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998B1 - Pcm 강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cm 강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998B1
KR102070998B1 KR1020170171634A KR20170171634A KR102070998B1 KR 102070998 B1 KR102070998 B1 KR 102070998B1 KR 1020170171634 A KR1020170171634 A KR 1020170171634A KR 20170171634 A KR20170171634 A KR 20170171634A KR 102070998 B1 KR102070998 B1 KR 10207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
ink
coating
layer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0774A (ko
Inventor
박덕수
Original Assignee
디케이동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동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동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9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CM 강판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PCM 강판 제조방법은, 강판 모재 측에 형성된 상도층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여 요철 형태의 가패턴을 갖는 잉크층을 형성하고, 이 잉크층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여 클리어층을 형성하는 상태로 PCM 강판을 제조한다.

Description

PCM 강판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CM STEEL SHEET}
본 발명은 PCM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M 강판(Pre-Coated Metal)은 강판 모재의 표면 측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장층들을 형성하는 작업을 거치면서 시각적인 표면 미감 및 기능성이 부여되도록 제조된 금속 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주로 전자제품이나 건축용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PCM 강판은 표면 측에 단순하게 평면적인 무늬가 표현되도록 제조된 강판 타입과,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갖도록 제조된 강판 타입이 있으며, 특히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갖도록 제조된 강판은 시각 및 장식적인 측면에서 한층 더 향상된 표면 미감과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갖도록 PCM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강판 모재의 도장 작업 전,후로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높은 하중과 압력으로 표면 측을 눌러서 입체적인 무늬나 패턴들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엠보싱 롤을 이용한 방법은 강판 측에 전달되는 과다한 하중과 압력에 의해 강판이나 도장층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들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작업 상의 단점을 갖는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엠보싱 롤을 이용한 작업 방식을 대체하여, 도장층 형성을 위한 도료나 용제들의 특성(예: 표면장력, 비점)을 이용하여 비(非) 접촉 방식으로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구현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6228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도장층 형성을 위한 도료(塗料)들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갖는 입체 무늬를 강판 표면 측에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PCM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강판 모재 측에 형성된 상도층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여 요철 형태의 가패턴을 갖는 잉크층을 형성하고, 이 잉크층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여 클리어층을 형성하는 상태로 PCM 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의 잉크 도료는 상기 클리어 도료와 대응하는 비(非) 상용성 도료 특성을 갖도록 조성되어 상기 잉크층의 가패턴 상에 상기 클리어 도료가 도포된 상태에서 도료들 간의 비 상용성에 의한 간섭으로 상기 클리어 도료의 유동이 유도되면서 상기 잉크층의 가패턴과 대응하는 표면 질감을 갖는 입체 무늬가 상기 클리어층 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판 모재 측에 형성되는 잉크층과 클리어층의 도료들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에 의해 요철 형태의 표면 질감을 갖는 입체 무늬가 클리어층 측에 부여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입체적인 표면 질감을 갖는 PCM 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CM 강판 제조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작업 공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CM 강판 제조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작업 공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CM 강판 제조방법은, 강판 모재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1)와, 잉크 도료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와, 클리어 도료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S3), 및 잉크 도료와 클리어 도료를 경화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강판 모재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1)는, 도 2에서와 같이 PCM 강판 제조를 위한 통상의 인라인(IN-LINE) 타입의 연속도장설비(2)의 작업라인 내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작업라인 내에 형성된 잉크 도장부(C)의 인쇄롤(C1)들을 이용한 도포 방식으로 강판 모재(M)의 표면 상에 잉크 도료(W1)를 도포하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잉크 도료(W1)는 도 3에서와 같이 강판 모재(M)의 표면 상에 요철 형태의 가패턴(P)을 갖는 상태로 잉크층(L3)이 형성되도록 도포 처리될 수 있다. 가패턴(P)은 도면에는 타나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인쇄롤(C1)의 롤 외주면 측에 음각이나 양각 형태로 형성된 인쇄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판 모재(M)는 연속도장설비(2)의 작업라인 내에 배치된 하도 도장부(A) 및 상도 도장부(B)를 거치면서 하도층(L1)과, 상도층(L2)이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순차적으로 도포 및 경화 처리된 상태로 제공되며, 잉크층(L3)은 상도층(L2) 상에 층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잉크층(L3)의 층 두께는 예를 들어, 하도층(L1)의 층 두께가 3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 범위이고, 상도층(L2)의 층 두께가 5 마이크로미터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범위일 때, 1 마이크로미터 내지 2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층(L3)의 가패턴(P)은 도 3에서와 같이 강판 모재(M)의 상도층(L2) 상에서 요철 형태의 돌기패턴(P1)들 및 홈패턴(P2)들을 갖도록 형성되어, 잉크층(L3)의 표면 내에서 잉크 도포영역들과 비(非) 도포영역들을 이루는 패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도층(L2)의 표면은 돌기패턴(P1)들에 의해 일부는 가려지고, 홈패턴(P2)들에 의해 일부는 노출된다.
그리고, 잉크 도료(W1)가 도포되는 상도층(L2)은 후술하는 클리어 도료(W2)에 사용되는 도료 기제와 용제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 클리어 도료(W2)와는 서로 상용성(COMPATIBLE)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도료와 용제를 선정하여 형성한다. 특히, 이와 같이 상도층(L2)이 클리어 도료(W2) 측과 서로 상용성 특성이 우수한 층 구조를 이루면서 도 3에서와 같이 잉크층(L3)의 돌기패턴(P1)들에 의해 일부면은 가려지고, 나머지면은 홈패턴(P2)들의 바닥면 측에 노출되는 상태로 형성되면, 예를 들어, 후술하는 작업 단계에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잉크층(L3) 상에 도포된 클리어 도료(W2)가 가패턴(P)의 돌기패턴(P1)들과의 비 상용성 특성에 의해 측방으로 밀려나면서 홈패턴(P2)들 내측에 모이도록 유동이 유도되는 상태로 패터닝될 때, 홈패턴(P2)들의 바닥면 측에 노출된 상도층(L2)과의 상용성 특성에 의해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되는 상태로 패터닝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잉크 도료(W1)는 후술하는 클리어 도료(W2)와의 비 상용성(INCOMPATIBLE) 특성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혼합 조성된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즉, 잉크 도료(W1)는 도료 기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이 25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혼합되고, 안료(유기 또는 무기 안료) 0 내지 25 중량%, 비(非) 상용성 수지 3 내지 10 중량%, 및 용제 25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혼합된 도료 조성물이 사용된다.
특히, 비 상용성 수지는 수 평균 분자량(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10,000 내지 100,000 범위 내로 형성되고, HAZE 값이 10% 이상인 폴리에틸렌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용제는 클리어 도료(W2)와는 비(非) 상용성을 띠며, 잉크 도료 기제와 비 상용성 수지의 용해도는 높일 수 있는 극성도가 높은 극성계의 용제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고, 이와 부합하는 용제로는 케톤계나 아세테이트계의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잉크 도료(W1)가 클리어 도료(W2)와 서로 비(非) 상용성 특성을 갖는 혼합 조성물로 이루어지면, 잉크층(L3)의 가패턴(P) 측에 클리어 도료(W2)가 도포된 상태에서 가패턴(P)과 대응하는 형태의 표면 질감을 갖는 상태로 클리어층(L4)이 형성되도록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층(L3) 형성을 위하여 도포되는 잉크 도료(W1)는 동점도(動粘度) 100 sec/#4cup 내지 250 sec/#4cup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동점도가 100 sec/#4cup 미만으로 유지되면 인쇄롤(C1)에 의한 도장 작업시 가패턴(P)의 형태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동점도가 250 sec/#4cup을 초과하면 가패턴(P) 모양이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가패턴(P)이 도 3에서와 같이 강판 모재(M)의 상도층(L2) 상에 형성될 때 예를 들어, 잉크 도료(W1)의 동점도와 같은 물성 특성에 의해 정상적인 패턴 형태로 형성되지 못하면, 후술하는 클리어층(L4)의 형성시 비 상용성에 의한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이 정상적으로 유도되지 못하여 입체무늬(V)가 원하는 패턴 형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L3)은 클리어 도료(W2)가 도포되기 전까지, 가패턴(P)이 안정적인 패턴 형태를 유지하되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잉크 도료(W1)의 도포 후, 잉크층(L3)을 섭씨 80도 이하의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만일, 잉크층(L3)이 경화된 상태로 클리어 도료(W2)를 도포하면 후술하는 공정에서 도료들 간의 비 상용성 특성에 의한 원활한 도료 유동 유도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가패턴(P)의 형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클리어 도료(W2)의 도포 전에 돌기패턴(P1)이나 홈패턴(P2)들의 형태가 비 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 현상은 입체무늬(V)의 패터닝 품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잉크 도료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를 진행한다.
클리어 도료(W2)는 잉크층(L3)의 잉크 도료(W1)의 비(非) 상용성 특성과 부합하는 도료 특성을 갖도록 혼합 조성된 도료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즉, 클리어 도료(W2)는 도료 기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이 50 중량% 내지 60 중량% 범위 내로 혼합되고, 용제가 40 중량%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혼합된 도료 조성물이 사용된다.
특히, 클리어 도료(W2)의 도료 기제로 1종 이상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는 각 해당 수지계 중에서, 잉크 도료(W1)의 비 상용성 수지와의 비(非) 상용성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는 특성(예: 수 평균 분자량, 단위체 종류)을 갖는 수지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잉크 도료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S2)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속도장설비(2)의 작업라인 내에서 진행되며, 작업라인 내에 형성된 클리어 도장부(D)에서 인쇄롤(D1)에 의한 도포 방식으로 도 4에서와 같이 강판 모재(M)의 잉크층(L3) 상에 클리어 도료(W2)를 도포하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클리어 도료(W2)는 후술하는 도료 유동 유도 및 경화 작업들을 거치면서 잉크층(L3) 상에 3 마이크로미터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의 층 두께를 갖는 상태로 클리어층(L4)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클리어 도료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S3)를 진행한다.
클리어 도료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S3)는 후술하는 도료 경화 작업 전에, 클리어 도료(W2)의 도포 작업과 연계하여 잉크 도료(W1)와 클리어 도료(W2)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에 의해 잉크층(L3)의 가패턴(P) 형태와 대응하는 상태로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잉크층(L3)의 가패턴(P)은 도 4에서와 같이 강판 모재(M)의 상도층(L2) 상에서 돌기패턴(P1)들과, 홈패턴(P2)들을 갖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가패턴(P) 중에서 잉크 도료(W1)가 뭉쳐진 돌기패턴(P1)들의 표면만 클리어 도료(W2)와의 비(非) 상용성 특성을 띠게 된다.
그러므로, 잉크층(L3) 상에 도포된 클리어 도료(W2)는 도 5에서와 같이 가패턴(P)의 돌기패턴(P1)들 표면 측에서 비 상용성 특성에 의해 측방으로 밀려나면서 홈패턴(P2)들 측으로 모이는 상태로 도료의 유동이 유도될 수 있다.
그러면, 잉크층(L3) 상에는 가패턴(P)의 돌기패턴(P1)들 및 홈패턴(P2)들의 위치에 따라 클리어 도료(W2)의 분포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클리어층(L4) 측에는 입체적인 표면 질감이 부여되는 상태로 입체 무늬(V)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을 유도하는 작업은 도 2에서와 같은 연속도장설비(2)의 작업라인 내에서 클리어 도장부(D)에 의해 잉크층(L3) 상에 클리어 도료(W2)가 도포된 후, 도료 경화부(E) 측으로 이송 공급되는 상태에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도료 유동을 유도하는 작업에 의하면, 잉크층(L3) 측에 정형화된 상태로 형성된 가패턴(P)을 베이스로 하여 물리적인 압력이나 하중을 일체 가하지 않고 도료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에 의해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클리어층(L4)의 표면 측에 정형화된 입체 무늬(V)를 형성하되, 이 입체 무늬(V)가 자연스러운 질감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작업 방식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강판이나 도장층을 과다한 압력이나 하중으로 눌러서 정형화된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 강판이나 도장층들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면서 입체적인 표면 질감 및 미감을 갖는 상태로 클리어층(L4)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업 방식은, 예를 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도장층들 간의 표면 장력이나 비점 등을 이용하여 강판 측에 비(非) 정형화된 무늬를 형성하는 방식들과 비교할 때, 경화되기 전의 잉크층(L3) 측에 정형화된 가패턴(P)을 미리 형성하고, 이 가패턴(P) 상에 도포되는 클리어 도료(W2)가 잉크 도료(W1)의 비(非) 상용성 특성에 의해 도료 유동이 유도되도록 하여 클리어층(L4) 측에 정형화되고 자연스러운 표면 질감과 미감을 갖는 입체 무늬(V)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공정들 중에서 잉크 도료와 클리어 도료를 경화하는 단계(S4)를 진행한다.
잉크 도료와 클리어 도료를 경화하는 단계(S4)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속도장설비(2)의 작업라인 내에서 클리어 도장부(D) 측과 간격을 띄우고 배치된 도료 경화부(E) 측에서 잉크층(L3)과 클리어층(L4)을 가열 경화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가열 경화 처리는 섭씨 200도 내지 섭씨 300도 범위 내의 가열 경화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잉크층(L3)과 클리어층(L4)이 도포된 상태의 강판 모재(M)가 작업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료 경화부(E) 내부를 통과하는 상태로 경화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도 1의 각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클리어층(L4)의 표면 측에 입체적인 표면 질감 및 미감을 갖는 입체 무늬(V)가 형성되는 상태로 PCM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PCM 강판의 제조를 위한 각 공정들이 도 2에서와 같이 인라인 타입의 작업라인을 갖는 연속도장설비(2) 측에서 강판 모재(M)가 작업라인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이송되는 중에 잉크 도장부(C), 클리어 도장부(D), 및 도료 경화부(E) 측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각 공정들이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방식에 비하여 작업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의 각 공정들을 거치면서 제조된 PCM 강판의 물성 특성을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표1에서와 같다.
표1)
Figure 112017124417731-pat00001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성, MEK성, 가공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내산성, 및 내알카리성 시험 항목들을 판정 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가 모두 양호하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PCM 강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잉크 도료(W1)와 클리어 도료(W2)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잉크 도료(W1)의 도료 조성물에 1종 이상이 혼합되는 비 상용성 수지들 및 수지별 함량 차이에 따른 입체 무늬(V)의 구현 정도 차이를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표2에서와 같다.
표2)
Figure 112017124417731-pat00002
상기한 표2에서와 같이 잉크 도료(W1)의 도료 조성물에 비 상용성 수지로서 1종 이상이 혼합되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불소계 수지는 3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혼합될 때, 만족할 만한 구현 품질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판 모재(M)의 상도층(L2) 상에 가패턴(P)을 갖도록 잉크층(L3)을 형성하고, 이 잉크층(L3)의 경화 전에 클리어층(L4)을 도포 형성하여, 잉크층(L3)과 클리어층(L4)의 도료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에 의해 클리어 도료(W2)의 유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클리어층(L4)의 표면 측에 입체 무늬(V)가 형성되는 상태로 PCM 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도료들의 도포 작업과 연계하여 강판 모재(M) 상에 도포 처리된 도료들 간의 비(非) 상용성 특성을 이용하여 클리어층(L4)의 표면 측에 입체 무늬(V)를 형성하는 작업 방식에 의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PCM 강판 제조용 연속도장설비(2)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 및 작업 호환성도 확보할 수 있다.
2: 연속도장설비 M: 강판 모재 L1: 하도층
L2: 상도층 L3: 잉크층 L4: 클리어층
W1: 잉크 도료 W2: 클리어 도료 P: 가패턴
V: 입체 무늬

Claims (5)

  1. 강판 모재의 상도층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잉크 도료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와, 클리어 도료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 및 잉크 도료와 클리어 도료를 경화하는 단계를 각각 거치면서, 강판 모재의 상도층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여 요철 형태의 가패턴을 갖는 상태로 잉크층을 형성하고, 이 잉크층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여 클리어층을 형성하되, 상기 잉크 도료 및 상기 클리어 도료는 서로 비(非) 상용성 도료 특성을 갖도록 조성되어 상기 잉크층의 가패턴 상에 상기 클리어 도료가 도포된 상태에서 도료들 간의 비(非) 상용성에 의한 간섭으로 상기 클리어 도료의 유동이 유도되면서 상기 잉크층의 가패턴과 대응하는 표면 질감을 갖는 입체무늬가 상기 클리어층 측에 형성되는 상태로 PCM 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강판 모재의 상도층 상에 잉크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잉크 도료 상에 클리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클리어 도료의 유동을 유도하는 단계, 및 잉크 도료와 클리어 도료를 경화하는 단계는, 인라인 타입의 작업라인 내에 잉크 도장부, 클리어 도장부, 및 도료 경화부가 배치된 연속도장설비의 작업라인을 따라 강판 모재가 이송되는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잉크 도료는,
    도료 기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이 25 내지 50 중량%, 안료 0 내지 25 중량%, 비(非) 상용성 수지 3 내지 10 중량%, 및 용제 25 내지 50 중량% 범위로 혼합 형성되되, 가패턴의 형태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동점도(動粘度) 100 sec/#4cup 내지 250 sec/#4cup 범위 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 상용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아크릴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하고, 상기 용제로서 극성도가 높은 극성계의 케톤계나 아세테이트계 용제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며,
    상기 클리어 도료는,
    도료 기제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이 50 내지 60 중량%, 및 용제 40 내지 50 중량% 범위로 혼합 형성된 도료를 사용하고,
    상기 잉크층은,
    잉크 도료의 도포영역들과, 비(非) 도포영역들을 이루는 돌기패턴들과, 홈패턴들로 이루어지는 가패턴을 갖는 상태로 상기 강판 모재의 상도층 상에 형성되되, 상기 클리어층의 형성을 위한 클리어 도료의 도포 전에, 상기 가패턴 측이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패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섭씨 80도 이하의 열풍으로 건조 처리되는 상태로 형성하며,
    상기 상도층은,
    상기 클리어 도료와 서로 상용성을 갖는 도료 및 용제를 선정하여 강판 모재 상에 형성하되, 상기 잉크층의 가패턴의 돌기패턴들에 의해 일부면은 가려지고, 나머지면은 홈패턴들의 바닥면을 이루는 상태로 노출되어 상기 잉크층 상에 클리어 도료의 도포 후 상기 잉크층과의 비 상용성에 의해 돌기패턴들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밀려나는 클리어 도료를 홈패턴들 내측으로 당기는 상태로 유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강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71634A 2017-12-13 2017-12-13 Pcm 강판 제조방법 KR10207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34A KR102070998B1 (ko) 2017-12-13 2017-12-13 Pcm 강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34A KR102070998B1 (ko) 2017-12-13 2017-12-13 Pcm 강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74A KR20190070774A (ko) 2019-06-21
KR102070998B1 true KR102070998B1 (ko) 2020-03-23

Family

ID=6705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34A KR102070998B1 (ko) 2017-12-13 2017-12-13 Pcm 강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9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72B2 (ja) * 1992-11-10 1995-04-26 株式会社信水堂 凹凸模様を有する表面加工印刷塗工物
KR100892414B1 (ko) * 2007-07-11 2009-04-10 동부제철 주식회사 스파클링 형성용 도료 및 이 도료가 코팅된 칼라도장강판
KR101491822B1 (ko) * 2013-07-11 2015-02-11 최일규 입체화된 엠보패턴층이 형성된 라이트커버 및 입체화된 엠보패턴층 형성방법
KR101622853B1 (ko) 2014-12-29 2016-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7549B1 (ko) * 2015-11-20 2018-01-11 동국제강주식회사 표면장력 조절제에 의한 입체 패턴을 가지는 pcm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74A (ko)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868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rukturierten oberflächen und derart strukturierte gegenstände
EP185991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Paneels
RU258715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астинчатого изделия и пластинчатое изделие
DE102007012236B4 (de) Verfahren zum Veredeln einer Holzwerkstoffplatte und daraus hergestelltes Paneel
DE2135072B2 (de) Verfahren zur erzeugung hochglaenzender oberflaechen auf dekorpapieren
KR102070998B1 (ko) Pcm 강판 제조방법
CN109532178A (zh) 3d套印套压装饰膜生产工艺,应用及中间产品
KR100197932B1 (ko) 편면 엠보스 칼라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9539849B2 (en) Hydraulic transfer film, pattern film, and method of forming a hydraulic transfer film
DE102013007429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berflächenfolie mit Texturierung
KR100229208B1 (ko) 그라비아전사프린트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136971A (ja) 意匠性塗膜、その形成方法、塗装物品、塗装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1068A (ko) 클리어 도료를 이용한 입체 무늬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9103B1 (ko) 열 승화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100342913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14911A (ja) 意匠性塗膜、その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JP2006123373A (ja) 化粧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516254A (en) Method of embossing structural panels
ITRM20100694A1 (it) Suporto rivestito tipo finta pelle.
JP6472847B1 (ja) 無機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H0235969A (ja) 模様化粧材の製造方法
JPH10290956A (ja) コイルの被膜に構造化した表面を作り出す方法
KR20210007261A (ko) 입체무늬 패턴이 형성된 pcm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RU247339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ых покрытий на асбестоцементных изделиях
JPS63229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