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961B1 -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961B1
KR102069961B1 KR1020177033684A KR20177033684A KR102069961B1 KR 102069961 B1 KR102069961 B1 KR 102069961B1 KR 1020177033684 A KR1020177033684 A KR 1020177033684A KR 20177033684 A KR20177033684 A KR 20177033684A KR 102069961 B1 KR102069961 B1 KR 10206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ding
active pen
frequency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092A (ko
Inventor
시리 다이
Original Assignee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정보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을 공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호 생성 방법은, 상기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코딩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액티브 펜과 스크린단 사이의 정보 전달 효율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METHOD FOR generating a signal, METHOD for analyzing a signal, ACTIVE STYLUS, AND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전자 정보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펜은 펜촉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스크린단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펜촉 위치 결정과 기타 정보를 얻는 전자 제품이다. 기존의 액티브 펜은 일반적으로 펜촉 위치 결정의 기능 외에, 압력 감지와 키 등 기능을 더 갖추고 있다. 펜촉 위치 결정에 있어서, 액티브 펜은 일단락의 고정 주파수의 신호만 송신하면, 스크린단은 일정 형상을 따라 배열된 감응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감응 채널이 감지한 신호 크기를 통해 펜촉이 스크린에서의 위치를 확정짓는다. 그러나 압력 센서, 키 또는 기타 센서는 모두 액티브 펜 위에 있고, 액티브 펜 위의 압력, 키 또는 기타 정보는 반드시 펜촉을 통하여 일정한 방법으로 스크린단에 전달하여야 하며, 스크린단이 복조한 후 이러한 정보를 얻는다.
현재, 시장에서의 액티브 펜 제품이 압력, 키 또는 기타 정보를 전달하는데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이진법 코딩을 적용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코딩 부분은 이진법 코딩을 적용하여, 좌표 위치 주파수 변조 신호와 압력 또는 기능키 누름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하고, 각 비트의 코딩에 대하여 진폭으로 변조를 진행하며, 1과 0의 조합 코딩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복조하여 얻은 신호 진폭 크기에 따라 판정하여, 일정 크기를 초과하면 1로 판정하고, 일정 크기보다 작으면 0으로 판정하며; 다른 하나는 주파수 변조를 적용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위치 주파수 변조 신호와 펜촉 압력 또는 기능키 누름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하고, 그 정보는 주파수로 변조를 진행하며, 각각의 주파수 크기는 일정한 정보를 대표하고, 일정한 정보는 하나의 대응되는 주파수를 통해 변조한 다음 스크린단에서 주파수를 복조하여 정보를 얻는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발명자는 선행기술에 적어도 하기와 같은 문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진법 코딩 방법을 적용하는 결점은 주로 각 비트의 코드가 0과 1 두 가지 상태밖에 없고, 정보 함량이 비교적 적으며, 더욱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하면 반드시 코딩 비트수를 증가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정보 코딩이 점유하는 시간이 길고, 리프레시 비율이 저하된다. 주파수 변조 방법을 적용할 경우, 더욱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면, 주파수 변조 신호의 대역폭을 증가시켜, 더욱 큰 밴드 폭이 구비되어 정보를 코딩할 수 있고, 또는 주파수를 더욱 세밀하게 변조시켜, 대역폭이 변하지 않고, 주파수 해상도를 증가시켜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모두 하드웨어의 주파수 변조와 복조 성능에 대하여 요구가 더욱 높고, 복조의 해상도와 신호의 시간의 장단은 정비례 관계를 구비하며, 복조단이 더욱 우수한 주파수 해상도를 구비하면, 신호의 시간은 반드시 더욱 길어야 한다.
따라서, 액티브 펜과 스크린단 사이 정보의 전달 효율을 어떻게 해결하느냐 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 실시형태의 목적은 하드웨어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는 기초상에,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코딩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액티브 펜과 스크린단 사이 정보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신호 생성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액티브 펜에 적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신호 해석 방법을 더 제공하며, 이는 터치 스크린에 적용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수신한 코드 신호에서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코드 신호는 액티브 펜의 신호 생성 방법으로 생성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조 진폭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액티브 펜을 더 제공하고, 상기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는 정보 코딩 모듈; 상기 정보 코딩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변조 모듈; 상기 주파수 변조 모듈에 연결되고,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상기 코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신호 통합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터치 스크린을 더 제공하고, 액티브펜이 상기 신호 송신 방법에 따라 송신한 코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신호 수신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코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 모듈; 상기 신호 인식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 주파수 복조 모듈; 상기 주파수 복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신호 인식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는 진폭 복조 모듈; 상기 진폭 복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위치 산출 모듈이 상기 복조 진폭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형태는 선행기술에 비해,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고 각 비트에 대하여 주파수 변조를 적용하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즉,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로 코드 신호에서의 전달 대기 정보를 표시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코딩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액티브 펜과 스크린단 사이 정보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 밖에, 전달 대기 신호는,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압력 또는 상기 액티브 펜의 기능키 누름 신호를 포함한다. 액티브 펜의 펜촉을 통하여 상기 전달 대기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전달하여, 터치 스크린이 복조된 후 구체적인 조작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은 멀티비트 팔진법 코딩이기에, 비교적 흔히 사용되는 다진법 코딩을 제공하였다.
이 밖에, 코드 신호에서,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는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방식을 통하여, 터치 스크린이 코드 신호를 수신한 후, 더욱 편리하게 수신한 복수의 코딩에 대하여 디코딩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드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선행기술에 따른 액티브 펜이 진폭 변조 이진법 코딩을 적용하여 생성한 코드 신호의 모식도이다.
도2는 선행기술에 따른 액티브 펜이 주파수 변조를 적용하여 생성한 코드 신호의 모식도이다.
도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에 의해 생성한 코드 신호의 모식도이다.
도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해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액티브 펜의 블록 모식도이다.
도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블록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이 더욱 뚜렷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에서는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 각 실시형태에서, 독자가 본원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많은 기술적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세부사항과 후술할 각 실시형태에 따른 각종 변경과 수정이 없더라도, 본원 발명이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신호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고, 주로 액티브 펜에 적용된다. 도3에 도시된 것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301에서,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전달 대기 정보는 액티브 펜에 의해 감지된다.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를 감지하면, 본 조작을 실행하기 시작하고, 전달 대기 정보를 감지하지 못하면, 전달 대기 정보를 계속하여 감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액티브 펜의 펜촉이 단말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조작을 진행할 경우, 액티브 펜이 감지한 전달 대기 정보인 V는 펜촉 압력이고, 다음 감지한 펜촉 압력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진법 코딩은 예컨대 팔진법 코딩이고,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은 예컨대 5비트 팔진법 코딩이며; 즉, 감지한 전달 대기 정보인 V에 대하여 5비트 팔진법 코딩을 진행한 후 각각 A, B, C, D, E 5비트 팔진법 코딩에 대응시킨다.
설명할 부분으로는, 본 실시형태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서의 비트수와 진법수에 대하여 어떠한 한정도 하지 않고, 본 실시형태는 전달 대기 정보의 구체적 유형에 대하여도 한정을 하지 않으며, 액티브 펜의 펜촉 압력일 수 있는 외에, 액티브 펜의 기능키 누름 신호 등 기타 정보일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302에 있어서, 액티브 펜은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단계301의 예시에서 얻은 A, B, C, D, E 5비트 팔진법 코딩에 한하여, 주파수 변조의 방식에 따라 A, B, C, D, E 5비트 팔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고, A, B, C, D, E 5비트 팔진법 코딩에 각각 대응되는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인 A1, B1, C1, D1, E1을 얻는다.
이어서 단계303에 있어서, 액티브 펜은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는 액티브 펜에 의해 기 설정된 변조 주파수에 따라 변조하여 생성될 수 있고, 예컨대, 기 설정된 고정 주파수는 F이고, 액티브 펜은 상기 고정 주파수에 따라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신호 X를 생성시킨다.
액티브 펜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코드 신호를 통합 형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파수 변조 팔진법 코딩 방식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감지된 펜촉 압력 또는 기능키 누름 신호에 대하여 멀티비트 팔진법 코딩 주파수 변조를 진행한 후 얻은 주파수 신호를 통합하여 일 프레임 코드 신호를 형성하고, 즉, 코드 신호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각각 좌표 위치 주파수 변조 신호와 전달 대기 정보의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이다. 하지만, 실제 적용에 있어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 중간에 삽입할 수 있고, 일 프레임 코드 신호로 통합할 수 있으며; 즉, 코드 신호에 있어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전달 대기 신호의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는 교차하여 배열되고, 수신단에서 대응되는 배열 규칙에 따라 동기적으로 복조하면 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액티브 펜은 기 설정된 코드 주파수에 따라 코드 신호를 생성시키고, 코드 신호를 송신하며; 즉, 액티브 펜은 주기적으로 코드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코드 주파수는 전달 대기 정보의 리프레시 주파수로 이해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의 주파수의 단일한 주파수 변조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하드웨어 능력하에, 주파수 복조의 해상도는 신호의 시간 길이와 정비례 관계를 이룬다. 일정 대역폭이 F인 대역 내에서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신호 시간의 장단이 t이면, 주파수 해상도는 △f이고,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은 F/△f이며; 본 실시형태가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 변조 방식을 적용하여, 두 개 t/2의 신호로 나뉘어 코딩을 진행하면, 각 비트의 코딩의 정보량은F/(2*△f)이고, 2비트의 코딩이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은 (F*F)/(4*△f*△f)이기에, 동일한 시간 내에, 동일한 주파수 변조와 복조 능력하에, 더욱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여, 동일 비트수가 전달하는 정보량이 크게 증가하도록 하고; 또한, 각 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기에, 스크린상 각 부분에서 복조하여 얻은 각 비트 코딩의 크기가 일치하도록 확보할 수 있어, 정보 전달의 정확성을 확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신호 해석 방법에 관한 것이고, 주로 전자기기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에 적용되며, 전자기기는 예컨대 휴대폰과 태블릿 PC이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단계501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수신한 코드 신호에서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액티브 펜의 펜촉이 송신한 코드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먼저 감지하여야 하고, 터치 스크린이 액티브 펜의 펜촉이 송신한 코드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본 조작을 실행하기 시작하며; 터치 스크린이 액티브 펜의 펜촉이 송신한 코드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액티브 펜의 펜촉이 송신한 코드 신호가 있는지에 대하여 계속하여 감지한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이 액티브 펜이 송신한 코드 신호를 감지한 후, 터치 스크린은 상기 코드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동기적으로 코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 신호에서 A1, B1, C1, D1, E1 다섯 개 주파수 변조 신호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인 X를 인식한다.
이어서 단계502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이 복수의 코딩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다.
예컨대, 상기 사례에 한하여 얻은 A1, B1, C1, D1, E1 다섯 개 주파수 변조 신호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상기 다섯 개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다섯 개 주파수 변조 신호와 각각 대응되는 A, B, C, D, E 5비트 팔진법 코딩을 얻는다.
이어서 단계503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다.
터치 스크린에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A, B, C, D, E 이 5비트 팔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가 V임을 얻고, 즉, 터치 스크린이 액티브 펜으로부터 전달 대기 정보인 V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504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한하여 얻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인 X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인 X에 대하여 진폭 복조의 방식에 따라 복조를 진행하여,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인 X의 복조 진폭인 F를 얻는다.
이어서 단계505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은 복조 진폭에 따라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각각 ITO 채널이 배열되어 있고, 격자 형상을 구비한다. ITO 채널은 한 가닥 한 가닥의 신호 수신 라인에 해당되고, 액티브 펜이 터치 스크린의 어느 한 위치에 놓일 경우, 이가 송신한 신호는 처해 있는 위치의 복수의 ITO 채널에 의해 수신된다. 액티브 펜 펜촉 신호 송신점과 더욱 가까운 ITO 채널에서 수신한 신호는 더 크며, 반대의 경우 더 작다. 각 가닥의 ITO채널에서 수신한 신호 진폭 크기를 복조하여,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하여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서 신호 진폭이 가장 큰 부분을 정확하게 산출하면, 펜촉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를 통하여, 동일한 주파수 변조와 복조 능력의 경우, 더욱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액티브 펜과 터치 스크린 사이 정보의 전달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켰다.
상기 여러 방법의 단계 구획은, 단지 설명의 명료성을 위한 것이고, 실현할 경우 하나의 단계로 합병시키거나 어떠한 단계에 대하여 분할하여, 복수의 단계로 분해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논리 관계를 포함하기만 하면, 모두 본 특허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고; 알고리즘 또는 과정에 중요하지 않은 수정을 추가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디자인을 인입하지만, 알고리즘과 과정의 핵심 디자인을 개변하지 않으면 모두 상기 특허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 제3 실시형태는 액티브 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 구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액티브 펜은, 정보 코딩 모듈(601), 주파수 변조 모듈(602), 신호 통합 모듈(603), 펜촉 저장 모듈(604)을 포함한다.
설명할 부분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티브 펜은, 주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 단말기와 배합하여 사용되고, 스마트 단말기는 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PC이다.
정보 코딩 모듈(601)은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고,
주파수 변조 모듈(602)은 정보 코딩 모듈(601)에 연결되고, 주파수 변조 모듈(602)은 정보 코딩 모듈(601)이 코딩 후의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신호 통합 모듈(603)은 주파수 변조 모듈(602)에 연결되고, 신호 통합 모듈(603)은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주파수 변조 모듈(602)이 생성시킨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펜 끝 저장 모듈(604)은 신호 통합 모듈(603)에 연결되고,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액티브 펜은 신호 송신 모듈(605)을 더 포함하고, 이는 신호 통합 모듈(603)에 연결되며; 신호 송신 모듈(605)은 신호 통합 모듈(603)이 통합 형성시킨 코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쉽게 알 수 있다시피,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대응되는 시스템 실시예이고,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서로 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실시형태에서 의연히 유효하고, 중복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제1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티브 펜을 통하여, 기존의 액티브 펜과 스크린단의 정보 전달 효율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였고,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정보 코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정보 전달의 정확성도 향상된다.
언급할 만한 부분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각 모듈은 모두 논리적 모듈이고, 실제 적용에서, 하나의 논리적 유닛은 하나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유닛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복수의 물리적 유닛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진보성 부분을 뚜렷이 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기술적 과제와 관계가 그다지 밀접하지 않은 유닛을 인입시키지 않았으나, 이는 본 실시형태에 기타 유닛이 존재하지 않음을 표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 제4 실시형태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터치 스크린은, 주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스마트 단말기에 적용되며, 스마트 단말기는 예컨대 휴대폰과 태블릿 PC이다. 구체적 구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고, 터치 스크린은, 신호 수신 모듈(701), 신호 인식 모듈(702), 정보 획득 모듈(703), 주파수 복조 모듈(704), 진폭 복조 모듈(705), 위치 산출 모듈(706), 스크린단 저장 모듈(707)을 포함한다.
신호 수신 모듈(701)은 액티브 펜 신호 송신 방법이 송신한 코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신호 인식 모듈(702)은 신호 수신 모듈(701)에 연결되며; 신호 인식 모듈(702)은 액티브 펜이 송신한 코드 신호로부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것이며;
주파수 복조 모듈(703)은 신호 인식 모듈(702)에 연결되고, 주파수 복조 모듈(703)은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기 위한 것이며;
정보 획득 모듈(704)은 주파수 복조 모듈(703)에 연결되고, 정보 획득 모듈(704)은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 관계에 따라,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다.
진폭 복조 모듈(705)은 신호 수신 모듈(701)에 연결되고, 진폭 복조 모듈(705)은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기 위한 것이다.
위치 산출 모듈(706)은 진폭 복조 모듈(705)에 연결되고, 위치 산출 모듈(706)은 복조 진폭에 따라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한다.
스크린단 저장 모듈(707)은 정보 획득 모듈(704)에 연결되고, 스크린단 저장 모듈(707)은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 관계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할 부분으로는, 전달 대기 정보는, 액티브 펜의 펜촉 압력과 액티브 펜의 기능키 누름 신호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와 본 실시형태가 서로 대응되기에, 본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서로 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본 실시형태에서 의연히 유효하고, 제2 실시형태에서 달성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본 실시형태에서 또한 실현될 수 있으며, 중복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관련 기술적 세부사항은 제2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휴대폰과 태블릿 PC 스크린단의 리프레시 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 방법에서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의 실현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 하드웨어를 인스트렉팅하여 완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복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하나의 기기(마이크로컨트롤러, 칩 등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가 본원 발명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부분적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 또는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기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하고, 실제 적용에 있어서, 형식적으로 및 세부적으로 각종 변경을 진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0)

  1. 액티브 펜(Active pen)에 적용되고,
    상기 액티브 펜이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multi bit) 다진법(n-nary) 코딩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액티브 펜이 펜촉(penpoint)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코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대기 정보는,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압력 및/또는 상기 액티브 펜의 기능키 누름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은 멀티비트 팔진법 코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신호에서,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는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의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는 상기 액티브 펜에 의해 기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생성 방법.
  6. 터치 스크린에 적용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수신한 코드 신호에서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코드 신호는 상기 액티브 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조 진폭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해석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에 적용되고,
    상기 전달 대기 정보에 대하여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진행하는 정보 코딩 모듈;
    상기 정보 코딩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변조를 진행하여, 각각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변조 모듈; 및
    상기 주파수 변조 모듈에 연결되고, 기 설정된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와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를 통합하여 상기 코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신호 통합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통합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저장하는 펜 끝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펜.
  9. 터치 스크린이, 수신한 코드 신호에서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코드 신호는 상기 액티브 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되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된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복조 진폭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해석 방법에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코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신호 수신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코드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와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 모듈;
    상기 신호 인식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 신호에 대하여 각각 주파수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코딩 주파수 변조에 각각 대응되는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을 얻는 주파수 복조 모듈;
    상기 주파수 복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 관계에 따라,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에 대응되는 전달 대기 정보를 얻는 정보 획득 모듈;
    상기 신호 인식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에 대하여 진폭 복조를 진행하여, 상기 펜촉 위치 감지를 위한 고정 주파수 신호의 복조 진폭을 얻는 진폭 복조 모듈; 및
    상기 진폭 복조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복조 진폭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의 펜촉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비트 다진법 코딩과 전달 대기 정보의 기 설정 관계를 저장하는 스크린단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KR1020177033684A 2016-09-17 2016-09-17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 KR102069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9156 WO2018049636A1 (zh) 2016-09-17 2016-09-17 信号生成方法、信号解析方法、主动笔及触控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92A KR20180041092A (ko) 2018-04-23
KR102069961B1 true KR102069961B1 (ko) 2020-01-23

Family

ID=6161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684A KR102069961B1 (ko) 2016-09-17 2016-09-17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5627B2 (ko)
EP (1) EP3321782B1 (ko)
KR (1) KR102069961B1 (ko)
CN (1) CN108431741A (ko)
WO (1) WO2018049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6834B2 (en) * 2017-05-15 2019-11-05 Leading Ui Co., Ltd. Touch system for finger and stylus pen touch recognition
WO2021000252A1 (zh) * 2019-07-02 2021-01-0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处理系统、芯片和主动笔
EP3800776B1 (en) * 2019-08-08 2022-10-05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Signal driving circuit generating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s, chip, active pen, and signal driving method
EP3822747B1 (en) * 2019-09-30 2022-05-11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Signal emission and receiving methods, processor chip, active pen and touch screen
WO2021062641A1 (zh) * 2019-09-30 2021-04-0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信号发射与接收方法、处理器芯片、主动笔、触摸屏
CN110968208B (zh) * 2019-11-28 2023-06-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笔、触控笔检测方法和触控系统
CN112558797B (zh) * 2021-02-19 2021-07-06 深圳市千分一智能技术有限公司 主动笔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4186A1 (en) 2012-10-16 2014-04-17 Vemund Kval Bakken Active Stylus With A Parallel Communication Channel
WO2016004003A1 (en) 2014-07-02 2016-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rejection of unintentional touch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3867B2 (en) * 2005-03-01 2010-01-26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ulti-source data encoding, transmission and decoding using Slepian-Wolf codes based on channel code partitioning
US8536471B2 (en) * 2008-08-25 2013-09-17 N-Trig Ltd. Pressure sensitive stylus for a digitizer
CN102123117B (zh) * 2010-01-07 2013-07-17 无锡爱睿芯电子有限公司 调制装置及方法
CN102156557A (zh) * 2011-04-12 2011-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手写笔、移动终端及利用手写笔在移动终端上操作的方法
CN103677339B (zh) * 2013-11-25 2017-07-28 泰凌微电子(上海)有限公司 电磁笔、电磁触控接收装置以及两者组成的无线通信系统
CN105468170B (zh) * 2014-08-13 2018-09-1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容笔与触摸屏之间的数据传输方法、系统和装置
CN105607765B (zh) * 2015-12-29 2018-08-10 广州磐信计算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感应式多通道笔迹输入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04186A1 (en) 2012-10-16 2014-04-17 Vemund Kval Bakken Active Stylus With A Parallel Communication Channel
WO2016004003A1 (en) 2014-07-02 2016-0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rejection of unintentional touch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92A (ko) 2018-04-23
US10705627B2 (en) 2020-07-07
EP3321782B1 (en) 2019-08-07
EP3321782A1 (en) 2018-05-16
CN108431741A (zh) 2018-08-21
EP3321782A4 (en) 2018-05-16
WO2018049636A1 (zh) 2018-03-22
US20180081457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961B1 (ko) 신호 생성 방법, 신호 해석 방법, 액티브 펜 및 터치 스크린
WO2018035843A1 (zh) 信号发射方法、信号解析方法、主动笔及触控屏
CN107111388A (zh) 与数字化仪的通用触控笔通信
CN111290665B (zh) 压力检测的方法、装置、主动笔、触控芯片和电子设备
EP3637231B1 (en) Signal transmitting method, signal receiving method and device
CN103973402A (zh) 数据发送方法、接收方法及设备
CN112558798A (zh) 主动笔的通信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4463061A (zh) 在网络连接不可靠情况下的数据传输系统及方法
CN109063068B (zh) 一种图片检索方法和装置
CN115712357A (zh) 无线通信的方法、主动笔和触摸屏
US108385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inuous data by data compression
CN105487836B (zh) 带跳转候选的双同步电子设备和fifo存储器电路及相关方法
WO2021226838A1 (zh) 压力检测的方法、装置、主动笔、触控芯片和电子设备
CN103812610A (zh) 一种数据通信方法、终端及信息安全设备
CN110705536A (zh) 汉字识别纠错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CN112187369B (zh) 传感器数据编码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758727B1 (ko) 문자 배열 디지털 코드로 구성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은닉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CN115390689A (zh) 触控数据压缩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交互平板
CN108734188A (zh) 一种聚类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124309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11356971A (zh) 手写板的输入数据处理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50263919A1 (en)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of two-channel bus data in network system
CN115642955A (zh) 一种无线通信的方法、系统、装置及介质
CN116016799A (zh) 基于液晶显示器声学侧信道泄露的隐蔽通信方法及系统
CN103259610A (zh) 基于重复编码传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