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187B1 -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187B1
KR102071187B1 KR1020190090743A KR20190090743A KR102071187B1 KR 102071187 B1 KR102071187 B1 KR 102071187B1 KR 1020190090743 A KR1020190090743 A KR 1020190090743A KR 20190090743 A KR20190090743 A KR 20190090743A KR 102071187 B1 KR102071187 B1 KR 10207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position adjusting
rfid
tag information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석
유인종
Original Assignee
박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석 filed Critical 박봉석
Priority to KR102019009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를 비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 외에도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반사파의 악영향을 줄이면서 해당 태그에의 입력 확실성을 제고하기 위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RFID 인쇄기의 케이스(10)에 고정 장착되는 본체부(130); 상기 본체부(130)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슬라이딩부(170);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결합되되,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결합되되,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테나부(110); 및 상기 안테나부(110)를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하 위치조절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An apparatus for recording RFID tag information}
본 발명은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 모듈이 좌우 및 전후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이 내장된 RFID 태그를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 및 처리하는 기술로서,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어 바코드 대체기술로 평가받으며 그 활용범위와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소량의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 RFID 리더 등의 입력수단으로 원하는 태그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나, 다수의 생산물품이나 관리물품에 부착하여 이용되기 위한 다량의 RFID 태그의 경우 태그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소요가 크기 때문에, 각 RFID 태그를 스티커 형태로 RFID 롤지에 부착하고 이 RFID 롤지를 RFID 프린터나 RFID 발행설비 등의 RFID 발행장치에 투입하여 각 RFID 태그별로 연속적인 정보입력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RFID 발행장치는 공급되는 각 RFID 태그에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원하는 태그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내부에는 상기 RFID 태그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RFID 태그에서 송출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모듈이 포함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가 장착되어 RFID 태그에 원하는 태그정보를 입력할 수 있었다.
또한, RFID 태그의 경우 사용되는 용도, 사용환경 및 부착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각 제조사의 안테나 형상 등 여러가지 가변요소로 인해 다양한 신호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안테나모듈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최적 인식거리가 RFID 태그의 종류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내에서 상기 안테나모듈의 장착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공급되는 RFID 태그의 크기나 내부의 안테나 형상에 따라 RFID 태그의 인식위치가 다를 경우 RFID 태그의 공급시작위치에서 고정된 안테나모듈 위치로 각 RFID 태그를 전,후로 이동시켜 각기 다른 최적의 위치에서만 정보입력이 가능하였고, 대부분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경우 태그정보 입력이 가능한 RFID 태그가 한정되어 있어 호환성 및 범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테나모듈의 위치가 고정되어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내에서 태그정보 입력을 위해 RFID 태그의 위치를 앞,뒤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동간 발생하는 마찰,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내부의 안테나 패턴 및 메모리칩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공급되는 RFID 태그의 종류 또는 신호특성에 따라 각 RFID 태그로의 정보입력을 위한 최적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로 안테나모듈을 이동시켜 RFID 태그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태그정보의 입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호환성 및 범용성을 갖는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었는바, 이러한 목적으로 제안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대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589880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는, RFID 프린터나 RFID 발행설비 등의 RFID 발행장치(10)에 장착되어 RFID 롤지(21)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각 RFID 태그(20)에 태그정보를 입력하되, 이송된 RFID 태그(20)의 종류 또는 신호특성에 따라 해당 RFID 태그(20)로의 정보입력을 위한 최적위치(P)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위치(P)로 안테나모듈(120)을 위치이동시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정보 입력장치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 안테나모듈(120), 모듈이동부(140,15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RFID 발행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전면에는 태그정보 입력이 완료된 RFID 태그(20)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태그배출구(12)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RFID 태그(20)가 RFID 롤지(21)에 부착된 상태로 권선되어 정보입력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RFID 태그 롤(16)이 배치된 프린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태그배출구(12)와 근접된 하부위치에는 RFID 태그롤(16)로부터 이송되는 RFID 롤지(21)를 감아들이면서 태그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래튼(13,Platen)이 배치되고, 상부 위치에는 정보입력이 완료된 RFID 태그(20)의 외부면에 소정의 광학코드 또는 넘버링 등의 개별코드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헤드(14)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의 RFID 발행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를 갖지 않고 상기 RFID 프린터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RFID 발행설비의 형태로 구비되면서, 상기 RFID 태그롤(16)이 후방에 배치되고 전방위치에는 플래튼(13)과 인쇄헤드(14)가 각각 배치되며, RFID 태그롤(16)과 플래튼(13) 사이에는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가 배치되고 각 장치 사이에는 공급되는 RFID 롤지(21)를 정보입력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5)가 배치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는 RFID 발행장치(10)의 형태나 구조에 무관하게 RFID 롤지(21)를 통해 다수의 RFID 태그(20)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환경에서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ID 태그롤(16) 및 플래튼(13)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제어하여 RFID 롤지(21)의 이송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수의 RFID 태그(20) 중 입력대상인 RFID 태그(20)를 이송라인 상에 기설정된 입력위치(I) 즉,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와 상하로 대향하는 적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의 함체부(110)는, 안테나모듈(120)을 내부에 수용하며 모듈이동부(140,150)에 의해 안테나모듈(120)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116)을 제공하는 케이스부재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RFID 발행장치(10)의 일측에 고정배치된다.
상기 안테나모듈(120)은 RFID 태그(20)에 태그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준위치인 입력위치(I)로 이송되어 배치된 RFID 태그(20)와 무선통신하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이동공간(116) 내에 배치되며 입력위치(I)로 이송된 RFID 태그(20)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모듈(120)은 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송출 및 신호수신을 담당하는 통신부품인 안테나소자 및, 상기 안테나소자를 외부로부터 커버하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모듈이동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가 형성되며, 별도의 감지부의 센서나 돌출편이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소자는 정보입력하고자 하는 RFID 태그(20)의 종류에 따라 HF 대역(1356MHz) 또는 UHF 대역(900MHz)에 해당하는 통신규격을 이용할 수 있으며, RFID 태그(20)의 정보입력을 위한 통신규격이 변경되는 경우 부합되는 통신규격을 갖는 소자로 교체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FID 태그롤(16)로부터 권출되며 상기 입력위치(I)로 순차 이송되는 RFID 태그(20)는, RFID 롤지(21)에 연이어 배치된 형태로 공급되는데, 각 RFID 태그(20)의 간격이 협소하거나 안테나소자(121)의 신호출력 세기가 클 경우 입력위치(I)에 배치된 입력대상 RFID 태그(20)와 전,후로 인접된 RFID 태그(20)에도 무선신호가 입력되면서 데이터가 오입력되거나 태그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태그정보의 입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테나소자(121)의 신호출력 세기를 줄일 경우 입력대상 RFID 태그(2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 상에서 입력대상 RFID 태그(2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RFID 태그(20)의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신호슬릿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내부의 안테나소자로부터 발신되는 무선신호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알루미늄이나 납 등의 전파차단재질로 형성되거나 전파차단재질의 부재가 내부 또는 외부에 도포 및 코팅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소자에서 발신된 무선신호는 케이스의 벽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신호슬릿으로만 외부로 방출되므로 통신감도를 위해 신호출력의 세기를 증대시키면서도 입력대상 RFID 태그(20)만을 한정하여 무선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모듈이동부는, 상기 안테나모듈(120)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이동공간(116) 내에서 수평상의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수평이동시키면서 안테나모듈(1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모듈(1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이동부(140) 및, y축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동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함체부(1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벽에는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기어라인(112)이 마련된 제1기어홈(111)이 형성되고, x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벽에는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기어라인(114)이 마련된 제2기어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x축이동부(140)는 일정길이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모듈(12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공간(116)을 y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에는 두 제1기어홈(111)에 치합되기 위한 회전기어(143)가 마련된 제1이동바(142) 및, 상기 제1이동바(142)의 일단에 축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며 상기 안테나모듈(120)을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14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y축이동부(150)는 일정길이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모듈(12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공간(116)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고 양단에는 두 제2기어홈(113)에 치합되기 위한 회전기어(153)가 마련된 제2이동바(152) 및, 상기 제2이동바(152)의 일단에 축결합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며 상기 안테나모듈(120)을 y축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15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동부(140)는 함체부(110)의 y축선상 일측부에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배치된 x축가이드바(145) 및, 일측은 상기 제1구동모터(14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x축 가이드바(14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브라켓(146)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y축이동부(150)는 함체부(110)의 x축상의 측부에 배치되어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배치된 y축가이드바(155) 및, 일측은 상기 제2구동모터(1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y축가이드바(155)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브라켓(156)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모터(141) 및 제2구동모터(151)는 각각 회전구동함에 따라 x축가이드바(145) 및 y축가이드바(155)를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발생된 회전력을 온전히 제1이동바(142) 및 제2이동바(152)로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각 구동모터(141,151)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밀하게 회전각이 조절되는 스테핑모터나 서보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모듈(120)의 수평이동 간격을 설정된 길이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10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각이 제어되는 제1구동모터(141) 및 제2구동모터(151)를 구동시켜 안테나모듈(120)의 x축 및 y축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x축이동부(140)는 상기 함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제1이동바(142)의 일단에 축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테나모듈(120)을 x축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x축수동노브(14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y축이동부(150)는 상기 함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제2이동바(152)의 일단에 축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안테나모듈(120)을 y축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y축수동노브(15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테나모듈(120)에 수신된 응답신호는 별도의 응답신호 분석장치(미도시)로 전송됨으로써 사용자 작에 의해 x축 및 y축으로 수평이동하는 안테나모듈(120)의 신호수신영역(C) 데이터 및 최적위치(P)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10)의 y축 상의 전방측 측벽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개구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모듈(120)의 x축 상의 전단부위에는 상기 개구부(115)를 향해 돌출형성된 돌출부(127)가 마련되어 플래튼(13) 측에 근접되어 설정된 입력위치(I)에 상기 안테나모듈(120)이 더욱 근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RFID 태그(20)의 개별코드정보 인쇄공정은 플래튼(13)과 이 플래튼(13)의 상부에 대향배치된 인쇄헤드(1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안테나 모듈(120)을 플래튼(13)에 최대한 근접되게 배치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면서 입력위치(I)를 상기 플래튼(13)과 안테나모듈(120) 사이에 설정할 수 있으므로, RFID 태그(20)에 개별코드정보를 인쇄하는 공정과 태그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을 상기 입력위치(I) 상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ID 태그(20)의 제조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테나모듈(120)의 상부에 개구된 신호슬릿(124)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돌출부(127)상에 형성함으로써 입력위치(I) 상에 배치된 RFID 태그(20)의 하부위치에 신호슬릿(124)이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태그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실제 사진이고,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함체부를 장착하는 도중 및 장착 완료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실제 사진이며,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함체부를 장착 완료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실제 사진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적어도 두 가지의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먼저, 수신 지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함체부(110)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성 함체 내에서의 반사파들의 영향 및 간섭 등의 영향으로 오히려 오류가 더 발생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태그가 더 소형화되고 롤지(21)에 태그(20)들이 더욱 근접하여 배치되는데, 태그들이 근접한 경우에는 금속에 반사되는 반사파가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게 되어 인접 태그에 영향을 미침으로 인하여 역시 오류가 발생하였는바, 특히 안테나와 태그 간의 거리가 클 경우에는 더욱 심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589880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함체를 비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 외에도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반사파의 악영향을 줄이면서 해당 태그에의 입력 확실성을 제고하기 위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태그들의 경계부에 차폐벽을 형성함으로써 인접 태그들에 대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를 제안한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는, RFID 태그(20)에 개별코드정보를 인쇄하는 인쇄헤드(14)의 하부에 대향배치된 플래튼(13)과 근접하여 배치되면서 RFID 태그(20)에 태그정보를 입력하는 RFID 인쇄기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로서, RFID 인쇄기의 케이스(10)에 고정 장착되는 본체부(130); 상기 본체부(130)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슬라이딩부(170);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결합되되,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결합되되,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테나부(110); 상기 안테나부(110)를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하 위치조절부(160); 및 현재 기록 중인 태그(20)와 인접 태그(20') 간에 RF 차폐를 행하는 RF 차단벽(200); 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는, 좌우 위치조절부(150)를 통해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는, 전후 위치조절부(140)를 통해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 상기 전후 위치조절부(140) 및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에 의해, 상기 안테나부(110)는 3개 축 방향으로 모두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의 함체를 비금속성 재질로 형성하여 금속성 재질로 인한 반사파의 악영향이 줄어들도록 하고,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 및 전후 위치조절부(140)는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한 슬라이딩 메카니즘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는, 전후 슬라이딩부(180)의 좌우 지지벽(182,182') 사이 및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빗면을 갖는 좌우 이동체(164)와,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빗면과 같은 경사도의 빗면을 저면에 갖고서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좌우 이동에 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하 이동체(16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 위치조절부(140)는 전후 위치조절 노브(141)와 제1 래크(142)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는 좌우 위치조절 노브(151)와 제2 래크(152)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는 상하 위치조절 노브(161)와 제3 래크(1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래크(142)와 제2 래크(152) 및 제3 래크(162)는 수평방향이며, 상기 차단벽(200)은, 수직부(201)와 수평부(202)를 갖는 'ㄱ'자형이며, 상기 차단벽(200)은, 상기 태그들을 탑재한 롤지의 진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의하면, 함체가 비금속성 재질이므로 금속성 함체로 인한 반사파의 악영향이 줄이들면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이동 외에도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안테나와 해당 태그 간의 간격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해당 태그에 보다 정확한 RFID 입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태그와 인접 태그들의 경계부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금속성 재질의 차폐벽을 형성함으로써, 인접 태그로의 원치않는 기록이 원천 방지되는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가 장착된 RFID 프린터 형태의 RFID 발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가 RFID 프린터 형태의 RFID 발행장치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가 RFID 발행설비 형태의 RFID 발행장치에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실제 사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함체부를 장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실제 사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함체부를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실제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를 인쇄장치에 장착한 상태의 실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를 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를 인쇄장치에 장착한 상태의 실제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를 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사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를 후방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사진이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즉,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정면도이며,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함체부의 측면도로서, 도 13 (a)의 A-A 선 단면도이다.
본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는 공히, RF 방식으로 RFID 태그에 직접 RFID 정보를 기록하는 안테나(111)와, 안테나에 기록할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112) 및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플랜지(113)로 이루어지며, 양자의 차이점은, 도 10 및 도 11 의 제1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13)에 단순히 안테나(111)가 얹혀있는 정도에 불과하나, 상기 도 13의 (a), (b)의 변형예에서는,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의 플랜지(113)에 안테나(111)가 하우징되어 있고, 좌우 슬라이딩부의 래크 형상 및 개수에 차이가 있다.
다만, 양자는 근본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바, 이하 하나의 실시예인 것처럼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는, RFID 인쇄기의 케이스(10)에 고정구(133)를 통해 고정 장착되는 본체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30)는, 좌.우 측벽부(132, 132')와 이들의 연결부(131)를 갖는다.
계속해서, 좌우 슬라이딩부(170)가 상기 본체부(130)에 결합되되, 좌우 위치조절부(150)를 통해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시 전후 슬라이딩부(180)가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결합되되, 전후 위치조절부(140)를 통해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마지막으로 안테나부(110)가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결합되되, 상하 위치조절부(160)를 통해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도 10, 도 11 및 도 13의 (a)를 참조하여, 좌우 슬라이딩부(17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30)의 좌.우 측벽부(132,132')에 좌우 슬라이딩부(170)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보다 상세히는 좌.우 측벽부(132,132')에 제2 래크(152)가 회전가능하게 부싱 결합되면서, 좌.우 측벽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좌우 슬라이딩노브(151)를 돌려 제2 래크(152)를 회전시킴에 따라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부(17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래크(152)를 회전시킴에 따라, 좌우 슬라이딩부(170)의 슬라이더(171)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응하여 좌우 슬라이딩부(170) 역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에서 주황색 부분까지만 고정이고, 장치(100)의 나머지 부재는 모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 이때 상기 제2 래크(152)와 슬라이더(171)는 일측에 하나만 설치하여도 되지만 (이때는 타측에는 슬라이딩 지지대(도 13의 154 참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좌우 하나씩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 참조).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한 슬라이딩 메카니즘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제, 도 10, 도 11 및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전후 슬라이딩부(180)의 전후방향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면, 좌우 슬라이딩부(170, 170') 사이의 전.후 측벽(172,172')에는 전후 슬라이딩부(18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보다 상세히는 전.후 측벽(172,172')에 제1 래크(142)가 회전가능하게 부싱 결합되면서, 전.후 측벽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전후 슬라이딩노브(141)를 돌려 제1 래크(142)를 회전시킴에 따라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해 전후 슬라이더(181) 및 전후 슬라이딩부(18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래크(142)를 회전시킴에 따라 전후 슬라이딩부(180)의 슬라이더(181)가 전.후 측벽(172,172') 사이 및 저부(173)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응하여 전후 슬라이딩부(18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역시,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한 슬라이딩 메카니즘은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17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반면, 좌우 슬라이더(171) 및 전후 측벽(172,172')은 고정됨),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170')에는 전후 슬라이딩홈(170a)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후 슬라이딩홈(170a)에 제2 래크(152)가 삽입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2 래크(152)가 고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 및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170')가 모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다.
이제, 도 10, 도 11 및 도 13의 (a), (b)를 참조하여, 안테나부(1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면, 우선, 전후 슬라이딩부(180)의 좌우 지지벽(182,182') 사이 및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에서, 단면이 사다리꼴인 좌우 이동체(164)(도 13에서 하늘색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는 좌우 슬라이딩부(170) 외측으로 돌출된 상하 위치조절 노브(163)를 돌리면,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부싱 결합된 제3 래크(162)가 회전하면서, 이와 나사 결합된 좌우 이동체(164)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빗면과 같은 경사도를 저면에 갖는 대체로 직각 삼각기둥 형상인 상하 이동체(165)(도 13의 코발트색 부재)가,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좌우 이동에 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체(165)에 고정된 안테나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바, 결국 안테나(111)와 태그 (도 4 및 도 5의 '20' 참조) 간의 간격이 조정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역시 참고로, 상기 상하 이동체(16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는 상하 슬라이딩홈(170b)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 슬라이딩홈(170b)에 상하 슬라이더(166)가 삽입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상하 이동체(165) 및 상하 슬라이더(166)가 전후 좌우 방향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다.
미 설명부호 (153) 및 (163)은 와셔이다.
이제, 본 발명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다시 요약하여 설명하면, 먼저 좌우 위치조절 노브(151)를 돌려서 (화살표 "a" 참조) 좌우 슬라이딩부(170,170') 및 여타 부분을 모두 좌우 방향으로 (화살표 "b" 참조) 이동시켜서, 본 발명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와 태그(20) 간의 좌우 방향 위치 정합을 시킨다.
이제, 전후 위치조절 노브(141)를 돌려서 전후 슬라이딩부(180) 및 그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부재들을 모두 전후 방향으로 (화살표 "c" 참조) 이동시켜서, 본 발명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와 태그(20) 간의 전후 방향 위치 정합을 시킨다.
마지막으로, 상하 위치조절 노브(161)를 돌려서 좌우 이동체(164)를 좌우 방향으로 (화살표 "d" 참조) 이동시키면 그에 응하여 상하 이동체(165)가 상하 방향으로 (화살표 "e" 참조) 이동하게 되는바, 결국 안테나부(110)의 안테나(111)와 태그(20) 간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의 안테나(111)와 태그 간의 좌우 및 전후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도 위치 정합이 가능하게 되는바, 가장 최적의 환경에서 태그에 RFID 태그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종래기술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지닌 기술이다.
(제2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비슷하나, 본 실시예는 현재 기록 중인 태그(20)와 인접 태그(20') 간에도 차폐가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즉,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를 사용하여 특정 태그(20)에 태그 정보를 입력시, RF 전파가 인접 태그(20')에 RF 전파가 도달하여 원치않는 기록이 발생할 수가 있는 것인바,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는, 기록중인 태그(20) 위치와 인접 태그(20') 위치 사이에 설치되는 RF 차단벽(2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인쇄용 롤러 부근의 태그의 경우에는 각종 인쇄장치로 인하여 간섭을 덜 받기 때문에, 인쇄용 롤러 부근의 태그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경쓰지 않아도 되며, 인쇄용 롤러 반대쪽의 인접 태그에 대해서 차폐를 행하면 족하다.
더욱이, 상기 차단벽(200)은, 수직부(201)와 수평부(202)를 갖는 'ㄱ'자형인 것이 차폐에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각 태그 자체의 크기는 물론, 각 태그 간의 피치가 발주처마다 상이하므로, 상기 RF 차단벽(200) 역시 롤지의 진행 방향으로 (여기서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장치의 케이스(10)에 제4 래크(211)를 장착하고, 제4 래크(211)에 형성된 스크류부(211a)가 상기 RF 차단벽(200)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4 래크(211)를 회전시킴에 응하여 상기 차단벽(200)이 전후 방향으로 (도 14에서는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4 래크(211)가 반드시 인쇄장치의 케이스(10)에 장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고정된 위치에 혹은 제1 실시예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의 특정 부분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 설명부호 (212)는 와셔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종래기술)
10: RFID 프린터 20: RFID 태그
100: 정보 입력장치 110: 함체부
120: 안테나모듈 140: x축이동부
150: y축이동부 160: 제어부
(본 발명)
10 : 케이스 13 : 플래튼
14 : 인쇄헤드 16: 태그롤
20, 20' : 태그 21 : 롤지
100: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110: 안테나부
111: 안테나 112: 케이블
113: 플랜지
130: 본체부
131: 연결부 132, 132': 좌우 측벽부
133: 케이스 지지봉
140: 전후 위치조절부 141: 전후 위치조절 노브
142: 제1 래크
150: 좌우 위치조절부 151: 좌우 위치조절 노브
152: 제2 래크 153: 와셔
154: 가이드
160: 상하 위치조절부 161: 상하 위치조절 노브
162: 제3 래크 163: 와셔
164: 좌우 이동체 165: 상하 이동체
166: 상하 슬라이더
170: 좌우 슬라이딩부 171: 좌우 슬라이더
172, 172': 전후 측벽 170a: 전후 슬라이딩홈
170b: 상하 슬라이딩홈 173: 저부
180: 전후 슬라이딩부 181: 전후 슬라이더
182, 182': 지지벽
200: RF 차단벽 201: RF 차단벽 수직부
202: RF 차단벽 수평부 210: RF 차단벽 위치조절부
211: 제4 래크 211a: 스크류부
212: 와셔

Claims (7)

  1. RFID 태그(20)에 개별코드정보를 인쇄하는 인쇄헤드(14)의 하부에 대향배치된 플래튼(13)과 근접하여 배치되면서 RFID 태그(20)에 태그정보를 입력하는 RFID 인쇄기의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로서,
    RFID 인쇄기의 케이스(10)에 고정 장착되는 본체부(130);
    상기 본체부(130)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슬라이딩부(170);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결합되되,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결합되되,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테나부(110);
    상기 안테나부(110)를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하 위치조절부(160); 및
    현재 기록 중인 태그(20)와 인접 태그(20') 간에 RF 차폐를 행하는 RF 차단벽(200);
    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는, 좌우 위치조절부(150)를 통해 상기 본체부(13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후 슬라이딩부(180)는, 전후 위치조절부(140)를 통해 상기 좌우 슬라이딩부(17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 상기 전후 위치조절부(140) 및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에 의해, 상기 안테나부(110)는 3개 축 방향으로 모두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100)의 함체를 비금속성 재질로 형성하여 금속성 재질로 인한 반사파의 악영향이 줄어들도록 하고,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 및 전후 위치조절부(140)는 래크와 피니언 방식에 의한 슬라이딩 메카니즘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는,
    전후 슬라이딩부(180)의 좌우 지지벽(182,182') 사이 및 전후 슬라이딩부(18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빗면을 갖는 좌우 이동체(164)와,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빗면과 같은 경사도의 빗면을 저면에 갖고서 상기 좌우 이동체(164)의 좌우 이동에 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하 이동체(16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 위치조절부(140)는 전후 위치조절 노브(141)와 제1 래크(142)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위치조절부(150)는 좌우 위치조절 노브(151)와 제2 래크(152)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 위치조절부(160)는 상하 위치조절 노브(161)와 제3 래크(16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래크(142)와 제2 래크(152) 및 제3 래크(162)는 수평방향이며,
    상기 차단벽(200)은, 수직부(201)와 수평부(202)를 갖는 'ㄱ'자형이며,
    상기 차단벽(200)은, 상기 태그들을 탑재한 롤지의 진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90743A 2019-07-26 2019-07-26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KR10207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43A KR102071187B1 (ko) 2019-07-26 2019-07-26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743A KR102071187B1 (ko) 2019-07-26 2019-07-26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447A Division KR20210013517A (ko) 2019-11-15 2019-11-15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187B1 true KR102071187B1 (ko) 2020-01-30

Family

ID=6932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743A KR102071187B1 (ko) 2019-07-26 2019-07-26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260A (zh) * 2022-08-12 2022-11-11 江门市得实计算机外部设备有限公司 一种高度调节装置及标签打印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820B1 (ko) * 2011-09-09 2011-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장치
KR101589880B1 (ko) 2015-10-01 2016-02-01 남상용 Rfid태그 정보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820B1 (ko) * 2011-09-09 2011-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fid 태그 인식장치
KR101589880B1 (ko) 2015-10-01 2016-02-01 남상용 Rfid태그 정보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0260A (zh) * 2022-08-12 2022-11-11 江门市得实计算机外部设备有限公司 一种高度调节装置及标签打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1549B2 (ja) 接続装置用の端子供給デバイス
KR102071187B1 (ko)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EP0593935B1 (de) Registerverstellvorrichtung an einer Bogendruckmaschine sowie Verfahren zur Registerverstellung
KR101589880B1 (ko) Rfid태그 정보입력장치
JP6717861B2 (ja) 部品実装ライン
DE102018102333A1 (de) Laserbearbeitungssystem mit laserbearbeitungskopf und abbildungsvorrichtung
JP6314180B2 (ja) 物品読取装置
US20230389202A1 (en) Case
EP3047977B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on
CN113415989B (zh) 一种可自动调节集束器位置的装置
US20180053024A1 (en) Reading apparatus
KR20210013517A (ko)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
WO2018185864A1 (ja) 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ラインの管理システム
KR102203268B1 (ko) Rfid 태그 정보 입력장치의 안테나부 미세 조정장치
US20120229567A1 (en) Recording Apparatus
JP4013663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送り方法
JP4795310B2 (ja) 実装機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JP2001105170A (ja) レーザ加工装置
US1105268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JP5295680B2 (ja) 磁気カード発券機及び磁気カード供給ユニット
CN113387097A (zh) 用于射频识别的屏蔽门及其门体、仓储管理系统
WO2020262479A1 (ja) プリンタ
JP6912626B2 (ja) フィーダ自動交換方法
US7513389B2 (en)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with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device
EP3978863A1 (en) Eyeglass frame shape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eyeglass frame shape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