190047227A 2019-04-23 2019-04-23 조명식 도로 표지판 KR10207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7A KR102071672B1 (ko) 2019-04-23 2019-04-23 조명식 도로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227A KR102071672B1 (ko) 2019-04-23 2019-04-23 조명식 도로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672B1 true KR102071672B1 (ko) 2020-01-30

Family

ID=6932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227A KR102071672B1 (ko) 2019-04-23 2019-04-23 조명식 도로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18B1 (ko) * 2023-07-25 2024-02-21 기동안전(주) 내부 조명식 도로표지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225A (ko) * 2009-11-26 2011-06-01 이선우 도로 표지판
KR101077921B1 (ko) * 2011-03-23 2011-10-31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Led 내부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1629914B1 (ko) * 2015-02-02 2016-06-14 주식회사 비바아트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225A (ko) * 2009-11-26 2011-06-01 이선우 도로 표지판
KR101077921B1 (ko) * 2011-03-23 2011-10-31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Led 내부조명식 도로표지판
KR101629914B1 (ko) * 2015-02-02 2016-06-14 주식회사 비바아트 국부 발광형 도로 표지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18B1 (ko) * 2023-07-25 2024-02-21 기동안전(주) 내부 조명식 도로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7833B1 (en) High-luminous-pattern display apparatus
KR102175983B1 (ko) 우회전 신호등이 일체로 형성된 횡단보도용 신호등
KR10231253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표지판
JP3326338B2 (ja) 発光式標識板
KR102044783B1 (ko) 면발광 조명식 도로 표지판
KR102071672B1 (ko) 조명식 도로 표지판
JP2010002650A (ja) 自己発光型道路標識板
WO2016019852A1 (zh) 标志、标牌照明装置与方法和系统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JPH11283424A (ja) 照明装置
CN214783424U (zh) 标志牌组件和太阳能全透式led发光标志牌
JP2014084679A (ja) 道路標識
US20240135841A1 (en) Signboard assembly and fully transparent solar led luminous signboard
CN210627802U (zh) 一种遮光面板式自发光指示牌
JP2003043957A (ja) Ledを用いた標識表示装置
KR101450240B1 (ko) 발광형 도로 표지판
JPH1181254A (ja) 発光式情報表示装置
CN210005819U (zh) 一种直下式发光模块
CN213142838U (zh) 一种智能化led交通标志板
CN212208833U (zh) 一种增强型反光牌装置
CN220013454U (zh) 一种可夜间发光的交通标志
CN210627800U (zh) 一种自发光指示牌
CN211264869U (zh) 一种便于维修的自发光标志牌
CN215067391U (zh) 主动发光逆反射膜
KR100210600B1 (ko) 휘도를 증가시킨 도로 교통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